KR200380591Y1 -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91Y1
KR200380591Y1 KR20-2004-0037123U KR20040037123U KR200380591Y1 KR 200380591 Y1 KR200380591 Y1 KR 200380591Y1 KR 20040037123 U KR20040037123 U KR 20040037123U KR 200380591 Y1 KR200380591 Y1 KR 200380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valve
pip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20-2004-0037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당이나 욕실과 같이 대용량의 급수통이나 저수조를 사용하는 곳의 급수관에 끝단에 설치시켜 플러팅 밸브의 부자공을 일정 유량에 맞추어 놓고 정해진 유량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면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여 수시로 저장된 유량을 사용하여도 항상 일정한 유량에 자동으로 맞춰짐으로써 물의 넘침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수시로 급수관의 밸브를 조작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재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나 냉수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곳에서 작업자가 수시로 조작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 수위만큼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가 제공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예방됨과 동시에 늘 필요로 하는 양만큼의 물이 자동으로 확보되어 편리하게 물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본 장치를 설치 및 분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A PORTABLE AND SAFEWATER TYPE AUTOMATIC WATER-SUPPLY APPARATUS USING A FLOOTING VALVE}
본 고안은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당이나 욕실과 같이 대용량의 급수통이나 저수조를 사용하는 곳의 급수관에 끝단에 설치시켜 플러팅 밸브의 부자공을 일정 유량에 맞추어 놓고 정해진 유량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면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여 수시로 저장된 유량을 사용하여도 항상 일정한 유량에 자동으로 맞춰짐으로써 물의 넘침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수시로 급수관의 밸브를 조작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재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욕실에서는 대용량의 급수통이나 저수조가 이용되며, 특히 식당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급수통은 냉수 또는 온수를 늘 일정한 양만큼 확보해놓아야만 손님의 주문에 따라 발 빠르게 음식을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온수의 경우는 가스불 위에 커다란 급수통을 올려놓고 계속 아래에서 가스불로 가열하여 일정한 양을 조달하게 되지만, 수시로 온수의 사용량이 변하기 때문에 급하게 온수의 사용을 많이 하게 된 경우에는 재빨리 냉수를 온수를 조달하기 위한 급수통에 보충시켜 주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의 필요성을 미쳐 작업자가 깨닫지 못한 경우에는 온수가 바닥나서 낭패를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냉수를 보관하는 급수통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대량의 물을 받기 위해 급수관의 밸브를 틀어놓고 잠시 다른 작업을 하러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물이 급수통을 넘어버릴 만큼 시간이 지나면 계속하여 공급되는 물은 그대로 바닥으로 넘쳐버려 낭비가 심하게 발생되고, 한편, 이렇게 넘친 물은 주방을 물바다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나 냉수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곳에서 작업자가 수시로 조작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 수위만큼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설정된 수위만큼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절수형 급수 장치를 필요한 곳에 쉽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이동식 절수형 급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될 구성 및 작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는,
관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일측 끝단이 수도관측의 끝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에 소정 체결수단으로 밀봉 결합되는 급수관;
일측 끝단이 상기 급수관의 끝단에 소정 체결수단으로 밀봉결합 되고, 타측 끝단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엘보우관;
후단이 상기 엘보우관의 타측 끝단의 나사선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급수관과 엘보우관을 통해 상시 공급되는 액체를 전달받아 전단측으로 통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밸브로서, 몸체의 끝단에 힌지결합된 제 1 작동바:와, 상기 제 1 작동바의 몸체 소정 지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작동바: 및 상기 제 2 작동바에 핀 결합되어 밸브 내측의 밸브를 개폐 동작 시키는 연동 바:를 포함하는 플러팅 밸브;
상기 제 1 작동바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이 밀봉 형성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자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수관은 상기 개폐 밸브에 나사결합으로 밀봉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엘보우관 또한 상기 급수관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이나 엘보우관의 관체 소정 부위에는 'ㄷ'자 형태로 굴곡된 몸체에 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지지대가 배치되어 상기 이동식 절수형 급수 장치를 급수통의 테두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분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100)는 크게 부자공(10)과 지지대(20)를 갖는 플러팅 밸브(30)와, 플러팅 밸브(30)에 개폐 밸브(80)로부터 액체를 가이드하여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60)과 엘보관(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동식 절수형 급수 장치(100)를 대용량 급수통(7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지지대(50)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관(60)은 관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일측 끝단이 수도관 측의 끝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80)에 나사결합으로 밀봉 결합되어 있으며, 엘보우관(40)은 일측 끝단이 급수관(60)의 끝단에 볼트에 의해 밀봉 결합되고, 엘보우관(40)의 타측 끝단의 내측에는 나사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후단에 플러팅 밸브(30)가 결합된다.
플러팅 밸브(30)는 후단측에 엘보우관(40)의 타측 끝단의 나사선(미도시)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60)과 엘보우관(40)을 통해 상시 공급되는 액체, 즉 물을 전달받아 전단측으로 통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밸브로서, 몸체의 끝단에는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된 제 1 작동바(31)와, 제 1 작동바(31)의 몸체 소정 지점, 본 실시 예에서는 몸체의 중앙지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작동바(32) 및 상기 제 2 작동바(32)에 핀결합되어 밸브 내측의 개폐 밸브(미도시)를 개폐 동작 시키는 연동 바(3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팅 밸브(30)의 제 1 작동바(31)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대(20)의 끝단에는 내부 공간이 밀봉 형성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자공(1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급수관(60)이나 엘보우관(40)의 관체 소정 부위에는 'ㄷ'자 형태로 굴곡된 몸체에 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지지대(50)가 결합 배치되어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100)를 대용량 급수통(70)의 테두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대용량 급수통(70)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부자공(10)과 지지대(20) 및 플러팅 밸브(30)로 이어지는 밸브의 개폐 동작 위치 설정은 사용자가 고정 지지대(50)를 설치하는 높이, 또는 급수관(60)의 높이 등과 상대적인 수위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100)가 저수위일 때의 밸브 열림 상태와 만수위일 때의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만약 사용자가 대용량 급수통(70)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갑자기 많이 퍼내어 사용하였을때 수위가 저수위로 내려가서 도 2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어 부자공(10)이 내려가서 지지대(20)와 연결된 제 1 작동바(31)가 내려가게 되고, 제 1 작동바에 힌지 결합된 제 2 작동바(32)도 따라서 뒤측으로 움직이고, 제 2 작동바(32)에 연동되는 연동바(33)가 플러팅 밸브(30)를 열어 급수관(60)과 엘보관(4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대용량 급수통(70)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된 물이 대용량 급수통(70) 내의 설정된 수위까지 올라오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부자공(10)에 의해 만수위로 감지되어 플러팅 밸브(30)는 닫힘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동작과정을 갖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100)는 부자공(10), 지지대(20), 플러팅 밸브(30), 엘보관(40), 급수관(60)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수도관측의 개페 밸브(80)으로부터 얼마든지 분리 및 설치시킬 수 있어 이동설치가 가능해지며, 고정 지지대(50)에 의해 대용량 급수통(7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한 부자공(10) 이외에 수위를 감지하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로부터 밸브를 개폐시키는 다른 구성 또한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대용량 급수통(70)에 사용하기에 가장 견고하고 저렴하며 편리한 구성으로 부자공과 플러팅 밸브를 채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얼마든지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며,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온수나 냉수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곳에서 작업자가 수시로 조작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 수위만큼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가 제공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예방됨과 동시에 늘 필요로 하는 양만큼의 물이 자동으로 확보되어 편리하게 물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를 필요로 하는 곳에 쉽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분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가 저수위일 때의 밸브 열림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가 만수위일 때의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를 대용량 급수통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자공 20: 지지대
30: 플러팅 밸브 31: 제 1 작동바
32: 제 2 작동바 33: 연동바
40: 엘보관 50: 고정 지지대
60: 급수관 70: 대용량 급수통
80: 개폐 밸브 100: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Claims (4)

