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73Y1 -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273Y1
KR200374273Y1 KR20-2004-0031789U KR20040031789U KR200374273Y1 KR 200374273 Y1 KR200374273 Y1 KR 200374273Y1 KR 20040031789 U KR20040031789 U KR 20040031789U KR 200374273 Y1 KR200374273 Y1 KR 200374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temporary stacking
conveying
bills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동훈
전형준
박창호
황진용
문창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2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2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일시스택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입금된 지폐나 수표를 임시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재, 이송된 지폐를 임시로 적층하는 일시 스태킹부, 일시 스태킹부 상의 지폐를 상면부터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 적층된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입금부로 반송하기 위한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은행권이나 수표 같이 가치 있는 지폐를 입금하는 과정에서 지폐의 진위나 하자를 낱장 별로 판별하여야 하는데, 일시스택장치는 지속적 또는 동시에 입금되는 지폐를 정갈하게 정돈함으로써 복수의 지폐에 대한 전송 및 반송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Temporary stacking device is for temporarily loading banknotes or checks deposited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first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bills, the temporary stacking unit for temporarily stacking the transferred bills,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s 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Stamping part for pressing from, and the second conveying member for transferring the laminated banknotes to the bill storage or conveyed to the user deposit.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valuable bills, such as bank notes or checks, the authenticity or defects of the bills must be discriminated by sheets.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arranges bills to be continuously or simultaneously deposited to quickly transfer and return multiple bills. You can do it safely.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Temporary stacking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입금된 여러 장의 지폐를 지폐저장고에 지폐를 보관하기 전에 정상거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시로 지폐를 적재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orary stacking devic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at temporarily loads the bills to determine whether the normal transaction before storing the bills in the bill storage will be.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n automated device that can assis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an be divided into cash dispenser and cash dispenser according to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and recently it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sh withdrawal, check deposit and withdrawal, bankbook arrangement, ticket release.

출금 기능만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정해진 종류의 지폐를 입력된 액수만큼 사용자 출금부로 이송하기 때문에, 지폐의 걸림(jam) 또는 2매 전송의 경우 외에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입금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하기 위해서 지폐의 걸림 및 2매 전송 외에도 더 많은 사항들이 체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지폐 또는 위조 지폐 등이 투입되는지, 구겨지거나 손상된 지폐가 투입되는지, 입금되는 방향이 올바른지 등을 체크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는 만큼 실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장이 더 자주 발생할 수도 있다.Since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only a withdrawal function transfers a predetermined type of bill to the user withdrawal unit as much as the input amount, it is possible to perform normal financial transactions except in the case of jam or transfer of two bills. However,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the deposit function, more details should be checked in addition to banknote jams and two-sheet transmissions in order to conduct normal financial transaction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various kinds of bills or counterfeit bills, etc. are inserted, whether crumpled or damaged bills are inser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posit is correct, and the like. In addition, failures may occur more frequently because the likelihood of making mistakes is as much as the average user uses.

특히, 수표와 같이 액면가가 크면서 위조의 가능성도 높고, 현금과 다르게 부도수표(dishonored check)와 같이 경제적 상황에 의해서 가치가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는 현금보다 주의 깊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실제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마다 수표의 일련 번호를 조회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In particular, large face values, such as checks, are more likely to be counterfeit, and, unlike cash, value may fluctuate due to economic conditions, such as dishonored checks. Therefore, when receiving a check, special care is required, which is more careful than cash. In fact, every time a check is received, the check serial number is checked and its validity is checked.

하지만, 사용자가 수표를 한장한장 입금할 때마다, 은행 전상망에 접속하고 입금된 수표의 상태를 조회하게 되면 매 수표마다 처리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시간적으로 낭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However, every time a user deposits a check one by one, if the user accesses the bank's network and inquires about the status of the deposited check, the processing time for each check is lengthened and may be frequently wasted in time.

