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396Y1 - Polishing pad for CMP - Google Patents

Polishing pad for C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396Y1
KR200375396Y1 KR20-2004-0031687U KR20040031687U KR200375396Y1 KR 200375396 Y1 KR200375396 Y1 KR 200375396Y1 KR 20040031687 U KR20040031687 U KR 20040031687U KR 200375396 Y1 KR200375396 Y1 KR 200375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groove
groove pattern
pattern
polish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6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돈
김철복
안동훈
김광엽
Original Assignee
동성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3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3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24B37/26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apping pad surface, e.g. gro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그루브 패턴이 형성되어 반도체 웨이퍼 또는 각종 기판 등을 포함한 대상체의 표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CMP용 폴리싱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특징적인 구성은,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1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Y축 그루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 1 그루브 패턴;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2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Y축 그루브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 사이에서 상호간이 등 간격 배치를 이루는 제 2 그루브 패턴; 및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X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X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 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과 상기 제 3X축 그루부 패턴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Y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Y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 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3 그루부 패턴이 상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ishing pad for CMP, in which an improved groove pattern is formed to smoothly polish the surface of an object including a semiconductor wafer or various substrates. A first groove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ormed first X-axis grooves and a plurality of first Y-axis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X-axis grooves; A second X-axis groov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Y-axis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second X-axis groove,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roove patterns Second groove patterns forming mutually equal spacing; And a third X-axis groove pattern and the third X-axis groove pattern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X-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X-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A third groov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X-axis groove patterns form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Y-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Y-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while being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Description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용 폴리싱 패드{Polishing pad for CMP} Polishing pa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olishing pad for CMP}

본 고안은 CMP용 폴리싱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그루브 패턴이 형성되어 반도체 웨이퍼 또는 각종 기판 등을 포함한 대상체의 표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CMP용 폴리싱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ishing pad for C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ishing pad for CMP, in which an improved groove pattern is formed to smoothly polish the surface of an object including a semiconductor wafer or various substrates.

일반적으로 고집적화 추세에 있는 반도체소자는 회로 선폭의 감소에 대응하여 각 층간 회로 패턴이 정밀하게 오버레이 될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각 층간의 회로패턴은 부분적인 증착과 성장 및 식각 등 단위 공정의 반복적 수행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회로패턴의 표층은 부분적으로 단차진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회로패턴의 단차진 부위와 그 경계 부위는 후속하여 적층되는 회로패턴 사이의 콘택을 어렵게 하여 정렬 오차에 따른 완성된 제품의 성능 저하 또는 불량을 야기한다.In general,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a high integration trend require precisely overlaying the interlayer circuit patterns in response to a reduction in circuit line width. In this case, the circuit pattern between the layers is formed by partial deposition and repetitive performance of unit processes such as growth and etching. As a result, the surface layer of the circuit pattern has a partially stepped shape. As such, the stepped portion of the circuit pattern and the boundary portion thereof make it difficult to contact between circuit patterns that are subsequently stack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r failure of the finished product due to alignment error.

따라서 반도체소자로 제조되기까지의 웨이퍼는 상기와 같은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회 이상의 평탄화 공정을 갖는다.Therefore, the wafer until fabric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has at least one planarization process in order to eliminate the cause of the defect.

상술한 평탄화 공정에는 에치백(Etch-back) 또는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hemical-Mechanical Polishing; CMP) 등을 그 예로서 제시할 수 있다.The planariz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for example, etch-back 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이 중 CMP 공정은 CMP(chemical-mechanical polishing) 공정은 대상체의 표층을 화학적 반응으로 연질화시키고 동시에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Among these, the CMP process is a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object is softened by a chemical reaction and simultaneously removed by a physical method.

이러한 CMP 공정을 수행하는 폴리싱 패드(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속 회전하는 정반(1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polishing pad 10 performing the CMP process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12 that rotates at a high speed in a horizontal state.

폴리싱 패드(10)의 표면에는 그 회전 중심 부위에 계속적인 슬러리(S)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되는 슬러리(S)는 원심력에 의해 폴리싱 패드(10)의 표층에 확산되는 형상으로 유동하다가 결국 가장자리 부위에서 이탈하게 된다.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slurry S is made to the rotation center part. At this time, the supplied slurry (S) flows in a shape that is diffused to the surface layer of the polishing pad 10 by centrifugal force, and eventually leaves the edge portion.

