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978Y1 -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 Google Patents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978Y1
KR200378978Y1 KR20-2004-0037259U KR20040037259U KR200378978Y1 KR 200378978 Y1 KR200378978 Y1 KR 200378978Y1 KR 20040037259 U KR20040037259 U KR 20040037259U KR 200378978 Y1 KR200378978 Y1 KR 200378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pper cover
coupling portion
hai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규
Original Assignee
최태규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규, 김재성 filed Critical 최태규
Priority to KR20-2004-0037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카락을 손질하여 머리카락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웨이브를 형성하거나 머리카락을 펴주거나 컬(curl)을 형성하기 위한 미용용 고데기(머리카락 지지개)로서 집게 형상의 미용 고데기의 사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데기의 후부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고데기의 상,하커버에 발열판을 설치하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하여 머리카락이 발열판과 당접될 때 머리카락에 가해자는 힘이 부드럽고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헤어스타일의 다양한 연출을 보다 우수하게 향상시킨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커버 및 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커버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커버에 열을 발산하는 히터를 구비한 발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고데기에 있어서,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상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덮개 수납부의 후부 아래방향으로 노브수납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고 후부에 누름부가 형성된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상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힌지 결합부가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전부에 상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는 통공이 구비된 눌림편이 형성되는 상덮개와;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하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덮개 수납부의 후부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 통공이 구비된 받침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가 힌지결합부의 안쪽으로 결합 설치되는 하커버와; 상기 하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하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후부에 몸체 스프링이 삽입 고정되고 하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부가 상기 상결합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하덮개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결합된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서로 당접되어 고정거나 상커버가 벌어지도록 조절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는 보관시에 상하커버가 서로 당접됨으로서 먼지나 이물질이 묻지않게 되어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손상을 막고 오래 사용하는 효과가 있고, 운반시에는 부피가 작아져서 제품의 물량을 다량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가 절감되고 제품의 단가가 저렴해지므로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숙련된 미용사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다양한 머리모양에 따른 손질을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손질시에 과도한 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머리손질시에 약한 힘에 의해 머리모양이 올바르게 나오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모리모양을 정확하게 연출하게 됨으로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A HAIR TOOLS HAVING AN APPRATUS FOR LOCKING }
본 고안은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손질하여 머리카락에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웨이브를 형성하거나 머리카락을 펴주거나 컬(curl)을 형성하기 위한 미용용 고데기(머리카락 지지개)로서 집게 형상의 미용 고데기의 사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데기의 후부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고데기의 상,하커버에 발열판을 설치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하여 머리카락이 발열판과 당접될 때 머리카락에 가해자는 힘이 부드럽고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헤어스타일의 다양한 연출을 보다 우수하게 향상시킨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은 여성의 미용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으로서 의상 및 장소에 따라 수시로 변화를 추구하여 미적 감각을 충부히 발휘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고, 미적 감흥을 얻기 위해 헤어스타일의 중요도가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머리모양의 연출정도에 따라 그 사람의 개성표현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머리에 여러모양의 연출을 하여 미감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한 미용도구의 하나인 미용용 고데기(머리 지지개)는 상하부로 구분되고 내부에 각각 히터수단과 발열수단 및 미용구가 내재되는 반원 몸통 형상의 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하 컬부는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활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측 컬부와 하측컬부에 각각 전기에 의해 공급되는 열을 발열하기 위한 발열판이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발열판의 표면층에 여러 굴곡형상(예컨대 둥근산모양이나 삼각형상의 산모양)을 갖도록 하여 머리카락이 상기 상하컬부를 통과할 때 발열되는 열에 미용구의 형상에 따라 여러모양의 머리모양이 연출되도록 하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여성의 미적 추구 및 개성표현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미용용 고데기의 경우 상하부로 각각 활개되는 상하 컬부는 일측 내부에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항상 활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항상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활개되므로 수납함등의 수납공간에 보관할 경우에 활개된 상태에서 보관되어지므로 보관용적이 크고 수납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제품의 