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307Y1 -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 Google Patents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307Y1
KR200380307Y1 KR20-2004-0030863U KR20040030863U KR200380307Y1 KR 200380307 Y1 KR200380307 Y1 KR 200380307Y1 KR 20040030863 U KR20040030863 U KR 20040030863U KR 200380307 Y1 KR200380307 Y1 KR 200380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e
rod
inse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옥, 김현수, 김현구 filed Critical 김재옥
Priority to KR20-2004-0030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1. 명칭 :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2. 구조 : 아치형기둥()의 좌우의 양측의 직립주(19)의 각 하측에 겹주(19")와 복판에 축공(37)을 형성하고, 또 축공(37) 상측에 작동봉(28)을 내장한 고정봉()을 부설하고 또 좌측의 중간면(22)과 윗면(26)을 형성하고, 또 우측의 직립주(19)의 중간면(22)에 쌍벽(22")을 형성해서 나사통(23)을 끼워 넣고, 두개의 직립주(19)에서 궁형으로 굽어진 곳을 궁현면(21)로 형성해서 고리(24)를 부착한 다음, 승용차()의 강판면(4)과 차지붕(2)에 회전고리()를 세 개와 운전대창문밑(7)에도 소화전구()를 각각 부설하고, 별도의 고정공(65")과 입설벽(65')과 입설봉(66)(67)과 밑면(68)으로 형성되는 조종판()을 구성해서, 별도의 손잡이()에 연결되는 노끈()을 차지붕(2)과 강판면(4)에 각 회전고리()를 거쳐서, 작동판()을 지나고, 고리(35)에 연결해서 묶은 뒤, 다시 손잡이()에 연결되는 실노끈()을 구성해서 노끈()과 같이 회전고리()를 거치고 직립주(19)의 고리(29)와 고리(24)를 거쳐서, 작동봉(28)의 실노끈고리(28")에 연결해서 운전대 내부(8)에서 운전기사가 손잡이()를 당겼다 또 놓았다로 광고문안을 기록한 문안판()을 내장한 광고구()의 한쪽에 부설 한 작동판()을 차지붕(2)쪽으로 당겨서 반회전시켜서 사용하고 또 손잡이()를 당겨서 고정상태로 하고 또 손잡이()를 당겨서 작동판()을 반회전시켜서 승용차() 후방으로 향하게 회전시킨 다음, 다시 손잡이()를 당겨서 고정상태로 해서 작동판()을 두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사용이 되는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3. 부호의 설명
: 승용차 2. 차지붕 4 : 강판면 7 : 운전대창문밑 7' : 삽입공 8 : 운전대내부 8' : 선반 : 아치형기둥 19 : 직립주 19" : 겹주 21 : 궁형면 22 : 중간면 26 : 윗면 27 : 고정봉 28 : 작동봉 28" : 실노끈고리 : 광고구 : 작동판 33 : 회전구 35 : 고리 37 : 축공 : 광고판 : 나사 : 노끈 : 손잡이 : 실노끈 : 손잡이 : 조종판 65' : 입설벽 65" : 고정공 66 : 입설봉 67 : 입설봉 : 회전고리

Description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omitted}
광고업계에서 그 방법으로 신문지면, 라디오, 텔레비젼 등의 이용에서는 비용부담이 막대하여 그 이용에는 제한으로 원활하지 못한 면이 많아서 저렴한 부담으로 소비계층에 광고를 접하는 기회증대와 광고계와 소비계층간을 원활화와 이해증진을 도모하여서 국민경제면에서 경제성장 발전에 기여 되기를 목적으로 인출된 본원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선 출원번호 2002-0028425호(출원일:2002-09-16) 등록일 2002-12-14 본원의 광고업계에 속하는 기술로써, 현재는 인쇄와 전파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본원과 동일한 형태의 광고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태임.