웨이퍼(W)는 폴리싱헤드(14)에 의해 폴리싱 패드(10)에 대향한다. 그리고 웨이퍼(W)는 대상면이 폴리싱 패드(10)의 표면에 근접 또는 소정의 힘으로 눌려진 상태로 고속회전하면서 폴리싱 패드(10)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구간을 왕복한다. 이때 웨이퍼(W)는 폴리싱헤드(14)에 구비된 짐벌(gimbal)(16)에 의하여 폴리싱 패드(10)의 표면에 대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웨이퍼(W)의 대상면은 화학적 및 물리적인 작용으로 폴리싱된다.The wafer W is opposed to the polishing pad 10 by the polishing head 14. The wafer W reciprocates the sec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polishing pad 10 while rotating at a high speed while the target surface is pressed close to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or by a predetermined force. At this time, the wafer W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by the gimbal (16) provided in the polishing head (14).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target surface of the wafer W is polished by chemical and physical action.

웨이퍼(W)에 대한 폴리싱 공정은 웨이퍼(W) 표면의 평탄도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는 폴리싱 패드(10) 표면에 슬러리(S)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요구된다.Polishing process for the wafer (W) is intended to implement the flatness of the surface of the wafer (W), the condition for this is required to uniformly distribute the slurry (S) 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폴리싱 패드(10)의 표면에 슬러리(S)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12)이 고속회전을 하며,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차이를 보완하여 슬러리(S)의 유동 속도를 조절토록 그루브(G)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폴리싱 패드(10)에 기공들이 다층으로 포함되며, 컨디셔닝 과정 또는 폴리싱 과정에서 기공은 표면에 연속적으로 노출된다. 기공들은 원심력에 의해 유동하는 슬러리(S)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다시 유출되게 함으로써 슬러리(S)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데 관여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rface plate 12 rotates at a high speed so a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slurry S 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and compensates for the difference in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high speed rotation. Thus, grooves G are form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slurry S. In addition, the polishing pad 10 includes pores in multiple layers, and the pore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surface in the conditioning process or the polishing process. The pores are involved in uniformly distributing the slurry S by temporarily receiving the slurry S flowing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letting it out again.

이와 같이 CMP 공정에 의한 그 결과는, 웨이퍼(W)의 대상면과 접촉되는 폴리싱 패드(10)의 재질적 특성이나 표면 상태 등에 의해 연마 균일화에 영향을 받는다.As a result, the result of the CMP process is affected by the polishing uniformity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surface conditions, and the like of the polishing pad 10 in contact with the target surface of the wafer W.

도 2에 도시한 폴리싱 패드(10)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싱 패드의 평면도로서, 폴리싱 패드(10)의 표면에 서로 다른 직경의 동심원 그루브(G)들이 상호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polishing pad 10 shown in FIG. 2 is a plan view of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concentric grooves G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at regular intervals.

도 2와 같이 동심원 그루브(G)가 형성됨으로써, 폴리싱 패드(10)에 공급되어진 슬러리는 원심력의 작용으로 그루브(G)를 따라 이동하여 웨이퍼(W)의 대상면과 폴리싱 패드(10)의 마찰면 사이에 공급되어져 웨이퍼(W)에 대한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그루브(G)들은 일정한 폭과 깊이 및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슬러리의 공급과 배출 및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As the concentric grooves G are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slurry supplied to the polishing pad 10 moves along the grooves G by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to friction between the target surface of the wafer W and the polishing pad 10. It is supplied between the surfaces to perform the polishing on the wafer (W). These grooves G are arranged at a constant width and depth an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each other to influence the supply, discharge and distribution of the slurry.

그러나 웨이퍼(W)의 대상면에 대응하는 폴리싱 패드(10)의 중심부위와 가장자리부위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위는, 원심력에 의한 물리적인 연마작용의 차이를 가질 뿐 아니라 슬러리(S)의 유동과 분포에 대하여도 상당한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폴리싱 패드(10)의 전체 표면에 대하여 슬러리가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하면, 상기한 폴리싱 패드(10)의 각 부위는 웨이퍼(W)의 피연마면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작용하는 힘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웨이퍼(W)의 피연마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폴리싱되기 위해서는 폴리싱 패드(10)의 각 부위에서의 물리적인 작용과 이에 대한 슬러리의 분포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것을 필요로 한다.However,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polishing pad 10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urface of the wafer W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therebetween not only have a difference in physical polishing action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but also the flow of the slurry S.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Here, assuming that the slurry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0,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polishing pad 10 have different physical forces acting on the surface to be polished of the wafer W. Therefore, in order for the polished surface of the wafer W to be uniformly polished as a whole, the physical action at each part of the polishing pad 10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lurry thereof need to be managed efficiently.

