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934Y1 -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 Google Patents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34Y1
KR200375934Y1 KR20-2004-0023741U KR20040023741U KR200375934Y1 KR 200375934 Y1 KR200375934 Y1 KR 200375934Y1 KR 20040023741 U KR20040023741 U KR 20040023741U KR 200375934 Y1 KR200375934 Y1 KR 200375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stopper
door fram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7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애리
Original Assignee
(주)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근유 filed Critical (주)근유
Priority to KR20-2004-0023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3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어 문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가틀보다 소정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스토퍼와; 상기 가틀의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가틀의 가로방향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한 쌍의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스토퍼와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oor frame and a pair of frames mounted thereto, and a plate-like fixed plywood fixed to a wall; A gartle coupled to the wall by the fixed plywood and forming a main body of the door frame; A plate-shaped stopper coupled to a surface of the frame opposite to the fixed plywo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rame; A pair of frames coupled to surround both edges adjacent to the stopper of the frame; A pair of trim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le to close the bottl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stopper and the trim.

이에 따라, 타카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후 타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해지고 외관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문틀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목재 등의 환경친화적 소재인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열에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minimizing the use of the taka and preventing the taka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assembling, the construction work is simplified and the appearance is improved to produce a high quality door frame. In addition, by using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which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such as woo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formed by heat.

Description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Prefabricated door frame and a pair of frames attached thereto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본 고안은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타카 자국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단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oor frame and a pair of frames mounted thereto, and more particularly, a prefabricated door frame which can improve the appearance by preventing exposure of a mark to the outside and improve the workability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a pair of frames mounted thereto.

일반적으로 문틀은 창문이나 문을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목을 이용하여 하나의 틀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통원목을 사용할 경우,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원목을 선가공하여야 하므로 가공하기가 어렵고, 통원목을 사용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door frame is to fix the window or door to the wall to be rotatable or slidable, it was formed as a frame using solid wood.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round timber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raw wood in order to prevent the warp,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cost is increased by using the round timber.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원목 대신 톱밥을 압축한 압축목이나 자투리 각목을 사용하여 문틀을 제작하고, 대신 표면에 원목무늬의 코팅 문양지를 접착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킨 문틀이 제작되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the door frame was made by using compressed wood or stucco wood, which compressed sawdust instead of round wood, and instead, the door frame was improved by adhering the coated pattern of wood pattern on the surface.

그러나, 통원목이나 자투리 각목을 사용하는 문틀 모두 중량이 많이 나가며, 문틀을 완전히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을 하기 때문에 운반이나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상 조그마한 하자가 발생하여 치수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문틀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However, all of the door frames using round wood or lumber are heavy, and they are not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or construction because they are constructed in a state where the door frame is made completely. There was an absurdity to remake.

이에 따라, 중량이 적게 나가고, 시공장소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weight is less, and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that can be assembled and used directly in the city factory has been widely used.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문틀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문틀은, 벽면(1)에 고정되는 고임목(2)과, 고임목에 의해 벽면(1)에 고정되는 가문틀(3)과, 가문틀(3)의 좌우에 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가문틀(3)에 고정되는 스토퍼(7)와, 가문틀(3)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마감판(8)을 포함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door frame. As shown,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is a solid wood 2 fixed to the wall surface 1, a frame 3 fixed to the wall surface 1 by the hard wood, and the left sid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rame 3 And a right cover 4, 5, a stopper 7 fixed to the frame 3, and a closing plate 8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3.

여기서, 고임목(2)은 가문틀(3)을 벽면(1)에 고정하기 위해 수평과 수직을 맞추는 역할을 하며, 고임목(2)에 의해 벽면(1)과 가문틀(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우레탄 폼(6)이 충진된다. Here, the timber (2) serves to alig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o fix the crest frame (3) to the wall surface (1), which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1) and the crest frame (3) by the stump wood (2) The space is filled with urethane foam (6).