천문학적인 인쇄비와 전파이용에서의 고부담에서 대폭 경감이 되는 광고비용과 소비계층에 접근하고 친소비계층의 광고로서의 구조와 구성이기를 해결의 과제로 정하고 본원의 목표로 안출한 본원을 상세히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의 구성에서는 승용차()의 외측면의 구성과 고정판()과 아치형기둥()과 광고구()와 작동판()과 작동판()과 노끈()()과 조종판()과 회전고리()()의 결합과 조립으로 구성이 되는 본원에서 먼저 승용차()의 외부인 강판면(4)에도 고정공(4')을 굴착형성하고 또 돌출판면(6)에도 고정공(6')을 두개씩을 굴착 형성하고 다시 운전대 창문밑(7)에도 삽입공(7')을 한 개를 굴착형성해서 승용차()의 각 외부면(4)(6)(7)에 각 고정공(4')(6') 및 삽입공(7')을 굴착 형성한 뒤, 별개의 각 회전고리()와 소회전고리()의 밑판(71)에 접착제를 발라서 돌출판면(6)의 고정공(6')의 약간 후방에 놓고 눌러서 굳어진 상태로 한 뒤, 다시 다른 회전고리()를 또 강판면(4)의 뒷쪽 끝에 놓고 부착하고 또 회전고리()를 들고 차지붕(2)의 맨 후방측에 놓고 부착하고 또 한개를 차지붕(2)의 맨 앞쪽에 놓고 부착하고 한 개의 소회전구()를 운전대창문밑(7)에 굴착 형성된 삽입공(7')에서, 소회전구()의 측면(79)에 접착제를 발라서 삽입공(7')에서 옆으로 붙여서 부설한 뒤, 다시 조종판()을 운전대 내부로 들어가서 일단 선반(8')위에 잠시 놓은 뒤.
본원의 고정판()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얇고 물렁한 네모형의 접착판(12)을 구성해서 내부에 네모형의 삽입구(12')를 형성하고 또 좀 두껍고 단단한 네모형의 밑판(13)의 내측에 삽입구(13')를 형성해서 밑판(13)을 구성해서 밑판(13)의 윗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접착판(12)을 내려서 밑판(13)에 포개어 놓고 눌러서 굳어진 상태로 결합을 하고, 별개의 직육면체의 모기둥형체의 접착삔(14)의 좌우양쪽에 두 개의 고정공(14') 및 하고정공(14")을 굴착 형성하고 또 접착삔(14)의 밑쪽 주변에 접착제를 발라서 결합된 삽입구(12')(13')의 내측으로 꽂아서 굳어진 상태로 하고 이와 같은 고정판()의 형성 및 구성의 요령으로 다른 한 쪽의 고정판()도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별개의 물렁물렁한 네모형체에서 내측으로 네모형의 접착면(15')을 형성한 보조고리(15)를 두 개를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본원의 아치형기둥()의 형성 및 구성의 설명에서는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직립주(19)로 형성된 형태에서, 먼저 좌측의 직립주(19)의 밑쪽에 외측으로 고정공(19"')을 두 개씩 굴착형성 된 겹주(19")를 형성하고, 또 우측의 직립주(19)에도 밑쪽에서 외측으로 고정공(19"')을 두 개를 굴착형성 된 겹주(19")를 형성 한 뒤 좌우의 직립주(19)의 복판에 축공(19')을 굴착 형성 한 뒤, 좌우의 직립주(19)의 상측 끝쪽에서 내측으로 굴절 된 평면인 중간면(22)을 형성하고 다시 상측으로 좌우의 두 개의 직립주(19)의 최상측면을 궁형면(21)으로 형성하고 좌측의 중간면(22)의 상측에 한개의 윗면(26)을 부설하고 다시 우측으로 우측의 중간면(22)에 두개의 벽을 세워서 쌍벽(22")을 입설하고 쌍벽(22")에 고정공(22"')을 굴착형성하고 또 중간면(22)에 한 개의 통과홈(22')을 굴착형성하고, 별도의 둥근통 모양의 나사통(23)을 형성해서, 밑쪽과 상측쪽에 두개씩의 고정공(23')(23")을 두 개를 형성하고, 좌측의 직립주(19)에 부설될, 깃대꽂이(20)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둥글고 내부는 빈 공간의 통으로 된 형상의 모양에서 한쪽면에 뒷면(20"")을 형성하고 또 반대쪽의 밑쪽에 삽입공을 한개를 형성해서 깃대꽂이(20)의 형성 및 구성을 한 다음, 또 둥근막대형의 일정의 길이와 굵기의 깃대(20')의 윗쪽 끝에 깃봉(20"')을 부착하고 노끈을 결착 한 깃발(20")을 깃봉(20"')의 밑쪽에 놓고 노끈으로 깃대(20')의 밑쪽과 윗쪽에서 묶어서 깃대(20')의 형성 및 구성을 한 다음, 먼저 깃대꽂이(20)의 뒷면(20"")에 접착제를 발라서 좌측의 직립주(19)의 뒷쪽에 부설해서 깃대(20')를 꽂고, 깃대꽂이(20) 하측의 고정공과 깃대(20')의 고정공에 삔을 꽂아서 고정상태로 한 다음,