도 3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개시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73586호이다. 도 3의 폴리싱 패드(20)는 종래 폴리싱 패드(10)에 있어서 동심원 그루브(G)에 의해 폴리싱 패드(10)의 구간별 슬러리 유동과 그 분포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웨이퍼(W)의 가장자리부위가 중심부위 보다 많이 연마되는 문제 및 슬러리(S)의 과다 공급에 따른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3 is a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73586 has been filed and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olishing pad 20 of FIG. 3 has an edge portion of the wafer W due to a difference in slurry flow for each section of the polishing pad 10 and its distribution density by concentric grooves G in the conventional polishing pad 10.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grinding more than the center and the problem of oversupply of the slurry (S).

도 3의 폴리싱 패드(20)는 연마면에 X축과 Y축 방향으로 직교형상을 이루는 제 1 그루브(G1)를 형성하고, 제 1 그루브(G1) 사이에서 다시 X축과 Y축 방향 즉, 제 1 그루브(G1)와 나란한 형상으로 직교하며 제 1 그루브(G1)와는 다른 깊이를 갖는 제 2 그루브(G2)를 형성한다.The polishing pad 20 of FIG. 3 forms a first groove G1 having an orthogonal shap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n the polishing surface, and again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ie, between the first grooves G1. A second groove G2 orthogonal to the first groove G1 in a shape parallel to the first groove G1 and having a dep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groove G1 is formed.

상술한 도 2의 폴리싱 패드(20)는 전면에 걸쳐서 물리적인 작용과 이에 대한 슬러리의 분포가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그루브 패턴이 형성되나, 보다 미소화되는 반도체 기술에 대응하여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에 대응한 폴리싱 패드(20)의 그루브 패턴의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 above-described polishing pad 20 of FIG. 2 is provided with a groove pattern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physical a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lurry thereof over the entire surface, but requires detailed management in response to a more miniaturized semiconductor technology, Accordingly, the groove pattern of the polishing pad 20 is required to be improved.

본 고안의 목적은 폴리싱 패드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 패턴을 개선하여 슬러리의 유동을 제어하여 웨이퍼와 같은 대상물의 표면이 균일하게 폴리싱되도록 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groove pattern formed on the polishing pad to control the flow of slurry so that the surface of an object such as a wafer is polished uniform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 용 폴리싱 패드의 특징적인 구성은,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1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Y축 그루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 1 그루브 패턴;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2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Y축 그루브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 사이에서 상호간이 등 간격 배치를 이루는 제 2 그루브 패턴; 및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X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X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 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과 상기 제 3X축 그루부 패턴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Y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Y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3 그루부 패턴이 상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olishing pa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X-axis while orthogonal to the first X-axis groove and the plurality of first X-axis groov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 first groove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Y-axis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direction; A second X-axis groov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Y-axis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second X-axis groove,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roove patterns Second groove patterns forming mutually equal spacing; And a third X-axis groove pattern and the third X-axis groove pattern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X-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X-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A third groov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X-axis groove patterns form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Y-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Y-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while being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제 2 및 제 3 그루브 패턴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단부는 테두리에서 일정 영역 내부에 있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groove patterns may be formed to be inside a predetermined area at an edg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CMP용 폴리싱 패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lishing pad for C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용 CMP 설비의 폴리싱 패드(30)에는 제 1 그루브 패턴(40), 제 2 그루브 패턴(42) 및 제 3 그루브 패턴(44)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groove pattern 40, a second groove pattern 42, and a third groove pattern 44 are formed in the polishing pad 30 of the CMP facility for a semiconductor wa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술한 폴리싱 패드(30)의 제 1 그루브 패턴(40)은 연마면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X축 그루브(40X)와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Y축 그루브(40Y)를 포함한다. 제 1 X축 그루브(40X)와 제 1 Y축 그루브(40Y)는 서로 직교하여 그리드 형상을 이룬다.First, the first groove pattern 40 of the polishing pad 30 described above is a first X-axis groove 40X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long the polishing surface and a first gap formed at a constant interval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groove 40Y is included. The first X-axis groove 40X and the first Y-axis groove 40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form a grid shape.

상술한 그리드 형상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폴리싱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방형상 또는 장방형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grid shape described above may be selectively applied in a squar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polishing efficiency according to a manufacturer's intention.

