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472Y1 -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 Google Patents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472Y1
KR200380472Y1 KR20-2004-0036725U KR20040036725U KR200380472Y1 KR 200380472 Y1 KR200380472 Y1 KR 200380472Y1 KR 20040036725 U KR20040036725 U KR 20040036725U KR 200380472 Y1 KR200380472 Y1 KR 200380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ish
play
teaching
dic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연
Original Assignee
신화식
이승연
구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식, 이승연, 구태은 filed Critical 신화식
Priority to KR20-2004-0036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가지 다양한 놀이 및 이야기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교육재료를 하나의 세트화 하여 제공함으로서 유아들로 하여금 숫자개념과 함께 형상이나 색깔에 대한 판단능력, 그리고 사물에 대한 이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재세트는, 다양한 모형 장식이 이루어진 케익형상의 본체(103) 상면에는 다수의 삽입공(10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가능한 초형태의 봉(102)이 구비되어진 케익놀이 교구(100)와; 교실을 이루는데 필요한 책장(201), 책상(202,203), 의자(204) 등을 소형화 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함과 함께 벽면(207)상에는 창문(205)과 출입문(206) 을 형성시킨 교실놀이 교구(200)와; 교구판(310)상에 입체형태로 모형화된 동물형상(320)이 구비됨과 함께 그 주위를 따라 연속된 숫자가 기재된 패드부(321)가 구비되었으며, 주사위(301)를 포함하여 구비된 주사위놀이 교구(300)와; 다수의 보관홈(411)이 상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각 보관홈(411)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412), 각 보관홈(411)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깃발(413), 그리고 각 보관홈(411)에 투입될 사물재료(421)가 구획되어 보관되어지는 재료보관함(420)으로 구비된 사물찾기놀이 교구(400)와; 오솔길(505)과, 연못(503), 정원(506), 목장(504), 동굴(502) 등을 하나의 교구판(501)상에 입체 형상화 하여 구비함과 함께,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동물모형을 구비하고 있는 이야기놀이 교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TEACHING MATERIAL SET FOR BABY STUDYING}
본 고안은 유아 학습용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학습용 재료를 하나의 세트화 하여 제공함으로서 유아들로 하여금 놀이를 통하여 숫자개념과 함께 다양한 학습능력을 배가시키도록 하기위한 교재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교육용 교재는 책을 통하여 문자를 인지시키도록 하기위한 문자학습교재 등 많은 교재들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어린이집에서는 유통되는 학습교재중 유아교육을 시키는데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여 유아들에게 교육을 시키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놀이형태로 유아들에게 크기나 숫자 등을 사물을 통해 재미있게 인지시키기 위한 교재로서 다양한 형상의 블럭을 크기나 색깔별로 세트화 하여 제공하는 교육재료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학습용 교재는 단순히 그림을 통하여 크기의 대,소나 수량의 많고 적음 등을 파악토록 함으로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를 떨어뜨리게 되고, 또한 블럭형태의 교육재료 역시 주로 혼자서 갖고놀게 되면서 다양한 학습재료로 활용될 수 없어 학습에 빨리 싫증을 느끼게 됨으로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학습용 재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여러가지 다양한 놀이 및 이야기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교육재료를 하나의 세트화 하여 제공함으로서 유아들로 하여금 숫자개념과 함께 형상이나 색깔에 대한 판단능력, 그리고 사물에 대한 이해능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다양한 모형 장식이 이루어진 케익형상의 본체 상면에는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공에 삽입가능한 초형태의 봉이 구비되어진 케익놀이 교구와; 교실을 이루는데 필요한 책장, 의자, 책상, 창문 등 다양한 소품을 소형화 하여 제작한 교실놀이 교구와; 교구판상에 모형화된 동물형상이 구비됨과 함께 그 주위를 따라 연속된 숫자가 기재된 패드부가 구비되었으며, 주사위를 포함하여 구비된 주사위놀이 교구와; 다수의 보관홈이 상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각 보관홈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 각 보관홈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깃발, 그리고 각 보관홈에 투입될 사물재료가 구획되어 보관되어지는 재료보관함으로 구비된 사물찾기놀이 교구와; 오솔길과, 연못, 정원, 목장, 동굴 등을 하나의 판상에 형상화 하여 구비함과 함께,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동물모형을 구비하고 있는 이야기놀이 교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이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교재세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숫자개념 인식을 위한 케익놀이 교구(100)와, 응용력 향상을 위한 교실놀이 교구(200)와,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주사위놀이 교구(300)와, 색깔 및 사물판단능력 향상을 위한 사물찾기놀이 교구(400)와, 이야기 구현용 재료인 이야기놀이 교구(500) 등 5가지 교구가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구성된다.
