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53Y1 -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53Y1
KR200377353Y1 KR20-2004-0035463U KR20040035463U KR200377353Y1 KR 200377353 Y1 KR200377353 Y1 KR 200377353Y1 KR 20040035463 U KR20040035463 U KR 20040035463U KR 200377353 Y1 KR200377353 Y1 KR 200377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b
uart
connector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길종
Original Assignee
강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길종 filed Critical 강길종
Priority to KR20-2004-003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5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 및 UART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와;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를 가지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과; 상기 제2 커넥터의 USB 단자를 상기 제1 커넥터의 USB단자 또는 UART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UART단자 사이에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USB 대 UART 변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connector having a USB terminal and a UART terminal;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and having a USB terminal; 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to the USB terminal or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It provide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USB to UAR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UART terminal.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데이터통신 케이블만으로도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의 UART 대 USB 통신 및 USB 대 USB 통신이 모두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편익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UART-to-USB communication and USB-to-USB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are possible with only one data communication cabl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ser's convenience.

Description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통신기기와 호스트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USB 대 USB 통신 또는 USB 대 UART 통신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st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communication cable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USB to USB communication or USB to UART communication. It is about.

최근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has been expanded and the range of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m has increased, the necess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통신은 주로 직렬(serial)통신이 이용되며, 이때 사용되는 통신 표준은 범용 비동기적 송수신규약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범용직렬버스인 USB(Universal Serial Bus)로 크게 나눌 수 있다.In general, serial communication is mainly use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computer. The communication standards used here include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which is a universal asynchron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tocol, and Universal Serial Bus (USB), which is a universal serial bus. Can be divided into

UART는 비동기 직렬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RS-23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고 후술하는 USB 규격이 널리 사용되기 이전까지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데이터통신 규격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대부분의 컴퓨터나 통신기기는 UART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다.UART is for handling a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It main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external devices through RS-232C interface, and since it is the most commonly used data communication standard until the USB specification described below is widely used, most of them are still Computer or communication device supports the UART interface.

USB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등을 포함한 7개 사가 공동으로 제안한 새로운 주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서, 서로 규격이 다른 프린터, 스캐너, 모뎀, 스피커 등의 주변장치와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USB is a new peripheral connection interface standard jointly proposed by seven companies including Intel, Microsoft, Compaq, etc., and aims to share the interface for connecting computers with peripheral devices such as printers, scanners, modems, and speaker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I am doing it.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UART포트와 RS-232C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COM포트를 RS-232C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였는데, 도 1이 이와 같은 데이터 통신방식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Conventionally,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a UART po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 port of a computer providing an RS-232C interface are connected by using an RS-232C cable.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s shown.

즉, 이동통신단말기의 UART 포트(10)와 컴퓨터의 COM 포트(20)를 연결하는 케이블(30)에 RS-232C 송수신기(31)를 두어 통신용 선로(32)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때 RS-232C 송수신기(31)는 전원용 선로(34)를 통해 공급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을 통해 구동되고,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용 선로(34)의 중간에 저전압 강하(LDO, Low Drop Out) 레귤레이터(33)를 설치하기도 하였다.That is, the RS-232C transceiver 31 is disposed in the cable 30 connecting the UART port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 port 20 of the computer to configur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32. In this case, the RS-232C transceiver 31 is driven by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34, and low voltage drop (LDO, Low) in the middle of the power line 34 for stable power supply. Drop Out) regulator 33 was also install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 통신방식은 통신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LDO 등의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data communic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because not only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umes power but also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n LDO during communication.

특히 데이터통신 중에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소모하게 되면 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통신도중에 배터리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까지도 발생하게 되므로,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카메라폰, MP3폰 등과 같이 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는 통신기기에는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during data communication, when the large data is handled, even when the battery power is consumed dur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ay be interrupted. It can be said to be unsuitable for use i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handles a large amount of data.

이와 같은 문제점과 컴퓨터와 주변기기간의 직렬통신 표준이 USB 쪽으로 기울어져 더 이상 RS-232C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컴퓨터가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하여 등장한 것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USB포트(40)와 컴퓨터의 USB포트(50)를 연결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60)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UART포트(70)와 컴퓨터의 USB포트(80)를 연결하는 USB 대 UART 데이터통신 케이블(90)이다.This problem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standard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peripheral device has been inclined toward the USB to reflect the increasing trend of computers that no longer provide the RS-232C interface, as shown in Figure 2 USB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40) and a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60 for connecting data to the USB port 50 of the computer and the UART port 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B port 80 of the computer as shown in FIG. USB to UART data communication cable (90) to connect.

