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933Y1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933Y1
KR200378933Y1 KR20-2004-0036545U KR20040036545U KR200378933Y1 KR 200378933 Y1 KR200378933 Y1 KR 200378933Y1 KR 20040036545 U KR20040036545 U KR 20040036545U KR 200378933 Y1 KR200378933 Y1 KR 200378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andle
bent leaf
leaf spring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5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종준
Original Assignee
안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준 filed Critical 안종준
Priority to KR20-2004-0036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9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93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고정 막대로부터 음식물을 용이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는, 음식물 고정 막대가 삽입식으로 연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공간에 형성되어 고정 막대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며 단부에 톱니가 형성된 절곡형 판스프링 그리고,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를 가압하여 고정 막대를 손잡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밀어내는 가압 버튼을 포함한다. 손잡이의 상단부에는 음식물이 고정 막대를 따라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는 전체적으로 아치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손잡이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톱니가 형성된다. 손잡이 부재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고정된 막대를 파지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가압 버튼을 누르면 고정 막대가 자동으로 내려가고 음식물은 걸림턱에 걸려 음식물을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다.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rod, which can easily and hygienically separate food from the fixing rod, has a handle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erting the food fixing rod into an insertable manner, and is formed in the space so that the fixing bar is disposed vertically. And a bent leaf spring supporting and serrated at the end, and a pressurizing button for pushing the bent leaf spring member to push the fixing ro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A funnel-shaped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to prevent food from being pushed along the fixing rod, and the bent leaf spring member has an arch shape as a whol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teeth. do. Hygienic problems can be solved by gripping the rod to which the food is fixed using the handle member, and when the pressing button is pressed, the fixing bar is automatically lowered and the food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to conveniently eat the food.

Description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Automatic handle of food fixing bar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본 고안은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묵, 닭고기 또는 소시지와 같은 음식물을 고정하기 위한 막대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막대로부터 음식물을 분리할 수 있는 자동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handle capable of easily holding a rod for fixing food such as fish paste, chicken or sausage and separating food from the rod.

일반적으로 어묵, 닭고기, 소시지(sausage)와 같은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나무막대를 음식물에 꽂은 후, 상기 나무막대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취식한다. 즉, 음식물은 나무막대의 상단부로부터 취식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eat food, such as fish paste, chicken, sausage (sausage), after inserting a wooden rod in the food, the bottom of the wooden rod is eaten by eating. That is, food is eaten from the upper end of the bar.

상기의 경우, 처음에는 용이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지만, 음식물이 나무막대의 중간부에 남게 될 경우, 돌출된 나무막대의 상단부에 의하여 취식이 매우 곤란해진다. 따라서 손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음식물을 나무막대의 상단부로 밀어 올린 후, 다시 음식물을 취식한다. 하지만 이는 위생상 매우 위험하며, 손이나 기타 도구에 음식물의 양념이 묻게 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In the above case, food can be easily eaten at first, but when food is left in the middle of the bar, eating becomes very difficult by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bar. Therefore, using a hand or other tools, push the remaining food to the upper end of the wooden rod, and eat the food again. However, this is very hygienic and causes a problem with food and seasonings on your hands and other tools.