출고에 의해 소비자에게까지 유통되는 과정에서 미용용 고데기의 포장케이스 크기 자체가 커지게 되고, 이로인하여 운반시의 포장부피 및 적재부피도 커지게 됨으로서 이에 따른 물류비에 의한 부담이 가중되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상 활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미용용 고데기를 재사용할 경우, 발열판이나 또는 발열판과 당접되어 결합되는 미용구 내부 또는 표면층에 먼지나 이물질이 다량 부착되어질 수 밖에 없어 사용후에 머리카락에 다량의 먼지와 이물질이 묻어나오게 되는 등 사용상 청결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발열판에 당접되어져 착탈되는 표면층에 여러형상의 모양을 갖는 미용구의 경우, 하측 컬부의 발열판과 당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용구의 일측 단부에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는 결합구를 갖도록 가공하여 상기 결합구가 하측 컬부의 삽입홈 일측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미용구의 타측면을 눌러 하측 컬부의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도록 하여 발열판과 상기 미용구가 당접되어 발열판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미용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측 컬부 또한 동일하게 일측의 단부 일부분이 연장 돌출되는 결합구를 갖는 미용구(필요에 따라 스팀 발생판)를 상측 컬부 저면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의 일단에 상기 결합구를 이용하여 끼운 상태에서 미용구의 타단을 눌러 상기 상측 컬부의 삽입홈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미용구나 스팀발생구와 같이 머리용 고데기의 발열판과 당접되도록 하는 구조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단 하부로 적정하게 돌출되는 결합구를 일체로 하여 가공하여야 하는 바, 그 가공이 어렵과 작업이 번잡하에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조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데기의 경우에는 상하 컬부에 각각 설치되는 발열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을 끼우고 쓸어내릴 때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너무 약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머리모양이 매우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올바른 머리모양을 내기 위해서는 숙련된 미용사만이 미용작업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숙련된 미용사도 매우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일반인은 손쉽게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용용 고데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시에는 상,하측 커버가 서로 당접되어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보관이 편리하고 제품의 운반, 이동시 포장부피 및 적재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고데기에 사용되는 발열판의 하부에 탄성부재인 열판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머리카락과 접촉될 때, 머리카락이 부드럽고 균일하게 쓸려질 있도록 함으로서 머리카락의 손상을 줄이고, 머리모양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열판의 하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머리를 쓸어내릴 때 적당한 장력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수년간에 걸치 숙련된 미용사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머리손질을 손쉽게 하면서도 빠르게 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커버 및 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커버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커버에 열을 발산하는 히터를 구비한 발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고데기에 있어서,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상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덮개 수납부의 후부 아래방향으로 노브수납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고 후부에 누름부가 형성된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상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힌지 결합부가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전부에 상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는 통공이 구비된 눌림편이 형성되는 상덮개와;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하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덮개 수납부의 후부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 통공이 구비된 받침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가 힌지결합부의 안쪽으로 결합 설치되는 하커버와; 상기 하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하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후부에 몸체 스프링이 삽입 고정되고 하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부가 상기 상결합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하덮개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결합된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서로 당접되어 고정거나 상커버가 벌어지도록 조절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상덮개에 형성된 노브수납 가이드편에 끼워지고, 상기 상덮개의 통공과 상기 하커버의 통공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잠금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노브는 상기 노브수납 가이드편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잠금노브 몸체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조절 손잡이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잠금편과; 상기 잠금노브 몸체와 잠금편이 연결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잠금편이 상기 상덮개의 통공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커버의 받침턱에 잠금편이 받쳐져서 닫힌 상태로 되어 상커버를 하커버에 당접시키고 상기 잠금편이 받침턱의 통공에 미끄러져서 삽입되어 열린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전면에 탄력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 후부에 연장되어 상방향을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력 고정편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 후부에 형성된 눌림편의 상부면에 상기 잠금노브의 지지핀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받침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커버 및 하커버에 형성된 수납부에 상발열부 및 하발열부가 설치되며, 상기 상발열부 및 하발열부는 상기 수납부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턱이 형성된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에 형성된 상기 고정턱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발열판을 탄력적으로 작용시키도록 설치되는 열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븐해 사시도이다.