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86Y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86Y1
KR200377286Y1 KR20-2004-0034526U KR20040034526U KR200377286Y1 KR 200377286 Y1 KR200377286 Y1 KR 200377286Y1 KR 20040034526 U KR20040034526 U KR 20040034526U KR 200377286 Y1 KR200377286 Y1 KR 200377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nnector
furniture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20-2004-003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확장이 가능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의 상자와 연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사용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이 개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체에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박스와 상기 박스의 연결홀에 삽입될 수 있는 볼트가 중심의 일측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짧은 원통형의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고안을 통해 사용자는 임의로 품위있는 코너장, 거실장, 와인잔 등을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A sectional furniture}
본 고안은 확장이 가능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의 상자와 연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가구를 사용자가 임으로 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가구란 고금 이래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왔다. 과거에는 주거의 이전 빈도가 현재에 비해 낮아 가구에 투입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혼수 등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가구였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가구가 주거공간 안으로 빌트 인(Built-in)되고, 과거의 판에 박힌 가구의 형태에서 벗어나 개성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의 성장, 주거환경의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형태의 가구들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임의로 재단하는 가구인 주문형 가구가 대두되었으나 이러한 주문형 가구는 틀에 박힌 형태를 벗어났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능동적으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 등이 비싸 일반 가정에 보급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각형의 상자를 쌓아서 임의의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공간박스 등이 새로운 가구의 종류로 대두되었으나 재질이 조악하고 각각의 박스가 단순히 포개져 구성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 임의로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박스를 조립하기도 하였으나 외관의 수려함이 떨어져 다양한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형상의 박스를 조립하여 임의의 가구를 창출할 수 있게하는데 그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구입한 박스를 이용하여 다른 용도의 가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이 개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체에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박스와 상기 박스의 연결홀에 삽입될 수 있는 볼트가 중심의 일측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짧은 원통형의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형의 박스는 그 크기나 용도를 특정하지 않은 것으로서 개방된 면에 유리문 또는 동일재질의 문짝이 달린 것일 수도 있고, 내측으로 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서랍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직사각형일수도 있고 정사각형일 수도 있다.
상기 사각형의 박스의 좌우측면 및/또는 상하측면 등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볼트가 삽입되어 너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 연결홀은 중앙에 하나일 수도 있고 각각의 모서리부에 4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홀은 단순히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도 있고 너트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다르게 단층(7)을 이루게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는 짧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사각형의 박스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고 너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가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를 바닥면에 연결할 경우에는 아랫면의 볼트가 생략되어 받침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와 박스 사이에 체결구로서 작용할 경우에는 상, 하로 볼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에 볼트를 형성하는 방법은 원통형의 중심부에 상, 하로 볼트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원통형의 연결구 중심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긴 볼트를 회전, 삽입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는 짧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사각형의 박스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고 볼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체결구가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사용하여 사각형의 박스(1) 두개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짧은 원통형의 본체(2) 중심에는 상하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된 연결구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구 본체 중심에 형성된 볼트에는, 내부가 비어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은 막혀 있되 상기 막힌 면의 외면에는 드라이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홈(5)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너트(4)가 상, 하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구의 중심에는 원통형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10)가 형성되어 있어 너트의 머릿부분이 형성된 타측단부에 볼트(9)를 회전,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구를 받침구로 사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맨 아래층에 조립되는 상자의 아랫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연결구를 놓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상자를 관통하는 볼트(6)를 회전, 삽입한 후 너트(8)를 상자 하단에서 조임으로서 받침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러개의 박스를 연결하여 TV 장식장을 조립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4개의 박스를 연결하여 코너장을 조립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사각형의 박스로 다양한 용도를 갖는 수납장을 임의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도의 변화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장식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재활용에도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
도 2는 도 1의 연결구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장 조립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장 조립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사각형의 박스 2 : 원통형의 본체
3 : 볼트 4 : 연결너트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이 개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체에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박스와 상기 박스의 연결홀에 삽입될 수 있는 볼트가 중심의 일측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짧은 원통형의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짧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사각형의 박스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고 너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가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에 형성된 연결홀은 너트의 머리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다르게 단층을 이루게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짧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사각형의 박스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고 볼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체결구가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20-2004-0034526U 2004-12-06 2004-12-06 조립식 가구 KR200377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26U KR200377286Y1 (ko) 2004-12-06 2004-12-06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26U KR200377286Y1 (ko) 2004-12-06 2004-12-06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86Y1 true KR200377286Y1 (ko) 2005-03-11

Family

ID=4367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26U KR200377286Y1 (ko) 2004-12-06 2004-12-06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39B1 (ko) * 2013-01-24 2014-03-10 김정태 가구 조립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39B1 (ko) * 2013-01-24 2014-03-10 김정태 가구 조립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40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US3437059A (en) Decorative pole assembly
US20070227994A1 (en) Build-Up Furniture
JP2008543485A (ja) 支持棒用の多目的固定具
US6464441B2 (en) Dowel pin of an assembly arrangement for joining two furniture parts
US7192329B2 (en) Multi-facet decoration assembly
US20110192854A1 (en) Cabinet assembly and assembly unit thereof
KR200377286Y1 (ko) 조립식 가구
KR20120000989U (ko) 조립식 수납장 및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KR101371039B1 (ko) 가구 조립모듈
KR200281689Y1 (ko) 조립식 장식장
JP2008291945A (ja) 折り畳みパイプ棚用管継手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KR101557001B1 (ko) 조립식 가구
CN210383183U (zh) 一种能快速组装并可改变形状的架子
US20240041142A1 (en) Assembled simulation potted plant
CN219013104U (zh) 一种可伸缩式销钉结构、led箱体及led显示屏
KR200208614Y1 (ko) 개량옷걸이
CN212177604U (zh) 一种便于层板拆装的层板连接件
CN202132332U (zh) 连接扣件组件
JP2023044432A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及び、組み立てキット
JPS6212088Y2 (ko)
KR101455321B1 (ko)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징 및 이의 제작방법
US9723927B2 (en) Chair suppor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