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62Y1 -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 Google Patent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62Y1
KR200379662Y1 KR20-2005-0000259U KR20050000259U KR200379662Y1 KR 200379662 Y1 KR200379662 Y1 KR 200379662Y1 KR 20050000259 U KR20050000259 U KR 20050000259U KR 200379662 Y1 KR200379662 Y1 KR 200379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rail
hinge body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2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병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리프컴(주)
케이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리프컴(주), 케이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리프컴(주)
Priority to KR20-2005-0000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6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를 스윙하는 장치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고정힌지몸체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스윙힌지몸체와;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마련되며,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어느 일영역에 홈부가 형성된 레일블록과; 상기 스윙힌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되,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롤러와; 상기 고정힌지몸체와 상기 레일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블록을 상기 스윙힌지몸체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레일블록 및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사이로 조립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mount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swinging the cover portion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the fixed hinge body mounted to any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 swing hinge body mounted on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hinge body; A rail block provided on the fixed hinge body and having a rail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rail; A roller coupled to the swing hinge body to allow relative swing of the swing hinge body by moving along the rail, and stopping rotation of the swing hinge body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groove;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hinge body and the rail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rail block toward the swing hinge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mber for assembling the rail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y.

이에 의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져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다 원활한 스윙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As a result,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and compactly manufacture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smooth swing driving can be realized.

Description

휴대폰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져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다 원활한 스윙 구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which has a simpler stru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while increasing durability and enabling smoother swing driving.

힌지장치가 사용되는 하나의 장치로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는 휴대폰이 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휴대폰은 그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및 스윙형 휴대폰으로 분류된다.One device in which the hinge device is used is a mobile phone that is commonly encountered in the vicinity. Mobile phones that are frequently used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gender, age or gender are classified into flip type, folding type, slide type and swing type mobile phones.

플립형은, 디스플레이창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버튼이 있는 부분만을 플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폴더형은 중앙의 힌지장치를 축으로 하여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회동(틸팅, Tilting)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flip type, only the part with the input butto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flipping while the display window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lip type, the cover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by the hinge device in the center. It was made possible.

이에 반해, 슬라이드형은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작동하는 것이고, 스윙형은 본체부에 대해 커버부가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는 플립형보다는 폴더형 휴대폰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슬라이드형이나 스윙형 휴대폰까지도 대중화되기에 이르렀다. 이하의 휴대폰이라 함은, 스윙형 휴대폰이라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contrary, the slide type is operated by sliding the cover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and the swing typ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cover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In recent years, the preference of a folding type cell phone rather than a flip type is increasing. Especially, a slide type or swing type cell phone has also become popular. Hereinafter, the mobile phone will be described as a swing-type mobile phone.

스윙형 휴대폰의 예로써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323166호에는 힌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의 요지는 캠돌기가 캠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부재(이하의 본체부임)에 대해 제2부재(이하의 커버부임)를 소정 각도로 개폐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of a swing-type mobile phone, a hinge device is known from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323166. The gist of the known technique is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while the cam protrusion moves along the cam surface.

그런데, 공지된 힌지장치의 경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캠돌기의 내구성이 문제된다. 즉, 휴대폰을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캠돌기의 단부가 마모되어 힌지장치로써의 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known hinge apparatus, the durability of the cam protrusion which moves along a cam surface becomes a problem. In other words, if the mobile phon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end of the cam protrusion moving along the cam surface is worn, and thus there is a drawback that it may not smoothly perform its function as a hinge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져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다 원활한 스윙 구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compact structure with a simpler structure, while increasing durability and enabling smooth swing driving.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를 스윙하는 장치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고정힌지몸체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스윙힌지몸체와;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마련되며,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어느 일영역에 홈부가 형성된 레일블록과; 상기 스윙힌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되,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롤러와; 상기 고정힌지몸체와 상기 레일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블록을 상기 스윙힌지몸체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레일블록 및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사이로 조립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that is mount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swinging the cover portion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fixed hinge body mounted to any on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 swing hinge body mounted on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hinge body; A rail block provided on the fixed hinge body and having a rail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rail; A roller coupled to the swing hinge body to allow relative swing of the swing hinge body by moving along the rail, and stopping rotation of the swing hinge body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groove;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hinge body and the rail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rail block toward the swing hinge body; And a fastening member for assembling the rail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ies.