도 2의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60)은 단말기측의 제1 커넥터(61), 컴퓨터측의 제2 커넥터(62) 및 제1.2 커넥터(61,62)를 연결하는 통신용선로(63) 및 전원용 선로(64)로 구성되는데, 통상 통신용 선로(63)는 D+, D-로, 전원용 선로(64)는 VUSB ,GND로 표시된다.The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60 of FIG. 2 is a communication line 63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or 61 on the terminal side, the second connector 62 on the computer side, and the 1.2 connectors 61 and 62, and a power supply. It is composed of a line 64, usually the communication line 63 is represented by D +, D-, and the power line 64 is represented by V USB , GND.

특히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60)은 컴퓨터의 USB 포트(50)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정전압 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40)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중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배터리의 전원소모로 인하여 통신이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60 can transmit the + 5V constant voltage power supplied from the USB port 50 of the compu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ged even during data communication. As a result, communic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onnected due to battery power consumption.

도 3의 USB 대 UART 데이터통신 케이블(90)은 인가되는 USB 또는 UART 신호를 UART 또는 USB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단말기측의 제1 커넥터(91)에 USB 대 UART변환부(91a)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변환부(91a)와 컴퓨터측의 제2 커넥터(92)는 통상의 USB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통신용 선로(93) 및 전원용 선로(94)로 연결된다.In the USB-to-UART data communication cable 90 of FIG. 3, a USB-to-UART conversion unit 91a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or 91 on the terminal side in order to convert an applied USB or UART signal into a UART or USB signal. The converting unit 91a and the second connector 92 on the computer side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93 and the power supply line 94 like a normal USB cable.

그런데 아직까지는 데이터통신 방식이 어느 하나로 완전히 통일되어 있지 않고 USB, UART 방식이 혼재하고 있는 상태이고, 통신기기도 모든 통신방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어 기기간의 호환성에문제가 많은 실정이다.However,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is not completely unified to any one yet, and the USB and UART methods are mixed, and communication devices do not provide an interface for all communication methods.

이동통신의 경우만 하더라도, 크게 동기식의 CDMA방식과 비동기식의 GSM방식으로 나뉘어 지는데, CDMA 휴대폰의 경우에는 내부에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UART 통신 뿐만 아니라 USB 통신도 가능한 반면에, GSM 휴대폰은 US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UART 통신만이 가능하며 따라서 아직까지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Even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it is largely divided into synchronous CDMA and asynchronous GSM. In the case of CDMA mobile phones, since the USB interface module is included, USB communication as well as UART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reas GSM mobile phones Since it does not provide a USB interface, only UART communication is possible, so it is not possible to use a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yet.

따라서 GSM 휴대폰과 컴퓨터의 USB 포트간의 데이터통신을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컴퓨터의 USB 신호와 휴대폰의 UART 신호를 중간에서 변환해주는 USB 대 UART 데이터통신 케이블(90)을 이용하여야 한다.Therefore,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GSM mobile phone and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a USB to UART data communication cable 90 converting the USB signal of the computer and the UART signal of the mobile phone should be used as shown in FIG. 3.

또한 CDMA 휴대폰의 경우에도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나 다운로드 또는 A/S상의 필요에 의해 UART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CDMA 휴대폰에도 USB 대 UART 데이터통신 케이블(90)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DMA mobile phone, the UART interface is often used due to software upgrades or downloads or A / S needs. In this case, a USB-to-UART data communication cable 90 is often used in a CDMA mobile phone.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통신에 USB 대 UART 통신 또는 USB 대 USB 통신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로서는 2가지 통신방식에 모두 대비하기 위해서 항상 2종류의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Therefore, in the situation where both USB-to-UART communication and USB-to-USB communication ar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puter, the user must always have two types of data communication cables to prepare for both communication methods. There is thi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데이터통신 케이블로 USB 대 UART 통신 또는 USB 대 USB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cable that can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by selectively performing USB to UART communication or USB to USB communication with one data communication cable The purpose is.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 및 UART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와;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를 가지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과; 상기 제2 커넥터의 USB 단자를 상기 제1 커넥터의 USB단자 또는 UART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UART단자 사이에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having a USB terminal and a UART terminal to achieve this object;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and having a USB terminal; 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to the USB terminal or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It provide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USB to UAR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UART terminal.