고정봉()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깃대꽂이(20)와 비슷한 통모양체에서 속내부는 빈공간의 통으로 형성하고, 한쪽면에 일정의 폭과 길이로 굴착해서 삭절면(27')을 형성하고 또 한쪽의 후방쪽을 뒷면(27")으로 형성되는 고정봉()을 한 개를 형성 및 구성한 다음 별도로 접착주(28"')와 결합 될 손잡이(28')를 한 개를 형성 및 구성 한 뒤 또 고정봉() 내부로 들어 갈 작동봉(28)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한복판에 네모형의 접착구(28"")를 굴착형성하고, 또 맨윗쪽에 길다란 실노끈고리(28")를 형성해서 되는 작동봉(28)을 한개를 형성 및 구성 한 뒤, 다시 작동봉(28)을 들고, 고정봉()의 맨 위쪽으로 옮겨서 작동봉(28)의 밑쪽으로 부터 고정봉()의 내부로 내려 넣은 뒤, 다시 접착주(28"')와 결합 될 손잡이(28')를 들고 접착주(28"')를 작동봉(28)에 굴착형성 된 접착구(28"")에 꽂아서, 고정상태로 해서 작동봉(28)과 고정봉()을 완전히 결합 한 뒤, 다시 뒷면(27")에 접착제를 발라서, 좌측의 직립주(19)의 깃대꽂이(20)의 우측에 부쳐서 굳어진 상태로 고정해서 좌측의 직립주(19)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우측의 직립주(19)의 하측에서 내측에 하부면(25)을 부설해서 별도의 회전고리()를 부착한 다음,
본원의 광고구()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긴 네모상자형의 광고구() 내부속은 빈 공간으로 내부(36)를 형성하고, 상측의 한복판의 앞쪽을 굴착해서 손집게(36')로 형성하고 또 정면에서 좌우상하의 네곳을 남겨둔, 나머지의 전체면을 굴착해서 사방틈(38)을 형성하고 광고구()의 좌우측면(31)의 한복판에 축공(37)을 굴착형성하고 또 축공(37)의 앞쪽에 한개씩의 고정공(37')을 굴착형성하고 또 하측 한복판에 고정공(37")을 굴착형성하고 또 우측의 좌우측면(31)에서 우측정면(31')의 상측에 한 개의 고리(35)를 부착하고 또 별도로 고정공(32')을 상하로 두 개를 형성하고, 또 내부면(32")을 형성한 반타원형의 작동판()을 형성하고 또 오목한 곳(33')과 삽입구(33")를 형성해서 회전구()를 형성 및 구성을 해서 작동판()의 내부면(32")에서 삽입구(33")에 맞춰놓고 삔(33"')을 꽂아서 부설하고 또 별도의 소회전구(34)도 고정공(32')에 삔(33"')을 꽂아서 고정상태로 부설한 뒤, 작동판()의 뒷면(32"')에 접착제를 발라서 광고구()의 우측정면(31')에 붙여서 고정상태로 해서 광고구()의 형성과 구성을 한 다음, 다시 광고판()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평평한 네모판자모양에서 하측의 복판에 한 개의 고정공(41)을 굴착형성하고 이의 앞쪽면을(A)면으로 또 뒷쪽면을 (B)면으로 구분해서 되는 광고판()의 형성 및 구성을 한 다음, 본원의 축봉()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둥근 막대형의 축봉()에서 양측의 갓쪽을 외축봉(44)으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고정공(44")과 외측으로 고정공(44')을 굴착형성하고, 좌우의 외측봉(44)을 제외한 나머지의 내측쪽을 굴착해서 삭절평면(45)으로 형성해서 본원의 축봉()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본원의 나사()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많은 타원형체의 연쇄로 형성과 구성이 되는 나사()에서 맨위쪽에 삔을 꽂을 수 있는 작은 고리(48')와 반대로 맨하측에 길다란 고리(48")를 형성해서 두개의 고리(48')(48")로 형성이 되는 나사()를 한개를 구성한 다음,
