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990Y1 -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990Y1
KR200378990Y1 KR20-2004-0037420U KR20040037420U KR200378990Y1 KR 200378990 Y1 KR200378990 Y1 KR 200378990Y1 KR 20040037420 U KR20040037420 U KR 20040037420U KR 200378990 Y1 KR200378990 Y1 KR 200378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input device
patient
information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학림
이근철
Original Assignee
코라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라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료 현장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청진음을 보고 들을 수 있고, 환자의 청진정보를 객관적 검진 자료로서 영구히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은,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간호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1)와, 이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유/무선망(2)을 통해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DB(3-2)에 저장하는 간호사용 컴퓨터(3),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의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5) 및,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3-2)에 저장된 정보를 유/무선LAN(4)을 통해 입력받아 공유하는 의사용 컴퓨터(6) 및, 공유된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7) 또는 스피커/이어폰(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ELECTRONIC STETHOSCOPY SYSTEM USING PERSONAL COMPUTER}
본 고안은 의사가 환자를 진찰할 때 사용하는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료 현장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청진음을 보고 들을 수 있고, 환자의 청진정보를 객관적 검진 자료로서 영구히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사가 환자의 진료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래식 또는 전자식 청진기는 청진음이 청진기의 집음부로부터 튜브를 통해 의사의 귀까지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 이를 시행하는 의사만이 집음된 청진음을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의과대학생들의 임상 실습시,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환자의 청진음을 듣기 위해 여러 명의 학생이 교수의 지도하에 한 환자에게서 각기 청진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교육을 위해서 불가피한 일이기는 하지만 진료받는 환자나 이를 시행하는 학생들 모두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더욱이, 의사 일인이 하루에 진료하는 환자가 100명 가까이 되는 우리나라의 의료 현실에서, 청진시 주위의 잡음을 차단하기 위해 청진기를 귀에 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귀를 압박하게 되고, 이를 장시간 사용할 때 의사들이 받게 되는 귀의 통증과 신체적 피로감은 아주 큰 고통으로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청진기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제3자에 의해 청진음을 집음한 다음, 얻어진 청음정보를 유/무선을 통해 간호사용 컴퓨터에 전송한 후 DB화하고, RFID 태그 등 외부입력장치를 통해 DB에 저장되어 있는 성명, 생년월일, 주소, 성별, 혈액형 등을 포함하는 환자의 기본정보와 병력 및 처방내역 등을 조회하며, 청음정보 및 환자의 기본정보가 의사용 컴퓨터와 공유되어 의사가 직접 청진하지 않고도 청진음을 들을 수 있어 의사가 환자 진료시 또는 시간적 제약없이 필요할 때 이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은,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간호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1)와, 이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유/무선망(2)을 통해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DB(3-2)에 저장하는 간호사용 컴퓨터(3),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의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5) 및,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3-2)에 저장된 정보를 유/무선LAN(4)을 통해 입력받아 공유하는 의사용 컴퓨터(6) 및, 공유된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7) 또는 스피커/이어폰(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1)가, 환자의 기본정보 및 병력과, 집음정보 및, 진료내역을 저장함과 더불어 진료차트의 조회와 처방전 기록 DB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RFID 태그(1-1)와, 환자로부터 집음된 청진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자청진기(1-2) 및,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중 하나로 이루어진 기타 입력장치(1-n)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부입력장치(1)의 입력자료가 유/무선망(2)을 통해 간호사용 컴퓨터(3)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와 의사용 컴퓨터(6)의 DB가 유/무선LAN(4)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가,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3-1)와, 환자의 기본정보, 병력, 처방내역 등이 저장되어 있는 DB(3-2) 및, GUI로 구현되어 생성되는 전자차트(3-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의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5)가, 환자의 기본정보 및 병력과, 집음정보 및, 진료내역을 저장함과 더불어 진료차트의 조회와 처방전 기록 DB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RFID 태그(5-1)와, 환자로부터 집음된 청진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자청진기(5-2) 및,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중 하나로 이루어진 기타 입력장치(5-n)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청진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청음신호 등의 정보가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유/무선망(2)을 통해 간호사용 컴퓨터(3)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전송받은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는 유/무선LAN(4)을 통해 의사용 컴퓨터(6)와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상기 의사용 컴퓨터(6)에서는 공유된 청음정보를 모니터(7), 스피커/이어폰(8)과 같은 출력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도 2는 간호사용 컴퓨터의 환자 개인별 자료조회 및 청음정보 저장을 위한 외부입력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환자 개인별 자료 조회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상기 외부입력장치(1)로는 환자의 기본정보 및 병력과, 집음정보 및, 진료내역을 저장함과 더불어 진료차트의 조회와 처방전 기록 DB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RFID 태그(1-1)와, 환자의 청음정보를 집음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전자청진기(1-2),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등의 기타 입력장치(1-n)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청진기(1-2)에 의해 집음된 청음정보는 청진기 내부에서 잡음제거, 증폭 및 변조과정을 거쳐 간호사용 컴퓨터(3)로 전송된다.
