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81Y1 -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81Y1
KR200375181Y1 KR20-2004-0028588U KR20040028588U KR200375181Y1 KR 200375181 Y1 KR200375181 Y1 KR 200375181Y1 KR 20040028588 U KR20040028588 U KR 20040028588U KR 200375181 Y1 KR200375181 Y1 KR 200375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lifting boom
link
fixed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기공
Priority to KR20-2004-0028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및 급수 관문에 설치된 스크린에 결려 물 흐름을 방해하는 오물을 제거하는 슬라이드 제진기에 있어서, 제진기의 레이크에 걸려 끌어 올려진 오물이 레이크를 기울여 줌에 따라 레이크에서 콘베이어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축과 함께 최하측으로 이동되는 리프팅 붐에 레이크의 일측을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축의 선단을 레이크에 링크 결합시키되 상기 실린더축의 선단에 고정된 링크에 장홈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장홈에 리프팅 붐에서 고정핀을 걸어주도록 하며, 고정 리프팅 붐에는 리프팅 붐의 이동을 단속하는 쐐기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레이크가 끌어 올려진 후 쐐기 장치에서 리프팅 붐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실린더 축이 하강하면서 레이크를 기울어지게 하여 레이크에 담긴 오물을 털어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waste of hydroulic type screen machine}
본 고안은 배수 및 급수 관문에 설치된 스크린에 결려 물 흐름을 방해하는 오물을 제거하는 슬라이드 제진기에 있어서, 제진기의 레이크에 걸려 끌어 올려진 오물이 레이크를 기울여 줌에 따라 레이크에서 콘베이어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관로나 급수관로에는 물에 떠 있는 부유물질이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관로를 가로지르는 빗살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레이크로 제거해 주도록 하는 슬라이드식 유압 제진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137502호로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제진기의 레이크 끌어올림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유압 제진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193184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된 유압 제진기는 이단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레이크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끌어 올리고 있으나, 상기 레이크로 끌어 올려진 레이크에 얹혀진 오물은 별도의 이젝터를 이용하여 콘베이어로 끌어 내림으로서 레이크에 오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크로 끌어 올려진 오물을 털어내기 위하여 별도의 이젝터를 사용할 경우는 이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야 하고 또한 이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등 구성이 복잡해지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유압 제진기에서 레이크로 끌어 올려진 오물을 레이크를 구동시키는 이단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레이크가 기울어지게 하므로서 레이크로 끌어 올려진 오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하여 오물을 털어내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축과 함께 최하측으로 이동되는 리프팅 붐에 레이크의 일측을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축의 선단을 레이크에 링크 결합시키되 상기 실린더축의 선단에 고정된 링크에 장홈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장홈에 리프팅 붐에서 고정핀을 걸어주도록 하며, 고정 리프팅 붐에는 리프팅 붐의 이동을 단속하는 쐐기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레이크가 끌어 올려진 후 쐐기 장치에서 리프팅 붐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실린더 축이 하강하면서 레이크를 기울어지게 하여 레이크에 담긴 오물을 털어내는 것이다.
유압 제진기(100)는 관로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스크린(50)에 걸린 오물을 끌어올리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단 유압실린더(20)의 실린더 축(21) 신축에 따라 고정 리프링 붐(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부시(11a)(12a)가 고정된 리프팅 붐(11)(12)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최하단으로 위치하는 리프팅 붐(12)에는 레이크(30)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 리프팅 붐(10)은 베이스(1)에 힌지장치(40)로 결합되어 전후 이동실린더(25)에 의해 전후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는 프레임(2)을 타고 좌우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유압 제진기(100)가 설치된 베이스(1)를 프레임(2)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고, 유압 제진기(100)의 이단 유압 실린더(20)를 작동시켜 고정 리프팅 붐(10)에서 이단으로 리프팅 붐(11)(12)을 신축시키는 상세 구성은 선 출원 발명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레이크(30)로 