또 나사통(23)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둥근 통모양에서 한쪽은 막혀 있고 한쪽은 열려 있는 통모양에서 아랫쪽에 좌우로 한 쌍의 고정공(23")을 굴착형성하고 또 윗쪽에는 전후로 한 쌍의 고정공(23')을 굴착 형성해서, 우측의 직립주(19)의 중간면(22)에 형성 된 쌍벽(22")의 중간에 놓고 별도의 나사()의 고리(48')쪽을 나사통(23)의 위쪽으로 밀어 넣어서 별도의 삔을 고정공(23')(48')에 꽂아서 고정상태로 한 다음, 다시 나사()의 아랫쪽의 고리(48")를 광고구()의 우측정면(31')에 부설된 고리(35)에 꿰어서 결합한 다음, 본원의 노끈()의 형성과 구성에서는, 좌측으로 맨처음이 되는 끼우게(51)를 형성 한 삽입고리(52)와 길다란 노끈()의 맨끝이 되는 쪽에 삽입공(50')을 형성하고 별도로 고정공(56"') 두개와 삽입구(56")와 고정공(56')의 형성으로 크고 작은 동일형체의 제동고리(56)를 두개를 구성한 뒤, 먼저 큰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의 내부로, 노끈()의 끝 쪽을 밀어 넣어서 별도의 삔(56"")을 고정공(50')(56"')에 꽂아서 고정 한 뒤, 다시 손잡이()의 형성과 구성에서는 삽입봉(55)과 고정공(55')과 집게(55")로 형성 및 구성이 되는 손잡이()를 구성해서 삽입봉(55)을 삽입구(56")에 꿰어 넣어서 삔(56"")을 고정공(55')(56"')에 꿰어서 고정상태로 노끈()과 손잡이()를 결합한 다음,
실노끈()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노끈()의 형성 및 구성과 유사한 구성체에서 실노끈()의 처음에서부터 우측으로 길다랗게 연장구성하다가, 우측으로 끝날 직전에 고정공(59')을 형성한 실노끈()의 끝쪽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에 꿰어 넣으서 삔(56"")을 고정공(59')(56"')에 꽂아서 고정상태로 결합 한 뒤 다시 손잡이()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삽입봉(61)과 고정공(61')과 집게(61")의 형성으로 손잡이()를 구성해서 손잡이()의 삽입봉(61)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의 내부로 꿰어서 별도의 삔(56"")을 고정공(59')(61')에 꽂아서 고정해서 실노끈()과 손잡이()를 결합 한 다음,
본원의 조종판()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평평한 판자형체의 조종판()의 왼쪽 끝에 고정공(65")을 굴착형성한 입설벽(65')을 두 개를 입설하고, 또 조종판()의 우측면에 한 개의 입설봉(67)을 한 개를 입설하고 또 좌측면에도 작은 한 개의 입설봉(66)을 입설해서 본원의 조종판()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다음,
본원의 회전고리()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넓적한 밑판(71)을 형성해서, 소공구(74) 및 대공구(75)를 굴착형성하고 또 일정의 넓이의 윗면(73)과 입설벽(72)과 밑면(76)을 형성해서 밑면(76)에 접착제를 발라서 밑판(71)의 한복판에 부설해서 회전고리()를 형성과 구성을 다 한 다음,
또 다른 소형의 소회전고리()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얇은 측면(79)의 내면의 소공구(80')와 대공구(80) 두 개를 굴착형성하고 옆면(78)에 접착제를 발라서 운전대창문밑(7)의 삽입공(7')에서 옆으로 부착한 다음, 또 소형의 고리(24)의 형성 및 구성에서는 측면(24')과 옆면(24")과 고정공(24"')과 밑면(24"")으로 형성이 되는 고리(24)를 구성해서 밑면(24"")에 접착제를 발라서, 아치형기둥()의 궁형면(21)의 한복판에 놓고 눌러서 고정상태로 부설해서 본원의 각 요부의 형성 및 구성을 다 한 뒤,
다시 형성과 구성이 다 된 본원을 다시 결합과 조립의 설명에서는, 먼저 결합과 조립을 할 본원의 전체 요부들을 모조리 한 곳에다 모아 놓은 뒤, 먼저 고정판()의 전부를 들고 승용차()내부로 들어가서 접착판(12)의 윗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고정공(4')의 외부로 접착삔(14)을 나오게 부착한 뒤, 다시 밖았으로 나와서 보조고리(15)의 접착면(15')에 접착제를 발라서 접착삔(14)의 외부로 내려서 고정상태로 한 다음, 다시 아치형기둥()을 강판면(4)의 고정공(4')에서 두개의 접착삔(14)에 겹주(19")를 꽂은 뒤, 다시 광고구()를 아치형 기둥의(18)의 밑으로 바르게 놓은뒤, 한손으로 축봉()의 삭절평면(45)이 수직상태로 되게 들면서 고정공(44')이 상측으로 수평의 상태로 해서 축봉()을 다른 한 손으로 광고구()의 좌측을 위로 약간 들어 올려서 축공(37)과 