도 3은 단말기 상호간의 통신망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한 외부입력장치(1)의 입력자료는 유/무선망(2)을 통해 간호사용 컴퓨터(3)로 전송된다. 또한,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와 의사용 컴퓨터(6)의 DB는 유/무선LAN(4)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도 4는 간호사용 컴퓨터(3)의 외부입력장치(1)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가 간호사용 컴퓨터(3)의 인터페이스 드라이버(3-1)에 의해 인식된다. 인터페이스 드라이버(3-1)의 구동에 의해 환자의 기본정보, 병력, 처방내역 등이 저장되어 있는 DB(3-2)가 간호사용 컴퓨터(3)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GUI에 의한 전자차트(3-3)로 생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의사용 컴퓨터(6)의 외부입력장치(5)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환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외부입력장치(5)는 도 2에 도시된 간호사용 컴퓨터(3)의 외부입력장치(1)와 마찬가지로, RFID 태그(5-1)와, 환자의 청음정보를 집음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전자청진기(5-2),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등의 기타 입력장치(5-n)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청진기(5-2)에 의해 집음된 청음정보는 청진기 내부에서 잡음제거, 증폭 및 변조과정을 거친 후 의사용 컴퓨터(3)로 전송된다.
상기 의사용 컴퓨터(6)의 외부입력장치(5)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의사용 컴퓨터(6)의 인터페이스 드라이버(6-1)에 의해 인식된다. 의사는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3-2)와 공유된 상기 DB(3-2)의 자료 조회 뿐만 아니라 진료 내역 및 처방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3-2)의 환자정보 및 청음정보는 전자차트(3-3)나 도 1에 도시된 모니터(7)로 출력하여 볼 수 있으며, 또한 스피커/이어폰(8) 등으로 출력음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사용 컴퓨터(6)의 외부입력장치(5)는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외부입력장치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일하게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의 외부입력장치(1)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RFID 태그(1-1)로 환자의 DB에 접속하고, 도 2에 도시된 전자청진기(1-2)를 사용하여 청음정보를 집음하였을 때, 의사는 환자의 DB에 접속하기 위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기타 입력장치(5-n) 등의 조작만으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이미 집음 정보가 저장된 DB는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3-2)를 공유하므로 다시 청진할 필요는 없게 된다. 단, 의사가 보다 정확한 위치의 청음정보를 필요로 할 때 전자청진기(5-1)를 사용하여 청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청진시스템을 사용하여 간호사나 제3자가 환자의 청진정보를 집음하면, 이 정보가 간호사용 컴퓨터의 DB에 저장된 다음 의사용 컴퓨터로 전송된다. 따라서, 전송된 자료는 의사용 컴퓨터의 스피커와 모니터를 통하여 시청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어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만 하는 의사의 진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청진기로 진찰할 경우 의사만 들을 수 있었던 청진음을 환자나 보호자도 직접 보고 들을 수 있어 일반인들의 건강정보 취득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음정보가 DB로 저장되어 영구히 보관될 수 있어 이를 차후에 객관적인 임상 검사소견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임상 실습을 하고 있는 의과대학생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어 교육과 실습을 위해 한 환자에게 여러 명의 의사나 학생이 청진을 시행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의사들이 환자의 청진음을 듣기 위해 사용해야만 하는 청진기를 귀에 꼽을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청진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의사들이 매일 겪게 되는 신체적 불편함을 예방할 수 있고, 진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청진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간호사용 컴퓨터의 환자 개인별 자료조회 및 청음정보 저장을 위한 외부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단말기 상호간의 통신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간호사용 컴퓨터의 외부입력장치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의사용 컴퓨터의 외부입력장치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5 --- 외부입력장치
1-1,5-1 --- RFID 태그
1-2,5-2 --- 전자청진기
1-n,5-n --- 기타 입력장치
2 --- 유/무선망
3 --- 간호사용 컴퓨터
3-1,6-1 --- 인테페이스 드라이브
3-2 --- DB(데이터베이스)
3-3 --- 전자차트
4 --- 유/무선LAN
6 --- 의사용 컴퓨터
7 --- 모니터
8 --- 스피커/이어폰

Claims (6)

  1.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간호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1)와,
    이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유/무선망(2)을 통해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DB(3-2)에 저장하는 간호사용 컴퓨터(3),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의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5) 및,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3-2)에 저장된 정보를 유/무선LAN(4)을 통해 입력받아 공유하는 의사용 컴퓨터(6) 및,
    공유된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7) 또는 스피커/이어폰(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간호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1)가,