그중 제1세트인 케익놀이 교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장식형상이 나타내어진 2단 케익형상의 본체(103)와, 본체(103)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01), 그리고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가능한 초형태의 봉(10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세트인 교실놀이 교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어린이집이나 놀이방의 실내를 축소한 형태를 이룬 것으로서 교실을 이루는데 필요한 책장(201), 원형 및 사각형태의 책상(202,203), 의자(204) 등의 다양한 실내소품을 소형화 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으며, 벽면(207)상에는 소정 위치에 창문(205)과 출입문(206)을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제3세트인 주사위놀이 교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구판(310)상에 거북이를 입체형태로 모형화한 동물형상(320)이 구비됨과 함께 그 주위를 따라 연속된 숫자가 기재된 패드부(321)가 구비되었다. 또한 별도로 주사위(301)를 포함하게 되는데 주사위(301)는 육면상에 점의 갯수를 1 내지 6까지 표시한 통상의 주사위(301a)와, 더하기 빼기를 위해 육면상에 "+"와 "-"가 각각 교번하여 표시되어진 가감용 주사위(301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4세트인 사물찾기놀이 교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의 교구판(410)의 상면에 15개의 보관홈(41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 보관홈(411)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412)과 각 보관홈(411)을 표시하기 위한 5가지 색깔의 표시깃발(413)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각 보관홈(411)에 투입될 사물재료(421)가 구획되어 보관되어지는 재료보관함(42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사물재료(421)는 개미나 돌멩이, 뼈 등이 소형화된 재미있는 형태로 재작되어져 있다.
또한, 각 보관홈(411)은 표시깃발(413)과 마찬가지로 상호 대응이 가능하도록 5가지 색깔이 칠해져 있다.
그리고, 제5세트인 이야기놀이 교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구판(501)상에 지점토 등을 이용하여 동굴(502)과, 연못(503), 목장(504), 오솔길(505), 정원(506) 등을 형상화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이와함께 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동물이나 도깨비모형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세부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5가지 종류의 각 교구를 활용한 학습방법 및 이에따라 얻을 수 있는 학습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케익놀이 교구(100)의 경우 7세이하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2단의 케익형상을 이루는 본체(103)상에 7개의 삽입공(101)이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해당 유아에게 초형태의 봉(102)을 나누어 주고 자신의 나이에 해당하는 갯수를 삽입공(101)에 끼워 맞추도록 함으로서, 자신의 나이를 항상 인지토록 함과 함께 숫자개념을 학습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케익놀이 교구(100)를 이용한 학습시, 유아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화려한 장식의 케익형상을 통해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자신이 직접 초를 꼿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된다.
그리고, 교실놀이 교구(200)는 다수의 책장(201)과 다양한 형상의 책상(202,203) 그리고 의자(204) 등의 소품을 구비하고 있어, 유아에게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실내를 배치토록 하게 된다.