직립주(19)의 축공(19')이 맞춰졌을 순간에 좌측에서 축봉()을 광고구()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서, 축봉()의 우측 끝쪽이 광고구()의 우측의 축공(37)으로 나왔을 때 다시 다른 한 손으로 재빨리 삔(46)을 두 개를 고정공(37')(44")에 꽂아서 고정상태로 한 다음, 두번째의 결합에서는 광고판()을 광고구()내부에 넣기에서는 광고구()의 손집게(36')쪽을 한손으로 쥐고, 자기 앞 쪽으로 약간 당겨서 광고구()의 손집게(36')쪽의 내부(36)로 광고판()의 밑쪽을 즉 고정공(41)이 있는 쪽을 밑으로 내려 놓은 뒤, 다시 광고구()를 후방으로 약간 밀었다 손을 때면 광고구()는 축공(37)과 축봉()으로 인해서 수직 상태로 정지 됐을 때, 다시 노끈()을 제동고리(56)와 손잡이()로 결합된 상태를 삔(56"")을 뽑아서 노끈()과 제동고리(56)와 손잡이()를 각각 분리 한 뒤, 삽입고리(52)를 형성한 끼우게(51)를 들고 고리(35)에 단단히 묶어 놓은 뒤, 다시 노끈()의 우측의 끝쪽을 들고 두개의 회전구()(34)의 각 오목한 곳(33')을 지나고 또 하부면(25)에 부설한 회전고리()의 대공구(75)를 지나고 강판면(4)의 후방의 회전고리()를 지나고 또 차지붕(2)의 후방쪽의 회전고리()와 전방의 회전고리()와 삽입공(7')의 소회전고리()를 지나고, 조종판()의 입설벽(65')의 고정공(65")을 지나고, 노끈()의 고정공(50')쪽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에 꿰어서 고정공(50')(56"')에 삔(56"")을 꽂아서 결합 연결하고, 다시 손잡이()의 삽입봉(55)을 삽입구(56")에 꿰어서 삔(56"")을 고정공(56"')(55')에 꽂아서 연결한 뒤, 다시 손잡이()를 쥐고 우측쪽으로 노끈()을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공(56')을 입설봉(67)에 꿰어서, 고리(35)에서 입설봉(67)까지의 거리에서 (A)면을 정면에 놓을 때는 제동고리(56)를 입설벽(65')에 붙여 놓고 또(B)면을 정면에 놓을 때는 제동고리(56)를 입설봉(67)에 걸어 놓게 된다.
다시 실노끈()의 좌측의 끝쪽을 작동봉(28)의 실노끈고리(28")에 묶어서 결속 한 뒤 다시 우측의 끝쪽을 궁형면(21)에 부설 한 고리(24)의 삽입공(24')에 넣고 또 쌍벽(22")의 고리(29)와 직립주(19)의 고리(29)와 하부면(25)의 회전고리()의 소공구(74)와 강판면(4)의 회전고리()와 차지붕(2)의 앞과 뒷쪽의 회전고리()의 각 소공구(74)를 지나고 삽입공(7')의 소회전구()의 소공구(80')와 조종판()의 입설벽(65')의 고정공(65")을 지나고 다시 실노끈()의 고정공(59')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에 넣어서 삔(56"")을 고정공(59')(56"')에 꽂아서 연결 한 뒤 다시 손잡이()의 삽입봉(61)을 삽입구(56")에 넣어서 삔(56"")을 고정공(56"')(61')에 꽂아서 연결 한 뒤, 다시 팽팽하게 당겨서 제동고리(56)의 고정공(56')을 입설봉(66)에 꿰었다 다시 손잡이()로 제동고리(56)를 입설봉(66)에서 뽑은 뒤, 다시 제동고리(56)의 좌측을 입설벽(65')에 붙여 놓으면 노끈()과 손잡이()와 또 실노끈()와 손잡이(60)의 결합과 연결을 다 하게 된다.
본원의 작용상태의 설명에서는, 본원은 그 구조에서 광고구()의 작동판()과 손잡이()()로 연결되는 노끈()과 실노끈()에서 먼저 광고구()의 내부면(32")에 넣었던 광고판()에서 (B)면을 정면위치로 변경코자 할 경우에는 먼저 손잡이()를 쥐고 우측으로 약간 당겨서 제동고리(56)를 조종판()의 입설벽(65')쪽에서 입설봉(66)으로 옮겨서 잠시 동안 꿰어 놓으면 실노끈()은 당겨져서 실노끈고리(28")로 연결 된 작동봉(28)은 축봉()의 고정공(44')에서 뽑혀서 상측으로 분리가 될 때, 다시 손잡이()를 쥐고 우측 쪽으로 당겨서 입설벽(65')에 붙여 놓았던 제동고리(56)의 고정공(56')을 입설봉(67)에 꿰어 놓으면, 당겨졌던 노끈()은 광고구()의 작동판()은 고리(35)에서부터 반회전이 되어서 고리(35)는 돌아서 하부면(25)쪽의 후방으로 이동이 되고, 또 작동판()도 반회전이 되어서 손집게(36')쪽은 강판면(4)쪽으로 이동이 되고 또 나사()는 나사통(23)에서 고리(35)에 연결 된 상태로 벌어져서 하부면(25)쪽으로 늘어진 상태로 변경이 된 상태 일 때 다시 손잡이(60)를 들고, 