이때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신기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to which the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It may be a switching IC. 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st computer into a power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본 고안은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며, UART단자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를 가지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과;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와; 상기 USB 대 UART 변환부와 상기 제1 커넥터의 UART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와 디버거용 UART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디버거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connector having a UART terminal;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and having a USB terminal; 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USB-to-UART conversion unit installed at any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perform signal conversion; It is provided between the USB to UART conversion unit and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nd provide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debugger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gener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ART terminal and a debugger UART terminal.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디버그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상기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일 수도 있고,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슬라이드 스위치일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automatically operates by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or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The debugger switching unit may be a slide switch.

또한 본 고안은, 일 측에는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UART 단자 및 USB 단자를 가지는 제1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USB 케이블의 커넥터 또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가지는 제2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포트의 USB 단자를 상기 제1 연결포트의 UART 단자 또는 USB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연결포트의 UART 단자 사이에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 having a UART terminal and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side having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USB cable or a USB port of the computer A housing having a connection port; A switching unit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selectively connecting a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 to a UART terminal or a USB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It provide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USB to UART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이때 상기 제1 연결포트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or mode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It may be a switching IC.

또한 상기 제1 연결포트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디버그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상기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or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It may be a switching IC.

또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연결포트의 단자 사이에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신기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컨버터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DC-DC converte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to convert power supplied from a host computer into a power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device.

한편 본 고안의 데이터통신용 장치는, 상기 USB 대 UART 변환부와 상기 UART 단자 사이에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 또는 디버거용 UART단자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디버거 스위칭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부가 슬라이드 스위치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bugger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a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UART terminal or a debugger UART terminal between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and the UART terminal, wherein the switching unit is a slide switch. It may b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호스트컴퓨터라는 용어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연산 작업이 가능하고 외부장치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컴퓨터를 의미하며, 통신기기라는 용어는 상기 호스트컴퓨터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First, as used herein, the term host computer refers to any type of computer capable of performing computational operations using a program and support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term communication device uses a data communication cable with the host computer. Means all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기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PC, HPC(Handheld PC) 등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내장하는 소형컴퓨터, 기타 호스트컴퓨터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계측장비 등을 포괄하는 의미임을 미리 밝혀둔다.Therefore, the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 small computer or other host incorporating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alm PC, HPC (Handheld PC), etc. It is to be clear that the meaning encompasses measurement equipment tha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용 장치의 블록도로서 케이블 방식으로 제공되는 데이터통신 케이블(100)을 나타내고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cable 100 provided in a cable manner.

이를 살펴보면,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0), 호스트컴퓨터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120), 상기 제1,2 커넥터(110,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30), 상기 제1 커넥터(110)에 위치하는 USB 대 UART 변환부(114) 및 스위칭부(112)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this, a first connector 110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a second connector 120 connected to a host computer, a cable 13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and 120, and the first connector A USB to UART converter 114 and a switch 112 located at 110 are included.

그런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100)은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를 통신기기의 UART포트 또는 USB 포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호스트컴퓨터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120)는 USB단자(122)들을 구비하며,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0)는 UART단자(116a) 및 USB단자(116b)를 모두 구비한다.However, since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ART port or the USB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connector ( 120 includes USB terminals 122, and the first connector 1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both a UART terminal 116a and a USB terminal 116b.

D+,D- 로 표시되는 통신용 선로(132)와, VUSB, GND로 표시되는 전원용선로(134)를 포함하는 케이블(130)는 일단이 제1 커넥터(110)의 스위칭부(1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커넥터(120)의 USB 단자(122)에 연결된다.A cable 130 including a communication line 132 represented by D + and D- and a power line 134 represented by V USB and GND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12 of the first connector 1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22 of the second connector 120.

또한 스위칭부(112)는 제1 커넥터(110)의 USB단자(116b)에 직접 연결되는 한편, USB 대 UART 변환부(114)를 경유하여 UART단자(116a)에도 연결되는데, 스위칭동작을 통해 케이블(130)를 UART단자(116a) 또는 USB단자(116b)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1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16b of the first connector 110, while also connected to the UART terminal 116a via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the cable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13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ART terminal 116a or the USB terminal 116b.