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고데기가 잠김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고데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고데기(100)는 후단부의 일부가 좌측방향으로 상향되는 누름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전부 내측에 오목하게 수납부(10)가 형성되고, 후부 내측에 오목하게 상덮개 수납부(114)가 형성된 상커버(102)와, 상기 상커버(102)와 마주보도록 하부에 위치하여 대응설치되고, 전부 내측에 오목하게 수납부(10)가 형성되고 후부 내측에 하덮개 수납부(42)가 형성된 하커버(104)와, 상기 상커버(102)와 상기 하커버(104)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커버(104)의 상부에 설치된 상커버(102)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된 힌지부(116)와, 상기 상커버(102)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커버(102)가 상방향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잠그고 열어주는 잠금장치(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커버(102)의 누름부(120)를 누르면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단부가 상기 힌지부(116)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하향 회동되고, 상커버(102)의 전단부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110)는 열림상태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커버(102)의 후부 내측에는 상덮개(106)가 수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커버(102)의 전부 내측에는 상발열부(108)가 수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커버(104)의 후부 내측에는 하덮개(112)가 수납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커버(104)의 전부 내측에는 하발열부(114)가 수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덮개(106)와 상기 하덮개(112)는 후단부가 각각 상기 힌지부(116)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서로 상하부에서 결합되어 지며 상기 잠금장치(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발열부(108) 및 하발열부(114)는 미도시된 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열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서 그 전기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구조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발열부(108)와 하발열부(114)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발열부(108) 및 하발열부(114)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상커버(102) 및 하커버(104)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부(10)에 히터 보조판(20)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히터 보조판(20)의 상하면에 전기적인 전원과 연결되는 세라믹 히터(22)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세라믹 히터(22)의 상하면에 각각 열판 스프링(24)이 수납되어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판 스프링(24)의 상하부면에 발열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판 스프링(24)은 상기 발열판(26)의 하부면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를 살펴보면, 상기 상커버(102)가 닫혀진 상태로서, 상기 잠금장치(110)가 화살표 방향으로 닫힌 상태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상커버(102)의 누름부(120)가 시계방향으로 상향되어 있고, 상기 상커버(102)의 전단부가 시계방향으로 하향되어져서 상기 하커버(104)와 서로 접촉되어 있다.
즉, 상기 상커버(102)와 하커버(104)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커버(102,104)의 각각에 설치된 상발열부(108)와 하발열부(114)가 서로 맞대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지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의 고데기(100)를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는 본 고안의 고데기(100)의 일부 측단면도로서, 상기 상발열부(108)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커버(102)의 내측에 수납부(10) 및 상덮개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덮개 수납부(14)에는 상기 상덮개(106)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0)의 내측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레일(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0)에는 상기 발열판(26)이 삽입되어 있는 바, 상기 발열판(26)의 상부면에는 티(T)자형의 고정턱(2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턱(28)은 상기 고정레일(12)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진다.
상기 고정턱(28)의 사이에는 히터 보조판(20)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 보조판(20)의 하부면에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세라믹 히터(22)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라믹 히터(22)의 하부면에는 열판 스프링(24)이 끼워져서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발열판(26)은 상기 세라믹 히터(22)에 의해 열이 공급되어 발열되고, 상기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상하로 탄력적으로 탄지된다.
상기 열판 스프링(24)이 상기 발열판(26)을 탄력적으로 하향으로 밀어주고 있다.
상기 하커버(104)에는 상기 상발열부(108)와 동일한 구조의 하발열부(114)가 구성되어 있다.
즉, 하커버(104)의 내측에 수납부(10) 및 하덮개 수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덮개 수납부(42)에는 상기 하덮개(112)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0)의 내측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레일(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0)에는 상기 발열판(26)이 삽입되어 있는 바, 상기 발열판(26)의 상부면에는 티(T)자형의 고정턱(2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일(12)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턱(28)은 상기 고정레일(12)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진다.
상기 고정턱(28)의 사이에는 히터 보조판(20)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 보조판(20)의 상부면에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세라믹 히터(22)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라믹 히터(22)의 상부면에는 열판 스프링(24)이 끼워져서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발열판(26)은 상기 세라믹 히터(22)에 의해 열이 공급되어 발열되고, 상기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상하로 탄력적으로 탄지된다.
