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190Y1 -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 Google Patents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190Y1
KR200378190Y1 KR20-2004-0034858U KR20040034858U KR200378190Y1 KR 200378190 Y1 KR200378190 Y1 KR 200378190Y1 KR 20040034858 U KR20040034858 U KR 20040034858U KR 200378190 Y1 KR200378190 Y1 KR 200378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lock
vibrator
switch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
Original Assignee
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 filed Critical 임찬
Priority to KR20-2004-0034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2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feeling; Clocks or watches for blind persons
    • G04B25/04Alarm clocks or watches with devices stimulating the skin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G04C21/2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 G04C21/2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put into action by the vibrations caused by the operation of a mechanical alarm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시계케이스의 내부에 스피커나 벨등으로 이루어진 경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경보수단은 알람설정시간이 세팅되는 시계회로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경보수단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와 경보수단및 시계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장착되고, 상기 밧데리와 스위치가 연결되는 컨넥터가 다이오드를 개재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넥터에 연결단자로서 연결되는 진동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경보를 진동및 빛을 통하여 전달하여 특히 청각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an alarm clock which a vibrator connect on the outside}
본 고안은,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경보수단을 갖는 알람시계의 내측으로 밧데리와 스위치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개재하여 컨넥터를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컨넥터에 알람시계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진동기를 연결설치하는 구성으로서 소정의 시간에 경보로서 진동및 빛을 발산하여 청각장애인등이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게 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시계는, 청각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각성시키고 지정한 시간을 인식하도록 하는 시계이다.
이렇게 청각을 이용한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안은 자명종을 시초로 수 없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IC집적회로의 발달로 수 많은 종류의 음향효과를 내고 알람음의 시간간격에 따라 제공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음성신호에 의한 알람음의 발생은 공동생활을 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어 완벽한 알람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청각장애자의 경우 기존의 음향을 이용한 알람시계의 효용가치가 전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소음이 큰 장소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도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형 알람시계가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6093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계회로(10)에 전원(60)을 +전류 INPUT(11)과 -전류INPUT(12)으로 연결시키고, +단자에 무선호출기의 진동효과를 내도록 ON/OFF용 스위치(40)가 연결되는 진동알람장치(20, 21)를 접속하였으며, 알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2단 스위치(30)를 진동알람장치의 단말(13)과 BUZZER(50)의 단말에 연결하여 진동과 경보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진동알람장치는 안정된 회전을 유지시켜 주는 콘덴서(22)를 전기모터(20)의 INPUT단자 및 OUTPUT단자에 각각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진동형 알람시계는, 시계자체에 알람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되어 청각장애인이 사용시 시계를 항상 곁에 위치시켜야하여 장소에 따른 제약이 많으며, 취침시 잠이 덜깬상태에서 부주위로 진동알람되는 시계를 바닥등에 낙하시켜 파손시킬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취침시에 상기 진동형 알람시계를 사용하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시계를 사용자의 머리맡에 위치시켜야 하여 몸을 뒤척일때 부딪치거나 눌르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계의 알람박식을 청각을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방식에서 진동및 빛에 의한 전달방식으로 전환시켜 청각장애인들이 쉽게 알수 있도록 하고, 취침시 소형화되는 진동장치를 임의의 곳에 설치하여 이질감을 방지함은 물론 설치장소의 제약을 최소화 하며,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서 모터및 램프의 구동이 가능토록 하고, 통상의 시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시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시계케이스의 내부에 스피커나 벨등으로 이루어진 경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경보수단은 알람 설정시간이 세팅되는 시계회로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경보수단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와 경보수단 및 시계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장착되고, 상기 밧데리와 스위치가 연결되는 컨넥터가 트랜지스터를 개재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넥터에 연결단자로서 연결되는 진동기가 더 구비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시계본체(100)와 진동기(23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시계본체(100)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케이스의 내측에 시계회로(110)가 위치하여 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밧데리(120)에 의해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시계회로(110)의 일측에는 경보용 스피커나 벨등으로 이루어져 소리를 통한 경보를 발하도록 설치되는 경보수단(140)이 구비되고, 상기 경보수단(140)역시 스위치노브(130)가 결합되는 스위치회로(150)와 밧데리(120)가 각각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스위치회로(150)는, 저항(180a)이 개재되는 트랜지스터(180)의 일측에 컨넥터(190)가 시계본체(100)의 외부에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트렌지스터(180) 역시 밧데리(120) 전원과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컨넥터(190)에는 소정의 길이에서 이격토록 일단부에 연결단자(270a)가 구비되는 케이블(270)의 타단에 진동기(230)가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진동기(230)는, 그 내측에 편심연결되는 중량추(250a)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250)및 이를 동작시키는 스위치(210)가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스위치(210)에 연결되는 경고램프(290)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시계본체(100)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케이스의 내측으로 시계회로(110)가 위치하여 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시침 및 분침, 초침등을 구동시키도록 하고, 시계회로는 상기와 같은 아나로그 방식이 아닌 숫자등의 디지털 방식을 통하여 구현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시계회로(110)는, 밧데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밧데리는 케이스를 통하여 외부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시계회로(110)의 일측에는 경보용 스피커나 벨등으로 이루어져 소리를 통한 경보를 발하도록 설치되는 경보수단(140)이 구비되어 시계회로(110)가 소정의 시간이 되면 상기 경보수단(140)을 통한 알람을 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계회로(110)에는 경보수단(140)의 조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노브(130)를 구비하는 스위치회로(150)가 연결되어 알람을 멈추게 할 때는 상기 스위치노브(130)를 누르면 알람동작이 멈추게 된다.
계속하여, 청각장애인이 취침시에 본 고안의 알람시계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계본체(100)에 설치되는 컨넥터(190)를 통하여 진동기(230)를 연결한 후 상기 진동기(230)의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면 알람을 원하는 일정시간에 시보를 발하여 사용자가 진동기(230)의 진동을 느낌으로써 기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기(2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270)을 통하여 부피를 갖는 시계본체(100)를 탁상등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소형인 진동기(230) 만을 이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취침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 한다.
더하여, 상기 진동기(230)는, 자체적으로 스위치(210)가 부착되어 알람신호에 의한 모터(2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250)의 일측에는 스위치(210)에 의해 동작하는 경고램프(290)가 부착되어 청각장애인이 시각으로서 세팅된 알람시각을 알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진동기(230)를 동작시키는 컨넥터(190)는, 저항(180a)이 개재되는 트랜지스터(180)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알람의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진동기의 모터(250)를 구동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계본체(100)에 진동기(230)를 연결하면 알람을 위한 소정의 시간에 진동이나 빛등을 통하여 경보를 발하게 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알람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계의 알람박식을 청각을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방식에서 진동및 빛에 의한 전달방식으로 전환시켜 청각장애인들이 쉽게 알수 있고, 취침시 소형화되는 진동장치를 임의의 곳에 설치하여 이질감을 방지함은 물론 설치장소의 제약을 최소화 하며,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서 모터및 램프의 구동이 가능하고, 통상의 시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시계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1은 종래의 진동형 알람시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알람시계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알람시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시계본체 120...밧데리
140...경보수단 150...스위치회로
190...컨넥터 230...진동기
290...경고램프

