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101Y1 - A charne house - Google Patents

A charne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101Y1
KR200376101Y1 KR20-2004-0033651U KR20040033651U KR200376101Y1 KR 200376101 Y1 KR200376101 Y1 KR 200376101Y1 KR 20040033651 U KR20040033651 U KR 20040033651U KR 200376101 Y1 KR200376101 Y1 KR 20037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at
present
deceased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6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
강신해
Original Assignee
김인
강신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 강신해 filed Critical 김인
Priority to KR20-2004-0033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10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101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장된 유골함의 상단으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는 고인의 표석을 고정시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케하고 동시에 경제적인 비용으로 손쉽게 납골묘의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선된 기능을 갖는 소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for the small ossuary with the improved function of fixing the surface of the deceased to maintain the beautiful appearance at the top of the buried remains, which enables efficient use of the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installation of the ossuary is easily carried out at economical cost. will be.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유골함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지면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가 메워진 후 그 상단 표면에 4개의 직사각형 석재를 밀착 배치하여 사각형상의 우물공간을 형성하는 좌대와; 상기 좌대 중앙의 우물공간에 내몰입되도록 사각형의 돌출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 전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채 고인과 그 자손 등이 각인된 표석을 좌대에 설치 고정시킴을 그 기술적 내용의 특징으로 삼는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ace portion formed on the ground to enable the settlement of the ashes; A seat for filling four rectangular stone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pace part to form a rectangular well space; A rectangular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ell space in the center of the seat, and the top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deceased and its offspring etc. are installed and fixed on the seat to be fixed to the seat.

Description

납골묘{A CHARNE HOUSE}Ossuary grave {A CHARNE HOUSE}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ssuary grave.

특히 본 고안은 매장된 유골함의 상단으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는 고인의 표석을 고정시킨 구조를 제공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케하고 동시에 경제적인 비용으로 손쉽게 납골묘의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선된 기능을 갖는 소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fixed the surface of the deceased to maintain the beautiful appearance to the top of the buried remains to enable the efficient use of spac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d functionality to make the installation of the crypts easily at economic cost. It relates to a small ossuary grave having.

전통적으로 우리 나라의 장묘문화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매장문화가 그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부 계층을 제외하고는 소박한 형태의 봉분과 묘역이 후손에 의해 조성된 후 정성껏 관리되고 있었다.Traditionally, the burial culture of our country is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and the burial culture based on Confucian ideology forms the mainstream.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우리 생활 전반에 형성된 허례허식과 맞물려 더 크고 더 화려한 묘지조성이 마치 자손의 권위와 부를 상징하는 것처럼 인식되기 시작하여 전망 좋은 넓은 묘역에 고급석재로 봉분을 둘러싸고, 갖가지 석물을 세워 묘지를 조성하는 것이 관례화 되다시피 하였다.At some point, however, in conjunction with the rituals of our lives, the formation of larger and more colorful cemeteries began to be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authority and wealth of our descendants, and surrounded by lumps of fine stone in a large, wide-looking graveyard. It was customary to formulate

특히 이러한 경향은 일부 계층에 의해 공원묘지에도 반영되어 묘지에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는 많은 후손들은 상대적인 박탈감과 조상에 대한 죄스러움을 앉고 살아가야 하는 현실에 이른 것이다.In particular, this tendency is reflected in the park cemetery by some classes, causing the rich and poor in the cemetery, and many descendants who are in poor economic condition have to live with relative deprivation and guilt about their ancestors.

따라서 최근에는 묘지설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묘 1기당 차지하는 면적을 제한하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매장문화 대신 화장문화를 적극 사회적으로 권장하게 되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begun to limit the area occupied by graves by tightening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graveyards, and at the same time, it actively encourages cremation culture instead of burial culture.

이러한 시책은 전술한 매장문화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노력임과 동시에 매장에 따라 훼손되는 국토를 보존하면서 쾌적하면서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자연보호의 성격도 포함한다.These measures are not only efforts to correct the above-mentioned closures of burial culture, but also include the nature of nature conservation to preserve pleasant and beautiful land while preserving the land damaged by burial.