이러한 조립식 문틀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고임목(2)을 벽면(1)에 콘크리트못(2a)으로 고정하고, 고임목(2)의 상면에 가문틀(3)을 안착시킨 다음 고임목(2)과 가문틀(3)을 관통하는 콘크리트못(3a)으로 가문틀(3)을 벽면(1)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가문틀(3)의 양 측면에 각각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결합시킨다. 이 때, 좌측 및 우측덮개(4,5)의 가문틀(3)을 향한 내측면에 먼저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일차 결합시킨 다음, 못(4b,5b)를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덮개(4,5)를 가문틀(3)에 이차 결합시킨다. 이렇게 좌측 및 우측덮개(4,5)의 결합이 완료되면, 좌측덮개(4)와 우측덮개(5)의 사이에 스토퍼(7)를 결합시킨다. 먼저, 스토퍼(7)의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문틀(3)에 안착시킨 다음, 못(7a)을 이용하여 스토퍼(7)를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가문틀(3)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가문틀(3)의 일측 측면에 마감판(8)을 못(8a)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assembling such a prefabricated door frame, first, the stump (2) is fixed to the wall (1) with a concrete nail (2a), and the splinter frame (3) seated on the top of the stump (2) and then the stump (2) ) And the crest frame (3) to the wall (1) with a concrete nail (3a) penetrating the crest frame (3). Then, the left and right cover 4, 5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adhesive is first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lids 4 and 5 facing the crest frame 3 to first bond the left and right lids 4 and 5, and then the nails 4b and 5b are attached. By using the left and right cover (4, 5) is secondary coupling to the frame 3 (3). When the coupling of the left and right covers 4 and 5 is completed, the stopper 7 is coupled between the left cover 4 and the right cover 5. First,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7 to be seated on the frame 3, and then the stopper 7 is left and right covers 4 and 5 and the frame 3 using the nails 7a. ). Finally, the closing plate 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3 using a nail 8a.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문틀은, 좌측 및 우측덮개(4,5)와, 스토퍼(7) 및 마감판(8)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표면에 못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표면에 피복된 문양지가 손상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못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손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By the way, such a prefabricated door frame is nailed to each surface in order to fix the left and right lids 4 and 5, the stopper 7 and the closing plate 8, so that the surface is covered with the surface. The pattern may be damaged and cracks may occur. In addition, a problem occurs such that the head of the nai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ppearance is damaged to degrade the qua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 제2003-62147호(이하, 선행출원)인 "조립식 문틀"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식 문틀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출원의 조립식 문틀은, 벽면(10)에 콘크리트못(21)으로 고정되는 고임목(20)과, 고임목(20)을 통해 콘크리트못(30a)으로 벽면(10)에 고정되는 가문틀(30)과, 가문틀(30)의 좌측면과 상부면 일부를 씌워주는 좌측마감판(40)과, 가문틀의 상부면 일부와 우측면 일부를 씌워주는 우측마감판(50)과, 가문틀(30)의 우측 하단에 결합되는 앙카(80)와, 가문틀(30)의 우측면과 앙카(80)를 씌워주는 우측장식판(70)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of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6214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parative Application") suggests a prefabricated door frame as shown in FIG. Prefabricated door frame of the prior application, the wooden frame 2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 by the concrete nail 21 on the wall surface 10, and the wooden frame frame 3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 by the concrete nail 30a And, the left finishing plate 40 to cover a part of the left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the right finishing plate 50 to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frame 30, and the frame 30 Anchor 80 is coupled to the lower right of the, and the right side of the frame 30 is composed of a right decorative plate 70 to cover the anchor 80.