상기 열판 스프링(24)이 상기 발열판(26)을 탄력적으로 상향으로 밀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발열부(108)는 하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하발열부(114)는 상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발열부(108)의 발열판(26)은 상기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려지고, 상기 하발열부(114)의 발열판(26)은 상기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윗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려지므로 상기 상발열부(108)의 발열판(26)과 상기 하발열부(114)의 발열판(26)이 서로 탄력적으로 당접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탄력적으로 당접되는 발열판(26)에 의해 발열판(26)사이에 위치되는 머리카락은 균일하게 물려지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6은 본 고안의 고데기(100)의 잠금장치(110)가 열림상태일때의 도면이고, 상기 도 7은 상기 상커버(102)와 하커버(104)가 벌려져 있는 상태를 분해했을 때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잠금장치(110)를 확대한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하여 보면, 상기 상커버(102)의 전부 내측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12)이 형성된 수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0)의 후부에 위치하도록 상덮개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커버(102)의 후부 상측면에는 오목한 손잡이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홈(16)의 하부에는 상기 손잡이홈(16)에 연장되어서 한 쌍의 노브수납 가이드편(18)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0)에는 히터 보조판(20)이 삽입되어 지고, 상기 히터 보조판(20)의 상부에는 세라믹 히터(22)가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0)에는 연속해서 상기 열판 스프링(24)이 수납 결합되어 지고, 상기 발열판(26)이 수납되어 진다.
이때, 상기 발열판(26)에는 한 쌍의 고정턱(28)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열판 스프링(24)가 상기 고정턱(28)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덮개 수납부(14)에는 상기 상덮개(106)가 수납 설치되어 진다.
상기 상덮개(106)에는 힌지 결합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결합부(30)의 전부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된 상결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결합부(30)의 후부에는 고정 플레이트(36)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36)의 후부 -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후부에는 눌린편(3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눌림편(37)에는 통공(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38)의 뒤쪽 상부면에는 즉 눌림편(37)의 상부면에는 상방향으로 받침돌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덮개(106)의 후부에 형성된 눌림편(37)은 상기 상커버(102)의 누름부(120)에 결합되도록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부(120)를 누를때 눌려지도록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결합부(34)에는 후술되는 하덮개(112)의 하결합부(50)가 결합되어 진다.
상기 힌지 결합부(30)는 후술되는 상기 하커버(104)의 힌지 결합부(44)와 결합되어 진다.
계속해서, 상기 하커버(104)의 전부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12)이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납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0)의 후부에는 하덮개 수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덮개 수납부(42)에는 상기 하덮개(112)가 수납 설치된다.
상기 하덮개 수납부(42)의 후부에는 힌지결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결합부(44)의 후부에는 통공(46)이 형성된 받침턱(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커버(104)의 후부에는 전원이 연결 공급되는 전원코드(118)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덮개 수납부(42)에는 하덮개(112)가 수납 설치되어 진다.
상기 하덮개(112)의 후부에는 하결합부(50)가 스프링 결합홈(52)이 형성된 하결합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결합홈(52)의 바닥면에는 고정돌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기 스프링 결합홈(52)에는 몸체 스프링(56)이 결합되어 지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돌부(54)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하덮개(112)는 상기 하덮개 수납부(42)에 수납 설치되고, 상기 상덮개(106)는 상기 하덮개(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하덮개(112)에 형성된 하결합부(50)이 상기 상덮개(106)에 형성된 상결합부(3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몸체 스프링(56)은 상기 스프링 결합홈(52)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부(54)에 끼워져서 고정 설치되어져서 상기 하결합부(50)와 상기 상결합부(34) 사이에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덮개(106)의 힌지결합부(30)는 상기 하커버(104)의 힌지 결합부(44) 내측에 삽입되어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덮개(106)에 형성된 통공(38)과 상기 하커버(104)에 형성된 통공(46)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결합부(30)와 힌지결합부(4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덮개(106)의 후부가 눌려지는 경우에 상기 통공(38)과 통공(46)이 일치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110)는 잠금노브(58)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노브(58)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노브 몸체(60)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조절 손잡이(62)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잠금편(64)과,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와 잠금편(64)이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 지지핀(66)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전면부에는 아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탄력 고정편(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잠금노브(58)의 조절 손잡이(62)는 전술된 상커버(102)의 손잡이홈(16)에 끼워져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지고, 상기 잠금노브 몸체(60)는 상기 손잡이홈(16)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노브 수납 가이드편(18)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져서 설치되며,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하면부는 상기 상덮개(106)의 받침돌부(4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노브(58)의 잠금편(64)은 상기 상덮개(106)의 통공(38)을 통고하하여 상기 하커버(104)의 통공(46)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커버(102)와 상덮개(106)와 하커버(104)에 이르도록 설치된 잠금노브(58)는 상기 받침돌부(40)에 의해 받쳐지고, 상기 탄력 고정편(68)이 상기 상덮개(106)의 고정플레이트(36)과 접촉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고데기(100)기의 잠금장치(110)가 열렸을 때의 구성과 동작을 살펴보면, 도 6 및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상커버(102)에 상기 상덮개(106)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하덮개(112)는 상기 하커버(104)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상덮개(106)와 상기 상커버(102)는 상기 하커버(104)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 결합부(30) 및 힌지결합부(44)가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노브수납 가이드편(18)에 잠금노브(58)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노브(58)의 잠금노브 몸체(60)는 상기 노브수납 가이드편(18) 사이에 위치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지지핀(66)은 상기 받침돌부(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받침돌부(40)에 의해 받쳐지며, 상기 잠금편(64)은 상기 상덮개(106)의 통공(30)을 통과하여 상기 하커버(104)의 통공(46)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하결합부(50)와 상기 상결합부(34)가 결합된 사이에는 몸체 스프링(56)이 개재되어 탄력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힌지부(116)에 의해 상커버(102) 및 상덮개(106)가 상하로 회동할 때, 탄압되거나 탄발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데기(100)는 도 3에서는 상커버(102)와 하커버(104)가 서로 당접되어 닫혀져 있다.