여기서,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블록에서 상기 레일이 형성된 면은 수평축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정역방향 모두로 회전가능하다.Here, the surface on which the rail is formed in the rail block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axis so that the cover portion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roller moving along the rail is rotatable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rail.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레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의 정지위치를 결정한다.At least two groove portions formed in the rail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ail to determine a stop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롤러의 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The depth of the groove is formed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radius of the roller.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고정힌지몸체 내에서 회전되지 않게 장착된다.The rail block is mounted so as not to rotate in the fixed hinge body.

상기 스윙힌지몸체는, 스윙커버와; 상기 스윙커버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스윙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는 양단에 형성된 축이 상기 커버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된 롤러장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wing hinge body, Swing cover; A cover bracke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wing cover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the swing cover; The roller is detachably coupled to a roller mount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shaft formed on both ends of the cover bracket.

상기 롤러장착구의 입구에는 상기 롤러의 축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At the inlet of the roller mounting opening, a release jersey is formed to prevent the shaft of the roller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중 어느 하나에 회전되지 않게 장착되는 비원형 보스부가 마련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하여 링 체결된다.On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non-circular boss is mounted so as not to rotate to any one of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y; The other end is ring-fastened through the other of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힌지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은,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스윙(Swing))하면서 본체부(1)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부(3)를 갖는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e hinge device, respectively.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1 while rotating (swinging) the body part 1 and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1 relatively. The cover part 3 is made.

본체부(1)의 전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입력버튼(1a)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본체부(1)의 측면에는 키폰의 조절, 벨소리 선택 조절 등을 선택하는 기능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a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 microphone (not shown) is provided below the input button 1a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Although not shown, the side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function buttons for selecting the adjustment of the keyphone, ring tone selection, and the like.

커버부(3)의 전면이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창(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에는 입력버튼(1a) 및 기타 버튼들의 선택에 의해 전화번호, 배터리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등이 디스플레이된다.A display window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over part 3. The display window displays the phone number,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whether the vibration, an alarm state, etc. by selecting the input button 1a and other buttons.

대게는 커버부(3)를 본체부(1)와 나란하게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필요에 따라 커버부(3)를 본체부(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를 90도 내지는 180도, 혹은 270도로 스윙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Usually, the cover part 3 is generally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main body part 1, but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cover part 3 perpendicularly to the main body part 1 as need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wing the cover 3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by 90 degrees, 180 degrees, or 270 degrees.

이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에 의존하게 된다. 특히, 본 힌지장치(10)는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를 일방향으로 스윙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힘만을 부여하더라도 쉽고 부드럽게 스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아래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depends on the hing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hinge device 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smoothly swinged even if a minimum force is applied to swing the cover 3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This can be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10)는, 크게 고정힌지몸체(15), 스윙힌지몸체(18), 레일블록(25), 롤러(30), 탄성부재(35) 및 체결부재(40)로 이루어진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ure 2 from a different angle, respectively.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inge device 10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hinge body 15, the swing hinge body 18, the rail block 25, the roller 30, the elastic member ( 35) and the fastening member 40.

고정힌지몸체(15)는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써 본체부(1)에 고정된다. 본체부(1)에 고정되기 위해 고정힌지몸체(15)의 측면에는 제1플랜지부(15a)가 마련된다. 고정힌지몸체(15)의 내면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돌출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5b)에는 레일블록(25)의 측부에 형성된 슬롯부가 끼워진다. 따라서 슬롯부가 돌출부(15b)에 끼워짐으로써 레일블록(25)은 고정힌지몸체(15) 내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The fixed hinge body 15 is fixed to the main body 1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first flange 15a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xed hinge body 15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hinge body 15, a pair of protrusions 15b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The slot 15 formed at the side of the rail block 25 is fitted into the protrusion 15b. Therefore, the rail block 25 does not rotate arbitrarily in the fixed hinge body 15 by the slot portion is fitted into the protrusion 15b.