여기서, 가문틀(30)에는 좌, 우측면에 요홈(31,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다. Here, in the frame 30, grooves 31 and 32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locking grooves 3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좌측마감판(40)은, 가문틀(30)의 좌측면을 씌워주는 좌측판체부(41)와, 좌측판체부(41)로부터 절곡되어 가문틀(30)의 상부면의 일부를 덮는 상측판체부(42)와, 상측판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단차를 가지고 돌출되어 문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판체부(41)의 내측에는 가문틀(30)의 요홈(31,32)에 결합되는 돌기(4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The left finishing plate 40 is a left plate body part 41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frame 30 and an upper plate bent from the left plate body part 41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A body portion 42 and a stopper 43 which extends from the upper plate body portion and protrudes with a predetermined step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door. Here, the protrusions 44 coupled to the grooves 31 and 32 of the crest frame 30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left plate body 41.

그리고, 스토퍼(43)의 하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음 스토퍼(43)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장된 걸림판(45)이 형성되어 있어 가문틀(30)의 걸림홈(33)에 끼워지게 되며, 스토퍼(43)와 걸림판(45) 사이에는 우측마감판(50)의 단부를 수용하는 요홈(46)이 형성되어 있다.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43 is formed with a locking plate 45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and then bent in parallel with the stopper 43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 of the frame 30. A groove 46 is formed between the stopper 43 and the locking plate 45 to accommodate the end portion of the right finish plate 50.

한편, 앙카(80)은 상단과 하단에 요홈(81,82)이 형성된 수직앙카부(83)와, 수직앙카부(83)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85)를 갖는 수평앙카부(84)를 갖는다. Meanwhile, the anchor 80 has a vertical anchor portion 83 having grooves 81 and 82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a horizontal anchor having a protrusion 85 bent from the side of the vertical anchor portion 83 and protruding upward. It has a portion 84.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립식 문틀을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door frame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벽면(10)에 복수개의 고임목(20)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콘크리트못(21)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가문틀(30)은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한 다음, 가문틀(30)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34)에 앙카(80)의 돌기(85)를 끼워넣어 결합시킴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앙카(80)를 가문틀(3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앙카(80)가 장착된 가문틀(30)을 콘크리트못(30a)을 사용하여 고임목(20)에 결합시키고, 벽면(10)과 가문틀(30) 사이의 공간에는 우레탄 폼(60)을 충진하여 발포시킨다. 그리고, 가문틀(3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측마감판(40)과 우측마감판(50)를 결합시키고, 마지막으로 앙카(80)를 덮도록 우측장식판(7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앙카(80)의 요홈(81,82)에 각각 우측장식판(70)의 돌기(71,82)를 삽입하여 우측장착식판(70)을 고정하게 된다. First, a plurality of stumps 20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wall surface 10 and fixed with concrete nails 21. Then, the frame 30 is assembled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then the projections 85 of the anchor 8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3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ancho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80) is attached to the crest frame (30). Then, the frame 30 mounted with the anchor 80 is coupled to the stump 20 using the concrete nail 30a, and the urethane foam (60) in the space between the wall surface 10 and the frame 30 (30) ) And foam. Th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30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finish plate 40 and the right finish plate 50, respectively, and finally to the right decorative plate 70 to cover the anchor 80. At this time, the projections 71 and 82 of the right decorative plate 70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s 81 and 82 of the anchor 80 to fix the right mounting plate 70.

이러한 선행출원의 조립식 문틀은, 도 1의 조립식 문틀에서와는 달리 적은 수의 못을 사용하고 있으며,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조립식 문틀의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였다. 그러나, 스토퍼(43)와 좌측마감판(40)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목재가 아닌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근래의 소비자의 선호에 반하는 제품을 제작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사출성형 제품이므로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좌측마감판(40), 스토퍼(43), 앙카(80)를 고정하기 위해 가문틀(30)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함에 따라 가문틀(30)을 가공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of the prior application, unlike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of Figure 1 uses a small number of nails, in that the head of the nai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lve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door frame somewhat. However, as the stopper 43 and the left finishing plate 40 are integrally formed, not only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ut also the injection structure is made of plastic instead of wood as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roduct which is contrary to the recent consumer's preference for an environment-friendly product is disadvantageous, an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weak in heat because it is an injection molding product. 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frame 30 to fix the left finish plate 40, the stopper 43, the anchor 80, excessive time and effort for processing the frame 30 There is a problem of being consumed.