스위칭부(112)와 USB 단자(116b)를 연결하는 선로는 케이블(130)와 동일하게 D+,D-,VUSB, GND로 구성되며, 스위칭부(112)와 USB 대 UART 변환부(114)를 연결하는 선로도 케이블(13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line connecting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 terminal 116b is composed of D +, D-, V USB and GND, similar to the cable 130, and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The line connecting the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cable 130.

UART 단자(116a)는 통상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인 RXD, TXD단자와, 각종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제어신호용 UART단자인 RTS, CTS, DSR, DTR, DCD, RI, GND 단자 등으로 구성되는데, 각 단자는 통상 18핀 또는 24핀으로 구성되는 제1 커넥터(110)의 임의의 핀에 일대일로 할당된다. UART terminal 116a is generally composed of RXD and TXD terminals, which are general UART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RTS, CTS, DSR, DTR, DCD, RI, and GND terminals, which are control signal UART terminals to which various control signals are applied. Terminals are assigned one-to-one to any pin of the first connector 110, which typically consists of 18 or 24 pin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112)는 신호의 송수신 경로만을 단순히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통신기기가 제공하는 통신인터페이스가 USB 또는 UART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여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IC를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witching unit 112 serves to simply select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a signal, the switch 112 may be configured as a slide switch that allows a user to manually select a mode. You can also use a switching IC that identifies whether the interface is USB or UART and automatically switches.

그런데 스위칭 IC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연결된 통신기기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10)의 여러 핀 중 하나를 통신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모드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116c)로 할당하고, 상기 단자(116c)와 스위칭 IC를 모드식별신호선(117)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use the switching IC,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the connected communication device. As shown in FIG. 5, one of several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10 receives a mode identific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terminal 116c for mode identification signal should be allocated, and the terminal 116c and the switching IC should be connected using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7.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기기의 연결포트에 본 고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100)을 연결하기만 하면, 해당 통신기기의 인터페이스가 USB 또는 UART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할 필요도 없이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모드식별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스위칭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user only connects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mode iden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having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USB or UART The switch is automatically made in response to the signal, making it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만일 USB 통신모드로 스위칭하면 통상의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UART 통신모드로 스위칭하면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와 통신기기의 UART 포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야 하므로 신호가 USB 대 UART 변환부(114)를 거치도록 하여야 하는데 USB 대 UART 변환부(114)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f you switch to USB communication mode, it plays the same role as a normal USB data communication cable.If you switch to UART communication mode, signals must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USB port of host computer and UART port of communication devic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이상에서는 케이블(130) 중 GND선도 스위칭부(112)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GND선은 제1,2 커넥터(110,120) 및 케이블(130)에 공통되는 것이어서 GND선은 스위칭부(112)를 경유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GND line of the cable 130 is also shown to be switched by the switching unit 112, the GND line is common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and 120 and the cable 130, and the GND line is the switching unit ( It may be configured not to pass via 112).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역시 케이블 방식으로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장치(100′)의 블록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처럼 USB 통신 또는 UART 통신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USB 대 UART 통신용 케이블을 전제로 하여 일반 통신모드와 디버거(Debug) 통신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디버거 스위칭부(140)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FIG. 6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lso provided in a cable manner, and does not select from among USB communication or UART communic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bugger switching unit 140 to select a general communication mode and a debugger (Debug) communication mode on the premise of the UART communication cable.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140)는 USB 대 UART 변환부(114)의 송수신단자를 디버거용 UART단자(116d) 또는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116a-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ebugger switching unit 140 selectively connect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of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to either the debugger UART terminal 116d or the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UART terminal 116a-2.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 통신기기의 프로그램을 조작하거나 변경하는 디버거(DEBUG) 작업은 일반적인 데이터 송수신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UART 단자(116) 중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116a-1) 대신에 별도의 디버거용 UART단자(116d)인 DEBUB_RXD, DEBUG_TX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USB 대 UART 변환부(114)를 거친 신호의 경로를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116a-1) 및 디버거용 UART단자(116d)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데이터통신 케이블(100)로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과 디버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DEBUG operation that operates or changes the program of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o it is separate from UART terminal 116a-1 for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among UART terminals 116. Since it is preferable to use DEBUB_RXD and DEBUG_TXD, which are UART terminals 116d for debugger, the user can use the general UART terminal 116a-1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UART terminal 116a-1 and the debugger UART terminal through the USB to UART conversion unit 114. 116d), so that one data communication cable 100 can perform both general data communication and debugger operation.

