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532Y1 - 쪽집게 - Google Patents

쪽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532Y1
KR200375532Y1 KR20-2004-0031571U KR20040031571U KR200375532Y1 KR 200375532 Y1 KR200375532 Y1 KR 200375532Y1 KR 20040031571 U KR20040031571 U KR 20040031571U KR 200375532 Y1 KR200375532 Y1 KR 200375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tong
leg
tweezers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쎄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쎄븐
Priority to KR20-2004-0031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66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026/008Details of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쪽집게에 관한 것이다.
이 쪽집게는 제1집게다리(110)와, 이 제1집게다리(110)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집게다리(120)로서 이루어지고,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오므라져 선단측(102)에서 소정의 집게간격(103)을 형성하는 제1집게부(100); 및 상기 제1집게부에 대응하는 제3집게다리(210)와, 제4집게다리(220)로서 이루어져 상기 제1집게부(100)의 기단측(101)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제2집게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중 어느 하나는 길이가 짧고 가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가 관공(105)(205)의 축고정구(300)로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집게다리(110)와 제2집게다리(120)가 기단부(101)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쪽집게이다.
이 쪽집게는 하나의 쪽집게로서 크고 작은 폭 두개의 쪽집게 기능이 중첩된 쪽집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쪽집게{Double pincette, tweezers}
본 고안은 쪽집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가 서로 다른 두개의 쪽집게가 중첩/결합된 쪽집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일측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선단측이 좁아진 제1집게다리와, 이 제1집게다리에 마주보게 대칭되는 제2집게다리를 이루되 제1집게다리와 제2집게다리가 기단측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선단측에서 오므라져 소정의 집게간격을 형성하는 쪽집게는 알려져 있었다.
또한, 외과적 수술의 도구로 사용되는 핀셋의 경우 그 기능별로 길이가 다르고 집게폭이 각각 다른 여러가지의 핀셋이 사용되어져 왔으며, 간단히 가정에서 콧털을 뽑거나 잔털을 뽑기 위하여 사용되는 쪽집게의 경우에도 그 집게의 대상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독립된 쪽집게들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고안은 그동안 크기 혹은 기능에 따라 일일이 쪽집게를 구비함에 따른 단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쪽집게로서 복수의 집게기능이 구현되는 중첩기능의 쪽집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쪽집게는,
일측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선단측이 좁아진 제1집게다리와, 이 제1집게다리에 마주보게 대칭되는 제2집게다리를 이루되 제1집게다리와 제2집게다리가 기단측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선단측에서 오므라져 소정의 집게간격을 형성하는 제1집게부; 및 일측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선단측이 좁아진 제3집게다리와, 이 제3집게다리에 마주보게 대칭되는 제4집게다리를 이루되 제3집게다리와 제4집게다리가 기단측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선단측에서 오므라져 소정의 집게간격을 형성하되 제3집게다리와 제4집게다리의 기단측을 납작하게 결합시켜 상기 제1집게부의 기단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제2집게부를 포함한 쪽집게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 쪽집게의 상기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중 어느 하나는 길이가 짧고 가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제2집게부가 축고정되는 제1집게다리와 제2집게다리의 기단부분이 그 측면에서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쪽집게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쪽집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쪽집게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쪽집게는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로 이루어진다.
제1집게부(100)는 기단(101)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112)이 좁아진 제1집게다리(110)와, 이 제1집게다리(110)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집게다리(120)로 이루어진다.
이 제1집게다리(110)와 제2집게다리(120)는 다시 기단(101)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오므라져 선단측(102)에서 소정의 집게간격(103)을 형성한다.
상기 제1집게부(100)의 제1집게다리(110)와 제2집게다리(120)는 그 기단부(101)의 일측면에서 연결부(104)로서 일체로 연결되어 반대쪽은 수용공간(106)을 이룬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집게부(200)는 기단(201)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202)이 좁아진 제3집게다리(210)와, 이 제3집게다리(210)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4집게다리(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집게다리(210)와 제4집게다리(220)는 다시 기단(201)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오므라져 선단측(202)에서 소정의 집게간격(203)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3집게다리(210)와 제4집게다리(220)의 기단측(201)을 상기 제1집게부(100)의 기단(101) 수용공간(106)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는 각각 기단(101)(201)에 관공(105)(205)를 형성하고, 상기 제1집게부(100)의 연결부(104) 반대쪽 내부로 상기 제2집게부(200)의 기단(201)을 집어넣어 제2집게부(200)의 관공(205)과 일치시킨 뒤 관공(105)(205)에 축고정구(300)로서 관통시켜 상,하에서 몰드/결합되므로서 제1집게부(100)의 수용공간(106)내에서 제2집게부(200)가 축고정구(300)를 축으로 회동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 쪽집게의 상기 제1집게부(100)는 제2집게부(200)보다 크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큰 것에 대한 집게작용은 제1집게부(100)가 담당하고, 미세하고 작은 것의 집게작용은 제2집게부(200)가 담당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쪽집게의 단면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고안 쪽집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른 본 고안 쪽집게의 보다 큰 부분의 집게목적으로 사용시에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집게부(100)의 개구된 수용공간(106)에 제2집게부(200)의 기단(201)이 수용된 상태로 사용되다가 작고 미세한 것의 집게로서 사용코자 할 경우에는 제1집게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2집게부(200)를 축고정구(300)를 축으로 180°회전시켜 제1집게부(100)의 기단(101)에서 반대방향으로 펼쳐지게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제1,제2집게부(100)(200)의 펼침상태에서는 파지가 안정적으로 파지되어 각 집게부의 사용도 쉬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쪽집게는 그동안 크기에 따라 쪽집게의 종류를 다양하게 갖추어야 하던 집게 혹은 핀셋의 집게기능을 개선하여 하나의 쪽집게로크고 작은 복수의 집게기능이 달성되게 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쪽집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쪽집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쪽집게의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쪽집게의 사용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집게부, 101:기단, 102:선단, 103:간격,
110:제1집게다리, 112:선단, 120:제2집게다리,
200:제2집게부, 201:기단, 202:선단,203:간격,
210:제3집게다리, 220:제4집게다리,300:축고정구