이에 따라,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문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여 조립식 문틀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efabricated door frame that can prevent the head of the nai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improve the appearance, as well as simplify the structure and improve the workabilit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manufacture a prefabricated door frame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못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향상시킨 고품질의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quality prefabricated door frame and a pair of frames mounted thereto that prevent the head of the nai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improve the appeara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oor frame and a pair of frames mounted thereon, which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by using simple materials to improve workability and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어 문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가틀보다 소정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스토퍼와; 상기 가틀의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가틀의 가로방향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한 쌍의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스토퍼와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가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plate-like fixed plywood fixed to the wall; A gartle coupled to the wall by the fixed plywood and forming a main body of the door frame; A plate-shaped stopper coupled to a surface of the frame opposite to the fixed plywo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rame; A pair of frames coupled to surround both edges adjacent to the stopper of the frame; A pair of trim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le to close the bottl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stopper and the trim.

상기 스토퍼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가틀을 향한 바닥면에 판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될 수 있다. Fixing ribs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plate surface are formed at both bottom ends of the stopp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opper, and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frame is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rib. Can be.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문이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가틀의 상부에 접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접하는 측판부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The frame includes a main frame including a seating plate portion on which the door is seated, and a coupling plate portion bent from the seating plate portion and coupled to a side of the frame; It may have an auxiliary frame including a locking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side plate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locking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은, 상기 문이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The frame may have a pair of main frames including a seating plate portion on which the door is seated, and a coupling plate portion bent from the seating plate portion a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ame.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결합판부는 상기 가틀의 측면 중앙영역까지 연장되며, 그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림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late portion of the main frame extends to the side central region of the girdle, and the free end portion preferably ha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trim.

상기 메인프레임의 안착판부의 상기 스토퍼를 향한 자유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고정리브의 높이만큼 절취되며,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ee end facing the stopper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of the main frame is preferably cut by the height of the fixing rib of the stopper, the coupling rib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판부는 상기 가틀의 측면의 중앙영역까지 연장되며, 그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림을 향해 돌출된 측면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plate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extends to the center region of the side of the frame, the free end is preferably formed with side projections protruding toward the trim.

상기 보조프레임의 걸림판부는 그 폭이 상기 스토퍼의 수용홈에 대응되도록 맞춤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late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is custom-made so that its width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topper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층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의 자유단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protrus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상기 톱니는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의 자유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결합돌기의 시작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oth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free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start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트림은 상기 가틀의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측에 결합되는 트림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측에 결합되는 트림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면돌기가 결합되는 측면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im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irdle; The trim coupled to the main frame sid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main frame, the trim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side is preferably formed with side grooves to which the side projections of the auxiliary frame are coupl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문틀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문틀의 결합단면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door frame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립식 문틀(101)은, 벽면(103)에 고정되는 고정합판(110)과, 고정합판(110)의 상면에 고정되며 문틀(101)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120)과, 가틀(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0)와, 가틀(120)의 양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140,150)과, 가틀(12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장식용 트림(16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101, the fixed plywood 1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3, the frame 1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ywood 110 to form the body of the door frame 101 And a stopper 130 coupled to the top of the gait 12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a pair of frames 140 and 150 coupled to both edge regions of the gait 120,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ait 120. And a pair of ornamental trims 160.

여기서, 고정합판(110)은 가틀(120)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합판으로 형성되며, 벽면(103)의 전영역에 걸쳐 장착되도록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 벽면(103)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장착하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합판(110)은 가틀(120)이 안착되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 되므로, 수평과 수직을 정확하게 맞추어 벽면(103)에 장착되어야 한다. Here, the fixed plywood 110 is formed of a plywood having a smaller width than the gait 120, may be formed long to be moun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wall surface 103,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all surface 103 It may be formed in a short length so as to mount. The fixed plywood 110 is a reference for the frame 120 is seated and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it should be mounted on the wall 103 to matc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xactly.