그리고 제 1 그루브 패턴(40)의 제 1 X축 그루브(40X)와 제 1 Y축 그루브(40Y)의 폭과 깊이는 대략 0.8~2.0㎜ 정도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1.5± 0.05㎜로 형성하고, 깊이는 0.8~1.5㎜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dth and depth of the first X-axis groove 40X and the first Y-axis groove 40Y of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re approximately 0.8 to 2.0 mm, and the width is preferably 1.5 ± 0.05 mm. To form, the depth can be made by forming 0.8 ~ 1.5mm.

그리고 폴리싱 패드(30)의 제 2 그루브 패턴(42)은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2 X축 그루브(42X)와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2 Y축 그루브(42Y)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X축 그루브(42X)와 제 2 Y축 그루브(42Y)는 서로 직교하여 그리드 형상을 이룬다.The second groove pattern 42 of the polishing pad 30 has a second X-axis groove 42X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Y-axis groove 42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It includes. The second X-axis groove 42X and the second Y-axis groove 42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form a grid shape.

한편, 상술한 제 2 그루브 패턴(42)은 제 1 그루브 패턴(40)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그루브 패턴(40)을 포함하여 등 간격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제 1 X축 그루브(40X)들 사이에서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X축 그루브(42X)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치를 이루고, 상호 이웃하는 제 1 Y축 그루브(40Y)들 사이에는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Y축 그루브(42Y)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치를 이루는 것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groove pattern 42 includes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groove patterns 40. Accordingly, at least one arrangement of the second X-axis grooves 42X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X-axis grooves 40X, and the first Y-axis grooves 40Y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Y-axis groove 42Y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forms at least one or more arrangements between the holes.

그리고 각각의 제 2 그루브 패턴(42)은 각 제 1 그루브 패턴(40)에 대응하여 나란함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방형상 또는 정방형상의 그리드 패턴을 이룬다.Each second groove pattern 42 forms a rectangular or square grid pattern, as described above,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first groove patterns 40.

또한,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X축 그루브(42X)와 제 2 Y축 그루브(42Y)의 폭과 깊이는 대략 0.5~1.2㎜ 정도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1.0± 0.05㎜로 형성하고, 깊이는 0.5~1.0㎜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second X-axis groove 42X and the second Y-axis groove 42Y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are formed about 0.5 to 1.2 mm, and preferably the width is 1.0 ± 0.05 mm. The depth can be set to about 0.5-1.0 mm.

그리고 제 1 그루브 패턴(40)과 제 2 그루브 패턴(42)의 각 그루브의 이격 거리(P1, P2)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distances P1 and P2 of the grooves of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nd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이에 더하여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X축 그루브(42X)와 제 2 Y축 그루브(42Y)의 교차점에는 폴리싱 패드(30)의 연마면에 공급되는 슬러리가 용출 되어지는 관통홀(46)이 형성되며, 관통홀(46)은 0.8㎜~1.2㎜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 0.0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X-axis groove 42X and the second Y-axis groove 42Y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the through hole 46 through which the slurry supplied to the polishing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30 is eluted. ) Is formed, the through hole 46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0.8mm ~ 1.2mm, preferably a diameter of 1 ± 0.05mm.

한편, 폴리싱 패드(30)의 제 3 그루브 패턴(44)은 상술한 제 1 그루브 패턴(40)과 제 2 그루브 패턴(42)사이 또는 상호 이웃하는 제 2 그루브 패턴(42)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3 그루브 패턴(44)은 제 1 그루브 패턴(40)의 제 1 X축 그루브(40X)와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X축 그루브(42X) 사이 또는 상호 이웃하는 제 2 X축 그루브(42X)들 사이에서 이들을 포함하여 상호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부(44X)를 구비한다. 또한 제 3 그루브 패턴(44)은, 제 1 그루브 패턴(40)의 제 1 Y축 그루브(40Y)와 제 2 그루브 패턴(42)의 제 2 Y축 그루브(42Y) 사이 또는 상호 이웃하는 제 2 Y축 그루브(42Y)들 사이에서 이들을 포함하여 상호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게 복수 형성된 제 3 Y축 그루부(44Y)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groove pattern 44 of the polishing pad 30 is form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first groove pattern 40 and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or between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adjacent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third groove pattern 4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X-axis groove 40X of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nd the second X-axis groove 42X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or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ird X-axis grooves 44X are formed between the two X-axis grooves 42X so as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third groove pattern 44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Y-axis groove 40Y of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nd the second Y-axis groove 42Y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or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ird Y-axis grooves 44Y are formed between the Y-axis grooves 42Y so as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therebetween.