끌어올려진 오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콘베이어(3)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3)로 이동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콘베이어(4)가 설치되며, 상기된 유압 제진기(100)의 리프팅 붐(12)이 최대 위치로 이동하면 상한 검지바(16)가 작동하여 상한 검지바(16)로 리미트 스위치(17)를 작동시켜 이단 유압 실린더(20)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서 더 이상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않게 하며 이 또한 선 등록 특허 및 실용신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본 고안은 이러한 유압 제진기(100)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리프팅 붐(12)의 하부에 레이크(30)의 일측 끝단을 힌지(31)로 결합하여 레이크(30)가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레이크(30)의 중앙 쪽으로 실린더 축(21)에 결합된 링크(80)를 결합시키며, 고정 리프팅 붐(10)의 일측에 쐐기 장치(80)를 설치하므로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링크(80)는 레이크(30)의 중앙 쪽에 제1링크(61)를 힌지(62)로 결합하고, 상기 제1링크(61)에는 힌지(64)로 제2링크(63)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2링크(63)는 리프팅 붐(12)의 내부에서 실린더 축(21)의 선단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2링크(63)에는 장홈(65)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장홈(65)에는 고정핀(15)을 끼워주되 상기 고정핀(15)은 리프팅 붐(12)의 하부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실린더 축(21)이 상승하면 제2링크(63)의 장홈(65) 하부에 고정핀(15)이 위치하여 레이크(30)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리프팅 붐(12)과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쐐기 장치(80)는 고정 리프팅 붐(10)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81)를 이용하여 쐐기(83)로 리프핑 붐(11)(12)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정 리프팅 붐(10)의 일측에 유압 실린더(81)를 고정하고, 상기 유압실린더(81)의 실린더축(82)에 쐐기(83)를 결합시키되 상기 쐐기(83)는 리프팅 붐(10)(11)을 관통하여 리프팅 붐(12)에 고정된 부시(12a)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쐐기 장치(80)에는 쐐기(83)의 이동을 감지편(84)으로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85)(86)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유압 제진기(100)는 이단 유압 실린더(20)를 작동시켜 실린더 축(21)을 신장시키면 고정 리프팅 붐(10)에서 리프팅 붐(11)(12)이 순차적으로 빠지면서 레이크(30)가 스크린(5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쐐기 장치(80)의 쐐기(83)는 후퇴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레이크(30)가 스크린(50)의 최하단으로 이동하면 전후 이동실린더(25)를 작동시켜 고정 리프팅 붐(10)이 힌지 장치(4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레이크(30)가 스크린(50)의 하단에서 일부가 스크린(50)에 끼워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이단 유압실린더(20)에서 실린더축(21)을 당기게 되면 제2링크(63)의 장홈(65) 하단부에 고정핀(15)이 위치하면서 레이크(3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로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크린(50)에 걸린 오물을 레이크(30)의 상부에 올려주면서 끌어 올리게 된다.
레이크(30)가 스크린(5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레이크(30)에 담긴 오물은 레이크(30)가 수평 상태에서 약간 경사져 있어 일부 떨어지게 되고 레이크(30)에서 떨어진 오물은 콘베이어(3)위에 떨어지게 되나 대부분의 오물은 레이크(30)위에 놓여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이크(30)에 담긴 오물을 콘베이어(3)에 털어내기 위해서는 쐐기 장치(80)의 유압 실린더(81)를 작동시켜 쐐기(83)가 리프팅 붐(11)(12)을 고정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이단 유압실린더(20)의 실린더축(21)이 신장되는 쪽으로 유압을 공급하면 된다.
즉 이단 유압 실린더(20)에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축(21)은 하강 하는 방향으로 신장되게 되고, 이때 리프팅 붐(11)(12)이 쐐기(83)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최하단의 리프팅 붐(12)이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 축(21)만 하강하게 된다.
실린더축(21)이 하강하면 장홈(65)의 상부가 고정핀(15)에 걸리는 상태까지만 하강하게 되고, 이때 제2링크(63)가 하강하면서 제1링크(61)를 밀게 되어 레이크(30)는 힌지(31)를 중심으로 도 9와 같이 회전하게 되며, 레이크(30)가 기울어지면 레이크(30)에 담긴 오물이 콘베이어(3)의 상부로 떨어져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2링크(63)가 하강하면서 레이크(30)가 기울어지게 되고, 제2링크(63)의 장홈(65) 상부에 고정핀(15)이 걸리는 충격에 의하여 레이크(30)의 기울어짐은 정지되는 한편 레이크(30)가 정지하면서 오물이 쉽게 털어지게 된다.
이 같이 레이크(30)에 오물이 털어진 후에는 다시 이단 유압 실린더(20)에서 실린더축(21)이 신축되게 작용시켜 레이크(30)를 원위치 시키는 한편 쐐기 장치(80)의 유압실린더(81)를 작동시켜 쐐기(83)가 리프팅 붐(10)(11)(12)에서 빠지도록 한다.