가틀(120)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틀(120)의 양측면은 상부면으로부터 그 중앙영역까지 소정 폭만큼 절취되어 있으며, 절취폭은 각각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이 가틀(120)의 측면에 접촉한 후,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외면이 가틀(120)의 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틀(120)은 앙카를 이용하여 고정합판(110)과 벽면(103)에 고정된다. The gait 1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oth sides of the garment 120 are cut out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center area, the cutting width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respectively. Accordingly, after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ame 120,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is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of the frame 120. Will be located. The gait 120 is fixed to the fixed plywood 110 and the wall surface 103 using an anchor.

이러한 가틀(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스토퍼(130)는, 가틀(120)의 전영역에 걸쳐 길게 장착되도록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가틀(120)을 향한 바닥면의 양측부에는 가틀(120)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브(131)가 판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고정리브(131)는 스토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토퍼(130)에는 고정리브(131)의 상부에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35)이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어 있다. The stopper 130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gait 12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so as to be moun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gait 120, and the gait 120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gait 120. Fixing rib 131 for fixing to the outside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plate surface. The fixed rib 131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pper 130, or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topper 130 has a recessed recess 135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rib 131 for accommodating the ends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from the plate surface.

한편, 가틀(120)의 양측에 결합된 프레임(140,150)은, 문의 연부를 가이드하는 메인프레임(150)과, 마감재 역할을 하는 보조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ame (140, 15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120 is composed of a main frame 150 for guiding the edge of the door, and an auxiliary frame 140 serving as a finishing material.

메인프레임(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틀(120)의 상면에 배치되어 문이 안착되도록 일정 이상 폭을 갖는 안착판부(151)와, 안착판부(151)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가틀(120)의 측면에 접하는 결합판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판부(151)의 스토퍼(130)를 향한 자유단부에는 스토퍼(130)의 고정리브(131)의 높이만큼 절취되어 상하폭이 좁은 결합리브(157)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리브(157)는 스토퍼(130)의 수용홈(135)에 결합된다. 한편, 결합판부(153)는 가틀(120)의 측면 중앙영역까지 연장형성되며, 그 자유단부에는 트림(160)을 향해 돌출한 결합돌기(15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5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층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돌기(155)의 자유단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톱니는 결합돌기(155)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톱니는 결합돌기(155)의 자유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결합돌기(155)의 시작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일단 결합홈(161) 등에 수용되면 결합돌기(155)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As shown in FIG. 5, the mainframe 15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0 and has a seat plate portion 15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r more so that the door is seated, and bent downward from the seat plate portion 151. Coupling plate portion 153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120. Here, the free end of the mounting plate 151 toward the stopper 130 is cut by the height of the fixing rib 131 of the stopper 130 to form a coupling rib 157 having a narrow upper and lower width, and the coupling rib 157 )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35 of the stopper 130.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late 153 is formed to exten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of the gait 120, the coupling end 155 protruding toward the trim 160 is formed at its free end.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15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55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tooth i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155, the tooth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free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55 toward the start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55 By being formed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onc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161 or the like prevents the coupling protrusion 155 is separated to the outside.

보조프레임(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50)과 마찬가지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틀(120)의 상부에 접하는 걸림판부(141)와, 걸림판부(141)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가틀(120)의 측면에 접하는 측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판부(141)는 그 가로방향 폭이 수용홈(135)의 폭에 대응되도록 맞춤 형성되어 결합리브(157)와 마찬가지로 수용홈(135)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한편, 측판부(143)의 말단부에는 트림(160)을 향해 돌출한 측면돌기(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돌기(145)에는 결합돌기(155)와 마찬가지로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auxiliary frame 140 is formed in a '-' shape similarly to the main frame 150, and includes a locking plate portion 141 and a locking plate portion 141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20. It includes a side plate portion 143 is bent downward from th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gait 120. Here, the engaging plate portion 141 is custom-formed so that the horizontal width thereof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135 is receiv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35, like the coupling rib 157. On the other hand, at the distal end of the side plate portion 143 is formed a side projection 145 protruding toward the trim 160, the side projection 145 is formed with teeth, similar to the engaging projection 155.