이와같이 실물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진 소품의 배치를 자신이 직접 실시토록 함으로서 유아로 하여금 유치원의 교실생활을 이해시킬 수 있게되며, 이와동시에 물품에 대한 인지력과 함께 응용력을 높여주어 사회영역 계발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벽면(207)상에는 창문(205)과 출입문(206)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보다 실제감을 높여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주사위놀이 교구(300)는 2명 내지 3명이 함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주사위판 놀이를 동물모형을 통해 형상화한 것이다.
즉, 거북이 동물형상(320)의 주변을 따라 숫자가 표시된 패드부(321)의 시작위치에 각자의 말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순서대로 2개의 주사위(301)를 던져 나오는 숫자에 따라 말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말이 가장 빨리 동물형상(320)의 주변을 돌아서 끝지점에 오면 승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2개의 주사위(301)중 하나는 가감용 주사위(301b)이기 때문에 표시되는 부위(더하기 또는 빼기)에 따라 말이 앞 또는 뒤로 이동하면서 상대편 말을 잡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대편 말에게 잡히지 않으면서 빨리 최종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놀이개념에 접목하여 덧셈 뺄셈을 함께 인지토록 하여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높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물찾기놀이 교구(400)는 재료보관함(420)에 보관되어지고 있는 개미, 돌멩이, 뼈 등의 사물재료(421)들을 수량단위로 해서 각 보관홈(411)에 투입한 후 뚜껑(412)을 닫은 상태에서 유아로 하여금 해당 사물재료가 투입된 보관홈(411)의 위치에 표시깃발(413)을 이용해 표시토록 하는 것이다.
즉, 유아로 하여금 뚜껑(412)이 없이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각 보관홈(411)의 색상과 함께 각 보관홈(411)에 투입된 사물재료(421)의 종류 및 갯수 등을 인지토록 한 후, 뚜껑(412)을 닫은상태에서 상기 인지된 내용을 기억토록 함으로서 '무엇'과 '어디'에 대한 기억력과 숫자개념 및 색깔에 대한 판단력을 복합적으로 높여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야기놀이 교구(500)는 유아들이 언어능력 계발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유아들에게 자신이 직접 이야기를 만들어보도록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교사나 부모가 직접 어린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구현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게된다.
즉, 교구판(501)상에 고정 구조물로 구현되어져 있는 동굴(502)과, 연못(503), 목장(504), 오솔길(505), 정원(506)을 소재로 하여 별도로 제공된 동물이나 도깨비형태의 모형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후 모형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옛날 이야기 등을 전해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이야기를 직접 설정하는 유아들이 실제 모형화된 형상을 통해 집중할 수 있게되며, 그림책을 이용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입체적으로 형상화가 이루어진 교구를 사용함으로서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를 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교재세트는, 여러가지 다양한 놀이 및 이야기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교육재료를 하나의 세트화 하여 유아의 연령에 맞도록 활용토록 함으로서 유아들로 하여금 성장 단계에 따라 숫자개념과 함께 형상이나 색깔에 대한 판단능력, 그리고 사물에 대한 이해능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게된다.