제 3 그루브 패턴(44)의 제 3 X축 그루브(44X)와 제 3 Y축 그루브(44Y)는 서로 직교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위에 설명한 제 1 그루브(40)와 제 2 그루부(42)와 마찬가지로 장방형상 또는 정방형상의 그리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Preferably, the third X-axis groove 44X and the third Y-axis groove 44Y of the third groove pattern 44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like the first groove 40 and the second groove 42 described above, it can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grid shape.

또한, 제 3 그루브 패턴(44)의 제 3 X축 그루브(44X)와 제 3 Y축 그루브(44Y)의 폭과 깊이는 대략 0.1~0.3㎜ 정도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폭과 깊이는 0.1± 0.05㎜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깊이를 0.4~0.8㎜ 정도이다.In additi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third X-axis groove 44X and the third Y-axis groove 44Y of the third groove pattern 44 are about 0.1 to 0.3 mm, and preferably the width and depth are 0.1 ±. It is formed in 0.05 mm, Preferably the above-mentioned depth is about 0.4-0.8 mm.

그리고 제 3 그루브 패턴(44)의 각 그루브의 이격 거리(P3)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spacing distance P3 of each groove of the third groove pattern 44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상기한 도 4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폴리싱 패드(30)에 슬러리를 공급하면, 상술한 슬러리는 제 1 그루브 패턴(40), 제 2 그루브 패턴(42) 및 제 3 그루브 패턴(44)을 따라 공급되면서 확산된다.When the slurry is supplied to the polishing pad 30 by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described above, the slurry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the first groove pattern 40,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and the third groove pattern 44. It is spread along the supply side.

이때 상술한 제 1 그루브 패턴(40), 제 2 그루브 패턴(42) 및 제 3 그루브 패턴(44)의 깊이와 폭은 제 1 그루브 패턴(40), 제 2 그루브 패턴(42), 제 3 그루브 패턴(44)의 순서로 같거나 각 순서로 점차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차이에 따라 제 1 그루브 패턴(40)은 슬러리의 주요 유동 통로를 이루며, 제 2 그루브 패턴(42)은 슬러리의 부수적인 유동 통로를 이룬다.In this case, the depth and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pattern 40,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and the third groove pattern 44 described above are the first groove pattern 40,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and the third groov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attern 44 in the same or gradually smaller in each ord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described above, the first groove pattern 40 constitutes the main flow passage of the slurry, and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constitutes the secondary flow passage of the slurry.

그리고 상대적으로 제 1 그루브 패턴(40)과 제 2 그루크 패턴(42) 보다 깊이와 폭이 작은 제 3 그루브 패턴(44)은 슬러리의 세부적인 유동 통로를 이룬다.The third groove pattern 44 having a smaller depth and width than the first groove pattern 40 and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forms a detailed flow passage of the slurry.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싱 패드(30)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 패턴(40, 42, 44)들에 의하여 슬러리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웨이퍼와 같은 대상체 표면에 대한 평탄도의 개선이 기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slurry may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he groove patterns 40, 42, and 44 formed on the polishing pad 30, and an improvement in the flatness of an object surface such as a wafer may be expected. have.

한편, 폴리싱 패드(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슬러리 유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 3 그루브 패턴(44)의 끝 단부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싱 패드(30)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범위의 내측부위까지 미치도록 제한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그루브 패턴(44)에 더하여 제 2 그루브 패턴(42)의 끝 단부를 폴리싱 패드(3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범위 내측에 있도록 제한하여 실시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dge portion of the polishing pad 30 in order to control the outflow of the slurry, the end of the third groove pattern 44 from the upper edge of the polishing pad 30 to the inner portion of a predetermined range as shown in FIG. It may be implemented to limit the madness, or to limit the end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42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edge of the polishing pad 30 in addition to the third groove pattern 44 as shown in FIG. 6. Do.

이러한 각 실시 구성은, 종래 기술로 설명하는 도 1에 도시한 CMP 설비에서와 같이 대상체를 폴리싱 패드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측 부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슬러리의 공급이 정반으로부터 상측으로 용출되게 하는 설비 또는 웨이퍼 보다 약 0.5~30㎜ 정도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매엽식 CMP 설비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of these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performing an operation on one side of the object from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polishing pad as in the CMP facility illustrated in FIG. 1 described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supply of slurry is eluted from the surface plate to the upper sid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in response to a sheet-fed CMP equipment having a diameter of about 0.5 to 30 mm larger than the equipment or wafer.