나무막대의 중간부에 잔존하는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나무막대를 뉘운 뒤, 나무막대의 측부로부터 음식물을 취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음식물이 나무막대를 기준으로 일측에만 잔존하여 음식물이 나무막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음식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취식이 매우 곤란해지게 된다. 또한, 나무막대의 측부로부터 음식물을 취식함으로써 입가에 음식물의 양념이 묻게 되는 불편함도 초래된다. 따라서 특별한 주의를 들이지 않아도 편리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음식물 고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As another method for eating food remaining in the middle of the bar, after the bar is laid, the food can be eaten from the side of the bar. However, in this case, food may remain on only one side of the bar, causing food to deviate from the bar. In other words, food falls to the floor, and eating becomes very difficult. In addition, ingestion of food from the side of the wooden rod also causes inconvenience in that the food seasoning is buried in the mout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od fixing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eat food without paying special attention.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고정 막대를 위생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고정 막대로부터 음식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ygienically hold the food fixing bar, food fixing bar that can easily separate food from the fixing bar To provide an automatic handle.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는, 음식물 고정 막대가 삽입식으로 연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공간에 형성되어 고정 막대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며 단부에 톱니가 형성된 절곡형 판스프링 그리고,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를 가압하여 고정 막대를 손잡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밀어내는 가압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손잡이의 상단부에는 음식물이 고정 막대를 따라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는 전체적으로 아치형상을 가지며 일단부가 손잡이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톱니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erting the food fixing rod insertably, the fixed bar is formed in the space It is composed of a bent leaf spring having a sawtooth formed at the end and supported to be disposed vertically, and a pressing button for pressing the bent leaf spring member to push the fixing rod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to the lower end. In this case, a funnel-shaped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to prevent food from being pushed along the fixing bar, and the bent leaf spring member has an arc shape as a whol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is Cogs are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 고정 막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도 음식물 고정 막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음식물 고정 막대를 파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food fixing rod can be easily gripped, but also the foo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ood fixing rod. Therefore, the food can be eaten conveniently, and the food fixing rod can be grasped hygien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음식물 고정 막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shown in Figure 1, Figure 3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to explain how to separate the food using the food fixing bar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는 어묵, 음식물 고정 막대가 어묵, 닭고기, 소시지와 같은 음식물(F)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막대(S)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걸림턱(115)이 형성된 손잡이 부재(110), 가압 버튼(120) 및 절곡형 판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다. 1 to 3,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rod is a device for easily holding the fixing rod S for fixing the fish cake, the food fixing rod, foods such as fish cake, chicken, sausage, etc. The handle member 110 having the locking jaw 115 is formed, the pressing button 120 and the bent leaf spring (130).

손잡이 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cylinder) 형상을 갖는다.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 중심에는 고정 막대(S)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손잡이 부재(110)의 하단부 중심에는 고정 막대(S)의 직경보다 큰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된다.The handle member 110 has a cylinder shape as a whole.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is formed a first opening 111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fixing bar (S), the second of th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bar (S)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Opening 112 is formed.

손잡이 부재(110)의 내부에는 절곡형 판스프링(130)이 배치된다. 절곡형 판스프링(130)은 아치형상으로 굽어진 형상을 기억할 수 있는 유연한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형 판스프링(130)은 제1 개구부(111)로부터 제2 개구부(112)를 향하여 연장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1 단부(131)는 제1 개구부(111)에 인접하도록 손잡이 부재(110)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132)는 제2 개구부(1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132)에는 톱니(133)가 형성된다. 이후 설명하겠지만,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톱니(133)는 고정 막대(S)에 밀착되어 고정 막대(S)를 제2 개구부(112)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bent leaf spring 130 is disposed inside the handle member 110. The bent leaf spring 13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etal plate capable of storing an arcuate shape. The bent leaf spring 130 extends from the first opening 111 toward the second opening 112. In more detail, the first end 131 of the bent leaf spring 130 is fixed to the inner upper side of the handle member 11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111, and is formed of the bent leaf spring 130. The second end 1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112. In this case, teeth 133 are formed at the second end 132 of the bent leaf spring 1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eth 133 of the bent leaf spring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bar (S) serves to push the fixing bar (S) to the second opening (112).

바람직하게는, 고정 막대(S)를 효과적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손잡이 부재(110)의 내부에 동일한 형상의 한 쌍의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이 배치한다. 보다 발전적으로는, 고정 막대(S)를 밀어낼 경우에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이 확실히 지지되도록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을 손잡이 부재(110)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손잡이 부재(110) 내부에 한 쌍의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이 배치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절곡형 판스프링(130)을 다르게 형성하거나, 을 손잡이 부재(110) 내부에 다른 구조로 배치할 수 있다. Preferably, a pair of bent leaf springs 130 of the same shape is disposed inside the handle member 110 to effectively push the fixing rod (S). In further development,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handle member 110 so that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reliably supported when the fixing bar S is pushed out.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in which the pair of bent leaf springs 130 are disposed inside the handle member 110, but the bent leaf spring 130 may be formed differently, or the inside of the handle member 110. Can be arranged in different structures.

손잡이 부재(110)의 내측벽과 절곡형 판스프링들(130) 사이에는 가압 버튼(120)이 각각 배치되고, 손잡이 부재(110) 측부에는 가압 버튼(120)의 위치에 대응하게 제3 개구부들(113)이 형성된다. The pressing button 12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andle member 110 and the bent leaf springs 130, and the third openings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andle member 1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button 120. 113 is formed.

가압 버튼들(120)은 모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가압 버튼(120)의 상단부는 제3 개구부(113)를 통하여 손잡이 부재(110)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가압 버튼(120)이 손잡이 부재(110)의 내측벽에 걸린다. 따라서 가압 버튼들(120)이 손잡이 부재(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pressing buttons 120 are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hat-shaped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each pressing button 120 protrudes outside the handle member 110 through the third opening 113, and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utton 120 is caught by the inner wall of the handle member 110. Therefore, the pressing buttons 12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ndle member 110.