이때, 잠금장치(110)의 잠금노브(58)가 앞방향 즉,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으로 상기 조절 손잡이(62)가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하부에 형성된 잠금편(64)은 상기 받침턱(48)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110)에 의해 잠겨져 있는 경우 상기 상커버(102)의 누름부(120)를 눌러도 상기 잠금편(64)이 상기 받침턱(48)에 의해 걸려지게 되므로 눌려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잠금노브(58)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 고안의 고데기(100)는 부피가 작아지고 발열판(26)이 서로 당접되어 있으므로 먼지나 이물질등이 침투하지 않아 고데기의 수명이 오래가고 운반이 쉬우며 관리가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110)의 잠금노브958)를 뒤로 또는 도면상에서 좌측방향으로 조절 손잡이(62)를 제치면 상기 잠금노브 몸체(60)의 하부에 형성된 잠금편(64)가 상기 지지핀(66)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받침턱(48)에서 미끄러지면서 상기 하커버(104)의 통공(48)으로 삽입되고 상기 상커버(102)와 상덮개(106)가 힌지부(116)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커버(102)와 상기 하커버(104)가 벌어진다.
이때, 상기 상발열부(108)와 하발열부(114)는 내부에 수납 설치된 열판 스프링(24)에 의해 탄발작용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는 보관시에 상하컬부가 서로 당접됨으로서 먼지나 이물질이 묻지않게 되어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손상을 막고 오래 사용하는 효과가 있고, 운반시에는 부피가 작아져서 제품의 물량을 다량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가 절감되고 제품의 단가가 저렴해지므로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숙련된 미용사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다양한 머리모양에 따른 손질을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손질시에 과도한 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머리손질시에 약한 힘에 의해 머리모양이 올바르게 나오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모리모양을 정확하게 연출하게 됨으로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븐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데기가 잠김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고데기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부 12 : 고정레일
14 : 상덮개 수납부 16 : 손잡이홈
18 : 노브 수납 가이드편 20 : 히터 보조판
22 : 세라믹 히터 24 : 열판 스프링
26 : 발열판 28 : 고정턱
30 : 힌지 결합부 32 : 결합홈
34 : 상결합부 36 : 고정 플레이트
38 : 통공 40 : 받침돌부
42 : 하덮개 수납부 44 : 힌지 결합부
46 : 통공 48 : 받침턱
50 : 하결합부 52 : 스프링 결합홈
54 : 고정돌부 56 : 몸체 스프링
58 : 잠금노브 60 : 잠금노브 몸체
62 : 조절 손잡이 64 : 잠금편
66 : 지지핀 68 : 탄력 고정편
100 : 고데기 102 : 상커버
104 : 하커버 106 : 상덮개
108 : 상발열부 110 : 잠금장치
112 : 하덮개 114 : 하발열부
116 : 힌지부 118 : 전원코드
120 : 누름부

Claims (8)

  1. 상커버 및 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커버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커버에 열을 발산하는 히터를 구비한 발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고데기에 있어서,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상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덮개 수납부의 후부 아래방향으로 노브수납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고 후부에 누름부가 형성된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상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힌지 결합부가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전부에 상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는 통공이 구비된 눌림편이 형성되는 상덮개와;
    상기 전부 내측에 고정레일이 구비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후부에 하덮개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덮개 수납부의 후부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후부에 통공이 구비된 받침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가 힌지결합부의 안쪽으로 결합 설치되는 하커버와;