화장은 매장에 비하여 사체처리를 위생적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경제적인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매장에 비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안정적으로 유골을 안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관리가 용이하다는 잇점에 힘입어 점차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Cremation not only can quickly and efficiently process carcasses more efficiently than stores, but its economic cost is very low,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place ashes in a narrow space compared to stores and to manage them easily.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그러나 화장을 끝낸 유골함을 여러 유골함이 각기 안치되어 있는 획일적인 구조의 납골당에 안치할 경우 매장 문화에 익숙한 우리의 정서상 맞지아니한 경우도 있었고, 문중이나 또는 가족 단위의 안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remated ashes were placed in a uniform structured ossuary where several ashes were enshrined, there was a case in which our emotional familiarity with the burial culture was not appropriate.

또한 여러 유가족이 동시에 이용함에 따라 성묘가 불편하고, 조용하게 고인을 회고하여 볼 여유도 없을 뿐만 아니라, 양지바른 곳에 매장된 봉분묘와 비교하면서 벌초 등을 구실로 호젓한 산야에서 혼자 혹은 가족단위의 나들이도 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In addition, as many family members use at the same time, the grave is uncomfortable, and there is no room for us to look back at the deceased quietly. The problem of incompatibility began to appear.

따라서, 유골함을 가족묘 단위에 적합하게 구성된 일반적인 봉분묘 형상의 납골묘에 안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봉분안에 수십개의 유골함을 일률적으로 안치하거나 혹은 선대별로 순차적으로 안치시킨 후 유가족이 해당 유골함에 참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Therefore,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in the crypts of the general bead shape, which is suited for the family seedling unit. It has a structure to worship.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납골묘는 그 제작 및 설치가 번거롭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유골함을 안치함에 따라 개인별로 관리와 참배를 원하는 유가족의 요구에 결코 부응할 수 없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ossuary of the above structure is cumbersome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it is not only excessively expensive, but also it can not meet the needs of the bereaved family who want to manage and visit each individual as many ashes are placed.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소한의 토지면적을 수직으로 파낸 후 기본적으로 하나의 유골함이 매장되는 곳을 1묘지의 단위로 하되, 필요시 합장 등의 방식으로 여러개의 유골함을 매장할 수 있도록 하며, 유골함위의 성토층에 고인의 약력과 자손들이 각인된 표석을 사각형의 좌대위에 고정시키므로 주변의 자연 환경을 훼손함이 없이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납골묘를 조성할 수 있으며, 좌대와 표석의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하여 혐오감을 최소화하고 마치 일반 봉분묘와 같은 정서와 성묘 등의 참배가 용이한 납골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fter digging the minimum land area vertically, basically one ashfield is buried as a unit of one cemetery, but if necessary, it is possible It allows the burial place to be buried, and the gravestone imprinted on the filling layer of the ashes is fixed on the square seat, so that the ossuary grave can be easily and inexpensively created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disgust by constructing the beautiful appearance of the pedestal and the surface of the pedestal and to provide the ossuary grave which is easily visited by the emotions and the holy grave like the general bonsai.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납골묘는 유골함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지면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가 메워진 후 그 상단 표면에 4개의 직사각형 석재를 밀착 배치하여 사각형상의 우물공간을 형성하는 좌대와; 상기 좌대 중앙의 우물공간에 내몰입되도록 사각형의 돌출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 전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채 고인과 그 자손 등이 각인된 표석을 좌대에 설치 고정하여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pace portion formed on the ground to enable the settlement of ashes; A seat for filling four rectangular stone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pace part to form a rectangular well space; A rectangular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ell space of the center of the seat, and the top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deceased and its offspring are imprinted and fixed on the se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납골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ryp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납골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 납골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이러한 본 고안 납골묘의 측 단면도이다.Attached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rypts,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rypts,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is invention crypt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먼저 유골함(A)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양지바른 곳의 지면을 선택한 후 수직형태로 소정깊이(약 1.5m정도)를 파내 공간부(1)를 형성하는데, 여기에 고인의 유골을 도자기 형태의 단지나 혹은 목재상자 또는 한지로 정성스럽게 포장하여 안치시키는데, 필요에 따라 부부묘 등 합장으로 인해(이른바 쌍분) 1기 이상으로도 안치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the preferred configuration for 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elect the surface of the sunny place so that the ashes (A) can be settled, and then the predetermined depth (about 1.5m) in the vertical form in the digging space (1). ), And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re carefully placed in ceramic jars, wooden boxes, or Korean paper, and placed in place. To be.