제동고리(56)를 입설봉(66)에서 분리해서 입설벽(65')에 다시 붙쳐 놓고, 또 (B)면을 일정시간 동안 사용을 끝 낸 뒤, 다시 (A)면을 정면에로 옮겨서 사용을 하고져 할 경우의 조작에서는, 먼저 입석벽(26')에 붙여 놓은 제동고리(56)를 손잡이(60)로 들고, 당겨서 노끈()이 작동봉(28)을 고정공(44')에서 분리해서, 제동고리(56)의 고정공(56')으로 잠시 입설봉(66)에 걸어 놓은 뒤, 다시 손잡이()를 들고 제동고리(56)를 입설봉(67)에서 분리해서 입설벽(65')쪽으로 옮겨 놓으면, 작동판()은 나사()의 탄력으로 급속히 반회전하다가 정지해서 정면으로 이동이 된 (A)면을 정상상태로 사용을 위해서는 또 손잡이(60)를 들고 늦춰서 제동고리(56)를 입설봉(66)에서, 입설벽(65')쪽으로 옮겨서 붙여 놓으면 작동봉(28)은 고정공(44') 내부로 삽입이 되어서 (A)면을 정면 쪽에서 일정시간 동안 광고의 홍보작업을 할 수 있다.이와 같이 광고판()의 (A)면과 (B)면의 두개의 광고판()을 일정시간 동안 마다 번갈아서 사용함에는 승용차()의 시내 거리 길에서, 질주하는데서 도로면의 요철에 의해서 차체의 흔들림과 또 바람으로 인해서 광고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공(44')에 작동봉(28)을 삽입해서 광고구()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 (A)(B)면을 변경 할 경우에는 고정공(44')에서 작동봉(28)을 분리하고 또 변경후에 광고 작동시에는 또 고정공(44')에 작동봉(28)을 또 삽입해서 사용이 되는 구조임.또 광고판()의 (A)(B)면의 변경의 조작은 시내 거리에서 신호등으로 잠시 질주를 멈춘 잠간 동안에 손잡이()(60)를 당겼다 늦추었다하는 조작을 승용차()의 내부(8)에서 운전대 앞쪽의 선반(8')에 설치한 조종판()에서 우측손으로 조작하는 관계로 별 어려움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변경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이상과 같이 손잡이()의 조작으로 (A)면 (B)면을 변경하고 또 손잡이()의 조작으로는 광고구()의 일정시간 동안 제동작용과 해제작용의 두 가지의 작용을 하게 된다.
또 광고판()에서 (A)면과 (B)면으로 새문안을 써고 그려서 광고판()을 변경 할 경우에는 먼저 삔(46)을 축봉()의 두곳의 고정공(44")(37')에서 뽑아서 분리 한 뒤 다시 광고구()를 자기앞쪽으로 약간 당겨서 광고판() 윗쪽을 두 손가락으로 쥐고 상측으로 뽑아낸뒤, 다시 다른 새문안의 광고판()에서 고정공(41) 쪽을 밑으로 해서 광고구()내부로 내려 놓은 뒤, 다시 삔(46)을 고정공(44")(37')에 꿰어 넣고 다시 광고구()를 후방으로 약간 밀어서 원위치로 복원해서 문안판()을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광고판()의 (B)면을 정면위치에서 사용하다가 또(A)면을 정면위치로 이동해서 변경 사용코저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손잡이()의 조작으로 작동봉(28)을 고정공(44')에서 분리 한 뒤, 다시 손잡이()의 조작으로 작동판()을 반회전시켜서 제동고리(56)를 입설벽(65')에 붙여서 (A)면을 정면에서 사용 할 수 있게 하고 또 다시 손잡이()를 조작해서 작동봉(28)을 고정공(44')에 꿰어서 사용을 할 수 있는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이상과 같은 사용과 조작에서
광고구()의 고정공(37')에서 삔(46)을 고정공(44")까지 꽂으면 광고구()와 축봉()은 결합고정상태로 되고 또 손잡이()를 늦춰서 작동봉(28)을 축봉()의 고정공(44') 내부로 삽입하면 삔(46)과 작동봉(28)은 광고구()와 직립주(19)를 결합과 고정상태로하는 작용을 하는 조작에서
광고판(40)의 (A)면이 정면에 있게 될 경우에는 손잡이(54)쪽의 제동고리(56)는 조종판(65)의 입설벽(65')에서 정지 상태로 되고 또 반대로 광고판(40)의 (B)면을 정면에 있게 될 경우에는 손잡이()쪽의 제동고리(56)의 고정공(56')은 입설봉(66)을 감고 감아서 고정상태로 되고 또 (A)면과 (B)면을 정면에로 위치를 변경 할 때마다, 손잡이()를 당겨서 작동봉(28)을 고정공(44')에서 분리해서 변경하고 또 변경이 된 경우에는 또 작동봉(28)을 다시 고정공(44')에 삽입해서 사용이 되는 광고구를 부설 한 승용차.
