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067Y1 -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067Y1
KR200378067Y1 KR20-2004-0036078U KR20040036078U KR200378067Y1 KR 200378067 Y1 KR200378067 Y1 KR 200378067Y1 KR 20040036078 U KR20040036078 U KR 20040036078U KR 200378067 Y1 KR200378067 Y1 KR 200378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vertisement
projector
generator
mobil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순
Original Assignee
강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순 filed Critical 강철순
Priority to KR20-2004-0036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는 차량에 의해 이동되고 회전에 의해 일방이 개폐되는 적재함을 이용해 광고를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광고에 관련된 전시 제품이 얹어지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일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전시물 장치와; 상기 전시물 장치가 위치된 개방된 일방과 반대 방향의 적재함 내부에 수직 승강되는 승강봉에 구비되는 스크린과, 적재함 상부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적재함 외부로 출몰되는 안테나형 암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장치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면서 그 광고 제품을 연계하여 전시함으로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Movement type total advertising device by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면서 그 광고 제품을 연계하여 전시함으로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광고의 수단으로는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미디어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한 홍보나, 법적으로 허가된 도로변 또는 건물 옥상과 같은 일정한 구역 내에서 지주 등을 세워 광고 수단을 부착하여 광고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디어를 통한 광고는 시각 및 청각의 효과를 가미하여 홍보함으로써 일반인들에게 어필할 수는 있지만 지속적인 광고가 요구되는 특정 야외 행사장 등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상당한 광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정한 구역 내에서 광고 수단을 부착하여 하는 광고는 설치 또는 철거시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동성이 결여되어 일정한 장소에서만 광고를 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에 광고 수단을 설치하는 홍보 및 광고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광고 차량은 대부분 멀티비젼이나 LCD장치를 이용하여 음향과 더불어 광고를 하거나 또는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데, 기동력이 있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로 찾아가 광고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영상을 통해서만 광고를 하기 때문에 광고 제품을 실제적으로 볼 수 없어 광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면서 그 광고 제품을 연계하여 전시함으로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의 전후면 뿐만 아니라 일측벽도 광고로 활용함으로써 광고 제품에 관련해서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형 종합광고장치가 차량에의 착탈이 가능하고 차량과 별도의 전원으로 작동되어 차량을 시동을 걸지 않고서도 광고를 할 수 있어 편리한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는 차량에 의해 이동되고 회전에 의해 일방이 개폐되는 적재함을 이용해 광고를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광고에 관련된 전시 제품이 얹어지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일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전시물 장치와; 상기 전시물 장치가 위치된 개방된 일방과 반대 방향의 적재함 내부에 수직 승강되는 승강봉에 구비되는 스크린과, 적재함 상부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적재함 외부로 출몰되는 안테나형 암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장치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종합광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과 종합광고장치(20)는 분리가 가능하고, 종합광고장치(20)에는 적재함(100)과, 이 적재함(100)에 적재되는 전시물 장치(200), 프로젝터 장치(300), 착탈장치(400), 제어기계(600), 발전기 및 광고 보조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전방으로 개방이 가능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후측벽(102)이 바닥면(104)에 수직 고정되고, 그 후측벽(102)의 상부에는 천정(106)이 회동축(108)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천정(106)은 다시 후측벽(102)과 대향된 위치의 전측벽(110)과 고정되게 수직으로 결합되어, 천정(106)과 전측벽(110)은 회동축(108)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전방이 개방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천정(106)은 후측벽(102)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전측벽(110)은 수평의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후측벽(102)은 예를 들어 조수석이 있는 방향의 적재함(100) 측벽을 말하고, 전측벽(110)은 운전석이 있는 방향의 적재함 측벽을 말한다.
상기 바닥면(104)과 만나는 전측벽(110)의 끝단부 외측으로 직각되게 광고 보조수단으로 제1LED장치(702)가 회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벽(110)의 모서리에는 외부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광고 보조수단으로 외부 조명등(704)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외부 조명등(704)의 조명 각도는 수동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후측벽(102)과 천정(106)에는 투명창(102a,106a)이 형성되어 적재함(100) 내부에 광고 보조수단으로 구비된 제2LED장치(706)에 출력되는 광고 내용을 투명창(102a 또는 106a)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적재함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102)과 전측벽(100)의 측방향에 접촉되는 일측벽(112)의 외측에는 광고 보조수단으로 광고판삽입틀(708)이 형성된 것으로, 별도의 광고판(710)을 끼움 삽입시켜 차량을 운행을 함으로써 상기 별도로 설치된 광고판(710)에 의해 광고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천정(106)의 일부에는 광고 보조수단으로 제3LED장치(712)가 구비되어, 천정(106)이 90도 회동하여 후측벽(102)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3LED장치(712)를 통해 광고를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일측벽(112)은 예를 들어 차량 후방의 적재함(100) 측벽을 의미한다.
