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760Y1 -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760Y1
KR200374760Y1 KR20-2004-0032837U KR20040032837U KR200374760Y1 KR 200374760 Y1 KR200374760 Y1 KR 200374760Y1 KR 20040032837 U KR20040032837 U KR 20040032837U KR 200374760 Y1 KR200374760 Y1 KR 200374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r
mounting portion
cas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성
Original Assignee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닉(주) filed Critical 파츠닉(주)
Priority to KR20-2004-0032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장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장착부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LED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 중심에 관통홀을 형성되게 하며, 상기 장착부 상에 노출되게 설치하되 탄성장력에 의해 상/하 이동됨을 갖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홈 내에 장착되며 양측단 내측 절곡되어 수용홈 내에서 상/하 이동시 수용홈의 저면에 걸림이 발생되게 한 우산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에 삽입 배치되며 몸체에 탄성장력에 의한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의 장착시 원활한 접촉을 유도하여주므로 단자간의 상호간 접촉성 향상으로 충전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의 분리시에는 분리에 따른 용이성을 제공하며 즉,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PHONE BATTERY}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배터리의 장착시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 간의 원활한 접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배터리의 분리에 따른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100)는 배터리의 장착부(111)를 갖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장착되며 충전 및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한 전기배선의 회로패턴을 갖는 회로기판(120)과, 상기 장착부(111)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어 안착되는 배터리를 지지하여 안정된 결합을 유지되게 함과 더불어 분리시 용이성을 제공하는 노브(knob)(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LED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부(111)의 하측으로는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접속되는 전원공급단자(150)가 구비되며 이는 상기 회로기판(120)측 연계되어 충전전원을 배터리측에 공급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의하면, 충전을 위해 배터리를 장착부에 안착시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 간에 접촉이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많이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충전불량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전 완료된 후 배터리를 충전기측으로부터 분리시 함몰된 장착부로부터 배터리의 분리가 그다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배터리를 충전기측에 장착시에는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 간의 원활한 접촉을 유도하여 충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의 분리시에는 분리에 따른 용이성을 제공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충전기 110: 케이스
111: 장착부 112: 수용홈
112a: 관통홀 120: 회로기판
130: 노브 140: LED부
150: 전원공급단자 160: 탄성체
161: 몸체 162: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장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장착부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LED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 중심에 관통홀을 형성되게 하며, 상기 장착부 상에 노출되게 설치하되 탄성장력에 의해 상/하 이동됨을 갖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홈 내에 장착되며 양측단 내측 절곡되어 수용홈 내에서 상/하 이동시 수용홈의 저면에 걸림이 발생되게 한 우산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에 삽입 배치되며 몸체에 탄성장력에 의한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 구성에 의한 동일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사용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100)는 배터리의 장착부(111)를 갖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장착되며 충전 및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한 전기배선의 회로패턴을 갖는 회로기판(120)과, 상기 장착부(111)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어 안착되는 배터리를 지지하여 안정된 결합을 유지되게 함과 더불어 분리시 용이성을 제공하는 노브(knob)(130)와,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LED부(140)와, 상기 장착부(1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120)측 연계되며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접속을 통해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을 배터리측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50)와, 상기 장착부(111) 상에 노출되게 설치하되 탄성장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150) 간의 접속을 향상되게 하고 배터리의 분리시 용이성을 제공하는 탄성체(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부(111) 내에는 상기 탄성체(1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2)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112)의 저면 중심에 관통홀(112a)을 형성되게 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상기 탄성체(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홈(112) 내에 장착되어지되 양측단 내측 절곡되어 수용홈(112) 내에서 상/하 이동시 수용홈(112)의 저면에 걸림이 발생되게 한 우산형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중심에 삽입 배치되며 몸체(161)에 탄성장력에 의한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2)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100)는 케이스(110) 상면의 장착부(111) 내에 관통홀(112a)을 갖는 수용홈(112)의 구성과 함께 우산형 몸체(161)와 스프링(162)의 구성에 의한 탄성장력을 갖는 탄성체(160)를 수용홈(112) 내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기(100)측에 장착할 시 장착부(111) 내에 안착되는 배터리의 상부를 탄성체(160)가 탄성장력에 의해 약간 상측으로 밀어 떠받쳐주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측 접촉단자를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150)에 더욱 밀착되게 접속되게 하면서 상호간 접촉성을 향상되게 한다.
또한, 수용홈(112) 내에 배치된 탄성체(160)는 배터리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압축된 스프링(162)의 힘에 의해 몸체(161)가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탄성장력을 받고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분리시 장착부(111)의 상단에 형성된 노브(130)의 상측 이동과 동시에 장착부(111)에 안착되어있는 배터리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의 사용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의하면, 배터리를 충전기측에 장착시에는 배터리측 접촉단자와 충전기측 전원공급단자 간의 원활한 접촉을 유도하여주므로 접촉성 향상으로 충전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배터리의 분리시에는 분리에 따른 용이성을 제공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의 장착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장착부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주는 LED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충전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 중심에 관통홀을 형성되게 하며, 상기 장착부 상에 노출되게 설치하되 탄성장력에 의해 상/하 이동됨을 갖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수용홈 내에 장착되며 양측단 내측 절곡되어 수용홈 내에서 상/하 이동시 수용홈의 저면에 걸림이 발생되게 한 우산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에 삽입 배치되며 몸체에 탄성장력에 의한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20-2004-0032837U 2004-11-19 2004-11-1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200374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7U KR200374760Y1 (ko) 2004-11-19 2004-11-1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7U KR200374760Y1 (ko) 2004-11-19 2004-11-1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760Y1 true KR200374760Y1 (ko) 2005-02-04

Family

ID=4944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37U KR200374760Y1 (ko) 2004-11-19 2004-11-1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5582B2 (ja) 電気かみそりと充電器との保持構造
KR200470295Y1 (ko) 슬라이딩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기기의 보호케이스
US841926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851912B2 (en) Power socket having an electromagnetic pop-up mechanism
JP3205886U (ja) 充電装置
US820384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ack-up power supply
JP4228123B2 (ja) 横置き式充電装置
KR200374760Y1 (ko)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CN209329787U (zh) 可旋转的双充无线充电器
JP2759764B2 (ja) ワイヤレスマイク用の充電器
CN211266521U (zh) 一种充电器和一种可充电手表
KR20060096773A (ko) 휴대폰 밧데리용 만능 충전기
CN209545195U (zh) 一种接触式无线充电的充电座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2004747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JP5065002B2 (ja) 充電台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04263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JP2008043078A (ja) 充電台
CN220732396U (zh) 一种方便携带的无线充电装置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5419744U (zh) 无线充电装置
CN220232961U (zh) 一种便携式无线开关面板
JP2009177853A (ja) 充電台
KR200322025Y1 (ko) 스프링 커넥터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