본원은 사용상 조작이 간편용이하며 분리해서 이동시에는 어떤 용기에 넣어서 운반 할 수 있고 고안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광고구를 부설 한 승용차.
본원은 인쇄물광고와 텔레비젼 방송에서는 (1) 최단 단위 시한과 고부담의 비용에서 벗어 난 최장단위 시한과 소부담의 비용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또 소비계층에 접촉기회의 확충으로 무언의 의사 소통을 통한 광고주 또는 생산자와 소비자간 이해 증진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되는 효과가 되는 광고구.
제1도는 본원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분리 사시도
(1) 아치형기둥의 사시도
(2) 고정봉의 사시도
(3) 광고구 및 광고판의 사시도
(4) 고정판의 사시도
(5) 우측 직립주 상측의 중간면의 쌍벽 주변의 요부의 사시도
(6) 우측 직립주에 형성된 작동판 및 관련 요부의 정면도
(7) 작동판의 작동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원의 각 요부의 결합의 사시도
제4도는 승용차의 상측 각 외부면에 고정공 및 고정판을 형성한 사시도
(1) 고정공 및 고정판을 형성한 승용차
(2) 승용차의 운전대 내부에 부설한 조종판과 강판면에 부설한 광고구의 좌측면도
(3) 승용차의 강판면에 부설한 광고구의 사시도
(4) 승용차의 돌출판면에 부설한 승용차의 좌측면도
제5도는(1) 고정봉 및 작동봉의 사시도
(2) 노끈 및 실노끈과 조종판의 사시도
(3) 고리 및 회전고리와 소회전구의 사시도
(4) 노끈을 당겨서 작동판을 정면쪽으로 변경하는 조작의 정면도
도면의 부호의 설명
: 승용차 2 : 차지붕 4 : 강판면 6 : 돌출판면 7 : 운전대창문밑 8 : 운전대내부 8' : 선반 : 고정판 14 : 접착삔 : 아치형기둥 20 : 깃대꽂이 22 : 중간면 25 : 하부면 : 고정봉 : 광고구 : 회전구 35 : 고리 38 : 사방틈 : 광고판 : 축봉 46 : 삔 : 노끈 : 손잡이 : 실노끈 : 손잡이 : 조종판 : 회전고리 : 소회전고리 80 : 대공구.

Claims (3)

  1. 승용차()의 강판면(4)의 후방쪽과 차지붕(2)의 뒷쪽과 앞쪽에 회전고리()를 각각 부설하고 삽입공(7')에는 소회전구()를 부설하고 별도로 고정공(65")과 입설벽(65')을 입설 한 조종판(65)을 형성해서 입설봉(66)(67)을 각각 입설 한 다음, 또 별도로 길다란 노끈()의 좌측에 삽입고리(52)와 끼우게(51)를 평평하게 펴서 우측으로 고정공(50') 쪽을 제동고리(56)의 좌측의 삽입구(56")로 넣은뒤 손잡이()의 삽입봉(55)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에 포개어 넣어서 삔(56"")을 고정공(56"')(55')에 꽂아서, 노끈()을 손잡이()에 연결하고, 또 길다란 실노끈()의 좌측의 끝쪽에서 고정공(59')쪽을 제동고리(56)의 삽입구(56")에 넣어서 또 손잡이()의 삽입봉(61)을 삽입구(56")에 포개어 넣은 뒤 삔(56"")을 꽂아서 연결고정 한 뒤, 다시 노끈(50)의 좌측 끝 쪽의 끼우게(51)를 조종판(65)의 고정공(65")에 넣었다가 낸 뒤, 다시 삽입공(7')의 소회전구()를 지나고 또 차지붕(2)의 두 개의 회전고리()를 지나고 또 강판면(4)의 회전고리()와 하부면(25)의 회전고리()와 작동판()의 소회전구(34)와 회전구()의 오목한 곳(33')에 끼워서 끝쪽인 끼우게(51)를 고리(35)에 묶어서 단단한 상태로 연결한 뒤 다시 실노끈()의 좌측의 끝쪽을 조종판(65)의 고정공(65")으로 꿰어 낸 뒤, 소회전구()와 차지붕(2)의 두 곳의 회전고리(70)와 강판면(4)의 회전고리()와 하부면(25)의 회전고리()와 겹주(19")의 고리(29)와 쌍벽(22")의 고리(29)와 궁형면(21)의 고리(24)와 실노끈고리(28")에 묶어서 연결 한 다음,
    아치형기둥()에서 직립주(19)의 양측 밑부분에 각각 한 개씩의 겹주(19")를 부설하고 또 좌측의 겹주(19)에 깃대꽂이(20) 및 작동봉(28)을 내장 한 고정봉()을 부설하고 또 두 개의 중간면(22)의 좌측의 중간면(22)의 상측에 한 개의 윗면(26)을 입설하고 또 우측의 중간면(22)에 고정공(22"')을 형성한 쌍벽(22")을 입설해서 고리(29)를 부설하고 또 나사()를 내장한 나사통(23)을 쌍벽(22")내측에 부설하고 또 두개의 직립주(19)의 궁현면(21)의 복판에 고리(24)를 부설하고 또 우측의 직립주(19)의 하단에 한개의 하부면(25)을 부설하고, 두개의 직립주(19)의 각 복판에 축공(19')을 굴착형성하고 또 고정공(44')(44")과 외측봉(44)과 삭절평면(45)을 형성한 축봉()을 축공(37)에 끼운 다음,
    광고구()의 작동판()의 내부면(32")에 오목한 곳(33')을 형성한 회전구()를 삽입구(33")에서 삔(33"')을 꽂고 또 소회전구(34)도 작동판()의 아랫쪽에서 삽입구(34")에 삔(33"')을 꽂아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구를 부설 한 승용차.
