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946Y1 -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46Y1
KR200375946Y1 KR20-2004-0031100U KR20040031100U KR200375946Y1 KR 200375946 Y1 KR200375946 Y1 KR 200375946Y1 KR 20040031100 U KR20040031100 U KR 20040031100U KR 200375946 Y1 KR200375946 Y1 KR 200375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cylindrical portion
stand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KR20-2004-0031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은, 소정면적의 베이스(30), 하단에 소정직경의 중공형 연결원통부(40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원통부(401)가 베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롤러(44)가 구비되는 채널구조의 지지대(40), 상기 지지대(40)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패널(D)과 연결되는 지지브라켓(42), 상기 베이스(30)에 연결된 지지대(40)의 연결원통부(401)내에 감겨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원통부(401)의 외부로 노출되는 태엽스프링(50), 상기 지지대(40)의 롤러(44)에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어 일단이 태엽스프링(50)의 상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42)과 연결되는 연결밴드(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에 의하면 태엽스프링의 장착 및 배치구조상 지지대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얇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의 경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stand unit of LCD type monitor}
본 고안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엽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드타입 스탠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LCD 모니터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스탠드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각 내지는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상기 스탠드유닛은 그 작동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이중에서 슬라이드타입의 스탠드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탠드유닛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베이스(10)와 지지대(12) 및, 상기 지지대(12)내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바(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바(14)가 슬라이드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는 한쌍의 태엽스프링(20)이 상기 지지대(12)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태엽스프링(20)은 그 상부에 형성된 걸림홀(20a)이 지지대(12) 상부에 형성된 홀(12a)과 연통되어 볼트 등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롤부(201)가 상단을 기준으로 하향 신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14)는 ‘ㄷ’ 자형태의 연결대(16)에 의해 태엽스프링(20)의 롤부(201)에 개재된 보빈(22)의 중심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타입 스탠드유닛에 의하면 디스플레이패널(D)을 하향이동 시킬 경우, 연결대(16)를 통해 슬라이드바(14)와 연결된 보빈(22)이 아래로 눌리어 태엽스프링(20)이 풀리면서 상대적으로 탄성적인 반발력을 가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패널(D)이 자중에 의해 급격히 하향이동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반대로 아래로 내린 디스플레이패널(D)을 상향이동 시킬 경우에는 태엽스프링(20)이 탄성적으로 감기어 올라가게 되므로, 디스플레이패널(D)의 하중에 의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태엽스프링(20)은 탄성적인 변형 및 복원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롤부(201)가 일정치 이상의 직경을 유지해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슬라이드타입 스탠드유닛에 의하면 태엽스프링(20)이 지지대(12)내에 완전이 내장되는 구조상 지지대(12)의 두께가 태엽스프링(20)의 롤부(201)의 최대직경을 초과하는 정도로 두껍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최근의 급속한 경박화 추세에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상품성 향상에 제약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태엽스프링을 이용하면서도 지지대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의 경박화에 도움이 되는 스탠드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은, 소정면적의 베이스, 하단에 소정직경의 중공형 연결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원통부가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롤러가 구비되는 채널구조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패널과 연결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지지대의 연결원통부내에 감겨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원통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태엽스프링, 상기 지지대의 롤러에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어 일단이 태엽스프링의 상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부터 도 4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유닛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소정면적의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그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패널(D)과 연결되는 지지브라켓(42)과, 지지대(40)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50)과, 상기 태엽스프링(50)과 지지브라켓(42)을 연결하는 연결밴드(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40)는 하단에 중공형 연결원통부(40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에 채널(빈공간)이 형성된 채널형 구조로서 그 상단에는 채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롤러(4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태엽스프링(50)은 지지대(40)의 연결원통부내(401)에 감겨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원통부(401)의 외부로 노출되며, 연결밴드(52)는 지지대(40)의 롤러(44)에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어 일단이 태엽스프링(50)의 상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42)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밴드(52)는 태엽스프링(50)과 달리 굴곡반경에 따른 소성변형의 우려가 없는 유연성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롤러(44)는, 롤러(44)에 걸쳐짐으로써 마주보게 되는 연결배드(52)의 양단이 서로접하지 않을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갖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부(501)가 지지대(40) 하단의 연결원통부(401)내에 배치되는 태엽스프링(50)의 장착구조상 지지대(40)는 그 폭이 롤러(44)에 걸쳐진 연결밴드(52)의 양단이 이루는 간격을 약간 초과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준위치에서 디스플레이패널(D)을 아래로 내리게 되면, 지지브라켓(42)과 연결밴드(52)에 의해 연결된 태엽스프링(50)의 상단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기 때문에 지지대(40) 하단의 연결원통부(401)내에서는 감긴부분이 풀리면서 탄성변형되어 인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D)을 아래로 내릴 때에는 패널(D)의 하중에 대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D)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케한다.
아래로 내린 디스플레이패널(D)을 다시 위로 올릴 경우에는, 풀렸던 태엽스프링(50)이 탄성적으로 복원(다시 감김)되면서 디스플레이패널(D)의 하중에 의해 부하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디스플레이패널(D)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태엽스프링(50)의 롤부(501)가 결과적으로 지지대(40)가 아니라 베이스(30)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태엽스프링(50)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대(40)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은 태엽스프링의 장착 및 배치구조상 지지대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얇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의 경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평판 디스플레이지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드타입 스탠드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베이스 40: 지지대
401: 연결원통부 42: 지지브라켓
44: 롤러 50: 태엽스프링
501: 롤부 52: 연결밴드
D: 디스플레이패널

Claims (1)

  1. 소정면적의 베이스,
    하단에 소정직경의 중공형 연결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원통부가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롤러가 구비되는 채널구조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패널과 연결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지지대의 연결원통부내에 감겨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이 연결원통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태엽스프링,
    상기 지지대의 롤러에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어 일단이 태엽스프링의 상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밴드
    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KR20-2004-0031100U 2004-11-03 2004-11-03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KR200375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00U KR200375946Y1 (ko) 2004-11-03 2004-11-03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100U KR200375946Y1 (ko) 2004-11-03 2004-11-03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46Y1 true KR200375946Y1 (ko) 2005-03-11

Family

ID=4367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100U KR200375946Y1 (ko) 2004-11-03 2004-11-03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CN112309258B (zh) 支撑结构件以及显示设备
US8313068B2 (en) Lif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7864418B2 (en) Screen
US7815154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KR102136943B1 (ko) 스마트 팔찌
KR1006098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CN1937090B (zh) 显示装置
US7677509B2 (en) Monitor stand
KR20110026655A (ko) 영상표시장치의 승강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US20070217134A1 (en) Display apparatus
CN108829187B (zh) 显示系统
EP0984321B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20070064379A1 (en) Display apparatus
US20100123053A1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and elevating support used for support stand
CN113066385B (zh) 支撑结构件以及显示设备
KR20070018401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KR200375946Y1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유닛
KR20080090254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
JP2010226268A (ja) 表示部手動回動装置
KR20090072725A (ko) 스탠드 장치
JP6550299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3029653A (ja) Lcdの高さ調節装置
CN213783496U (zh) 一种投影屏幕的升降装置、投影屏幕及激光电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