이러한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은 비교적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선행출원의 복잡한 좌측마감판이 필연적으로 플라스틱 수지로 제작되던 것과는 달리, 목재, 톱밥 등의 목분을 압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열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Since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unlike the complex left-end plate of the preceding application is inevitably made of plastic resin, it can be produced by compressing wood powder such as wood, sawdu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roduct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are not easily deformed by heat.

이러한 문틀(10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문틀(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트림(160)은, 가틀(120)에 접하는 내측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면을 갖는다. 트림(160) 중 보조프레임(140) 측에 결합되는 트림(160)에는 보조프레임(140)의 측면돌기(145)가 수용되는 측면홈(163)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프레임(150)측에 결합되는 트림(160)에는 메인프레임(150)의 결합돌기(155)가 수용되는 결합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트림(160)의 장식면은 그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문양이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trim 160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frame 101 to form the exterior of the door frame 101 has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rame 120 and a decorativ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The trim 160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140 side of the trim 160 is formed with a side groove 163 in which the side protrusion 145 of the auxiliary frame 140 is accommodated, and on the main frame 150 side. A coupling groove 161 is formed in the trim 160 to be coupled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rotrusion 155 of the main frame 150. The decorative surface of the trim 160 has a gentle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or curved surfaces.

이러한 구성에 의한 조립식 문틀(101)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door frame 101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벽면(103)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합판(110)을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설치하며, 이 때, 고정합판(110)의 수평과 수직을 잘 맞추어 결합시킨다. 그리고 사각틀 형상으로 짜여진 가틀(120)을 측면으로부터 밀어넣어 고정합판(110)이 가틀(12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면, 앙카를 결합시켜 가틀(120)이 고정합판(110)과 벽면(103)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정합판(110)에 의해 벽면(103)과 가틀(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우레탄 폼(115)을 발포시켜 충진되도록 한다. First, the fixed plywood 110 is installed using a concrete n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wall surface 103, an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fixed plywood 110 is well-fitted and combined. And when the fixed plywood 110 is loc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frame 120 by pushing the frame 120 woven into the rectangular frame shape from the side, the anchor 120 is coupled to the fixed plywood 110 and the wall surface 103 To be fixed at Then, the urethane foam 115 is foam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103 and the gartle 120 by the fixed plywood 110 to be filled.

이렇게 가틀(120)이 고정되면, 가틀(120)의 상부면에 스토퍼(130)를 결합시키며, 먼저 스토퍼(130)의 가틀(120)을 향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스토퍼(130)를 가틀(12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다음, 가틀(120)의 고정리브(131)에 'ㄷ'자 형상의 타카를 결합시켜 스토퍼(130)를 가틀(120)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각각 가틀(120)의 양측에 결합시키며, 이 때,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결합리브(157)와 걸림판부(141)가 스토퍼(130)의 수용홈(135)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메인프레임(150)의 결합돌기(155)와 보조프레임(140)의 측면돌기(145)의 상부에 타카를 박아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When the gait 120 is fixed in this way, the stopper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ait 120, and first,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facing the gait 120 of the stopper 130 to stop the stopper 130. After se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120, the stopper 130 is fixed to the frame 120 by coupling the '-' shaped Taka to the fixing rib 131 of the frame 120. Then,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120, at this time, the coupling rib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The 157 and the locking plate 141 are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35 of the stopper 130. Then, the Taka is pu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55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side protrusion 145 of the auxiliary frame 140 to secure the coupling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마지막으로 트림(16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가틀(120)의 양측면에 결합시키며, 이 때, 트림(16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트림(160)을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50)의 결합돌기(155)와 보조프레임(140)의 측면돌기(145)가 트림(1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61)과 측면홈(163)에 삽입됨으로써, 트림(160)의 결합이 완료된다. Finally,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im 160, and then bonded to both sides of the girdle 120. At this tim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im 160, and then the trim 160 is applied to the main frame. Pressurizes toward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155 of the main frame 150 and the side protrusion 145 of the auxiliary frame 14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1 and the side groove 16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im 160. Then, the coupling of the trim 160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조립식 문틀(101)은, 스토퍼(130)와 메인프레임(150) 및 보조프레임(140)의 결합시 타카를 사용함으로써, 못을 사용할 때의 반만큼만의 타카를 사용하더라도 못을 사용할 때와 동일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을 환경친화적 소재로서 품질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조립후 스토퍼(130)에 결합된 타카는 메인프레임(150)과 보조프레임(1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시공작업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외관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문틀(101)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101 uses a tack when the stopper 130 and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are combined, so that the nail can be used even if only half of the tack is used when the nail is used. The same binding force as in the case can be obtained, and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can be made of high quality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Taka is coupled to the stopper 130 after assembly is block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main frame 150 and the auxiliary frame 140, not only the construction work is easy, but also the appearance is improved and the high quality door frame ( 101) can be produced.

