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47Y1 - 안전유도등 - Google Patents

안전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47Y1
KR200377047Y1 KR20-2004-0034208U KR20040034208U KR200377047Y1 KR 200377047 Y1 KR200377047 Y1 KR 200377047Y1 KR 20040034208 U KR20040034208 U KR 20040034208U KR 200377047 Y1 KR200377047 Y1 KR 200377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 emitting
safety
safety inductio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20-2004-0034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안전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재 등 비상시에 발생된 비상 신호를 무선라디오 신호(RF)로 송신하여 수신율을 높임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오래도록 점등을 지속하면서 많은 연기속에서도 빛의 투과량이 감소하여 대피 곤란을 겪지 않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안전유도등은 광원으로 형광등을 사용함으로서 전력의 소모가 많아 오랜 시간 점등을 지속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관리 소홀이나 기타의 사유로 인해 형광등에 손상이 일어나기 쉬워 점등 곤란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발생된 연기가 많을 경우 빛의 투과량이 급속히 격감하게 됨으로서 유도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비상 신호를 감지한 화재감지기로부터 발생된 무선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유도등의 점등을 행하되 광원으로는 전력의 소모가 극미한 발광소자(LED)를 채택하여 광원의 외주 연에 배치된 광섬유의 단부를 안전유도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식재함으로서 투과성의 향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도등.

Description

안전유도등 {The Guide Signboard lighting system}
본 고안은 안전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재 등 비상시에 발생된 비상 신호를 무선라디오 신호(RF)로 송신하여 수신율을 높임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하고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오래도록 점등을 지속하면서 많은 연기속에서도 빛의 투과량 감소로 인한 대피 곤란을 겪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에는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일어날 경우 인명의 안전한 대피를 위해 비상구 위치를 나타내는 안전유도등이 설치되어진다.
종래에 이러한 안전유도등은 화재감지기 등이 수신한 비상 신호를 유선을 통해 전달받아 점등이 이루어짐으로서 대피를 유도토록 하는 것으로 화재 등으로 인해 전력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동안 점등이 지속될 수 있도록 충전회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유도등은 광원으로 형광등을 사용함으로서 전력의 소모가 많아 오랜 시간 점등을 지속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관리 소홀이나 기타의 사유로 인해 형광등에 손상이 일어나기 쉬워 점등 곤란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발생된 연기가 많을 경우 빛의 투과량이 급속히 격감하게 됨으로서 유도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 신호가 유선을 통해 전달되어짐으로서 선에 단선이나 단락 등이 일어날 경우 동작이 중단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유기이엘시트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안전유도등이 제안되어 오래도록 점등이 지속되어지도록 한 안전유도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빛의 투과도가 크지 않고 선명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빛의 투과도를 높이고 전력 소모가 적은 고 휘도의 LED를 사용한 제품의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경우 종래의 제품에 비해 10배 이상 높은 가격차를 보이고 있어 상용화가 곤란하고 이를 대체할 새로운 안전유도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상시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발생된 비상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여 확실하게 점등이 이루어지는 안전유도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어도 오랜 시간동안 점등을 지속하고 연기 등의 악조건 속에서도 빛의 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유도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비상 신호를 감지한 화재감지기로부터 발생된 무선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유도등의 점등을 행하되 광원으로는 전력의 소모가 극미한 발광소자(LED)를 채택하여 광원의 외주 연에 배치된 광섬유의 단부를 안전유도등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식재함으로서 투과성의 향상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안전유도등은 일면에 유도판(12)이 부착된 함체상의 본체(10)와 화재 등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본체(10)로 송신하는 RF송신기(20)와 상기 본체(10)의 내 공간에 장착되어 송신된 무선주파수를 수신하는 RF수신기(30)와 상기 RF수신기(30)의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정해진 패턴의 점등을 행하여 유도판(12)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40)와 상기 제어장치(40)의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고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 방전을 행하는 충전회로(60)를 포함하는 발광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RF송신기(20)는 시설물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60)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서 가스 또는 열을 감지한 화재감지기(60)의 신호를 받아 RF수신기(30)로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토록 하거나 리모콘 형태로 특정인이 소지할 수 있도록 공급하여 유사시에 직접 비상 신호를 송출하여 안전유도등의 점등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한 RF수신기(30)는 그 신호를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에 송신하면 제어장치(40)는 점등 신호를 발광장치(50)로 전송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를 집적회로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함으로서 상황에 맞도록 점멸 주기 등을 패턴화하여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장치(50)는 전력소모가 적은 발광소자(52)(LED)를 채택하여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가능한 오래 동안 점등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발광소자(52)를 고 휘도의 제품으로 선정하여 빛의 투과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발광소자(52)의 외주 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로 이루어진 광섬유(54)의 일단부가 위치되도록 배치 고정하고 광섬유(54)의 타단부는 유도판(12)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식재함으로서 발광소자(52)에서 생성된 빛을 유도판(12)의 외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유도판(12)의 외면에 노출 식재되는 광섬유(54)가 문자나 대피에 필요한 도안을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하여 다양한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안전유도등은 음성 경보장치(70)가 더 구비되어 비상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40)의 제어동작에 따라 경보음의 발생이나 발광소자(52)의 점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발광소자와 광섬유를 동시에 사용하여 열의 발생이 없어 유도판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광섬유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만들 수 있어 시설물 미관의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택하여 발광소자의 점멸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획일화 되지 않은 다양한 안전 유도등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광소자의 색상을 다양화하여 복수로 선정하여 색맹이나 색약 등의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하게 대피를 이룰 수 있고 오래도록 점등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유도등의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본체 12 : 유도판
20 : RF송신기 30 : RF수신기
40 : 제어장치 50 : 발광장치
52 : 발광소자 54 : 광섬유
60 : 충전회로 70 : 음성경보장치