고정힌지몸체(15)의 일면에는 체결부재(40)의 일단에 형성된 비원형 보스부(40a)가 형상맞춤되게 끼워지는 비원형 보스공(15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힌지몸체(15)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체결부재(40) 역시, 고정힌지몸체(15)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On one surface of the fixed hinge body 15 is formed a non-circular boss hole 15c into which the non-circular boss portion 40a form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40 is fitted.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4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xed hinge body 15 also does not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hinge body 15.

가동힌지몸체는 고정힌지몸체(15)의 개구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동힌지몸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는 스윙커버(20)와, 커버브래킷(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윙커버(20)의 양측에는 스윙커버(20)를 커버부(3)에 결합시키는 제2플랜지부(20a)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hinge body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xed hinge body 15. The movable hinge body is composed of a swing cover 20 and a cover bracket 22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wing cover 20, the second flange portion 20a for coupling the swing cover 20 to the cover portion 3 is formed.

스윙커버(20)의 내면에는 상호 대향하는 제1직선부(20b)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브래킷(22)에는 제1직선부(20b)에 대응하는 제2직선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스윙커버(20)의 배면으로 커버브래킷(22)이 결합될 경우, 제1직선부(20b)와 제2직선부(22a)가 상호 대응하게 조립됨으로써, 커버브래킷(22) 역시 스윙커버(20)에 대해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An inner surface of the swing cover 20 is formed with a first straight line portion 20b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2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aight line portion 20b is formed on the cover bracket 22. . When the cover bracket 2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wing cover 20, the first straight portion 20b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22a are assemb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cover bracket 22 is also the swing cover 20. Do not rotate arbitrarily.

커버브래킷(22)의 내면 일측에는 롤러(3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축(30a)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장착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장착구(23)의 입구에는 롤러(30)의 축(30a)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턱(2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30)의 축(30a)을 롤러장착구(2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롤러(3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반면, 이탈저지턱(23a)으로 인해 롤러(30)의 축(30a)이 임의로 롤러장착구(23)로부터 빠지지 않는다.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racket 22, a pair of roller mounting holes 23 are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shafts 30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30. At the inlet of the roller mounting port 23, a release stopper 23a is formed to prevent the shaft 30a of the roller 3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Therefore, while the shaft 30a of the roller 30 is inserted into the roller mounting opening 23, the roller 30 can be freely rotated, whereas the shaft 30a of the roller 30 is caused by the release stop 23a. ) Does not arbitrarily fall out of the roller mounting opening 23.

고정힌지몸체(15)의 내부에 회전하지 않도록 삽입되는 레일블록(25)의 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레일(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26)에는 상호 이격된 위치로 두 개의 홈부(27a,27b)가 형성되어 있다.On one surface of the rail block 25 to be inserted so as not to rotate inside the fixed hinge body 15, the rail 26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rail 26, two grooves 27a and 27b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레일블록(25)에서 레일(26)이 형성된 면은 수평축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26)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0)는 정영방향에 무관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the surface on which the rails 26 are formed in the rail block 25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so that the cover portion 3 can be rotated by a relatively small forc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1. . And the roller 30 which moves along the rail 26 is rotatable irrespective of a static direction.

롤러(30)가 레일(26)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가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가 스윙하는 상태이다. 그러다가 커버부(3)가 정지하는 정지위치가 롤러(30)가 레일(26)의 홈부(27a,27b)에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처럼 레일(26)에 두 개의 홈부(27a,27b)를 형성할 경우, 커버부(3)는 본체부(1)에 대해 90도나 혹은 180도에서 멈출 수 있다. 만일, 레일(26)의 길이나 홈부(27a,27b)의 개수를 조절한다면,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의 정지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case where the roller 30 moves along the rail 26 is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 swing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 Then, the stop position at which the cover portion 3 stops is in a state where the roller 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s 27a and 27b of the rail 26. Therefore, when the two grooves 27a and 27b are formed in the rail 26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3 may stop at 90 degrees or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If the length of the rail 26 or the number of the grooves 27a and 27b is adjusted, the stop position of the cover 3 relative to the main body 1 may be determined.