가압 버튼들(120)은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에 의하여 손잡이 부재(110)의 내측벽에 각각 밀착된다. 이는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이 아치형을 굽어진 형상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각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들(132)은 톱니(133)가 형성된 면이 고정 막대(S)에 접하도록 가압된다. The pressing buttons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andle member 110 by the bent leaf springs 130,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the bent leaf springs 130 have an arcuate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ends 132 of each bent leaf spring 130 are pressed so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teeth 133 are formed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bar S.

가압 버튼들(120)이 손잡이 부재(110) 내부로 들어가도록 가압하면,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은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펴지게 된다. 이 경우, 각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1 단부들(131)은 손잡이 부재(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들(132)이 손잡이 부재(110)의 하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들(132)이 손잡이 부재(110)의 제2 개구부(11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결과, 절곡형 판스프링(130)의 제2 단부(132)가 손잡이 부재(110)의 제2 개구부(112)에 근접하게 된다. When the pressure buttons 120 are pressed to enter the handle member 110,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unfolded to b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ends 131 of each of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fixed to the handle member 110, the second ends 132 of each of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handle members. It is mov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110). That is, the second ends 132 of the bent leaf spring 130 move toward the second opening 112 of the handle member 110. As a result, the second end 132 of the bent leaf spring 130 comes close to the second opening 112 of the handle member 110.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의 제2 단부들(132)에는 톱니(133)가 각각 형성되어 고정 막대(S)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2 단부들(132)과 고정 막대(S) 사이에서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고정 막대(S)는 제2 단부들(132)이 이동함에 따라 같이 이동된다. As already described above, teeth 133 are formed at the second ends 132 of the bent leaf springs 130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rod S. Therefore,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ends 132 and the fixing rod S, and the fixing rod S moves together as the second ends 132 move.

고정 막대(S)의 상단부에 음식물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고정 막대(S)가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밀려나면, 음식물은 고정 막대(S)를 따라서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로 내려오게 된다. 즉, 고정 막대(S) 상단부로 음식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잇다. When the foo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S), when the fixing bar (S) is push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to the lower end, the food i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along the fixing bar (S) Will come down. That is, the food can be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S). Therefore, food can be easily eaten.

가압 버튼들(120)로부터 가압력을 제거하면,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은 다시 아치형으로 굽어지도록 복원된다.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에 접촉된 가압 버튼들(120)은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손잡이 부재(110)의 외부로 다시 돌출된다.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from the pressing buttons 120,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restored to bend arcuate again. The pressing buttons 120 in contact with the bent leaf springs 130 protrude out of the handle member 11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ent leaf springs 130.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이 아치형으로 복원되더라도 즉,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의 제2 단부들(132)이 제2 개구부(112)로부터 멀어지더라도 고정 막대(S)는 절곡형 판스프링들(130)을 따라서 손잡이 부재(110)의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는, 톱니(133)가 제2 단부들(132)에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단부들(132)이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톱니(133)와 고정 막대(S)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발생되지만, 제2 단부들(132)이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 톱니(133)와 고정 막대(S) 사이에는 마찰력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막대(S)는 가압 버튼들(120)을 누를 경우에만 손잡이 부재(110) 하방으로 밀려난다. Even if the bent leaf springs 130 are restored to an arc, that is, the second ends 132 of the bent leaf springs 130 move away from the second opening 112, the fixing rod S is bent. It does not move upward of the handle member 110 along the leaf springs 130. This is because the teeth 133 are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s at the second ends 132,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second ends 132 move downward, a larg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teeth 133 and the fixing rod S, but when the second ends 132 move upwards, the teeth 133 and Frictional force is hardly generated between the fixing rods S. Therefore, the fixing bar (S) is pushed down the handle member 110 only when pressing the pressing buttons (120).

고정 막대(S)가 손잡이 부재(110) 하방으로 밀려날 경우, 고정 막대(S)의 상단부에 연결된 음식물(F)이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까지 내려온다. 음식물(F)을 고정 막대(S)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또한, 음식물(F)이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에 접촉될 경우 발생되는 위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재(110)의 상단부 둘레에 깔때기 형상의 걸림턱(1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ixing rod (S) is pushed down the handle member 110, the food (F)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rod (S) comes down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In order to effectively separate the food F from the fixing rod S, and to solve the hygien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food F come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aroun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1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unnel-shaped locking jaw 115.