이와 관련하여, 일시스택장치(temporary stacking apparatus)가 이용되고 있으며, 일시스택장치에 의해서 복수개의 지폐를 신속하게 입금할 수 있다. 즉, 금융자동화기기는 검사 과정 없이 입금된 지폐들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입금을 받고 입금된 일시스택장치에 임시로 적재한다. 이와 동시에 금융자동화기기는 낱장으로 이동하는 지폐를 검사하여 1차적으로 진위 여부 및 하자 여부를 검사하게 되고, 2차적으로 은행 전산망과 접속하여 입금된 지폐의 상태를 조회할 수가 있다. 일시스택장치에 적재된 지폐들은 아직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하지 않는 것들로서, 검사나 조회에 의해서 정상 거래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지폐저장고로 전송되어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완료하지만, 정상 거래가 불가능하게 되면 일단 일시스택장치는 임시로 적재된 지폐를 다시 반송함으로써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In this regard, a temporary stacking apparatus is used, and a plurality of bills can be deposited quickly by the temporary stacking apparatus. That i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receives the banknotes deposited one after another or at the same time without an inspection process and temporarily loads them in the deposited temporary stack device. At the same time,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ecks bills moving in single sheets to check the authenticity and defects of the bills. Secondly, it is possible to inquire the status of the deposited bills by accessing the bank computer network. Banknotes loaded on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have not yet completed normal financial transactions.If the normal transaction is determined by inspection or inquiry, the banknotes are sent to the banknote bank to complete the normal financial transaction. The device may interrupt normal financial transactions by returning the temporarily loaded bills again.

지폐를 검사하기 위해서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입금된 지폐는 지폐 이송로를 낱장으로 통과하게 되며, 일시스택장치 내에서 차례로 적층된다. 하지만, 입금되는 지폐의 보존 상태에 따라 구겨지거나 찢어진 지폐가 적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존 상태가 불량한 지폐들로 인해 지폐를 차례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적층된 지폐가 다음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다. 하나의 지폐 진입이 방해됨에 따라 연속되는 지폐들은 이송로 상에서 정체될 수 있으며, 지폐의 걸림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동화기기는 일정 시간 동안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Banknotes deposited one after the other or simultaneously to inspect the banknotes pass through the sheet conveying path in a single sheet, and are stacked one by one in a temporary stack device. However, bills that are crumpled or torn may be stacked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banknotes being deposited, and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banknotes sequentially due to the poor preservation states, the previously stacked banknotes may prevent entry of the bills into the next. Can interfere. As one banknote entry is interrupted, consecutive banknotes may be stagnant on a transport path, and the banking machine may not be able to conduct normal transac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the jamming of the banknotes.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시스택장치 및 방법은 지폐들이 적층되는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지폐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걸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operty of minimizing the jam of paper money in the process of stacking paper money by limiting the height of stacking paper money.

본 고안의 일시스택장치 및 방법은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지폐가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으며, 이후 전송이나 반송 과정에서도 걸림 없이 금융거래를 완료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The temporary stack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eatly arranged by limiting the area in which the bills are stacked, and thereafter, the bills can be assisted to complete a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jamming even during a transfer or return proces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일시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제1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transfer member of FIG. 2.

도 4는 도 3의 상부 이송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transfer bracket of FIG.

도 5는 도 2의 스탬핑부 및 일시 스태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amping part and the temporary stacking part of FIG. 2.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스탬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6 and 7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amping portion of FIG.

도 8 은 도 5의 제2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FIG.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transfer member of FIG. 5.

도 9는 도 6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opper of FIG. 6.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금융자동화기기 10: 지폐 입출금 모듈1: Automatic teller machine 10: Banknote module

12:셔터 20:입금부12: Shutter 20: Deposit

22:이송로 25:출금부22: Transportation route 25: Withdrawal department

30:지폐저장고 100:일시스택장치30: Banknote bank 100: Daily stack device

110:제1 이송부재 112:상부 이송브라켓110: first transfer member 112: upper transfer bracket

114:하부 이송브라켓 116:지폐 가이드판114: Lower transfer bracket 116: Banknote guide plate

120:일시 스태킹부 122:지지 브라켓120: temporary stacking unit 122: support bracket

124:걸림턱 130:제2 이송부재124 : engaging jaw 130 : second conveying member

140:스탬핑부 142:스탬프 헤드140: stamping part 142: stamp head

144:프레싱 레버144: Pressing lev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시스택장치는 사용자 입금부에서부터 지폐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재, 이송된 지폐를 적층하는 일시 스태킹부(temporary stacking section),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 지폐의 상면을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stamping section), 및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forwarding)하거나 사용자입금부로 반송(returning)하기 위한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banknotes from the user depositing portion, a temporary stacking section for stacking the transferred banknotes (temporary stacking section), laminated to the temporary stacking portion A stamping section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s, and a second conveying member for forwarding the bills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portion to the bill storage or returning to the user deposit section.