이 때, 홈부(27a,27b)의 깊이는 롤러(30)의 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27a,27b)에 삽입된 롤러(30)가 구속되지 않고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홈부(27a,27b)의 연부면을 라운딩처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grooves (27a, 27b) is formed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radius of the roller (30). Therefore, the roller 30 inserted into the grooves 27a and 27b is easily restrained without being restrained. For this purpose, the edges of the grooves 27a and 27b may be rounded.

롤러(30)는 레일블록(25)의 레일(26)을 따라 이동하면서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를 스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가 스윙하는 과정에서는 롤러(30)가 레일블록(25)의 레일(26)을 따라 이동하며, 본체부(1)에 대해 커버부(3)가 소정각도에서 멈추는 시점에서 롤러(30)는 홈부(27a,27b)에 걸려 정지한다.The roller 30 moves along the rail 26 of the rail block 25 to swing the cover 3 relative to the main body 1. Therefore, the roller 30 moves along the rails 26 of the rail block 25 while the cover part 3 swings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 and the cover part 3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oller 30 is caught by the grooves 27a and 27b and stopped.

탄성부재(35)는 고정힌지몸체(15)와 레일블록(25) 사이에 마련되어 레일블록(25)을 스윙힌지몸체(18)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탄성부재(35)는 압축스프링으로 채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5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hinge body 15 and the rail block 25 to elastically press the rail block 25 toward the swing hinge body 18.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35 may be employed as a compression spring.

체결부재(40)는 레일블록(25) 및 탄성부재(35)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15,18)를 상호 체결하는 수단이다. 체결부재(40)의 일단은 고정힌지몸체(15)에 형성된 비원형 보스공(15c)에 끼워져 회전하지 않는 비원형 보스부(40a)를 형성한다. 그리고 타단은 스윙힌지몸체(18)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노출되는데, 노출단(40b)에 별도의 씨링(42, C-Ring)이 체결된다.The fastening member 40 is a means for fastening the fixed and swinging hinge bodies 15 and 18 in a state where the rail block 25 and the elastic member 35 are accommodated. On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non-circular boss hole 15c formed in the fixed hinge body 15 to form a non-circular boss portion 40a which does not rotate.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wing hinge body 18, a separate seed ring 42, C-Ring is fastened to the exposed end (40b).

이에,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커버부(3)를 예를 들어 180도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커버부(3)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Thu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A, as shown in FIG. 1B, if the cover part 3 is to be rotated 180 degrees, for example, the cover part 3 is pressed counterclockwise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그러면,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26) 상에서 어느 한 홈부(27a)에 끼워져 있던 롤러(30)가 도 4a에서 도 4b와 같이, 레일(26)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른 홈부(27b)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3)의 스윙은 정지되고 도 1b와 같이 커버부(3)가 180도로 회전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Then, the roller 30, which is fitted to one of the grooves 27a on the inclined rail 26, moves along the rails 26, as shown in FIGS. 4A to 4B, and is fitted to the other grooves 27b. In this state, the swing of the cover 3 is stopped and the cover 3 is rotated 180 degrees as shown in FIG. 1B.

물론, 레일블록(25)에 형성된 레일(26)의 구조상, 커버부(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동일한 스윙궤적을 얻을 수 있게 된다.Of cours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ail 26 formed in the rail block 25, the same swing trajectory can be obtained even by rotating the cover 3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져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다 원활한 스윙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and compactly manufacture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smooth swing driving can be realized.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창이 커버부의 표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본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커버부의 내면에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렇듯, 디스플레이창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고안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볼 때, 입력버튼이나 기타 버튼들, 그 외의 각종 구성(카메라 등을 포함)의 위치 및 구성은 배제되거나 혹은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window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but in some cases it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portion o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s such, the display window is irrelevant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ere it is disposed . For this reason, the 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input buttons or other buttons, and other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ing cameras, etc.) may be excluded or appropriately changed.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홈부의 개수를 조절한다면, 본체부에 대한 커버부의 스윙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the number of the groove portions is adjusted, the swing angle of the cover por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져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다 원활한 스윙 구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it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but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smooth swing driving can be realized.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힌지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의 사용 예시도,Figures 1a and 1b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e hinge device, respectively,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different angles of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2, respectively;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힌지장치의 작동상태도,4a and 4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부 3 : 커버부 1 body portion 3 cover portion