Claims (4)

  1. 쪽집게에 있어서,
    기단(101)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112)이 좁아진 제1집게다리(110)와, 이 제1집게다리(110)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2집게다리(120)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집게다리(110)와 제2집게다리(120)는 기단(101)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오므라져 선단측(102)에서 소정의 집게간격(103)을 형성하는 제1집게부(100); 및
    기단(201)으로 부터 소정폭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202)이 좁아진 제3집게다리(210)와, 상기 제3집게다리(210)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마주보는 제4집게다리(220)로서 이루어지고, 제3집게다리(210)와 제4집게다리(220)는 다시 기단(201)에서 소정각도로 벌어졌다 오므라져 선단측(202)에서 소정의 집게간격(203)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3집게다리(210)와 제4집게다리(220)의 기단측(201)을 상기 제1집게부(100)의 기단측(101)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제2집게부(200)를 포함하는 쪽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중 어느 하나는 길이가 짧고 가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집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100)와 제2집게부(200)는 각각 기단(101)(201)에 관공(105)(205)를 형성하고, 이 관공(105)(205)에 축고정구(300)를 관통시켜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100)의 제1집게다리(110)와 제2집게다리(120)가 그 기단부(101)의 측면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쪽집게.
KR20-2004-0031571U 2004-11-08 2004-11-08 쪽집게 KR200375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71U KR200375532Y1 (ko) 2004-11-08 2004-11-08 쪽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571U KR200375532Y1 (ko) 2004-11-08 2004-11-08 쪽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532Y1 true KR200375532Y1 (ko) 2005-03-11

Family

ID=4367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71U KR200375532Y1 (ko) 2004-11-08 2004-11-08 쪽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5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62Y1 (ko) * 2007-11-30 2009-09-08 주식회사 맥스메이트 회전형 족집게
KR20160088179A (ko) 2015-01-15 2016-07-25 김현진 쉽게 흰 머리카락을 뽑는 쪽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62Y1 (ko) * 2007-11-30 2009-09-08 주식회사 맥스메이트 회전형 족집게
KR20160088179A (ko) 2015-01-15 2016-07-25 김현진 쉽게 흰 머리카락을 뽑는 쪽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6278A3 (en) Surgical end effectors with pivotal jaws configured to touch at their respective distal ends when fully closed
BRPI0604714A (pt) aplicador de clipe com caracterìsticas de resistência à migração
DE60311043D1 (de) Chirurgische Vorrichtung mit expandierbarem Element
US7641248B2 (en) Compact double tweezers
ATE318196T1 (de) Einstellbare zange
MXPA06010633A (es) Aplicador de broche configurado para evitar la caida del pasador.
BRPI0604715B8 (pt) aplicador de clipe cirúrgico
SG145757A1 (en) Surgical clip applier methods
EP1712188A3 (en) Surgical clip applier
EP1712191A3 (en) Surgical clip applier
JP2010527733A5 (ko)
ATE385406T1 (de) Apparate zum verbinden von gewebeschichten
EP1712189A3 (en) Surgical clip applier ratchet mechanism
DE60104667D1 (de)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r arteriellen Perforation
EP1712187A3 (en) Force limiting mechanism for medical instrument
US7721394B2 (en) Button tool
SE0302951D0 (sv) Surgical cutting instrument
KR200375532Y1 (ko) 쪽집게
ATE526280T1 (de) Mehrzwecköffnervorrichtung
US7395740B2 (en) Fish tape and pliers construction
DE502004005981D1 (de) Zeckenzieher
JP4733771B1 (ja) レバー付きピンセット
CN210811478U (zh) 拔钉钳及拔钉钳组件
EP1768581A4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TICK
KR200413828Y1 (ko) 집게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집게형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