상기 스위칭부(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스위칭할 수도 있고, 스위칭 IC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스위칭 I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커넥터(110)의 여러 핀 중 하나를 통신기기로부터 제공되는 디버거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116e)로 할당하고, 상기 단자(116e)와 스위칭 IC를 디버거식별신호선(118)을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unit 112 may be manually switched using a slide switch,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using a switching IC,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switching IC, various pins of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used. One of them is allocated to th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116e for receiving th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116e and the switching IC are connected using th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8.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장치(100″)의 블록도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에 제2 실시예의 특징인 디버거 스위칭부(140)를 부가한 점에 특징이 있다.7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device 100 ″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ebugger switching unit 140, which is a fea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dded to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by.

즉, 케이블(1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0)는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116a-1) 및 제어신호용 UART단자(116a-2)를 포함하는 UART 단자(116a)와, USB 단자(116b)와, 모드식별신호용 단자(116c)와, 디버거용 UART단자(116d)를 모두 포함하는 한편, 상기 케이블(13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UART단자(116a) 또는 USB단자(116b)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도록 선택하는 스위칭부(112)와, UART단자(116a)와 스위칭부(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USB 대 UART 변환부(114)와, USB 대 UART 변환부(114)와 디버거용 UART단자(116d) 및 일반 송수신용 단자(116a-1) 사이에 위치하는 디버그 스위칭부(140)를 포함한다.That is, the first connector 1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ble 130 includes a UART terminal 116a including a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UART terminal 116a-1 and a control signal UART terminal 116a-2, and a USB terminal. 116b, a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116c, and a debugger UART terminal 116d, and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able 130 is either UART terminal 116a or USB terminal 116b.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 to UART conversion unit 114,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UART terminal 116a and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 to UART conversion unit 114 and the debugger The debug switch 140 is located between the UART terminal 116d and the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116a-1.

이때 스위칭부(112)와 디버거 스위칭부(140)는 모두 슬라이드방식 또는 스위칭 IC를 이용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스위칭 IC를 이용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제1 커넥터(110)의 핀에 모드식별신호용 단자(116c)와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116e)가 각각 할당되어야 하며, 상기 각 단자(116c,116e)와 해당 스위칭부(112,140)를 각각 연결하는 모드식별신호선(117) 및 디버거식별신호선(118)을 구비하여야 한다. In this case, both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140 may be selected from a slide method or a method using a switching IC. In the case of using the switching IC, the terminal for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connected to the pin of the first connector 110. 116c and a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116e should be allocated respectively, and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7 and th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8 connecting the respective terminals 116c and 116e and the switching units 112 and 140, respectively. Must be provid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은 제1,2 커넥터(110,120) 중 어느 하나에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통신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DC-DC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이용하여 통신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into a DC power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host computer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120). It may include a DC-DC converter, and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power converted through the DC-DC converter.

도 8은 제1 커넥터(110)가 스위칭부(112)와 USB단자(116b) 사이에 DC-DC컨버터(150) 및 충전회로(160)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10 includes a DC-DC converter 150 and a charging circuit 160 between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 terminal 116b.

한편 이상에서는 스위칭부(112), USB 대 UART 변환부(114), 디버거스위칭부(140), DC-DC컨버터(150), 충전회로(160) 등이 모두 통신기기 측의 제1 커넥터(110)의 내부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상기 구성요소중의 적어도 하나가 호스트컴퓨터 측의 제2 커넥터(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심지어는 제1,2 커넥터(110,120) 사이의 케이블(130) 중간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witching unit 112,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the debugger switching unit 140, the DC-DC converter 150, the charging circuit 160, and the like are al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0 on the communication device side. It is described as contained within the),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or 120 of the host computer side, even the first, second It may b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middle of the cable 130 between the connectors (110, 120).