이때 쐐기(83)의 이동거리는 리미트 스위치(85)(86)로 체크하여 정해진 거리만 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유압 제진기에서 레이크로 끌어올려진 오물을 쉽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로 오물을 털어내는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레이크를 끌어올리는 이단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레이크를 기울여 주므로서 레이크에 담긴 오물을 털어낼 수 있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오물을 쉽게 털어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유압 제진기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유압 제진기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유압 제진기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유압 제진기의 리프팅 붐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쐐기로 리프팅 붐을 고정시킨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쐐기가 후퇴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리프팅 붐이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레이크가 수평 상태로 놓인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레이크가 숙여진 상태의 측면도
도 10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레이크 이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12 : 리프팅 붐 20 : 이단 유압 실린더
21 : 실린더 축 30 : 레이크
50 : 스크린 60 : 링크
61 : 제1링크 63 : 제2링크
65 : 장홈 80 : 쐐기 장치
83 : 쐐기

Claims (3)

  1. 이단 유압 실린더(20)를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이단 유압 실린더(20)의 신축에 따라 고정 리프팅 붐(10)에서 리프팅 붐(11)(12)을 순차적으로 신축시키며, 최하부 리프팅 붐(12)의 하부에 레이크(30)를 설치하여 스크린(50)에 걸린 오물을 끌어 올리는 유압 제진기(100)에 있어서,
    최하부 리프팅 붐(12)의 하측에 레이크(30)의 일측을 힌지(31)로 결합하고,
    상기 레이크(30)의 중앙부에 링크(80)를 결합시키되 상기 링크(80)의 선단이 이단 유압 실린더(20)의 실린더 축(21)에 결합되어 레이크(30)를 기울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 리프팅 붐(10)의 일측에 쐐기(83)를 이동시켜 리프팅 붐(11)(12)의 이동을 제한하는 쐐기 장치(8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60)는 제1링크(61)를 레이크(30)의 상부에 힌지(31)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링크(61)에 제2링크(63)를 힌지(62)로 결합시키되 상기 제2링크(63)는 실린더축(21)의 선단에 결합시키며, 상기 제2링크(63)에는 장홈(65)을 형성시키되 상기 장홈(65)은 리프팅 붐(12)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핀(15)이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쐐기 장치(80)는 고정 리프팅 붐(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유압실린더(81)를 이용하여 쐐기(83)를 이동시키며, 상기 쐐기(83)는 리프팅 붐(10)(11)을 관통하여 리프팅 붐(12)에 고정된 부시(12a)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쐐기(83)의 이동을 검지하는 리미트 스위치(85)(8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KR20-2004-0028588U 2004-10-08 2004-10-08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KR200375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88U KR200375181Y1 (ko) 2004-10-08 2004-10-08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88U KR200375181Y1 (ko) 2004-10-08 2004-10-08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81Y1 true KR200375181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88U KR200375181Y1 (ko) 2004-10-08 2004-10-08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40B1 (ko) 2009-02-12 2009-05-1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377086B1 (ko) 2013-09-04 2014-03-25 최기억 이동 기계식 제진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40B1 (ko) 2009-02-12 2009-05-1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377086B1 (ko) 2013-09-04 2014-03-25 최기억 이동 기계식 제진기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725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0375181Y1 (ko) 유압 제진기의 오물 제거 장치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200442471Y1 (ko) 수위 감응형 제진기
CN208472894U (zh) 一种排水沟
KR100458956B1 (ko) 수직상승형 로터리 제진기
CN113233036A (zh) 一种市政垃圾桶及使用方法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CN205366746U (zh) 方便用脚开启的户外垃圾桶
KR100286853B1 (ko) 차량정비용리프트
US4145843A (en) Support member for hatch-cover lift cylinders
US1754873A (en) Hoisting mechanism
KR100709343B1 (ko) 강제 하강식 제진기
KR101118281B1 (ko) 협잡물 제거용 트리플 암 제진장치
JP3856909B2 (ja) 清掃車両の清掃装置支持機構
JP5222705B2 (ja) 除塵機
KR100689300B1 (ko) 로타리식 제진기
KR200193184Y1 (ko) 슬라이드 유압제진기
KR102607773B1 (ko) 위치 오차보정 레일구동 방식이 적용된 세차시스템
KR101124678B1 (ko) 전동식 로터리 제진기
JP2548322Y2 (ja) 過負荷回避レーキ除塵装置
CN220814157U (zh) 带引流结构的排水沟装置
KR100615616B1 (ko) 집게형 스크린 제진기
KR102607763B1 (ko) 세척과 건조 장소가 분리된 세차시스템
CN219909544U (zh) 一种安全省力型吊物孔二级提升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