  1. 관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일측 끝단이 수도관측의 끝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에 소정 체결수단으로 밀봉결합되는 급수관;
    일측 끝단이 상기 급수관의 끝단에 소정 체결수단으로 밀봉 결합되고, 타측 끝단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엘보우관;
    후단이 상기 엘보우관의 타측 끝단의 나사선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과 엘보우관을 통해 상시 공급되는 액체를 전달받아 전단측으로 통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밸브로서, 몸체의 끝단에 힌지결합된 제 1 작동바:와, 상기 제 1 작동바의 몸체 소정 지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작동바: 및 상기 제 2 작동바에 핀결합되어 밸브 내측의 밸브를 개폐 동작 시키는 연동 바:를 포함하는 플러팅 밸브;
    상기 제 1 작동바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이 밀봉 형성되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자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개폐 밸브에 나사결합으로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관은 상기 급수관에 나사결합으로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이나 엘보우관의 관체 소정 부위에는 'ㄷ'자 형태로 굴곡된 몸체에 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지지대가 더 배치되어 소정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KR20-2004-0037123U 2004-12-28 2004-12-28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KR200380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23U KR200380591Y1 (ko) 2004-12-28 2004-12-28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123U KR200380591Y1 (ko) 2004-12-28 2004-12-28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91Y1 true KR200380591Y1 (ko) 2005-03-31

Family

ID=4368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123U KR200380591Y1 (ko) 2004-12-28 2004-12-28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152A (en) Water saving toilet and bathroom fixture system
US4924536A (en) System of conserving water in a building
US4025968A (en) Water and energy saving closet tank flush valves
US6829787B1 (en) Water saving dual flush system of valving
US5731758A (en) Toilet water economizer
US7526819B2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US20100058524A1 (en) Dual toilet tank system
KR10120814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KR200380591Y1 (ko) 플러팅 밸브를 이용한 이동식 절수형 자동 급수 장치
US11560695B1 (en) Water conservation apparatus
US3982556A (en) Tank flushing means
GB2402136A (en) Water saving device for toilet
US5230104A (en) Toilet water preservation devices
US20100058523A1 (en) Toilet water saver
CA2557956C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US20100058522A1 (en) Toilet water saver
US20120227172A1 (en) Water saver toilet control valves and methods
KR102070294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0398102Y1 (ko) 물 절약형 보일러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CN101216192A (zh) 自动节水蓄水装置
US5704076A (en) Controlled toilet flushing system
JP3120273U (ja) 麺茹で装置における自動給水装置
DE602007014041D1 (de) Schwimmerventilregler
WO2005003691A3 (en) Toilet flush tank water leakage control and water us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