    환자의 기본정보 및 병력과, 집음정보 및, 진료내역을 저장함과 더불어 진료차트의 조회와 처방전 기록 DB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RFID 태그(1-1)와,
    환자로부터 집음된 청진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자청진기(1-2) 및,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중 하나로 이루어진 기타 입력장치(1-n)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장치(1)의 입력자료가 유/무선망(2)을 통해 간호사용 컴퓨터(3)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의 DB와 의사용 컴퓨터(6)의 DB가 유/무선LAN(4)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사용 컴퓨터(3)가,
    외부입력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드라이버(3-1)와,
    환자의 기본정보, 병력, 처방내역 등이 저장되어 있는 DB(3-2) 및,
    GUI로 구현되어 생성되는 전자차트(3-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의사용 컴퓨터 외부입력장치(5)가,
    환자의 기본정보 및 병력과, 집음정보 및, 진료내역을 저장함과 더불어 진료차트의 조회와 처방전 기록 DB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RFID 태그(5-1)와,
    환자로부터 집음된 청진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자청진기(5-2) 및,
    마그네틱카드, 키보드, 마우스 중 하나로 이루어진 기타 입력장치(5-n)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KR20-2004-0037420U 2004-12-30 2004-12-30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KR200378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20U KR200378990Y1 (ko) 2004-12-30 2004-12-30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420U KR200378990Y1 (ko) 2004-12-30 2004-12-30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990Y1 true KR200378990Y1 (ko) 2005-03-16

Family

ID=4368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20U KR200378990Y1 (ko) 2004-12-30 2004-12-30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791B2 (en) 2006-03-23 2014-10-28 Michael E.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physiological soun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791B2 (en) 2006-03-23 2014-10-28 Michael E.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transmitting physiological sounds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11357471B2 (en) 2006-03-23 2022-06-14 Michael E. Sabatino Acquiring and processing acoustic energy emitted by at least one organ in a biologica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378B2 (en) Digital healthcare practice system for digital citizens
Young et al. Assessing the stage of Meniere's disease using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US7346174B1 (en) Medical device with communication, measurement and data functions
US20080167534A1 (e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for collec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method thereof
RU2299673C2 (ru) Диагно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US20080114266A1 (en) Inner-Body Sound Monitor and Storage
CN108348148A (zh) 一种通过远程医疗测量和报告有关患者重要生理数据的集成式医疗设备和基于家庭的系统
US20050157887A1 (en) System for outputting acoustic signal from a stethoscope
Ramkumar et al. Tele-ABR using a satellite connection in a mobile van for newborn hearing testing
CN105160155A (zh) 一种医学信息网络共享系统
Jayawardena et al. Portable audiometric screening platforms used in low-resource settings: a review
Fagelson et al. Hyperacusis and disorders of sound intolerance: 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KR20150001009A (ko) 휴대용 무선 디지털 전자 청진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 진단 시스템
CN106419953A (zh) 一种基于双频采集及振动还原的无线听诊系统
KR20140040186A (ko) 디지털청진기 기반의 원격청진진료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5479977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
Angral et al. Tele Otology in India: Last 10 Years—A Scopic Review
KR200378990Y1 (ko)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청진시스템
KR101906398B1 (ko) 실시간 객체추적을 이용한 내시경 진료정보 공유 방법
Gamasu Ecg based integrated mobile tele medicine system for emergency health tribulations
KR20130053772A (ko) 디지털청진기 기반의 원격청진진료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Gomes et al. A Proposal to Incorporate Digital Auscultation and Its Processing into an Existing Electronic Health Record.
KR101596274B1 (ko) 원격 건강 진단 시스템
CN111028937A (zh) 一种实时远程听诊方法及系统
JP2001309916A (ja) 通信機能付き聴診器、並びに該聴診器を用いた遠隔診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