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966Y1 - 전동 침대 - Google Patents

전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66Y1
KR200375966Y1 KR20-2004-0031662U KR20040031662U KR200375966Y1 KR 200375966 Y1 KR200375966 Y1 KR 200375966Y1 KR 20040031662 U KR20040031662 U KR 20040031662U KR 200375966 Y1 KR200375966 Y1 KR 200375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bed
strength
transmission devic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석배
Original Assignee
민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석배 filed Critical 민석배
Priority to KR20-2004-0031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틀 네 모서리에 대형 스프링을 설치하여 침대틀을 방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침대 하부 중앙에는 전동장치를 설치하여 침대틀을 설정된 시간 및 강약에 따라 상하, 전후, 좌우, 회전 작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숙면 및 허리, 다리 및 어깨 등에 대한 안마 및 치료기능이 가능토록 한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동 침대는 매트를 지탱하는 케이스 형태의 침대틀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대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침대틀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침대틀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전동장치와, 상기 침대틀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속도 및 강약에 맞도록 작동시키도록 상기 전동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의해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전동 침대는 스프링과 전동장치를 동시에 적용하므로 적은 동력으로 최대의 작동효과를 낼 수 있고, 침대틀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침대틀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아이들 놀이 시설 및 유아들의 요람 역할 또한 가능하고, 전동장치를 이용 침대틀을 움직여 줌으로써 통증치료, 피로회복 및 안마기능은 물론 숙면에도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전동 침대{ELECTRIC MOVING BED}
본 고안은 침대틀 네 모서리에 대형 스프링을 설치하여 침대틀을 방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침대 하부 중앙에는 전동장치를 설치하여 침대틀을 설정된 시간 및 강약에 따라 상하, 전후, 좌우, 회전 작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숙면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허리, 다리 및 어깨 등에 대한 안마 및 치료기능이 가능토록 한 전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침대는 매트리스에 소정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람이 누웠을 시 편안함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같은 종래의 침대는 현대인의 바쁜 일상생활을 무리없이 소화하는데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는 피로해소를 위한 숙면과 신체 각 부위의 컨디션을 최상의 상태로 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감이 없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침대는 매트리스를 지탱하는 틀체의 다리를 지면(바닥)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매트리스 틀체의 내구성이 낮으며 수명 또한 영속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형 스프링이 설치된 침대틀 네 모서리가 방바닥으로부터 일정공간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전후, 좌우 및 회전 작동함으로써 숙면 및 안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동 침대는, 매트(1); 상기 매트를 지탱하며, 상하 및 회전 작동이 가능토록 일정깊이의 모터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전후, 좌우 작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축과 결합되어 작동되는 구동틀이 설치된 침대틀; 상기 침대틀을 바닥으로부터 일정공간 이격시키도록 침대틀 네 모서리에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침대틀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침대틀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전동장치; 상기 침대틀의 하부 케이스 역할을 하는 침대받침케이스; 및 상기 침대틀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속도 및 강약에 맞게 상기 전동장치를 제어하도록 침대틀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CPU와, 침대틀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동장치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타이머부와, 상기 전동장치의 작동 강약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강약조절부와, 상기 전동장치의 작동방향(상하, 좌우, 전후, 회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작동방향조절부와, 침대틀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스위치, 타이머부, 강약조절부 및 작동방향조절부의 작동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컨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구동제어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동장치의 축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동 침대는, 매트(1), 상기 매트(1)를 지탱하는 케이스 형태의 침대틀(2), 상기 침대틀(2)을 바닥으로부터 일정공간 이격시키도록 침대틀(2)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스프링(3), 상기 스프링(3)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침대틀(2)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침대틀(2)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전동장치(4), 상기 침대틀(2)의 하부 케이스 역할을 하는 침대받침케이스(5) 및, 상기 침대틀(2)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속도 및 강약에 맞게 작동시키도록 상기 전동장치(4)를 제어하는 컨트롤부(6)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장치(4)는 일반적인 모터로써, 스크류 모양으로 이루어진 축의 침대틀(2) 하부 중앙에 설치방법과 침대틀(2) 구동 방향(도 3 및 도 4에 도시)은 다음과 같다.
1. 침대틀(2)의 상하 이동을 위해 축을 개재하여 침대틀(2)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다. 즉 침대틀(2)의 하부 중앙에는 일정깊이의 모터축 삽입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축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 혹은 탈퇴(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방식으로 침대틀(2)의 상하 이동(도 3의 a방향)이 가능하다.
2. 침대틀(2)의 회전 이동(도 3의 d방향)은 상기 상하 이동(도 3의 a방향)에서 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탈퇴하지 않고(모터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 작동만 행함) 축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모터의 구동이 계속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3. 침대틀(2)의 전후, 좌우 이동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틀(7)을 상기 상하, 회전 이동시 모터축이 삽입되는 삽입홈(도시 생략)에 부합되도록 침대틀(2) 하부 중앙에 설치하여 침대틀(2)의 전후(도 4의 c방향), 좌우(도 4의 b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즉, 모터에 모터축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3)을 통해 떠있는 침대틀(2)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틀(7)의 돌기(8)에 스크류 형태의 모터축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침대틀(2)을 이동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침대틀(2)은 네 모서리에 설치된 스프링(3)을 통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로 떠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전동장치(4)를 이용해 침대틀(2)을 구동시키는데는 많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즉, 두 명 이상이 사용할 경우에 많은 중량을 움직이기 위해 중량만큼의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2)의 탄성을 이용하여 공중에 떠있는 침대틀(2)에 약간의 힘만을 가하면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부(6)는 침대틀(2)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CPU(61), 침대틀(2)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62),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타이머부(63),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 강약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강약조절부(64),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방향(상하, 좌우, 전후, 회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작동방향조절부(65), 침대틀(2)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6) 및, 상기 전원스위치부(62), 타이머부(63), 강약조절부(64) 및 작동방향조절부(65)의 작동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7)로 구성된다.
이같이 구성된 컨트롤부(6)는 사용자의 취향 또는 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동장치(4)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침대틀(2)을 작동시키며, 침대틀(2)의 작동방향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전후, 좌우, 회전 등이다.
상기 컨트롤부(6)는 또한,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한 리모콘형식으로 하거나 침대틀(2)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등 사용자의 조작범위내에서는 어떤 형식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전동 침대에 허리나 다리 어깨 등의 통증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치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침대틀(2)이 네 모서리에 설치된 대형 스프링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있으므로 사람이 올라가 약간의 힘을 가해도 양호한 쿳션작용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대틀(2)을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컨트롤부(6)를 조작하여 전원스위치(62)를 온시켜 전원부(6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음, 타이머부(63)에 의해 작동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머부(63)에 의해 설정된 작동시간이 CPU(61)에 입력되어 저장처리되며, 사용자는 작동방향조절부(65)에 의해 침대틀(2)의 작동방향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작동방향조절부(65)에 의한 작동방향 설정신호도 CPU(61)에 입력되어 저장처리되며, CPU(61)는 전동장치(4)에 작동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및 방향으로 침대틀(2)이 움직이도록 한다.
타이머부(63)에 의해 설정한 작동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CPU(61)에서 판단되면 CPU(61)는 전동장치(4)에 대한 작동제어신호 전송을 중지하여 침대틀(4)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동 침대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첫째, 스프링과 작동장치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둘째, 침대틀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침대틀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셋째, 아이들 놀이 시설로도 이용이 가능하며 유아들을 재우는 요람 역할 또한 가능하다.
넷째, 작동장치를 이용 침대틀을 움직여 줌으로써 피로회복, 숙면 및 부부성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작동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동 침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동장치의 축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침대틀 3 : 스프링
4 : 전동장치 5 : 침대받침케이스
6 : 컨트롤부 61 : CPU
62 : 전원스위치 63 : 타이머부
64 : 강약조절부 65 : 구동방향조절부
66 : 전원부 67 :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매트(1);
    상기 매트(1)를 지탱하며, 상하 및 회전 작동이 가능토록 일정깊이의 모터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전후, 좌우 작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축과 결합되어 작동되는 구동틀(7)이 설치된 침대틀(2);
    상기 침대틀(2)을 바닥으로부터 일정공간 이격시키도록 침대틀(2) 네 모서리에 설치된 스프링(3);
    상기 스프링(3)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침대틀(2)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침대틀(2)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전동장치(4);
    상기 침대틀(2)의 하부 케이스 역할을 하는 침대받침케이스(5); 및
    상기 침대틀(2)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속도 및 강약에 맞게 상기 전동장치(4)를 제어하도록 침대틀(2)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는 CPU(61)와, 침대틀(2)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62)와,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시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타이머부(63)와,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 강약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강약조절부(64)와, 상기 전동장치(4)의 작동방향(상하, 좌우, 전후, 회전)을 조절하는 버튼형식의 작동방향조절부(65)와, 침대틀(2)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6) 및 상기 전원스위치(62), 타이머부(63), 강약조절부(64) 및 작동방향조절부(65)의 작동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7)로 구성된 컨트롤부(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침대.
KR20-2004-0031662U 2004-11-09 2004-11-09 전동 침대 KR200375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62U KR200375966Y1 (ko) 2004-11-09 2004-11-09 전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62U KR200375966Y1 (ko) 2004-11-09 2004-11-09 전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66Y1 true KR200375966Y1 (ko) 2005-03-11