이후 상기 공간부(1)는 고인이 평소 희망하던(고향땅 등) 곳의 흙 또는 모래, 자갈이나 파내어진 흙으로 다시 메우고 견고하게 다짐질한 후 그 상단 외표면에 좌대(2)와 표석(3)을 고정시킴으로 본 고안의 납골묘 조성이 완성된다.Then, the space part 1 is filled with soil or sand, gravel, or excavated soil where the deceased is normally desired (hometown, etc.) and compacted firmly, and then the base 2 and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 By fixing 3) the ossua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상기 좌대(2)는 4개의 직사각형으로 가공된 석재를 사각형상의 우물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서로 밀착 배치하되, 사각형상의 우물공간 하단이 바로 유골함이 안치되어 성토된 자리가 될 수 있게 위치를 잡고, 비바람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면 하단에 좌대(2)의 일정부분이 몰입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The pedestal (2)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well space formed of four rectangular processed stone space, the bottom of the rectangular well space is positioned so that the ashes are settled in place, it becomes a sediment seat, It is considered to be immersed in a certain portion of the base 2 to the bottom of the ground firmly so as not to be lost by the weather.

이때 좌대(2)는 안치된 유골함이 1기이냐 혹은 2기이냐에 따라 전체적인 형태는 그대로이나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정사각형의 구조에서 일측이 길어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변화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ase 2 is the remains of the remains of the 1st or 2nd stage, the overall shape may be the same, but the size may vary, it is preferable to chang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one-sided in the square structure.

이후 상기 좌대(2)의 중앙부로 좌대(2)와 같거나 혹은 다른 재질의 석재로 구성되는 표석(3)이 긴밀하게 위치 고정되는데, 표석(3)은 전술한 우물공간에 내몰입되게 상기 우물공간의 내면부와 거반 비슷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돌출부(3a)를 그 하단부에 형성하고 있어 흙으로 메워진 우물공간의 내면에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흔들림 없는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pedestal 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pedestal 2, which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pedestal 2, and is closely fixed, and the pedestal 3 is immersed in the well space described above. A rectangular protrusion 3a having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ll space filled with soil and to be firmly fixed due to its own load. It can be.

표석(3) 역시 상기 좌대(2)와 마찬가지로 안치된 유골함의 수에 따라 형상은 동일하면서도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단 전면이 참배객의 눈에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안정감과 미려함을 동시에 부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표석(3)에 각종의 문자를 각인하게 되는데, 예컨대 표석(3)의 평면상단으로는 고인의 성씨와 계파를 각인하고, 경사진 전면으로는 고인의 세손 표시와 고인의 성명과 출생, 사망년월일을 각인하며, 그 하단의 수직면에는 고인의 약력이나 업적 등이 기록될 수 있게 하고, 마지막으로 표석(3)의 일측면으로는 고인의 자손이 기록될 수 있게 하는데, 그러나 이러한 기재사항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으로 본 고안이 이러한 기재사항에 제한 받지 아니함은 물론이다.Like the seat 2, the surface 3 may have the same shape but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number of ashes enshrined, and the upper front is inclined at an angle so that the eyes of the worshipers can be easily recognized. At the same time, a variety of letters are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stone 3, for example, the surname of the deceased and the clique is engra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stone 3, and the three-handed sign of the deceased is displayed on the inclined surface. Imprint the deceased's name, birth, and date of death, and record the deceased's biography or achievements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deceased, and finally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on one side of the stone (3). However, these description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escriptions.

통상 좌대(2)와 표석(3)은 검은 오석으로 구성함이 외관상 권장될 것이나, 이를 대리석이나 화강암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좌대(2)와 표석(3)의 재질을 서로 달리하여 표석(3)만을 오석으로 하여도 무방한 것인데,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 역시 이러한 재질상의 변화에 무관하다.Normally, the seat (2) and the pavement (3) should be composed of black five stones in appearance, but it may be made of marble or granite, and the materials of the seat (2) and the pavement (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Only the five stones can be used,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rrelevant to such a change in material.

여기에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질상의 변화에 제한 받지 아니함은 물론이고, 그 크기의 대소에도 무관한 것이라 하겠는데, 실제적용시에는 유골함(A)의 크기와 공간부(1)의 형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시각적으로 또는 구조학적 안정성을 택하여 단일묘일 경우에는 조립된 좌대(2)의 각 면 길이가 750mm, 내면의 각 우물공간 길이는 450mm로 계산되었고, 표석(3)의 직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3a)는 450mm보다 약 20mm정도 적은 형태를 갖추어야 설치과정에서 보다 원활한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hange in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is said that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of the size, in actual application, the size of the ashes (A) and the formation of the space (1), etc. In consideration of the most visual or structural stability in consideration, the length of each side of the assembled base 2 was calculated to be 750 mm, and the length of each well space on the inner surface was 450 mm. Protruding portion (3a) is formed to be about 20mm less than 450mm can be more smooth work in the installation process.