예를 들어 도 9는 스위칭부(112) 및 USB 대 UART 변환부(114)를 호스트컴퓨터측의 제2 커넥터(120)에 실장한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USB 대 UART 변환부(114)가 제2 커넥터(120)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2 커넥터(110,120)를 연결하는 케이블(130′)이 UART케이블 및 USB케이블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만이 전술한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For example,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SB-to-UART converter 114 ar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or 120 on the host computer side. Since the cable 130 ′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10 and 120 includes both a UART cable and a USB cable, since the second connector 120 is located in the second connector 120,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데이터통신 케이블(100,100??,100??)의 제1,2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부(112), USB 대 UART 변환부(114), 디버거스위칭부(140) 등을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으나,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는 케이블 형태가 아니라 스위칭 커넥터(200)의 형태로 제공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switching unit 112,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ar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of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100, 100 ′, 100 ′. There is a feature in that 140 or the like, bu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witching connector 200, not the form of a cable.

도 10은 스위칭 커넥터(200)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하우징(210)과, 하우징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연결포트(220)와, 하우징의 타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연결포트(230)를 구비하며, 제1 연결포트(2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포트에 결합되고, 제2 연결포트(230)는 USB케이블의 단말기측 커넥터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포트(22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구비하고, 제2 연결포트(230)는 USB 케이블의 단말기측 커넥터와 연결되는 단자(232)를 구비한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witching connector 200, a housing 210, a first connection port 220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230 formed concave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connection port 230 is coupled to the terminal side connector of the USB cable.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has a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230 has a terminal 232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or of the USB cable.

이러한 스위칭 커넥터(200)를 이용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USB 케이블(60)을 가지고도 이동통신단말기(1)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컴퓨터(2)의 USB포트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해진다.When the switching connector 200 is used,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2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interface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even with the conventional USB cable 60 as shown in FIG. 11. Data communication with can be enabled.

상기 스위칭 커넥터(200)의 스위칭 방식은 전술한 데이터통신 케이블(100,100′,100″)의 스위칭 방식과 동일하며,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포트(220)는 UART 단자(116a) 및 USB 단자(116b)를 포함하고, 제2 연결포트(230)는 USB단자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method of the switching connector 200 is the same as the switching method of the data communication cables 100, 100 ′ and 100 ″ described above. Thus,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is connected to the UART terminal 116a. And a USB terminal 116b,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230 includes a USB terminal.

제1,2 연결포트(220,230)의 사이에는 스위칭부(112)가 위치하며, 이를 통해 제2 연결포트(230)의 USB단자를 제1 연결포트(220)의 UART 단자 또는 USB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The switching unit 11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s 220 and 230, there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 230 to the UART terminal or the USB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Connect it.

스위칭부(112)는 수동식의 슬라이드 스위치일 수도 있고 자동식의 스위칭 IC일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모드식별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통신모드로 모드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연결포트(220)의 단자에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116c)가 할당되어야 하며, 이를 모드식별신호선(117)을 이용하여 스위칭부(112)와 연결하여야 한다.The switching unit 112 may be a manual slide switch or an automatic switching IC. In the latter case, the switching unit 112 receives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mode switching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e. Therefore, a terminal for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116c should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and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12 using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7.

한편 스위칭부(112)와 UART 단자(116a) 사이에는 통신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114)가 위치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버거 작업을 위해 디버거모드에서 동작하도록 UART 단자의 일반송수신용 단자(116a-1)와 디버거용 UART단자(116d)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디버거 스위칭부(140)를 USB 대 UART 변환부(114)와 UART단자 사이에 둘 수 있다. Meanwhile, between the switching unit 112 and the UART terminal 116a, there is a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that performs communication conversion. In some cases, for gener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UART terminal to operate in the debugger mode for debugger operation. A debugger switching unit 140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terminal 116a-1 and the debugger UART terminal 116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SB-to-UART conversion unit 114 and the UART terminal.

디버거 스위칭부(140)도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스위칭 IC를 이용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제1 연결포트(220)의 단자 중 하나를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116e)로 할당하여 디버거 스위칭부(140)와 디버거식별신호선(118)을 이용하여 연결한다.The debugger switching unit 140 may also use a slide switch or a switching IC. In the latter case, the debugger switching unit 140 and the debugger are allocated by assigning one of the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to the terminal for th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116e. The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8 is used to connect.