사용자가 사용자 입금부를 통해 복수개의 지폐를 입금하며, 지폐들은 제1 이송부재를 경유하여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다. 일시 스태킹부의 지지 브라켓은 제1 이송부재의 이송로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지폐들은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하나씩 적층된다. 지폐의 보존상태 또는 이송상태에 따라 지폐의 일부분이 위를 향해 돌출되어 일시 스태킹부의 입구를 가릴 수 있다.A user deposits a plurality of bills through a user depositing unit, and the bills are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via the first transfer member. The support bracket of the temporary stacking part is located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transport path of the first transport member, and banknotes supplied in sheets are stacked one by one on the support bracket. A portion of the bill may protrude upwards to obscure the opening of the temporary stack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or transfer state of the bill.

하지만, 스탬핑부가 각 지폐가 공급되는 사이에 적층된 지폐의 상면을 눌러주기 때문에, 위로 돌출된 지폐를 가라 앉힐 수 있으며 이전 지폐에 의해서 다음 지폐의 진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전 지폐에 의한 진로 차단을 예방하기 위해서, 지지 브라켓의 양단에 지폐의 폭만큼 이격된 걸림턱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일단, 스탬핑부에 의해서 지폐의 상면이 눌려지면 지폐는 걸림턱을 통과하여 걸림턱에 걸리게 되고, 걸림턱에 의해 걸린 지폐는 상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다음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다.However, since the stamping portion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ed banknotes while the respective banknotes are supplied, the banknotes protruding upward can be submerged and the path of the next bankno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previous banknote. In order to prevent the path blocking by the previous banknote, it is possible to form a locking step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banknote on both ends of the support bracket. O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is pressed by the stamping part, the banknote is caught through the latching jaw, and the banknote caught by the locking jaw does not block the movement of the next bill entering because the vertical movement is restricted.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되는 지폐들은 스탬핑부 또는 걸림턱에 의해서 지지 브라켓에 밀착되며, 그와 동시에 지폐들은 일시 스태킹부의 후단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서 일정 영역에서만 적층된다. 스토퍼는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는 경우외에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차단하며 이송부재들에 의해서 빠르게 이송되는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하게 된다.Banknotes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par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by a stamping part or a locking jaw, and at the same time, the banknotes are stacked only in a certain area by a stopp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emporary stacking part. The stopper blocks the transfer path of the banknote except for transferring the banknote to the banknote storage and limits the area in which the banknotes which are quickly transferred by the transfer members are stacked.

본 명세서에서 지폐라 함은 은행권(banknote), 수표(check), 상품권(gift certificate) 등은 물론, 이들과 같이 주로 종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일정 국가 또는 기관에 의해서 일정 가치가 부여된 가치 증서(valuable certificate)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ill is a banknote, a check, a gift certificate, or the like, as well as a paper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such as these, and is given a certain value by a certain country or institution.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volving a valuable certificat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의 예들은 고안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의 예들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 또는 한정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폐 입출금 모듈의 일시스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temporary stack device of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10)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is a device for depositing or depositing cash or check, and functions as a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a bankbook arranging module, a user interface module, and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10 in one housing. Several modules are installed in units.

이들 중 지폐 입출금 모듈(10) 역시 모듈 하우징(11)을 포함하며, 모듈 하우징(11) 내에는 셔터(12), 사용자 입출금부(14), 입금부(20) 및 출금부(25)가 설치된다. 입금을 위해 셔터(12)가 개방되면서 사용자 입출금부(14)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노출된 사용자 입출금부(14)에 복수개의 지폐를 한 장 또는 한 묶음 단위로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지폐는 입금부(20)의 이송로(22)를 통해서 일시스택장치(100)로 이송된다.Among them, th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10 also includes a module housing 11, and in the module housing 11, a shutter 12, a user withdrawal unit 14, a depositing unit 20, and a withdrawal unit 25 are installed. do. As the shutter 12 is opened for depositing, the user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4 is exposed. The user may input a plurality of bills in a single sheet or a bundle unit to the exposed user deposit / exit unit 14, and the inserted bank notes may be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ack device 100 through the transfer path 22 of the deposit unit 20. Transferred.

이송로(22)에는 지폐의 매수 감지 센서, 진위 검사 센서, 손상 검사 센서 등이 장착된다. 특히, 수표를 입출금하는 모듈인 경우에는 수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잉크 문자 인식기(MICR), 배서용 프린터, 이미지 스캐너 등이 장착될 수가 있다. 이렇게 금융자동화기기(1)는 여러 센서 및 검사 장치를 통해서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은행 전산망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폐의 가치상태나 기타 제한 사항들을 조회할 수가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정상적인 거래에 대한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에만 입금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입금된 지폐를 전체 또는 일부 반송함으로써 거래를 중단할 수가 있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입금된 지폐들은 일시스택장치(100)에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The transfer path 22 is equipped with a bill detection sensor, an authenticity inspection sensor, a damage inspection sensor,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dul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hecks, a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zer (MICR) for detecting a check serial number, an endorsement printer, an image scanne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is way,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can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banknotes through various sensors and inspection devices, and can query the value status of banknotes or other restrictions using a database connected to a bank computer network. Through this process, the automatic teller can confirm the deposit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 normal transaction is possible. If the normal transaction is impossible,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an stop the transaction by returning all or part of the deposited bills. The bills deposited during the process are kept loaded on the temporary stack apparatus 100.