또한 좌대(2)의 높이로는 지면과의 위치를 고려할 때에 200mm로 가공됨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pedestal (2) when considering the position with the ground appeared to be most preferred to be processed to 200mm.

이와 달리 표석(3)은 하단의 돌출부(3a)를 제외하고서 전체높이를 300mm, 넓이와 길이를 450mm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하여 표석(3)의 하단부주변이 좌대(2)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함이 설치 구조학상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In contrast, the surface 3 extends the entire height to 300 mm and the width and length to 450 mm or more, excluding the protrusions 3a at the bottom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bottom 3 of the surface 3 spans the top of the pedestal 2. This installation structure would be more desirable.

또한 이러한 표석(3)의 평면 길이와 경사면 하단의 수직면 길이로는 각각 100mm임이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ed that the surface length of the surface 3 and the vertical surface length of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be 100 mm, respectively.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수치상의 관계는 제작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지 본 고안의 권리와는 무관한 것인데, 만일 쌍분으로 구성될 경우라면 좌대(2)의 각 면은 그 길이가 1,000mm, 표석(3)은 앞서의 치수와 동일한 넓이에 그 길이만이 700mm로 책정될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is numerical relationship is a matter to be considered in the manufacturing stage and is not related t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composed of two parts, each side of the base 2 has a length of 1,000 mm, (3) will be set to the same width as the preceding dimensions, only 700mm in length.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납골묘는 유골함의 수와 그 제작상의 형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it can be provided in a wide variety of siz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ashes and the circumstances of its manufacture.

첨부된 도 4의 (a)(b)는 본 고안 납골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하나의 예시도이다.4 (a) (b)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rypt.

본 고안의 납골묘는 전체적으로 소형화된 크기에 단지 외부에는 좌대(2)와 표석(3)만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라 하겠기에 자연경관을 해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한 관계로 타인에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부여하지 않고, 그 차지하는 면적 역시 최소화할 수 있어 평지나 경사면 또는 산의 능선 등 자연의 지형지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유용성을 갖는다.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niaturized size as a whole, and only the pedestal (2) and the surface (3) protrude outside, so it does not harm the natural landscape, and does not impart discomfort or disgust to others because of its beautiful appearance. The area occupied can also be minimiz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natural features such as flat land, slopes or mountain ridges as they are.

예컨대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공원묘지에서와 같은 단차진 계단형식의 묘지를 가족중심의 묘지로 구성할 경우 선대로부터 순차적으로 계단형식의 묘지를 조성하는데, 별도의 봉분이 없이 최소한의 면적에 유골함(A)을 안치한 후 좌대(2)와 표석(3)만을 고정시키므로 많은 수의 납골묘 조성이 적은 토지면적에 가능하고 주변에 각종 유실수를 심어 풍광을 더욱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으며, 가족묘 혹은 더 크게 문중묘라 하여도 묘지 제일 하단 중앙에 상석을 설치하여 일괄적으로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stepped staircase-type cemetery is formed as a family-centered cemetery as in the attached park cemetery, a staircase-type cemetery is formed sequentially from the ancestors. Since the remains of the ashes (A) are fixed, only the pedestal (2) and the surface (3) are fixed,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 number of ossuary graves on a small land area, and by planting various fruit trees in the surroundings, the scenery can be made more beautiful. Even if you are in the middle of the grave, you can consider placing a top stone at the bottom center of the cemetery so that you can take turns.

더욱이 납골묘 주변에 조성된 나무나 바위 등에 고인의 성명이나 호 등을 부여하여 찾는 이가 오래도록 고인을 생각할 수 있게 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names and arcs of the deceased may be given to trees or rocks formed around the ossuary to allow the visitor to think about the deceased for a long time.

도 4의 (b)는 이렇게 조성된 상기 묘지의 측면부분을 도시해 보인 것으로 봉분묘에 비하여 그 설치에 따른 유용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Figure 4 (b) is shown to show the side portion of the cemetery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explain the usefulness of the installation compared to the bonsai.