이상에서는 제1 연결포트(220)를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하고 제2 연결포트(230)를 USB케이블의 단말기측 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위칭 커넥터(200)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연결포트(230)를 컴퓨터의 USB 포트에 결합하고, 제1 연결포트(220)에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컴퓨터측 커넥터를 결합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switching connector 200 is used by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 230 to the terminal side connector of the USB cable. It may be modified to couple 230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and to couple the computer-side connector of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220.

이 경우 각 연결포트(220,230)의 형상이 전술한 바와 달라질 수 있고 데이터통신 케이블도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달라질 수 있으나, 이 정도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shape of each connection port 220 and 230 may b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and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may also be changed as shown in FIG. 9,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is degree of modifica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스위칭 커넥터(20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종래의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생략하고 제2 연결포트(240)를 컴퓨터에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의 스위칭 커넥터(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switching connector 200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ata communication using a conventional USB ca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3. 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on port 240 may be provided as a switching connector 200 ′ modified to be directly coupled to a computer.

이때 컴퓨터에 결합되는 제2 연결포트(240)는 USB단자(242)를 구비하며, 이 단자(242)가 컴퓨터의 USB포트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port 240 coupled to the computer has a USB terminal 242, which is coupled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수정 내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그와 같이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되는 기술이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onl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technology that is modified or modified as such If it i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apparent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데이터통신 케이블만으로도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의 UART 대 USB 통신 및 USB 대 USB 통신이 모두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편익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UART-to-USB communication and USB-to-USB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are possible with only one data communication cabl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종래 UART 직렬통신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UART serial communication

도 2는 종래 USB 대 USB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USB to USB data communication cable

도 3은 종래 USB 대 UART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USB to UART data communication cable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스위칭 IC를 이용하는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able using a switching IC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DC-DC컨버터 및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의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DC-DC converter and a charging circuit.

도 9는 제2 커넥터에 USB 대 UART 변환부 및 스위칭부가 위치하는 데이터통신 케이블의 블록도9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communication cable in which a USB to UART converter and a switch are located in a second connector;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커넥터의 사시도, 사용상태도 및 블록도10 to 12 are a perspective view, a state diagram and a block diagram of a switching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커넥터의 변형예13 is a modification of the switching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데이터통신 케이블 110 : 제1 커넥터100: data communication cable 110: first connector

112 : 스위칭부 114 : USB 대 UART 변환부112: switching unit 114: USB to UART conversion unit

116a : UART 단자 116a-1 :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116a: UART terminal 116a-1: UART terminal for gener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116a-2 : 제어신호용 UART단자 116b : USB 단자116a-2: UART terminal for control signal 116b: USB terminal

116c : 모드식별신호용 단자 116d : 디버거용 UART단자 116c: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116d: Debugger UART terminal

116e :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 117 : 모드식별신호선116e: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117: Mode identification signal line

118 : 디버거식별신호선 120 : 제2 커넥터118: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line 120: second connector

122 : USB 단자 130 : 케이블122: USB terminal 130: cable

132 : 통신용 선로 134 : 전원용 선로132 communication line 134 power line

140 : 디버그 스위칭부 150 : DC-DC 컨버터140: debug switching unit 150: DC-DC converter

160 : 충전회로 200 : 스위칭 커넥터160: charging circuit 200: switching connector

210 : 하우징 220 : 제1 연결포트210: housing 220: first connection port

230, 240 : 제2 연결포트 232, 242 : USB단자230, 240: second connection port 232, 242: USB terminal