    상기 하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하덮개 수납부에 수납 설치되고, 후부에 몸체 스프링이 삽입 고정되고 하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결합부가 상기 상결합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하덮개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결합된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가 서로 당접되어 고정거나 상커버가 벌어지도록 조절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상덮개에 형성된 노브수납 가이드편에 끼워지고, 상기 상덮개의 통공과 상기 하커버의 통공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잠금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노브는 상기 노브수납 가이드편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잠금노브 몸체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조절 손잡이와;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잠금편과;
    상기 잠금노브 몸체와 잠금편이 연결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잠금편이 상기 상덮개의 통공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커버의 받침턱에 잠금편이 받쳐져서 닫힌 상태로 되어 상커버를 하커버에 당접시키고 상기 잠금편이 받침턱의 통공에 미끄러져서 삽입되어 열린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노브 몸체의 전면에 탄력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 후부에 연장되어 상방향을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력 고정편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덮개의 힌지 결합부 후부에 형성된 눌림편의 상부면에 상기 잠금노브의 지지핀을 받쳐주도록 형성된 받침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 및 하커버에 형성된 수납부에 상발열부 및 하발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발열부 및 하발열부는 상기 수납부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턱이 형성된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에 형성된 상기 고정턱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발열판을 탄력적으로 작용시키도록 설치되는 열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KR20-2004-0037259U 2004-12-29 2004-12-29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KR200378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59U KR200378978Y1 (ko) 2004-12-29 2004-12-29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59U KR200378978Y1 (ko) 2004-12-29 2004-12-29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881A Division KR20060076140A (ko) 2005-03-14 2005-03-14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978Y1 true KR200378978Y1 (ko) 2005-03-16

Family

ID=4368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259U KR200378978Y1 (ko) 2004-12-29 2004-12-29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9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04Y1 (ko) * 2009-03-04 2012-03-22 김헌성 전기고대기
KR20220018669A (ko) * 2020-08-07 2022-02-15 안나은 헤어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04Y1 (ko) * 2009-03-04 2012-03-22 김헌성 전기고대기
KR20220018669A (ko) * 2020-08-07 2022-02-15 안나은 헤어 기기
KR102479913B1 (ko) * 2020-08-07 2022-12-21 안나은 헤어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062B1 (ko) 다양한 형상의 롤러가 구비된 고데기
KR200417662Y1 (ko) 미용용 고데기
US8353303B2 (en) Portable folding type hairstyling tool
JP6410947B2 (ja) 製品の塗布を調節するための頭髪処理用装置
US8047212B2 (en) Eyelash curling apparatus
KR101014054B1 (ko) 회전형 헤어 아이론
KR20060076140A (ko)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KR200378978Y1 (ko) 잠금장치가 부설된 고데기
KR200472103Y1 (ko) 모발의 뿌리부 세팅용 헤어 아이론
KR101144160B1 (ko) 히터 내장형 접이식 컬용 고데 겸용 빗
KR200397148Y1 (ko) 고데기용 누름 스프링
KR102051445B1 (ko) 냉온 기능을 갖는 고데기
KR200494792Y1 (ko) 클램프를 구비하는 빗살형 고데기
KR200246302Y1 (ko) 미용용 고데기
KR101175279B1 (ko) 휴대용 접이식 머리손질 장치
KR20100041337A (ko) 온도 제어가 용이한 고데기
KR200217587Y1 (ko) 미용용 고데기
KR200460916Y1 (ko) 머리 미용기구
KR200441038Y1 (ko) 미용용 고데기
KR200420637Y1 (ko) 다양한 형상의 롤러가 구비된 고데기
JP2019155099A (ja) 多機能ヘアーアイロン{3−way hair iron}
KR200449718Y1 (ko) 미용용 고데기
KR20110042529A (ko) 고데기
KR200463367Y1 (ko) 헤어 아이롱기
KR200253703Y1 (ko) 휴대용 고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