또한, 본 조립식 문틀(101)은, 고정합판(110), 가틀(120), 스토퍼(130), 한 쌍의 프레임, 트림(160)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조도 간단하다. 이에 따라,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간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101 not only has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fixed plywood 110, the frame 120, the stopper 130, a pair of frames, the trim 160, each structure is also simple Do.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production be easy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but also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to shorten the working tim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안착판부(151)를 갖는 메인프레임(150)을 하나만 장착시키는 구조로서, 문(105)을 일측에만 장착할 수 있는 문틀(10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토퍼(130)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보조프레임(140) 대신 메인프레임(150)을 가틀(120)의 양측에 결합시킴으로써, 안착판부(151)를 한 쌍으로 형성하여 문(105)을 양측에 장착할 수 있는 문틀(101)에 본 고안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a structure for mounting only one main frame 150 having a seating plate 151, the door frame 101 that can be mounted on one side only, but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topper ( 130 to form a narrow width, and by coupling the main frame 150 to both sides of the frame 120 instead of the auxiliary frame 140, forming a seating plate 151 in pairs to mount the door 105 on both sides Of course, you can als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oor frame 101.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should be taken as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타카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후 타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환경친화적 소재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해지고 외관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문틀을 제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use of the taka and preventing the taka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assembling, the construction work is made by manufacturing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ts simplicity and improved appearance make it possible to produce high quality door frame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fram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의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분해단면도,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문틀의 결합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frame of Figure 3,

도 5는 도 3의 메인프레임의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frame of FIG.

도 6은 도 3의 보조프레임의 확대 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frame of FIG.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에 문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installed in the do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전면도이다. 8 is a front view of the do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3 : 벽면 110 : 고정합판103: wall 110: fixed plywood