Claims (3)

  1.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케이스의 내측에 시계회로(110)가 위치하며 그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밧데리(120)에 의해 구동하는 시계본체(100)의 내측으로 시계회로(110)와 연결되면서 경보용 스피커나 벨등으로 이루어져 소리를 통한 경보를 발하도록 설치되는 경보수단(140)이 구비되고, 상기 경보수단(140)역시 스위치노브(130)가 결합되는 스위치회로(150)와 밧데리(120)가 각각 연결되는 알람시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회로(150)는 저항(180a)이 개재되는 트랜지스터(180)을 통하여 시계본체(100)의 외부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컨넥터(190)와 연결되고, 상기 트렌지스터(180) 역시 밧데리(120)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컨넥터(190)에는 연결단자(270a)가 접속될 때 그 단부에 연결되는 케이블(270)로서 시계본체(100)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진동기(2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230)는, 케이스의 내측에 편심연결되는 중량추(250a)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250)및 이를 동작시키는 스위치(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230)는, 상기 스위치(210)에 연결되는 경고램프(2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KR20-2004-0034858U 2004-12-08 2004-12-08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KR200378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58U KR200378190Y1 (ko) 2004-12-08 2004-12-08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58U KR200378190Y1 (ko) 2004-12-08 2004-12-08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190Y1 true KR200378190Y1 (ko) 2005-03-10

Family

ID=4367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58U KR200378190Y1 (ko) 2004-12-08 2004-12-08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8890B1 (en) Portable device with power management controls
US20020181336A1 (en) Portable timer-alarm
US5928170A (en) Audio-enhanced sexual vibrator
US5282181A (en) Silent alarm timepiece
US7751284B2 (en) Self-moving alarm clock
US20040097852A1 (en) Audio interactive sexual vibrator
US4028882A (en) Awakening system with means adapted to relax tense muscles
US20130170329A1 (en) Silent alarm and exam notification timer device
JPH0326048B2 (ko)
KR200378190Y1 (ko) 외부연결형 진동기를 갖는 알람시계
CN201054175Y (zh) 多功能生活辅助装置
KR200391529Y1 (ko) 알에프를 이용한 무선 저주파 자극기
CN114258314A (zh) 外听道光生物调节装置
KR200342252Y1 (ko) 알람기능과 음악 기타 소리방송기능을 갖는 베개
KR100218725B1 (ko) 졸음방지기
CN2393125Y (zh) 防吵闹钟装置
US20100134282A1 (en) Vibe: alarm
CN217486618U (zh) 一种压力适配式助眠音箱
CN214045931U (zh) 一种节能的自感应式无线蓝牙音箱
KR200223421Y1 (ko) 움직이는 알람시계
CN201097159Y (zh) 振动闹钟
KR200268324Y1 (ko) 진동형 손목시계
US20090116671A1 (en) Remotely activated earpiece with radio and masking functions
KR200289756Y1 (ko) 조도감지를 이용한 음악의 선택 출력장치
KR200320321Y1 (ko) 알람기능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