10 : 힌지장치 15 : 고정힌지몸체10: hinge device 15: fixed hinge body

18 : 가동힌지몸체 25 : 레일블록18: movable hinge body 25: rail block

26 : 레일 27a,27b : 홈부26: rail 27a, 27b: groove

30 : 롤러 35 : 탄성부재30: roller 35: elastic member

40 : 체결부재40: fastening member

Claims (8)

본체부와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를 스윙하는 장치로써,An apparatus mounted between a body portion and a cover portion and swinging the cov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고정힌지몸체와;A fixed hinge body mounted to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스윙힌지몸체와;A swing hinge body mounted on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o rotate relative to the fixed hinge body; 상기 고정힌지몸체에 마련되며,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의 어느 일영역에 홈부가 형성된 레일블록과;A rail block provided on the fixed hinge body and having a rail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groov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rail; 상기 스윙힌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되,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윙힌지몸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롤러와;A roller coupled to the swing hinge body to allow relative swing of the swing hinge body by moving along the rail, and stopping rotation of the swing hinge body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groove; 상기 고정힌지몸체와 상기 레일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블록을 상기 스윙힌지몸체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xed hinge body and the rail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rail block toward the swing hinge body; 상기 레일블록 및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사이로 조립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And a fastening member for assembling the rail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i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블록에서 상기 레일이 형성된 면은 수평축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The surface on which the rail is formed in the rail block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axis so that the cover portion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정역방향 모두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And a roller moving along the rail is rotatable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rai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레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커버부의 정지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And at least two grooves formed in the rai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ail to determine a stop position of the cover uni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롤러의 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The depth of the groov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radius of the roller,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고정힌지몸체 내에서 회전되지 않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The rail block is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s mounted so as not to rotate in the fixed hing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윙힌지몸체는, 스윙커버와; 상기 스윙커버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스윙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브래킷을 포함하되;The swing hinge body, Swing cover; A cover bracke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wing cover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the swing cover; 상기 롤러는 양단에 형성된 축이 상기 커버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된 롤러장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The roller is 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formed on both end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ller mount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bracke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롤러장착구의 입구에는 상기 롤러의 축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A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a release jersey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roller mounting port to prevent the shaft of the roller from being detach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중 어느 하나에 회전되지 않게 장착되는 비원형 보스부가 마련되고;On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non-circular boss is mounted so as not to rotate to any one of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y; 타단은 상기 고정 및 스윙힌지몸체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하여 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힌지장치.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is fastened through the other of the fixed and swing hinge body,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phone.
KR20-2005-0000259U 2005-01-05 2005-01-05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KR2003796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59U KR200379662Y1 (en) 2005-01-05 2005-01-05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59U KR200379662Y1 (en) 2005-01-05 2005-01-05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62Y1 true KR200379662Y1 (en) 2005-03-23

Family

ID=4368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259U KR200379662Y1 (en) 2005-01-05 2005-01-05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490356B1 (en) Rotary type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51412B1 (en) Swing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037054A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KR10068937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21400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display
KR20050042303A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module thereof
JP4241241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379662Y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KR20050075241A (en)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681373B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1051412B1 (en) Folding slide devic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US6108417A (en) Telephone having a keypad cover
JP2007174144A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20040006977A (en)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ing hinge module
KR100963125B1 (en) Slide apparatus
KR200377399Y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KR200350770Y1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681089B1 (en) 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 and hinge apparatus thereof
KR200374468Y1 (en) Sw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0678240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350771Y1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640370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77313B1 (en)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