Claims (12)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 및 UART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having a USB terminal and a UART terminal;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를 가지는 제2 커넥터와;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and having a USB terminal;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과;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2 커넥터의 USB 단자를 상기 제1 커넥터의 USB단자 또는 UART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to the USB terminal or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UART단자 사이에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USB 대 UART 변환부USB-to-UART conversion unit performing signal conversion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UART terminal 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인 데이터통신용 장치The first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or a mode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switching unit automatically operates by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IC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신기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컨버터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Any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st computer into a power suitable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며, UART단자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having a UART terminal; 호스트컴퓨터의 USB포트에 연결되며, USB단자를 가지는 제2 커넥터와;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host computer and having a USB terminal;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과;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와;A USB-to-UART conversion unit installed at any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perform signal conversion; 상기 USB 대 UART 변환부와 상기 제1 커넥터의 UART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와 디버거용 UART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디버거 스위칭부Located between the USB-to-UART converter and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a debugger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any one of a gener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ART terminal and a debugger UART terminal. 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디버그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상기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인 데이터통신용 장치The first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automatically operates by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or debugger identification sig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슬라이드 스위치인 데이터통신용 장치The debugger switching unit is a slide switch data communication device 일 측에는 통신기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UART 단자 및 USB 단자를 가지는 제1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USB 케이블의 커넥터 또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가지는 제2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하우징과;One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port having a UART terminal and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port having a connector of the USB cable or a USB terminal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포트의 USB 단자를 상기 제1 연결포트의 UART 단자 또는 USB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selectively connecting a USB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 to a UART terminal or a USB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연결포트의 UART 단자 사이에서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USB 대 UART 변환부USB to UART converter for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UAR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연결포트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모드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모드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인 데이터통신용 장치The first connection por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or mode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communication mod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ode identification signal termi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a switching IC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연결포트는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디버그식별신호용 단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버거 스위칭부는 상기 디버거식별신호용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디버그 식별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는 스위칭 IC인 데이터통신용 장치The first connection por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or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o which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pplied, and the debugger switching unit is automatically switched by a debug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or debug identification signal. IC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제1 연결포트의 단자 사이에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신기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컨버터가 포함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Between the switching unit and the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a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st computer into a power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devic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상기 USB 대 UART 변환부와 상기 UART 단자 사이에는, 일반 송수신용 UART단자 또는 디버거용 UART단자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디버거 스위칭부가 설치되는 데이터통신용 장치A device for data communication having a debugger switc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USB to UART converter and the UART terminal to select and connect a general transmission / reception UART terminal or a debugger UART terminal.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상기 스위칭부는 슬라이드 스위치인 데이터통신 장치The switching unit is a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a slide switch
KR20-2004-0035463U 2004-12-14 2004-12-14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KR2003773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63U KR200377353Y1 (en) 2004-12-14 2004-12-14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63U KR200377353Y1 (en) 2004-12-14 2004-12-14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53Y1 true KR200377353Y1 (en) 2005-03-11

Family

ID=4367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463U KR200377353Y1 (en) 2004-12-14 2004-12-14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5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5B1 (en) 2006-02-16 2007-09-13 주식회사 텔레칩스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ommon using USB and UART
US7743187B2 (en) 2006-01-05 2010-06-22 Telechips, Inc.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102069535B1 (en) * 2018-09-06 2020-01-23 주식회사 유니크 Positional tracking system based on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187B2 (en) 2006-01-05 2010-06-22 Telechips, Inc. Audio system, and USB/UART common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100758565B1 (en) 2006-02-16 2007-09-13 주식회사 텔레칩스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ommon using USB and UART
KR102069535B1 (en) * 2018-09-06 2020-01-23 주식회사 유니크 Positional tracking system based on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71B1 (en) Usb device having single port capable of operating in the manner of dual interface
EP1771020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ic device
US7447823B2 (en) Data input terminal device
US20040063464A1 (en) High-speed data and power source interface cable for mobile devices
US6832104B2 (en) Card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KR20020080186A (en) Sharing interface apparatus for serial and usb por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0109Y1 (en) Data communication cable for USB to UART communication
US20050091437A1 (en) Multi-function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bridge
KR200377353Y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witching function
US7496380B2 (en)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ircui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82953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facing of connections between a multiplicity of handheld devices
KR1006512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CN215420573U (en) Multifunctional video signal expansion interface and display terminal
KR100622246B1 (en) Mobile phone having uart line switch
KR200394556Y1 (en) Bluetooth Serial Adapter combined with USB to Serial converter
KR20040035141A (en) Radio modem device for portable storage device
KR200329462Y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phone
KR20040103201A (en) Multi-function interface apparatus and telecommunication method using it
KR20050006484A (en) Compatible usb connector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it
KR20050005806A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phone
KR20060099230A (en) Circuit for automatic selection of usb type or uart type in gsm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286873Y1 (en) Portable charger for handset
KR200352681Y1 (en) Data joint device between portable phones
KR100789102B1 (en) An outer device including no electric power and method for associating the outer device with a mobile phone
KR20030009987A (en) Desktop type charger with usb hub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