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442Y1 - 피뢰기 구조 - Google Patents

피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442Y1
KR200379442Y1 KR20-2004-0037266U KR20040037266U KR200379442Y1 KR 200379442 Y1 KR200379442 Y1 KR 200379442Y1 KR 20040037266 U KR20040037266 U KR 20040037266U KR 200379442 Y1 KR200379442 Y1 KR 200379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rrester
ground
ground termin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평래
Original Assignee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41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뢰기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지지부를 사출물로 형성하여 접속단자를 조립 구성하고, 그 사출 성형물 내부에 접지단자를 인서트 사출하여, 피뢰기 내부의 접지단자를 피뢰기 하부 단자지지대 하단에 돌출 형성함으로써, 피뢰기를 단자대에 삽입할때 피뢰기의 접지단자에 의해 단자대 내부에 구비된 제 1 접지단자와 서로 접촉되고, 제 1 접지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제 2 접지단자측가 상향 돌출되어 있는 접지브라켓와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지단자를 독립적으로 단자대 내·외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불량 발생시 해당 접지단자만을 교환해 주면 되므로 피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피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뢰기 구조{Surge protector structure}
본 고안은 피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뢰기를 단자대에 삽입할때 피뢰기의 접지단자에 의해 단자대 내부에 구비된 제 1 접지단자와 서로 접촉되고 이를 제 2 접지단자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지단자를 독립적으로 단자대 내·외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불량 발생시 해당 접지단자만을 교환해 주면 되므로 피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피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 등에는 낙뢰 또는 이상전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지전압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뢰기를 장착하게 되며, 이와같은 피뢰기는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방전시켜 기기의 접지로 흐르도록 하여 서지전압에 의해 회로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피뢰기와 그 피뢰기가 삽입되는 단자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피뢰기(50)의 그 하측에 단자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51)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부(51)의 양측면에는 접속단자(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도시 되었지만 피뢰기(50)의 몸체의 일측으로는 후설하는 접지단자편(42)이 삽입되어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50)가 끼워져 설치되는 단자대는 베이스(43)의 상부에 단자대(40)를 결합하고, 상기 단자대(4)의 일측으로 다수의 접지단자편(42)이 상향 돌출되어 있는 접지바아(41)를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43)의 양측에 구비된 삽입홀(44)로 접지편(45)의 양측단(47)을 끼워 결합하여 양측단(47)의 상단이 단자대(40)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승토록 하고, 상기 양측단(47)을 접지바아(41)의 결합부(46)에 결합시켜 상기 접지바아(41)가 접지편(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뢰기 단자대 구조는 피뢰기(50)의 삽입부(51)를 단자대(40)에 구비된 삽입홀(미도시하였음)로 삽입하였을 때, 상기 접지바아(41)의 접지단자편(42)이 피뢰기(50)의 일측에 내장되어 있는 접지단자에 접속되므로서 피뢰기(50)가 접지측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피뢰기(50)의 내부에 접지바아(41)의 접지단자편이 삽입되어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를 내장해야만 하므로 피뢰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뢰기의 삽입부 끝단부에 접지단자를 인서트 사출 형성하고, 그 접지단자를 삽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 형성함으로서, 피뢰기를 단자대에 삽입할때 피뢰기의 접지단자에 의해 단자대 내부에 구비된 제 1 접지단자와 서로 접촉되고 이를 제 2 접지단자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지단자를 독립적으로 단자대 내·외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불량 발생시 해당 접지단자만을 교환해 주면 되므로 피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피뢰기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피뢰기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지지부를 사출물로 형성하여 접속단자를 조립 구성하고, 그 사출 성형물 내부에 접지단자를 인서트 사출하여, 피뢰기 내부의 접지단자를 피뢰기 하부 단자지지대 하단에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피뢰기(1), 하부지지대(10), 중간지지대(20), 상부지지대(30), 제 1 접지단자(11) 및 제 2 접지단자(6)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피뢰기(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하단부에 단자대에 삽입되는 삽입부(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부(2)의 양측에는 후설하는 제 2 접속단자(22)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속단자(3)는 사출물인 단자지지부(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지지부(5)의 끝단에는 후설하는 제 1 접지단자(11)에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4)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며, 이 접지단자(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지단자(4)의 상측이 접속단자(3)에 접속된 상태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피뢰기(1)가 삽입되는 단자대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지지대(10), 중간지지대(20)및 상부지지대(30)로 대별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20,30)는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0)는 그 양측에 상부의 중간지지대(20)에 끼워지기 위한 제 1 걸림턱(14)이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지지대(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편(12)의 상향 돌출되어 있는 제 1 접지단자(11)가 길게 장착되며, 상기 제 1 접지단자(11)의 양측 끝단부에는 제 2 접지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13)가 형성된다.
상기한 단자편(12)은 단면이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접지단자(11)의 양단 상측 끝부분에 서로 마주하도록 단자가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자편(12)은 피뢰기(1)의 접지단자(4)와 접속된다.
한편, 상기 중간지지대(20)는 그 몸체의 양측 하단부에 상기 제 1 걸림턱(14)이 끼워져 걸리기 위한 제 1 걸림홀(21)이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양측 상단에는 상부지지대(30)에 걸리기 위한 제 2 걸림턱(26)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지지대(20)의 내부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제 1 가이드(25)가 형성되고, 이 제 1 가이드(25)가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30)는 그 몸체의 양측 하단부에 상기 제 2 걸림턱(26)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제 2 걸림홀(3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지지대(30)의 저면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더(25)에 대향하도록 제 2 가이더(32)가 형성되며, 상부지지대(30)의 저면에는 상기한 제 2 접속단자(22)의 단자편(24)들이 서로 붙어있지 않고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는 한쌍의 스토퍼 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25)와 제 2 가이드(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접속단자(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길이의 몸체(2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3)의 일측으로 단자편(24)이 일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어 자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편(24)의 상측 끝단부가 상기 스토퍼 돌기(23)에 지지되어 평상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접속단자(22)의 단자편(24)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피뢰기(1)를 상부지지대(3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뢰기(1)의 접속단자(3)가 중간지지대(2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단자(22)에 접속되고, 삽입부(2)의 끝단부에 인서트 사출 형성된 접지단자(4)가 하부지지대(1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접지단자(11)의 단자편(12)에 접속되어 피뢰기(1)가 접지측과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피뢰기(1)의 삽입부(2) 끝단부에 접지단자(4)를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피뢰기의 내부에 별도의 접지단자를 내장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피뢰기(1)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접지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뢰기의 삽입부 끝단부에 접지단자를 인서트 사출 형성하고, 그 접지단자를 삽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형성함으로서, 피뢰기를 단자대에 삽입할때 피뢰기의 접속단자와 접지단자에 의해 단자대 내·외부에 구비된 제 2 접지단자와 제 1 접지단자가 서로 접촉되어 피뢰기를 접지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접지단자를 독립적으로 단자대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불량 발생시 해당 접지단자만을 교환해 주면 되므로 피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피뢰기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뢰기와 단자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피뢰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피뢰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피뢰기와 그 피뢰기가 접속되는 단자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뢰기, 2 : 삽입부,
3 : 접속단자, 4 : 접지단자,
5 : 단자지지부 6 : 제 2 접지단자,
10: 하부지지대, 11: 제 1 접지단자,
12: 단자편, 13: 접속부,
14: 제 1 걸림턱, 20: 중간지지대,
21: 제 1 걸림홀, 22: 제 1 접속단자,
23: 몸체, 24: 단자편,
25: 제 1 가이드, 26: 제 2 걸림턱,
30: 상부지지대, 31: 제 2 걸림홀,
32: 제 2 가이드, 33: 스토퍼돌기,