120 : 가틀 161 : 결합홈 120: gattle 161: coupling groove

163 : 측면홈 130 : 스토퍼 163: side groove 130: stopper

131 : 고정리브 135 : 수용홈131: fixed rib 135: receiving groove

140 : 보조프레임 141 : 걸림판부140: auxiliary frame 141: locking plate

143 : 측판부 145 : 측면돌기 143: side plate 145: side projection

150 : 메인프레임 151 : 안착판부150: main frame 151: seating plate

153 : 결합판부 155 : 결합돌기 153: engaging plate portion 155: engaging projection

157 : 결합리브 160 : 트림157: coupling rib 160: trim

Claims (16)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A plate-like fixed plywood fixed to the wall;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A gartle coupled to the wall by the fixed plywood and forming a main body of the door frame;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항되는 면에 결합되어 문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가틀보다 소정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스토퍼와; A plate-shaped stopper coupled to a surface of the frame opposite to the fixed plywoo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rame; 상기 가틀의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A pair of frames coupled to surround both edges adjacent to the stopper of the frame; 상기 가틀의 가로방향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한 쌍의 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trim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irdle to close the gird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토퍼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가틀을 향한 바닥면에 판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Fixing ribs extending outwardly along the plate surface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girdle at both sid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opper, and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frame is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rib. Featured prefabricated doo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은, The frame, 상기 문이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과; A main frame including a seating plate portion on which the door is seated, and a coupling plate portion bent from the seating plate portion and coupled to a side of the frame; 상기 가틀의 상부에 접하는 걸림판부와, 상기 걸림판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접하는 측판부를 포함하는 보조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uxiliary frame including a locking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side plate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locking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am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프레임은, The frame, 상기 문이 안착되는 안착판부와, 상기 안착판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가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air of main frame including a seating plate portion is seated on the door and a coupling plate portion bent from the seating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am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결합판부는 상기 가틀의 측면 중앙영역까지 연장되며, 그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림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coupling plate part of the main frame extends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of the frame, the free end is a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trim is formed.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메인프레임의 안착판부의 상기 스토퍼를 향한 자유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고정리브의 높이만큼 절취되며,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 toward the stopper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of the main frame is cut by the height of the fixing rib of the stopper, the coupling rib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판부는 상기 가틀의 측면의 중앙영역까지 연장되며, 그 자유단부에는 상기 트림을 향해 돌출된 측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side plate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extends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ide of the frame, the free end of the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trim is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보조프레임의 걸림판부는 그 폭이 상기 스토퍼의 수용홈에 대응되도록 맞춤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locking plate of the auxiliary frame is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customizable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topp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층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의 자유단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ide projection is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톱니는 상기 결합돌기와 측면돌기의 자유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가 결합돌기의 시작단부측을 향한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sawtooth is a prefabricated doo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free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start end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림은 상기 가틀의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The trim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irdle; 상기 메인프레임측에 결합되는 트림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돌기가 수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측에 결합되는 트림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면돌기가 결합되는 측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틀. The trim coupled to the main frame sid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 receiv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main frame, the trim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groove is coupled to the side projection of the auxiliary frame is formed. Prefabricated door fram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04-0023741U 2004-08-19 2004-08-19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KR2003759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41U KR200375934Y1 (en) 2004-08-19 2004-08-19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41U KR200375934Y1 (en) 2004-08-19 2004-08-19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203A Division KR100676414B1 (en) 2004-08-18 2004-08-18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34Y1 true KR200375934Y1 (en) 2005-03-11

Family

ID=4367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741U KR200375934Y1 (en) 2004-08-19 2004-08-19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3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961B1 (en) * 2010-09-15 2012-11-22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Assembly type door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961B1 (en) * 2010-09-15 2012-11-22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Assembly type door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414B1 (en)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KR200375934Y1 (en)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KR100676409B1 (en)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KR200375933Y1 (en) A set doorframe and a pair of frame thereof
KR200224353Y1 (en) Door Flame
KR200375935Y1 (en) A set doorframe and clip thereof
KR100676417B1 (en) A set doorframe and clip thereof
KR200211399Y1 (en) door frame
KR200402211Y1 (en) Gate guide fabrication synthetic resin door frame structure
KR200405627Y1 (en) Floor cover cap
KR200272171Y1 (en) Assembling type door frame
US20070094996A1 (en) Trim piece
KR100348686B1 (en) Doorframe assay
KR200246701Y1 (en) Structure of door frame
KR100450630B1 (en) Assembling type door frame
KR200455291Y1 (en) Fire plate fastener
JP2005042444A (en) Projected corner/recessed corner set with starter and construction method by the same
KR200274257Y1 (en) Mold for Surface Process of Furniture
KR200246700Y1 (en) Structure of door frame
KR100528063B1 (en) A variable type door frame cover
KR101203961B1 (en) Assembly type doorframe
JP3500627B2 (en) Kasagi cosmetics
KR200189674Y1 (en) Assembly style door frame being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KR200435112Y1 (en) Side decoration of the frame which it bites the combination structure which sells
JP3925427B2 (en) Entrance fen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