Claims (4)

  1. 일면에 유도판(12)이 부착된 함체상의 본체(10)와 화재 등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본체(10)로 송신하는 RF송신기(20)와 상기 본체(10)의 내 공간에 장착되어 송신된 무선주파수를 수신하는 RF수신기(30)와 상기 RF수신기(30)의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정해진 패턴의 점등을 행하여 유도판(12)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40)와 상기 제어장치(40)의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고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충. 방전을 행하는 충전회로(60)를 포함하는 발광장치(50)로 이루어진 통상의 안전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50)는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52)와 상기 발광소자의 외주 연을 따라 일단부가 고정 배치되고 타단부는 유도판(12)의 전면에 노출되어지도록 식재된 다발상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송신기(20)는 시설물에 고정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에 일체로 조합 형성되어 연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송신기(20)는 별도로 구비되어 휴대가 가능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등.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유도등은 음성 경보장치(70)가 더 구비되어 제어장치(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유도등.
KR20-2004-0034208U 2004-12-02 2004-12-02 안전유도등 KR200377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08U KR200377047Y1 (ko) 2004-12-02 2004-12-02 안전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08U KR200377047Y1 (ko) 2004-12-02 2004-12-02 안전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47Y1 true KR200377047Y1 (ko) 2005-03-11

Family

ID=4367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08U KR200377047Y1 (ko) 2004-12-02 2004-12-02 안전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7B1 (ko) 2004-12-24 2006-11-30 강성화 배터리 전원으로만 동작되는 배터리 내장형 다기능 무선유도등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KR100827411B1 (ko) 2007-01-26 2008-05-06 임인택 무선통신 기능이 탑재된 무선지능형 화재감지 휴대조명등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7B1 (ko) 2004-12-24 2006-11-30 강성화 배터리 전원으로만 동작되는 배터리 내장형 다기능 무선유도등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KR100827411B1 (ko) 2007-01-26 2008-05-06 임인택 무선통신 기능이 탑재된 무선지능형 화재감지 휴대조명등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840A1 (en) Integration of LED Lighting Control with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s
US69989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n escape route
US11887451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US20130074384A1 (en) Method for illuminating a light box
KR200377047Y1 (ko) 안전유도등
CN104754836A (zh) 一种睡眠状态协同照明装置
CN105191891A (zh) 一种防盗竿的钓鱼报警组件
KR101213673B1 (ko) 근접 위치식별 시스템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CN201004167Y (zh) 闪光照明闹钟
WO2017166716A1 (zh) 飞行器
KR200332123Y1 (ko) 통로 유도등
CN210431955U (zh) 一种带led指示灯的面板开关
KR20130017481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CN210568298U (zh) 一种智能楼宇廊灯组
CN201106800Y (zh) 指示灯结构改良
CN201902871U (zh) 一种led节能灯
CN211124326U (zh) 一种三色变光可燃气报警吸顶灯
US10757788B2 (en) Illuminating lamp
CN206975985U (zh) 一种带有人工远程转向指示的智能超薄自发光逃生指示牌
KR101688406B1 (ko) 패턴 점멸하는 led 신호등
JP6315421B2 (ja) 照明器具
JP3191965U (ja) トイレットの集中管理装置
JP2012195111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6308454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