일시스택장치(100)는 이송로(22)의 단부에 장착되며, 이송로(22)와 지폐저장고(30)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스택장치(100)는 지폐저장고(30)에 지폐를 저장하기 전에, 투입된 지폐들을 임시로 적재하는 기능을 한다. 투입된 지폐들 모두 정상적인 거래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지폐들을 지폐저장고(30)로 이송하여 입금 거래를 완료하지만, 투입된 지폐들 중 일부가 정상적인 거래에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면 지폐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입출금부(14)로 반송하여 입금 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The temporary stack device 10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path 22 and connects the transfer path 22 and the banknote storage 30. 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stack device 100 functions to temporarily load the inserted bills before storing the bills in the bill storage 30. If all of the inserted banknotes are deemed suitable for the normal transaction, the banknotes are transferred to the banknote storage 30 to complete the deposit transaction. However, if some of the inserted banknotes are deemed unsuitable for the normal transaction, all or part of the banknotes are transferred to the user's deposit and withdrawal department. The transfer can be stopped by returning to (14).

도 2를 참조하면, 일시스택장치(100)는 제1 이송부재(110), 일시 스태킹부(120), 스탬핑부(140) 및 제2 이송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재(110)는 입금부(20)의 이송로(22)와 일시 스태킹부(120)를 연결하며, 일시스택장치(100)로 전달되는 지폐를 일시 스태킹부(120)로 이송하거나 일시 스태킹부(120)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다시 이송로(22)로 전달한다. 또한, 일시 스태킹부(120)는 제1 이송부재(1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일시 스태킹부(120)의 상부에는 적층된 지폐를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140)가 배치된다. 일시 스태킹부(120)에는 제2 이송부재(130)가 장착되며, 제2 이송부재(130)는 지폐의 전송 또는 반송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폐에 밀착하여 이송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mporary stack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transfer member 110, a temporary stacking unit 120, a stamping unit 140, and a second transfer member 130. The first transfer member 110 connects the transfer path 22 and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of the depositing unit 20 and transfers the bills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100 to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The banknote conveyed from 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is transferred to the conveyance path 22 again. In additi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transfer member 110, the stamping unit 140 for pressing the stacked banknotes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The second stacking member 130 is mounted to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and the second conveying member 130 may be sel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ill according to the transfer or conveyance of the bill.

도 3은 도 2의 제1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부 이송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conveying member of FIG. 2, and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upper conveying bracket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재(110)는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을 포함하며,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에 의해서 입금부(20)의 이송로(22)와 연결되는 이송로가 제공된다.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에는 각각 제1 이송롤러(113, 115)가 장착되며, 제1 이송롤러(113, 115)의 회전에 의해서 지폐가 제1 이송부재(110)를 통과할 수 있다.3 and 4, the first transfer member 110 includes an upper transfer bracket 112 and a lower transfer bracket 114, and is deposited by the upper transfer bracket 112 and the lower transfer bracket 114. There is provided a conveying path connected with the conveying path 22 of the part 20. The first conveying rollers 113 and 115 are mounted on the upper conveying bracket 112 and the lower conveying bracket 114, respectively, and the bills are rotated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s 113 and 115. Can pass through

상부 이송브라켓(112)의 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지폐 가이드판(116)이 제공된다. 지폐 가이드판(116)은 제1 이송부재(110)에서 일시 스태킹부(120)로 이송되는 지폐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방으로 경사져서 지폐가 일시 스태킹부(120)이 밀착하도록 그 이송 방향을 굴곡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폐 가이드판(116)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편(117)은 다시 수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일시 스태킹부(120) 상에 적층되는 지폐의 상하 이동이 제한할 수 있으며, 지폐가 반송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반송될 수 있도록 지지 가이드판(116)에 대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An end of the upper transfer bracket 112 is provided with a banknote guide plate 116 inclined downward. The banknote guide plate 116 is for guiding banknote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ing member 110 to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and the banknote guide plate 116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banknotes are in contact with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I can bend it.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piece 117 formed at the end of the banknote guide plate 116 is horizontally formed ag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nknotes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may be limited, and even when the banknotes are conveyed smooth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guide plate 116 to be conveyed.