Family

ID=4367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662U KR200375966Y1 (ko) 2004-11-09 2004-11-09 전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9340B (zh) 应用渐进性肌肉放松法的按摩椅中的睡眠模式运行方法及能够执行该方法的按摩椅
KR100936835B1 (ko) 베개식 경혈 지압기
EP2648672B1 (en)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KR101179019B1 (ko) 수면활동을 유도촉진시켜주는 마사지 기능이 탑재된 안마의자
CN111818891A (zh) 控制装置及电动家具
US20190343718A1 (en) Pillow
JP2002253630A (ja) マッサージ機
CN102652009B (zh) 按摩机具备的遥控装置
KR100972060B1 (ko) 경혈 지압용 베개
KR200375966Y1 (ko) 전동 침대
US11730662B2 (en) Massage chairs having massage apparatuses for legs and feet and for hands and arms
US20070232460A1 (en) Exercise ch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31532U (zh) 一种多功能电暖炉
KR102239533B1 (ko) 모터 회전식 자세 감응형 틸팅 베개
KR200276400Y1 (ko) 좌욕 맛사지 장치
JP2023526647A (ja) フレキシブルラックギアを含むマッサージ装置
JPH08131487A (ja) 起床角度調節手段を有する床部起伏機構を備えたベッド
KR200224778Y1 (ko) 발 마사지 장치
KR20120088633A (ko) 수면활동을 유도촉진시켜주는 마사지 기능이 탑재된 안마의자
CN219461869U (zh) 模组化按摩组件以及按摩设备
KR200269309Y1 (ko) 안마 및 온열 기능을 가지는 의자
KR200279578Y1 (ko) 온열 치료기
JP3111805U (ja) 目覚し機能付折畳ベッド
KR200217023Y1 (ko) 등받이 의자용 안마기
JP2009011689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