걸림턱(115)은 손잡이 부재(110)의 상부를 향하여 벌려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걸림턱(115)은 손잡이 부재(1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손잡이 부재(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115)은 손잡이 부재(110)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나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사용 용도에 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ocking jaw 115 is formed to have a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member 110. The locking jaw 1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member 110 or may be detachably formed from the handle member 110. In addition, the locking jaw 115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andle member 110,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wood or plastic. On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be able to select this for the intended use.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 부재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고정된 막대를 파지함으로써 손에 양념이 묻는 등과 같은 불편 및 위생상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고정 막대가 자동으로 내려가고 음식물은 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즉, 고정 막대로부터 음식물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막대로부터 음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손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음식물을 용이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hygiene problems, such as seasoning on the hand by holding the rod fixed to the food using the handle member. In addition, by simply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the fixing bar is automatically lowered and the food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That is, food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from the fixing ro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hand or other tool to separate food from the fixing rod, and the food can be eaten easily and hygienical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handle of a food fix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음식물 고정 막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to explain a method of separating food using the food fixing ba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 110:손잡이 부재100: Automatic handle of food fixation bar 110: Handle member

111:제1 개구부 112:제2 개구부111: first opening 112: second opening

113:제3 개구부 115:걸림턱113: third opening 115: locking jaw

120:가압 버튼 130:절곡형 판스프링120: Pressure button 130: Bending type leaf spring

131:제1 단부 132:제2 단부131: first end 132: second end

133:톱니 F:음식물133 : Sawtooth F : Food

S:고정 막대S : Fixed bar

Claims (4)

음식물 고정 막대가 삽입식으로 연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손잡이 부재;A handle member having a space for inserting the food fixing rod into the insert; 상기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막대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며, 단부에 톱니가 형성된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 및 A bent leaf spring member formed in the space and supporting the fixing rod so as to be disposed vertically and having teeth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상기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밀어내기 위한 가압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And a pressing button for pushing the bent leaf spring member to push the fixing rod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음식물이 상기 고정 막대를 따라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걸림턱 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unnel-shaped locking jaw member for preventing the food from being pushed along the fixing bar is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andl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에 상기 고정 막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 막대가 관통되기 위한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부에는 상기 가압 버튼이 돌출되기 위한 제3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 first opening for inserting the fixing bar is formed in the upper end, a second opening for penetrating the fixing bar is formed in the lower end, The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opening for protruding the pressing button is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인접하게 상기 손잡이 부재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톱니는 상기 절곡형 판스프링 부재의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고정 막대의 자동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e end of the bent leaf spring is fixed to the handle member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nd the lower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wherein the teeth of the bent leaf spring member Automatic handle of the food fix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portion.
KR20-2004-0036545U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KR2003789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45U KR200378933Y1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45U KR200378933Y1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687A Division KR20060073543A (en) 2006-02-07 2006-02-07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933Y1 true KR200378933Y1 (en) 2005-03-17

Family

ID=4368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545U KR200378933Y1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93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435B1 (en) * 2016-06-29 2017-12-29 주식회사 유케어 An elastic member for shoes dust removal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435B1 (en) * 2016-06-29 2017-12-29 주식회사 유케어 An elastic member for shoes dust remova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2B2 (en) Utensil with grip feature
US5709423A (en) Food gripper utensil
US4768288A (en) Salad tongs
JPS6053569B2 (en) Animal excrement collec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US5403052A (en) Egg spatula
KR200378933Y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 stick
US3233325A (en) Ejector type culinary utensil
KR2006007354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ushing out food of thestick
KR101982598B1 (en) A tong
JP5183813B1 (en) Skewer food pusher
JP4776101B2 (en) Grip and tools
KR200260333Y1 (en) Packing case for hamburger
JP4348711B2 (en) Umbrella handle
KR20160075283A (en) A scoop having a push bar
KR200463336Y1 (en) Tongs for food
US11950716B2 (en) Food holder
KR200174546Y1 (en) Tongs for kitchen
JP3123606U (en) Grip self-helper
KR102198098B1 (en) Sanitary spoon
JP2005052256A (en) Sushi holding implement and sushi serving implement
JP6439945B2 (en) handrail
KR200287985Y1 (en) Cover of fryfan
KR200249196Y1 (en) Skewered food pusher
KR100434798B1 (en) Catching utensiles for catch a earthworm
KR20240060086A (en) Infant spoon with acti-fal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