또한, 지폐 가이드판(116)의 저면에는 탄성 가이드(118)가 장착된다. 탄성 가이드(118)는 얇은 철판이나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활(bow)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지폐 가이드판(116)의 저면에 밀착한다. 탄성 가이드(118)는 지폐의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지폐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탄성 가이드(118)의 활처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의 전송 및 반송에 대해서 지폐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In addition, an elastic guide 118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nknote guide plate 116. The elastic guide 118 is formed of a thin iron plate or a synthetic resin film, and is formed in a bow shape so that both end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ill guide plate 116. The elastic guide 118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banknote up and down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and because it is formed like a bow of the elastic guide 118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fer of the banknote for the transfer and conveyance of the banknote.

하부 이송브라켓(114)에 의해서 정의되는 이송로의 높이는 일시 스태킹부(120)의 지지면보다 높다. 따라서 상부 이송브라켓(112) 및 하부 이송브라켓(114) 사이로부터 일시 스태킹부(120)로 진입한 지폐는 지폐 가이드판(116) 및 탄성 가이드(118)에 의해서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일시 스태킹부(120)의 지지 브라켓(122) 상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낙하한다.The height of the conveying path defined by the lower conveying bracket 114 is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of 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Therefore, the bill entered into 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from between the upper conveying bracket 112 and the lower conveying bracket 114 is bent downward by the bill guide plate 116 and the elastic guide 118, and relatively low temporary Falling while maintaining a level on the support bracket 122 of the stacking unit 120.

도 5는 도 2의 스탬핑부 및 일시 스태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amping part and the temporary stacking part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스탬핑부(140)는 스탬프 헤드(142), 프레싱 레버(144), 및 스탬핑 솔레노이드(148)를 포함한다. 스탬핑부(140)는 일시 스태킹부(120) 상에 위치하며, 스탬프 헤드(142)를 상하로 왕복 운동을 시킬 수가 있다.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동력이 제공되며, 스탬핑 솔레노이드(148)의 왕복운동이 링크(146)를 통해 프레싱 레버(144)로 전달되며,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프레싱 레버(144)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한다. 프레싱 레버(144)의 단부에 스탬프 헤드(142)가 장착되며, 스탬프 헤드(142)의 일측에는 가이드 핀(143)이 형성된다. 가이드 핀(143)이 상부 이송브라켓(112)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9)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탬프 헤드(142)도 가이드 슬릿(119)에 의해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tamping unit 140 includes a stamp head 142, a pressing lever 144, and a stamping solenoid 148. The stamping unit 140 is positioned 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and can cause the stamp head 142 to reciprocate up and down. Powered by the solenoid,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tamping solenoid 148 is transmitted to the pressing lever 144 via the link 146, and the pressing lever 144 connected by the hinge is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bout the axis. Do a rotational movement at. The stamp head 142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lever 144, and a guide pin 14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amp head 142. Since the guide pin 143 moves along the guide slit 119 formed on the upper transfer bracket 112, the stamp head 142 may also reciprocate along a path defined by the guide slit 119.

스탬프 헤드(142)는 두 개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지지 로드가 지폐 가이드판(116)보다 넓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 가이드판(116)의 양측으로부터 지폐를 가압할 수가 있다.The stamp head 142 includes two support rods, and since the support rods are wider than the bill guide plate 116, the banknotes can be pressed from both sides of the bill guide plate 116.