적재함(100)은 3개의 방(室)으로 격벽(114)에 의해 구획되어 전시실(120), 제어기계실(130), 발전기실(140)로 이루어지고, 전시실(120)에는 전시물 장치(200)와 프로젝터 장치(300)가, 제어기계실(130)에는 제어기계(600)가, 발전기실(140)에는 차량(10)과는 별도로 종합광고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가 수용된다.
상기 격벽(114)은 미닫이 형태의 칸막이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계실(130)과 차량의 운전석 사이에는 유압을 컨트롤하는 유압 제어박스(802)가 위치되어 유압 제어박스(802)에 구비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유압에 의해 전시물 장치(200), 프로젝터 장치(300), 착탈장치(400), 스크린(320), 전측벽(100)과 천정(106)의 회동축(108)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나, 본 고안이 이러한 유압 제어박스(802)의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시실(120)의 바닥면(104) 중앙 부위에는 전시물 장치(20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시물 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성가 전시실(120)의 바닥면(104)에는 적정 간격으로 레일(222)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물 장치는, 바닥 프레임(220), 유압 실린더(202), 유압 실린더(202)에 의해 승강하는 리프트(204), 상기 리프트(204) 위에 설치되고 전시 제품이 얹어지는 회전판(206) 및 상기 리프트(204)의 승강받침대(204a)와 회전판(206)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판(206)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06)은 회전뿐만 아니라 좌우로 일정거리 왕복 이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트(20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202)의 작동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하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202)에 의해 승강되는 자바라 타입의 승강링크(204b) 및 승강링크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승강받침대(204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받침대(204a)에는 회전판(206) 상부에 장착된 전시 제품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스탠드형 조명등(2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 받침대(204a)의 전방으로는 롤식 플랜카드(720)가 구비되어 리프트(204)가 상승하였을 경우, 상부에는 전시 제품을 통해 광고하고 플랜카드를 풀어 하부에서 플랜카드(720)에 새겨진 문구를 통해 광고를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220)의 하부에는 호차바퀴(220a)가 내설되어 레일(22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으로, 전시물 장치(200)는 레일(222)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전시실(120) 내부와 개방된 전방의 공간에는 프로젝터 장치(300)가 위치된다.
상기 개방된 전시실(120)의 내측벽에는 스피커(302)가 설치되고, 입체적으로 음향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상하좌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젝터 장치(300)는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310)와 상기 프로젝터(310)에서 비추는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프로젝터 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시물 장치(200)의 후방과 후측벽(102)의 사이의 전시실(120) 공간에는 스크린(320)이 설치된 승강봉(322)이 다단식 유압 실린더(324)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
결국 도면에서 보아, 스크린(320) 후방의 전시실 내부에 상기 제2LED장치(706)가 후측벽(102)에 형성된 투명창(102a)이 설치된 높이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승강봉(322)의 후측에 제2LED장치(706)가 설치되어 승강봉(322)의 승강에 따라 같이 승강함이 바람직하다.
개방된 상태에서의 전측벽(110) 하부에는 안테나형의 프로젝터 암(312)이 지지부재(314)에 의해 지지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로젝터 암(312)의 단부에는 스크린(320)에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310)가 상하좌우의 틸트(tilt)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전시물 장치(200)와 프로젝터 장치(300)를 이용해 전방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린(320)을 상승시키고 프로젝터 암(312)의 길이를 조절해 스크린(320)에 프로젝터(310)에서 조사된 영상이 맺히도록 한다.
이때 전시물 장치(200)는 승강시키지 않고, 회전모터(208)가 회전하면 광고에 관련된 회전판(206) 상부의 전시 제품이 하부에서 회전되면서, 상부에서 스크린(320)을 통해 그 전시 제품에 관련된 광고를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스탠드형 조명등(210)으로 전시 제품을 집중 조명하면 그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종합광고장치(20)는 차량(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분리된 상태에서도 종합광고장치(20)를 구동할 수 있도록 발전기(500)가 구비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착탈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장치(400)는 복수개의 브리지(402)가 적재함(100)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각 브리지(402)에는 지면판(404)이 부착된 실린더형 로드(406)가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실린더형 로드(406)는 유압의 힘에 의해 승강되어 적재함(100)이 상승한 상태에서 차량(10)을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합광고장치(20)가 차량(10)에 의해 이동된 상태에서 실런더형 로드(406)가 수직 하강함으로써 지면판(404)이 지면에 안전하게 접촉되며, 이때 적재함(100)은 차량(10)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어 차량(10)의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기계실(120)에는 조명등(210,704), 스피커(302), LED장치(702,706,712), 프로젝터(310) 등을 제어(예를 들어 ON/OFF, 볼륨 조정)하여 광고를 수행하고 광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기계(600)가 위치된다.