특히, 각 교구들이 유아들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한 입체화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학습에 따른 유아들로 하여금 집중력을 한층 증가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세트인 케익놀이 교구 형상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세트인 교실놀이 교구 형상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세트인 주사위놀이 교구 형상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세트인 사물찾기놀이 교구 형상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5세트인 이야기놀이 교구 형상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익놀이 교구 101 : 삽입공
102 : 봉 103 : 본체
200 : 교실놀이 교구 201 : 책장
202,203 : 책상 204 : 의자
205 : 창문 206 : 출입문
300 : 주사위놀이 교구 301 : 주사위
310 : 교구판 320 : 동물형상
400 : 사물찾기놀이 교구 410 : 교구판
411 : 보관홈 412 : 뚜껑
413 : 표시깃발 420 : 재료보관함
500 : 이야기놀이 교구 501 : 교구판
502 : 동굴 503 : 연못
504 : 목장 505 : 오솔길
506 : 정원

Claims (3)

  1. 다양한 모형 장식이 이루어진 케익형상의 본체(103) 상면에는 다수의 삽입공(10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가능한 초형태의 봉(102)이 구비되어진 케익놀이 교구(100)와;
    교실을 이루는데 필요한 책장(201), 책상(202,203), 의자(204) 등을 소형화 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함과 함께 벽면(207)상에는 창문(205)과 출입문(206) 을 형성시킨 교실놀이 교구(200)와;
    교구판(310)상에 입체형태로 모형화된 동물형상(320)이 구비됨과 함께 그 주위를 따라 연속된 숫자가 기재된 패드부(321)가 구비되었으며, 주사위(301)를 포함하여 구비된 주사위놀이 교구(300)와;
    다수의 보관홈(411)이 상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각 보관홈(411)을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412), 각 보관홈(411)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깃발(413), 그리고 각 보관홈(411)에 투입될 사물재료(421)가 구획되어 보관되어지는 재료보관함(420)으로 구비된 사물찾기놀이 교구(400)와;
    오솔길(505)과, 연못(503), 정원(506), 목장(504), 동굴(502) 등을 하나의 교구판(501)상에 입체 구조물로 형상화 하여 구비함과 함께,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동물모형을 구비하고 있는 이야기놀이 교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사위놀이 교구(300)의 주사위(301)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육면상에 숫자를 달리하여 표시된 통상의 주사위(301a)와, "+" 와 "-" 가 육면상에 교번하여 기재된 가감용 주사위(301b)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물찾기놀이 교구(400)는 각 보관홈(411)의 내면과 표시깃발(413)을 상호 대응이 가능한 여러가지 색깔로 칠하여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KR20-2004-0036725U 2004-12-24 2004-12-24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KR200380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25U KR200380472Y1 (ko) 2004-12-24 2004-12-24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725U KR200380472Y1 (ko) 2004-12-24 2004-12-24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60A Division KR100619218B1 (ko) 2004-12-24 2004-12-24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472Y1 true KR200380472Y1 (ko) 2005-03-30

Family

ID=4368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725U KR200380472Y1 (ko) 2004-12-24 2004-12-24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4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dstrom Children's art: A study of normal development in children's modes of visualization
Jones et al. The play's the thing: Teachers' roles in children's play
Daly et al. Loose parts: Inspiring play in young children
Provenzo et al. The complete block book
Bruce The whole child
Mulcahey The story in the picture: Inquiry and artmaking with young children
Curtis et al. Reflecting Children's Lives: A Handbook for Planning Your Child-centered Curriculum
Fernsebner A people's playthings: toys, childhood, and Chinese identity, 1909–1933
KR20210060933A (ko) 학습능력향상을 위한 유아교육용 교재세트
KR200380472Y1 (ko)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KR100619218B1 (ko) 유아 학습용 교재세트
US6474641B1 (en) Container with associated puzzle
Padula The role of mathematical fict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in primary school
Biber Educational needs of young deprived children
Jailani et al. The Evolution of Children's Creativity in the Age of the Millennium
Johnson Art for the young child
Perspective How early school experiences impact creativity
Strader et al. A child centered approach to dinosaurs
Chinwe Imperativeness of Toy Making for Cognitiv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Nigeria
Miller et al. Approaches to curricula in the early years
Tunnicliffe Essential stage in Science learning: Play and narratives–meeting Challenges in the present age of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addick et al. Is play the centerpiece of your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DMER AN ANALYSIS OF RESEARCH CONCERNING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KINDERGARTEN PROGRAM. PART I: THE STUDY. PART II: THE GUIDE FOR PARENTS,'YOUR CHILD BEGINS SCHOOL.'
Newman Peace and Me
Eckblad That Other Land: The Story of Aipotu, a Creative, Competent, and High-Tech Country Where They Rank Human Growth and Joy of Life Above the Acquisition of W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