스탬핑부(140)의 하부에는 일시 스태킹부(120)가 장착된다. 일시 스태킹부(120)는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22)을 포함하며, 지지 브라켓(122)의 상면 양단에는 지폐의 폭만큼 이격된 걸림턱(124)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24)은 지지 브라켓(122)의 양단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걸림턱(124)의 개방된 부분을 안쪽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스탬핑부(140)의 스탬프 헤드(142)가 지폐를 위에서 눌러 가압하며, 걸림턱(124) 위에 있던 지폐가 걸림턱(124)의 개방된 부분 사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걸림턱(124) 안쪽으로 이동한 지폐는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is mounted below the stamping part 140.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includes a support bracket 122 for supporting the banknote, and the locking jaw 124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banknote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22. The locking jaw 124 is bent in a c-shape at both ends of the support bracket 122 and faces the open portion of the locking jaw 124 inward. Therefore, the stamp head 142 of the stamping unit 140 presses the bills from above and presses the bills, and the bills on the latching jaw 124 can move between the open portions of the hooking jaw 124, and once inside the locking jaw 124 Banknotes moved to may be limited to vertical movement.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스탬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6 and 7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amping portion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투입한 지폐(M)는 제1 이송부재(110)를 경유하여 일시 스태킹부(120)로 진입한다. 지폐(M)가 진입하면서 지폐 가이드판(116)에 의해서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지폐(M)는 이전에 이미 정돈된 지폐들(MS) 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바로 진입한 지폐(M)는 걸림턱(124) 상에 놓여 있으며, 정돈된 지폐들(MS)과는 걸림턱(124)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anknote M inserted by the user enters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via the first transfer member 110. As the banknote M enters, the banknote is moved downwardly by the banknote guide plate 116, and the banknote M is placed on previously arranged banknotes MS. At this time, the banknote M immediately entered is placed on the locking jaw 124, and is separated from the ordered banknotes MS with the locking jaw 124 interposed therebetween.

도 7을 참조하면, 지폐(M)가 진입하자 마자 스탬핑 솔레노이드(148)가 작동을 시작하고, 스탬핑 솔레노이드(148)에 의해서 스탬프 헤드(142)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핀(143)이 가이드 슬릿(119)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탬프 헤드(142)도 일정한 경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스탬프 헤드(142)가 위에 놓인 지폐(M)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가압함에 따라 지폐(M)는 걸림턱(124)을 통과하여 아래에 위치한 지폐들(MS)과 함께 적층된다. 이때 스탬프 헤드(142)는 지폐(M)를 타격하듯이 가압할 수 있으며, 상하 운동을 일회 또는 수회만큼 반복함으로써 지폐(M)가 걸림턱(124)을 확실히 통과하도록 하며, 반복적으로 눌러줌으로써 걸림턱(124)에 걸리지 않고 일부 돌출된 부분도 재확인하여 눌려주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s soon as the banknote M enters, the stamping solenoid 148 starts to operate, and the stamp head 142 is moved downward by the stamping solenoid 148. Since the guide pin 143 moves along the guide slit 119, the stamp head 142 can also move up and down along a predetermined path. As the stamp head 142 presses the banknote M placed there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anknote M passes through the locking jaw 124 and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banknotes MS positioned below. At this time, the stamp head 142 may press the banknote M as if hitting, by repea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nce or several times to ensure that the banknote M passes through the locking jaw 124, and repeatedly by pressing Part of the protruding part without being caught by the jaw 124 is rechecked and pressed.

지폐가 접히거나 구겨져서 고르지 못한 상태라 하더라도 걸림턱(124)에 의해서 상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일시 스태킹부(120)에 적층된 지폐들(MS)은 다음으로 이송되는 다른 지폐의 진입을 차단하지 않는다.Even if the bill is folded or crumpled, even up and down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jaw 124, the bills MS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block entry of other bills to be transferred next. I never do that.

도 8 은 도 5의 제2 이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FIG.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transfer member of FIG. 5.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재(130)는 일시 스태킹부(120)에 인접한 상부에 장착된 제2 이송롤러(132) 및 제2 이송롤러(132)에 대향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제2 이송롤러(132)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밀착롤러(134)를 포함한다. 밀착롤러(134)는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밀착롤러(134)는 적층된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는 경우 이외에는 아래에 위치하여 지폐의 이동이나 적층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만, 적층된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기 위해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고, 제2 이송롤러(132)와 함께 적층된 지폐에 밀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conveying member 130 faces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32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32 mounted on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temporary stacking part 120, and moves up and down to the second. It includes a close roller 134 that can adjust the play between the transfer roller 132. The contact roller 134 may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roller contact solenoid 138. Therefore, the close contact roller 134 is positioned below the case of transferring or conveying the stacked banknotes so as not to disturb the movement or stacking process of the banknotes. However, in order to transfer or convey the stacked bills, the bills are moved upwards and closely adhered to the bills stacked together with the second feed roller 132.

구체적으로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의 단부에는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롤러밀착 브라켓(136)에는 밀착롤러(13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밀착 솔레노이드(138)가 링크(137)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롤러밀착 브라켓(136)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롤러밀착 브라켓(136)의 회전에 의해서 밀착롤러(134)가 지폐의 저면에 밀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roller contact bracket 136 is hinged to the end of the roller contact solenoid 138, the contact roller 134 is rotatably mounted to the roller contact bracket 136. When the roller contact solenoid 138 pulls down the link 137, the roller contact bracket 136 rotates about an axis, and the contact roller 134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nknote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contact bracket 136. Close contact.