본 고안에 의하면, 폴리싱 패드에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제 3 그루브를 구비하여 연마면에 공급되는 슬러리의 균일성과 유동성을 확보하여 슬러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연마면을 균일하게 평탄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ing pad is provided with a first groove, a second groove, and a third groove to ensure uniformity and fluidity of the slurry supplied to the polishing surface, thereby reducing waste of the slurry, and uniformly smoothing the polishing surface.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일반적인 CMP 설비에 폴리싱 패드가 적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lishing pad is applied to a general CMP facility.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폴리싱 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그루브(groove)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roove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 제 20-0273586호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3586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싱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싱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싱 패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30: 폴리싱 패드10, 20, 30: polishing pad

12: 정반 14: 폴리싱 헤드12: surface plate 14: polishing head

16: 짐벌 18: 컨디셔닝 헤드16: gimbal 18: conditioning head

40: 제 1 그루브 패턴42: 제 2 그루브 패턴40: first groove pattern 42: second groove pattern

44: 제 3 그루브 패턴46: 관통홀44: third groove pattern 46: through hole

Claims (3)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1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1 Y축 그루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 1 그루브 패턴;A first groove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X-axis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Y-axis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first X-axis grooves;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X축 그루브와 상기 제 2 X축 그루브와 직교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제 2 Y축 그루브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 사이에서 상호간이 등 간격 배치를 이루는 제 2 그루브 패턴; 및A second X-axis groov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Y-axis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second X-axis groove,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roove patterns Second groove patterns forming mutually equal spacing; And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X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X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 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과 상기 제 3X축 그루부 패턴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 1 그루브 패턴의 제 1 Y축 그루브 패턴과 제 2 그루브 패턴의 제 2 Y축 그루브 패턴이 이루는 사이에서 등 간격 배치로 복수 형성된 제 3 X축 그루브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 3 그루부 패턴이 상면에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P용 폴리싱 패드.Orthogonal to the third X-axis groove pattern and the third X-axis groove pattern formed in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X-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X-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And a third groove pattern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X-axis groove patterns form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first Y-axis groove pattern of the first groove pattern and the second Y-axis groove pattern of the second groove pattern. Polishing pad for CM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그루브 패턴은 제 2 X축 그루브와 제 2 Y축 그루브의 교차하는 부위에 하부로부터 슬러리의 용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홀을 더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CMP용 폴리싱 패드.The second groove pattern is a polishing pad for CMP,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urther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X-axis groove and the second Y-axis groove to the elution of the slurry from the botto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및 제 3 그루브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끝 단부가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범위의 내측부위까지 미치도록 제한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CMP용 폴리싱 패드.At least one of the second and third groove patterns is a polishing pad for the CMP,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end is limit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range.
KR20-2004-0031687U 2004-11-09 2004-11-09 Polishing pad for CMP KR2003753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87U KR200375396Y1 (en) 2004-11-09 2004-11-09 Polishing pad for C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687U KR200375396Y1 (en) 2004-11-09 2004-11-09 Polishing pad for C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396Y1 true KR200375396Y1 (en) 2005-03-11

Family

ID=492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687U KR200375396Y1 (en) 2004-11-09 2004-11-09 Polishing pad for C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39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160B1 (en) Polishing pad having a groove arrangement for reducing slurry consumption
JP4820555B2 (en) Grooved polishing pad and method
JP4949677B2 (en) CMP pad having overlapping step groove structure
US7108597B2 (en) Polishing pad having grooves configured to promote mixing wakes during polishing
KR101107636B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having a process-dependent groove configuration
US9308620B2 (en) Permeated grooving in CMP polishing pads
JPH10249710A (en) Abrasive pad with eccentric groove for cmp
US7156721B2 (en) Polishing pad with flow modifying groove network
US7131895B2 (en) CMP pad having a radially alternating groove segment configuration
US7059950B1 (en) CMP polishing pad having grooves arranged to improve polishing medium utilization
US20090011679A1 (en) Method of removal profile modulation in cmp pads
US6951510B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with grooves alternating between a larger groove size and a smaller groove size
KR200375396Y1 (en) Polishing pad for CMP
US20070224925A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KR200357678Y1 (en) Polishing pad to CMP
KR200273586Y1 (en) A polishing pad using CMP having groove patterns
KR20210116759A (en) CMP pad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50012586A (en) chemical mechnical polishing apparatus
KR20040054085A (en) Polishing pad forming grooves
KR20000014555A (en) Apparatu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20050095691A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