도 6은 나타낸 제어기계와 발전기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계(600)와 발전기(500)가 바닥면(104)에 설치된 롤러(806)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송되는 받침대(804)에 장착된다.
제어기계(600)가 제어기계실(130)에 서랍식으로 전후로 이송되게 수납되어, 제어기계(6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고, 사용한 후에는 제어기계(600)를 뒤로 후진시켜 제어기계실(130)에 위치시키면 된다.
발전기실(140)에는 차량의 전원과는 별도로 종합광고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500)가 위치된다.
이때, 발전기(500)가 발전기실(140)에 서랍식으로 전후로 이송되게 수납되어, 발전기(5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고 사용한 후에는 발전기(500)를 뒤로 후진시켜 발전기실(140)에 위치시키면 되어 편리하다.
이와 같이 서랍식으로 발전기(500)를 수납하는 이유는 발전기가 동작을 하면서 소음을 발생하여 발전기실 내부에 있는 경우, 그 소음이 더 크게 출력되므로 종합광고장치(20)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고 발전기(500) 및 제어기계(600)의 수리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서 서랍식으로 이송되는 수단으로 받침대(804)와 롤러(806)로 구성되는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축(108)이 회전하지 않아 천정(106)과 전측벽(110)이 닫혀 적재함(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이동중이거나 정지된 경우에, 전측벽(110)의 끝단부에 90도 회동되게 설치된 제1LED장치(702)가 전측벽(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LED장치(702)를 이용해 광고를 하게 된다.
후측벽(102)에 형성된 투명창(102a)과 같은 위치의 전시실(120) 내부에 설치된 제2LED장치(706)를 이용해 광고를 하게 되고, 또한, 일측벽(112)에 형성된 광고판삽입틀(708)에 끼움 삽입된 광고판(710)을 통하여 광고를 하게 된다.
다음 정지한 상태에서, 유압 제어박스(802)를 이용해 회동축(108)을 회동시키면 90도 뒤로 회전되어, 전방이 들리면서 천정(106)이 후측벽(102)과 같이 수직으로 돌설되고 전측벽(110)은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전측벽(110)은 회전 열림되어 수평 지지됨으로서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측벽(110)이 있던 부분 즉, 전방은 개방되고, 전방을 통해 주광고나 전시 제품을 볼 수 있게 된다.
유압 제어박스(802)를 이용해 다단식 유압 실린더(324)에 의해 승강봉(322)을 상승시켜 스크린(320)을 상승시키고 안테나식 프로젝터 암(312)을 펴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이 스크린(320)에 정확히 맺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봉(322)이 상승함에 따라 제2LED장치(706)도 동반 상승하여 제2LED장치(706)가 천정(106)에 형성된 투명창(106a)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LED장치(706)를 이용한 광고를 투명창(106a)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제어기계실(130)의 제어기계(600)를 이용해 프로젝터(310)에 영상물을 공급하여 스크린(320)을 이용해 광고를 하면서, 유압 제어박스(802)를 이용해 리프트(204)의 회전모터(208)를 회전시켜 광고에 관계된 회전판(206) 상부의 전시 제품을 회전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한다.
이때 스피커(302)는 광고 음향을 출력하게 되고 스탠드형 조명등(210)은 전시 제품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 천정(106)의 일측에 구비된 제3LED장치(712)를 통해서 광고에 관련된 문구를 보여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320)을 통해 특정 회사의 복사기에 대해 광고하고, 그 복사기를 회전판(206)에 위에 장착하여 조명을 비추어 광고를 하면, 복사기에 대한 광고 효과를 단순히 스크린 화면을 통해 광고를 하는 것보다 높일 수 있다.
이때 특정 회사에 대해서는 제1LED장치(702)와 제2LED장치(706)를 통해 광고하고, 제3LED장치(712)를 통해 복사기에 관련된 광고(바겐세일 기간, 가격 등)를 하게 되면 더 높은 광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순히 프로젝터 장치(300)를 이용하지 않고 전시물 장치(200)를 이용해서 광고를 할 수도 있다.
이때는 유압 실린더(202)를 이용해 리프트(204)의 승강 링크(204b)를 상승시켜 전시 제품을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한 다음에, 회전모터(208)를 회전시켜 회전판(206) 상부의 전시 제품을 전시하게 된다.