밀착롤러(134)가 지폐에 밀착한 후, 지폐는 지폐저장고(30)로 전송되어 금융거래를 완료할 수 있으며, 다시 사용자 입출금부(14)로 전송되어 금융거래를 중단할 수가 있다.After the adhesion roller 1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nknote, the banknote may be sent to the banknote storage 30 to complete the financial transaction, and again to the user deposit and withdrawal unit 14 to stop the financial transaction.

도 9는 도 6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opper of FIG. 6. FIG.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시 스태킹부(120)의 후단부에는 스토퍼(139)가 장착된다. 스토퍼(139)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막기 위한 것으로서,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블록편(139-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이송부재(110)를 통해 일시 스태킹부(120)로 유입된 지폐는 스토퍼(139)에 의해서 더 이상의 진입이 차단되며, 지지 브라켓(122) 상의 일정한 지점에서 적층된다.6 and 9, a stopper 139 is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The stopper 139 is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transfer path of the bill, is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block piece 139-1 is formed at the end. Therefore, the banknotes introduced into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through the first transfer member 110 are further blocked by the stopper 139 and stacked at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support bracket 122.

일시 스태킹부(120)에 적층되는 지폐들은 스탬핑부(140) 또는 걸림턱(124)에 의해서 지지 브라켓(122)에 밀착되며, 그와 동시에 스토퍼(139)에 의해서 상하로 정렬된다. 스토퍼(139)는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서 작동하며, 지폐를 지폐저장고(30)로 전송하는 경우 외에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차단하고, 제1 이송부재(110)들에 의해서 빠르게 유입되는 지폐를 막아 줌으로써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하게 된다.Banknotes stacked o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racket 122 by the stamping unit 140 or the locking jaw 124, and at the same time are aligned vertically by the stopper 139. The stopper 139 is operated by a solenoid or the like, except that the banknotes are transferred to the banknote storage 30, the banking path of the banknotes is blocked, and the banknotes are prevented by the banknotes flowing quickly by the first conveying members 110. It limits the area to be stacked.

본 고안의 일시스택장치 및 방법은 스탬핑부를 이용하여 지폐가 유입될 때마다 지폐를 눌러주기 때문에, 접히거나 구겨진 지폐가 유입되어도 그 지폐에 의해서 다음 지폐의 진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탬핑부로 지폐를 눌러주는 동시에,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지폐의 양측을 잡아주기 때문에 적층된 지폐의 상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스탬핑부 및 걸림턱을 이용함으로써 이전 지폐가 다음 유입되는 지폐의 진로를 차단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지폐의 걸림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Since the temporary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 a bill every time a bill is introduced by using a stamping part, even if a folded or crumpled bill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ry of the next bill by the bill. While pressing the banknote with the stamping portion, while holding both sides of the banknote by the locking jaw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limi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cked banknotes. In other words, by using the stamping part and the locking ja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vious banknote from blocking the course of the next flowing banknot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ailure due to the jamming of the banknote.

또한, 지폐들을 상하로 눌러주어 적층 및 이송하기 때문에 한 묶음의 지폐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오작동 없이 일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손상된 지폐라도 깔끔하게 정돈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지폐저장고에 보관할 때에도 지폐의 관리가 수월해지며, 불필요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장치를 더욱 슬림화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nknotes are pushed up and down to stack and transfer, even when moving a bundle of bills, a certain result can be obtained without a malfunction. The device can be made slimmer by taking up less space.