  2. 제1항에 있어서 아치형 기둥의 구성은 아치형 기둥()에서 직립주(19)의 양측 밑부분에 각각 한개씩의 겹주(19")를 부설하고 또 좌측의 겹주(19")에 깃대꽂이(20) 및 작동봉(28)을 내장한 고정봉()을 부설하고 또 두 개의 중간면(22)에서 좌측의 중간면(22)의 상측에 한 개의 윗면(26)을 입설하고 또 우측의 중간면(22)의 고정공(22"')을 형성한 한 쌍벽(22")을 입설해서 고리(29)를 부설하고 또 나사()를 내장 한 나사통(23)을 쌍벽(22") 내측에 부설하고 또 두개의 직립주(19)의 궁형면(21)의 복판에 고리(24)를 부설하고 또 우측의 직립주(19)의 하단에 한 개의 하부면(25)을 부설하고 두개의 직립주(19)의 각 복판에 축공(19')을 굴착 형성하고 또 고정공(44')(44")과 외측봉(44)과 삭절평면(45)을 형성 한 축봉()을 축공(37)에 끼워 넣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3. 제1항에 있어서 광고판에 회전구를 형성하는 구성은 광고구()의 작동판()의 내부면(32")에 오목한 곳(33')을 형성한 회전구()를 삽입구(33")에서 삔(33"')을 꽂고 또 소회전구(34)도 작동판()의 하측에서 삽입구(34")에 삔(33"')을 꽂아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구를 부설 한 승용차.
KR20-2004-0030863U 2004-10-27 2004-10-27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KR200380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863U KR200380307Y1 (ko) 2004-10-27 2004-10-27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863U KR200380307Y1 (ko) 2004-10-27 2004-10-27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307Y1 true KR200380307Y1 (ko) 2005-03-29

Family

ID=4368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863U KR200380307Y1 (ko) 2004-10-27 2004-10-27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651933U (zh) 一种紧线器
CN109215447A (zh) 一种用于旅游管理实践中的卷轴式智能教学挂板
JP4215720B2 (ja) 壁掛けスクリーン
KR200380307Y1 (ko) 광고구를 부설한 승용차
AU2003277190A8 (en) Nanostructures including controllably positioned and aligned synthetic nanotubes, and related methods
US20180142494A1 (en) Tent connector and tent including the same
CN101001998A (zh) 拐角帆布和其卷轴以及拐角遮篷装置
CN101952871B (zh) 可折叠的织物展示装置
US20180171701A1 (en) Fastening a portable shade apparatus to a fence to provide shade
US8763291B1 (en) Support device for rollable graphical display
CN201540709U (zh) 一种多面收紧易拉宝
CN201218392Y (zh) 定位座体结构
CN207800096U (zh) 多功能展示网架
CN205954530U (zh) 一种广告护栏装置
CN201226226Y (zh) 便携式拉网展架
KR20130001480U (ko) 끈을 이용한 막대 옷걸이
KR200322845Y1 (ko) 로만쉐이드형 커튼
CN205302881U (zh) 一种便携式思想政治教育海报架
CN206271385U (zh) 一种横幅杆
CN219277088U (zh) 一种绘图板
CN108457537A (zh) 一种一次性手铐
TWM342577U (en) Apparatus for hanging advertisement band
JP3087446U (ja) 旗 具
DK201570091A1 (en) A modular fla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same
CN2434154Y (zh) 一种夹画横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