이때 상부에서는 진열된 전시 제품을 통해 광고하고 하부에서는 플랜카드(720)에 새겨진 문구를 통해 광고를 하게 된다.
한편, 한 장소에 고정시켜 차량(10)과 분리하여 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종합광고장치(20)가 차량(10)에 의해 이동된 상태에서 실런더형 로드(406)가 수직 하강함으로써 지면판(404)이 지면에 안전하게 접촉되어 적재함(100)으로부터 차량(10)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로젝터 장치(300)는 광고 수단의 일예일 뿐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는 광고도 전시물 장치(200)와 함께 종합광고장치(20)에 구비하면 본 고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종합광고장치는 첫째,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하면서 그 광고 제품을 연계하여 전시함으로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적재함의 전후면 뿐만 아니라 일측벽도 광고로 활용함으로써 종합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
셋째, 이동형 종합광고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차량과 별도의 전원으로 작동되어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종합광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시물 장치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프로젝터 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착탈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제어기계와 발전기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20 : 종합광고장치
100 : 적재함 200 : 전시물 장치
300 : 프로젝터 장치 400 : 착탈장치
500 : 발전기 600 : 제어기계

Claims (10)

  1. 차량에 의해 이동되고 회전에 의해 일방이 개폐되는 적재함을 이용해 광고를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광고에 관련된 전시 제품이 얹어지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일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전시물 장치와;
    상기 전시물 장치가 위치된 개방된 일방과 반대 방향의 적재함 내부에 수직 승강되는 승강봉에 구비되는 스크린과, 적재함 상부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적재함 외부로 출몰되는 안테나형 암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터 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후측벽이 바닥면에 수직 고정되고, 그 후측벽의 상부에는 천정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천정은 다시 후측벽과 대향된 위치의 전측벽과 고정되게 수직으로 결합되어, 천정과 전측벽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전방이 개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만나는 전측벽의 끝단부 외측으로 제1LED장치가 직각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과 천정에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승강봉에는 후방으로 제2LED장치가 구비되어, 제2LED장치를 이용한 광고를 투명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후측벽과 전측벽의 측방향에 접촉되는 일측벽의 외측에는 광고 보조수단으로 광고판을 끼움 삽입시킬 수 있는 광고판삽입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광고장치는 차량과는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에 의해 차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전시물 장치와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전시실과, 종합광고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기계가 위치되는 제어기계실과, 종합광고장치에 차량과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가 위치되는 발전기실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계와 발전기는 제어기계실과 발전기실에 서랍식으로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자바라 타입의 승강링크와 승강링크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승강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받침대에는 전시제품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스탠드형 조명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브리지가 각각 장착되고, 각 브리지에는 지면판이 부착된 실린더형 로드가 결합된 구조를 이루는 착탈장치가 더 구비되어 차량으로부터 종합광고장치의 분리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KR20-2004-0036078U 2004-12-20 2004-12-20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KR200378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78U KR200378067Y1 (ko) 2004-12-20 2004-12-20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78U KR200378067Y1 (ko) 2004-12-20 2004-12-20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067Y1 true KR200378067Y1 (ko) 2005-03-14

Family

ID=4367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78U KR200378067Y1 (ko) 2004-12-20 2004-12-20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603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82450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201494356U (zh) 宣传展示车
KR101081265B1 (ko) 무대보드의 다단확장기능이 구비된 차량
KR20120023293A (ko) 레이저투광기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196923Y1 (ko) 광고차
US10096272B2 (en) Cart, kiosk, booth, equipment or machine integrated with an inflatable and deflatable advertising, identifying display
KR200378067Y1 (ko) 차량을 이용한 이동형 종합광고장치
KR20120124651A (ko) 수납형 이동식 무대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RU62278U1 (ru) 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108847168A (zh) 一种大型活动组织策划用具有发电功能的宣传板
CN212912518U (zh) 一种防尘式展柜
KR200359890Y1 (ko) 홍보용 차량
KR101334165B1 (ko) 수납형 무대가 구비되는 컨테이너형 무대장비
CN202544429U (zh) 一种可移动的多功能广告传媒服务商亭
KR20030022515A (ko) 옥내용 광고장치
KR20040062930A (ko)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JPH08103353A (ja) 屋外車両展示装置
CN220137908U (zh) 一种便携移动式活动灯箱
KR20180082983A (ko) 차량용 촬영장치
CN217086045U (zh) 一种电子台签
CN210627789U (zh) 一种广告灯箱的画布滚动调整装置
RU77482U1 (ru) Мобильная рекл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CN210419139U (zh) 一种广告安装桥架结构
KR200410265Y1 (ko) 회전식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