또한, 일시스택장치는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지폐를 전송이나 반송하는 과정에서도 걸림 없이 금융거래를 완료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orary stack device may assist the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completing the process of transferring or conveying the bills by limiting the area where the bills are stack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1)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재;A first conveying member for conveying bills; 상기 제1 이송부재의 단부에 위치하여 이송된 상기 지폐가 적층되는 일시 스태킹부;A temporary stacking unit at the end of the first conveying member, in which the conveyed bills are stacked; 상기 일시 스태킹부로 이송된 상기 지폐의 상면을 눌러주기 위한 스탬핑부; 및A stamping unit for press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acking unit; And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적층된 지폐를 지폐저장고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입금부로 반송하기 위한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nd a second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the banknotes stacked in the temporary stacking unit to a bill storage or conveying them to a user deposi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송부재는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시 스태킹부로 이송되는 상기 지폐의 이송 방향을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밀착하도록 굴곡시키는 지폐 가이드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first transfer member is formed adjacent to the temporary stacking portion, and includes a banknote guide plate for bend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banknotes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ack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orary stacking portion Temporary sta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이송부재는 지폐의 이송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부 이송브라켓 및 하부 이송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이송브라켓에는 상기 지폐를 전송 또는 반송하기 위한 제1 이송롤러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상부 이송브라켓의 단부상단에는 상기 지폐 가이드판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first conveying member includes an upper conveying bracket and a lower conveying bracket for providing a conveying path for bills, and the upper or lower conveying bracket is equipped with a first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or conveying the bills, respectively. Temporary stacking apparatus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transfer bracket so that the banknote guide plate is inclined downwar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되는 지폐고 접하는 상기 지폐 가이드판의 저면에는 탄성 가이드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 가이드는 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폐 가이드판의 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n elastic guide i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nknote guide plate in contact with the transferred banknote, and the elastic guide is formed in a bow shape so that both ends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nknote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탬핑부는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적층된 상기 지폐의 상면을 누르는 프레싱 레버 및 상기 프레싱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프레싱 레버의 움직이게 하는 스탬핑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stamping unit is a temporary stacking device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comprising a pressing lever for moving the pressing lever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ed banknotes and moving the pressing lever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lev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프레싱 레버는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프레싱 레버의 단부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스탬핑 헤드가 장착되어 상기 지폐의 상면을 직접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pressing lever is rotated about a fixed axis of rotation, the end of the pressing lever is equipped with a stamping head that moves up and down, the temporary stacking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시 스태킹부는 적층되는 상기 지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기 지폐의 폭에 대응하도록 이격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탬핑부에 의해서 눌려진 상기 지폐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temporary stacking unit includes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banknotes to be stacked, and a locking step spaced apart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anknote of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to limit a vertical movement range of the banknote pressed by the stamping unit. Temporary stack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이송부재는 상기 일시 스태킹부에 인접한 상부에 장착된 제2 이송롤러, 상기 제2 이송롤러에 대향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를 상하로 움직이는 롤러밀착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The second conveying member includes a second conveying roll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temporary stacking part, a contacting roller moving up and down facing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nd a roller contacting solenoid moving the contacting roller up and down. Temporary stack devi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롤러밀착 솔레노이드의 단부에는 롤러밀착 브라켓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롤러밀착 브라켓에는 상기 밀착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지폐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 roller adhesion bracket is hinged to an end of the roller adhesion solenoid, and the adhesion roller is mounted to the roller adhesion bracket to selectively transport the stacked banknot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시 스태킹부의 후단에는 스토퍼가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지폐가 적층되는 영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 stopper is mounted at a rear end of the temporary stacking unit, and the stopper selectively blocks a transfer path of the banknote to limit an area in which the banknotes are stack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스토퍼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블록편이 상기 지폐의 이송경로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And the stopper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block piece formed on the stopper moves up and down on a transfer path of the banknote to selectively block the transfer path.
KR20-2004-0031789U 2004-11-10 2004-11-10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3742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9U KR200374273Y1 (en) 2004-11-10 2004-11-10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9U KR200374273Y1 (en) 2004-11-10 2004-11-10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14A Division KR101120933B1 (en) 2004-11-10 2004-11-10 Apparatus and method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273Y1 true KR200374273Y1 (en) 2005-01-27

Family

ID=4944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89U KR200374273Y1 (en) 2004-11-10 2004-11-10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27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91B1 (en) * 2005-05-16 2012-04-30 엘지엔시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91B1 (en) * 2005-05-16 2012-04-30 엘지엔시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95616B1 (en) Media storage and recycling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KR20140088946A (en) Cassette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check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980075B1 (en) Receiving apparatus for check and giro-paper with array function
KR100970975B1 (en) Check Deposit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EP2565856B1 (en) Apparatus for pulling bills and checks in bundle bill and check acceptor
KR970006031B1 (en) Cash dispenser of the type transporting a slip and bills together
KR10112093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411493Y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374273Y1 (en)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122454B1 (en) Apparatus of temporarily stacking bills and method of returning the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411492Y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jam
KR101099900B1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JP4686940B2 (en) Front / reverse inversion mechanism
KR20060042596A (en) Apparatus of receiv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374274Y1 (en) Apparatus of receiv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526580B1 (en) temporary stacker of paper money
KR101123683B1 (en)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123340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JPH0322201Y2 (en)
KR200411490Y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001759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JPS6349795Y2 (en)
KR20070068588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jam
KR101423543B1 (en) Reject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070072247A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