Claims (1)

  1. 피뢰기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지지부를 사출물로 형성하여 접속단자를 조립 구성하고, 그 사출 성형물 내부에 접지단자를 인서트 사출하여, 피뢰기 내부의 접지단자를 피뢰기 하부 단자지지대 하단에 돌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구조.
KR20-2004-0037266U 2004-12-29 2004-12-29 피뢰기 구조 KR200379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66U KR200379442Y1 (ko) 2004-12-29 2004-12-29 피뢰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66U KR200379442Y1 (ko) 2004-12-29 2004-12-29 피뢰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442Y1 true KR200379442Y1 (ko) 2005-03-21

Family

ID=4368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266U KR200379442Y1 (ko) 2004-12-29 2004-12-29 피뢰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4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863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883374B2 (en) Cabl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654223B1 (en) Surge arrester mounting unit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systems equipment
US645083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urge suppressing device
KR870000778A (ko) 모듈형 분배 프레임
JP6374505B2 (ja) プラグコネクタ接点キャリア
US7341491B2 (en) Miniature audio jack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618327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86599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plug
US20100173516A1 (en) Terminal block and contact element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systems
US20080305661A1 (en) Grounding comb, in particular for a plug-typ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20130244498A1 (en) Audio jack connector with small size for space saving
US1053595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upwardly abutting a grounding plate
KR200379442Y1 (ko) 피뢰기 구조
US7938698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79440Y1 (ko) 피뢰기 단자대 구조
KR101447309B1 (ko) 전기적 보호 장치
KR101002599B1 (ko) 릴레이 장착이 용이한 릴레이 소켓
US20080318479A1 (en) Plug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s, an Assembly Including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 Plu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g
US6960096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US20080218982A1 (en) Surge Protector with a Mounting Base
WO1991006999A1 (en) Protector module for laminar type telephone blocks
KR100537999B1 (ko) Idc형 단자 보호기
AU2009340812A1 (en) Overvoltage protection magazine or plug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magazine or plug
KR102650705B1 (ko)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