한편, 본 고안의 기술요지와 상기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다수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언급하지 아니한 변형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number of modified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dified embodiments not mentioned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납골묘는 우선 좌대와 표석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유골함을 그대로 지면에 매장함에 따라 면적의 최소화를 가져와 높은 공간활용도와 친환경적인 장묘문화 개선이 가능하며, 더욱이 유가족이 자유롭게 찾아와 주변의 간섭없이 수려한 자연풍광 아래서 언제든지 참배할 수 있어 우리들의 정서에 부합함과 동시에 특히 가족묘역으로 조성할 경우 저렴한 경제적 비용으로 많은 수의 선영을 모실 수 있게 되어 자손의 도리를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는 등 여러 실시상의 가치를 갖는다.The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pedestal and the surface of the stone, and since the ashes are stored on the ground as it is, the minimization of the area is possible, and the high space utilization and eco-friendly funeral culture improvement are possible. The bereaved family can come freely and visit at any time under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without any interference from their surroundings, so that they can meet a lot of sentiments at the same time. It has many practical values, such as being able to do it without.

도 1은 본 고안 납골묘의 구성을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rypts.

도 2는 본 고안 납골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evoidal cry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납골묘를 절개하여 도시해 보인 측 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crypts shown.

도 4의 (a)(b)는 각각 본 고안 납골묘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Figure 4 (a)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evis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공간부 2 : 좌대1: space part 2: base

3 : 표석 3a : 돌출부3: surface 3a: protrusion

A : 유골함A: Ashes

Claims (1)

유골함의 안치가 가능하도록 지면에 형성된 공간부와;A space portion formed on the ground to allow the ashes to settle; 상기 공간부가 메워진 후 그 상단 표면에 4개의 직사각형 석재를 밀착 배치하여 사각형상의 우물공간을 형성하는 좌대와;A seat for filling four rectangular stone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pace part to form a rectangular well space; 상기 좌대 중앙의 우물공간에 내몰입되도록 사각형의 돌출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 전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채 고인과 그 자손 등이 각인된 표석을 좌대에 설치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Rectangular projections are formed in the lower en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well space of the center of the base, the top surface is inclined, the cryp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eased and its progeny, etc. installed on the base of the carved stone.
KR20-2004-0033651U 2004-11-26 2004-11-26 A charne house KR2003761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51U KR200376101Y1 (en) 2004-11-26 2004-11-26 A charne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51U KR200376101Y1 (en) 2004-11-26 2004-11-26 A charne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101Y1 true KR200376101Y1 (en) 2005-03-10

Family

ID=4367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651U KR200376101Y1 (en) 2004-11-26 2004-11-26 A charne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10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6101Y1 (en) A charne house
Moore Bronze and iron age sites in upper Myanmar: Chindwin, Samon and Pyu
KR200427030Y1 (en) A grave by laying ashes to rest without making amound on the grave
KR20070010510A (en) A charne house
JP3166679U (en) Water basin for graves, flower stand and water basin set
KR200392056Y1 (en) Charnel tomb
JP3204165U (en) Gravestone and grave for tree funerals with the tombstone
Pilarczyk Methods of Commemorating Liquidated Cemeteries and Former Cemetery Areas as an Expression of Remembrance, Relief, and Respect for a Place
JP2001173272A (en) Simple gravestone
Hassen et al. Cemeteries of Illinois: A field guide to markers, monuments, and motifs
Robson “Where Heaves the Turf”: Thomas Hardy and the Boundaries of the Earth
KR200295150Y1 (en) a family charnel house with tomb on the sloping hill area
KR200179384Y1 (en) Sarira grave
KR200246500Y1 (en) An ossuary a grave
KR100555908B1 (en) Tree-Tomb
Mytum The early development of Australian cemetery commemorative strategies
KR20120138867A (en) The cinerary urn skeletal remains house which there is of a environmental leveling ground nature chapter
Nešporová Commemoration
KR200189920Y1 (en) Korean family park of charnel house
KR200196724Y1 (en) Pyramid Form Narb Gol Tower
KR200356531Y1 (en) A Assembling Multy Charnel Housr for a Married Couple
KR200421702Y1 (en) Cremation urn
Everson et al. The Romano-British ‘Aedicule’from Sheepwash Grange, Canwick, Lincolnshire
US2007022708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vering a grave site
Lovie The History and Aesthetic Development of the Cemetery and Related Conservation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