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229Y1 -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4229Y1 KR200374229Y1 KR20-2004-0030290U KR20040030290U KR200374229Y1 KR 200374229 Y1 KR200374229 Y1 KR 200374229Y1 KR 20040030290 U KR20040030290 U KR 20040030290U KR 200374229 Y1 KR200374229 Y1 KR 2003742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able cup
- inlet
- disposable
- cup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65D3/261—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 B65D3/264—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forming a longitudinal line of weakness
- B65D3/265—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forming a longitudinal line of weakness and having an attached or applied tearing or reinforc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종이, 고분자 수지 등 잘 휘어지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음료 등 유체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도록 열린 입구를 가지는 입구부와, 유체물이 내부에 담길 수 있도록 바닥판으로 막힌 바닥부 및 입구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옆면으로 구성되는 일회용 컵으로서, 입구부가 놓이는 가상의 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옆면에 절취선이 형성되며, 절취선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단부는 입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스푼을 여러명이 함께 사용하거나 차 포장지 등으로 내용물을 혼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 미관상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그 구성 및 제조 방법이 간단하여 기존의 설비로도 쉽게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에 커피 믹스와 물 등 서로 상이한 상태의 물질을 함께 넣고 혼합하여 액상의 음료 등을 제조할 경우, 별도의 젓개를 준비할 필요 없이 컵으로부터 간편하게 젓개를 분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차 등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연회장, 회의장 등에서는 구성원 또는 참석자 들이 커피 믹스나 각종 분말 차류 등을 뜨거운 물 등에 타서 마실 수 있도록 종이 재질 등으로 된 일회용 컵과 분말 차 등을 구비해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곳에서는 물과 분말 차 등을 혼합하기 위하여 비치된 한 두개의 차 숟가락을 여러명이 사용하는 경우가 잦으며, 차 숟가락이 없거나 심하게 오염된 경우 차 분말의 포장지를 접어서 젓개로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은 수의 차 숟가락 등을 여러명이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위생이나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 분말의 포장지를 접어서 젓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포장지 겉면에 흡착되어 있던 오염물질 및 포장 재질이 함유하고 있는 환경 물질 등이 커피 등 음료 속으로 유입될 위험성이 높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24101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42028호는 스푼이 부착된 형태의 일회용 컵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출원 및 등록 실용신안은 모두 일회용 컵으로 부터 스푼을 분리하여 젓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특허출원 제2001-24101호의 경우 스푼 모양의 커팅선 및 연결선 등을 일회용 컵에 성형하여야 하는 작업의 난이성, 일회용 컵 내측면에 별도의 보강재를 구비하여야 하는 구성의 복잡성 등의 단점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242028호의 경우 별도로 스푼을 제조하여 일회용 컵에 부착시켜야 하는 등 구성 및 제조 단계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우며 제조 단가 또한 고비용이 되는 단점이 있어 크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컵으로부터 젓개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차의 혼합 등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 등의 제조시 위생 및 사용상 편의를 함께 달성하면서도, 구성을 최대한 단순화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젓개 분리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전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젓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0: 입구부 11: 입구부 가장자리
20: 바닥부 21: 바닥부 가장자리
25: 바닥판 30: 옆면
40: 절취선 50: 젓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종이, 고분자 수지 등 잘 휘어지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음료 등 유체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도록 열린 입구를 가지는 입구부와, 상기 유체물이 내부에 담길 수 있도록 바닥판으로 막힌 바닥부 및 상기 입구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는 옆면으로 구성되는 일회용 컵으로서, 상기 입구부가 놓이는 가상의 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옆면에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단부는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취선은 한쪽 단부 만이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하거나, 양쪽 단부 모두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대략 평행한 구간의 상기 절취선 사이의 간격은 3 내지 40 ㎜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 주석 등 경도가 높은 재질 보다는 종이, 폼(foam) 수지, 일반 플라스틱 등 휘어지는 성질이 강한 부드러운 재질로 된 컵에 주로 적용되며, 음료 등 유체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입구부, 옆면, 바닥부 등을 구비한 것이면 그 형태에 특정한 제한은 없다.
일반적인 컵의 경우, 입구부는 원주의 형태인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는 이 입구부에 입술을 대고 컵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게 되는데, 이 때에는 실제로 입구부 원주 가장자리상의 일부 구간만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은 입구부 가장자리에서 음료수 음용시 사용되지 않는 구간(바람직하게는 입구부 원주상의 약 절반 정도)을 적당한 두께의 긴 직사각형 형태로 절취하여 이를 젓개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입구부 원주면으로 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원주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컵 옆면에 절취선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적어도 한쪽 단부 이상은 입구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취선이 형성된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긴 막대 형태의 젓개를 절취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된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절취선은 종래의 컵 제조 공정에 절취선 성형 공정(예를 들어 미싱 설비를 이용한 점선 처리) 한 가지 단계만을 추가함으로써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당해 도면들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흔히 사용되는 종이 재질의 일회용 컵 형태를 띄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사시도로서, 음료 등이 유입되거나 담긴 음료 등을 입을 대고 마실 수 있도록 원주 형태로 형성되는 입구부(10), 유입된 음료가 내부에 담길 수 있도록 둘러싸는 옆면(30)과 바닥부(20)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 등과 동일하며,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상기 구성에 절취선(4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40)은 입구부(10)원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입구부(10) 가장자리(11) 아래쪽 옆면(30) 상에 입구부(10) 가장자리(11) 원주 둘레 길이의 절반 보다 약간 긴 길이로 형성되며, 원주면과 평행하게 진행되던 절취선(40)의 단부는 절곡을 이루며 컵 위쪽으로 입구부(10)의 가장자리(11)까지 연장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취선(40)은 미싱 공정 등을 통해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이를 통해 점선 처리된 절취선(4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취선(40)을 따라 젓개(50)를 분리해 내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입구부(10)의 가장자리(11) 중 절취선(40)과 교차되는 부분으로부터 젓개(50)를 절취해 나감으로써 긴 직사각 형태의 젓개(50)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절취선(40)은 일회용 컵의 최종 성형 전 전개된 평면 상태에서 미싱 작업 등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는데, 도 3a 내지 도 3b는 각각 절취선(30) 형태에 차이가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두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중 절취선(40) 부분을 제외한 구성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과 거의 동일하다. 즉, 일회용 컵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제조되는 데, 옆면(30) 및 입구부(10)를 이루는 부채꼴 부분, 컵의 바닥을 막기 위한 원형의 바닥판(21) 부분이 그것이다. 일회용 컵의 최종 성형 단계에서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부채꼴 부분의 좌우 양측 직선 변을 접착하여 원통형 옆면(30)을 형성하고, 바닥판(25)과 바닥부 가장자리(21)을 접착하여 바닥부(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입구부 가장자리(11)를 바깥쪽으로 둥글게 말아 컵의 제조를 완료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상기 최종성형 단계 이전 전개 상태에서 절취선(4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4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구부(10) 가장자리(11)에 평행한 구간 및 그 구간의 단부로부터 입구부 가장자리(11)까지 연장되는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전자를 a 구간, 후자를 b 구간이라 한다면,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 3a에서는 a 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b 구간이 a 구간의 한쪽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타측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에는 절취선이 입구부(10) 가장자리(11) 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완제품 일회용 컵에서는 젓개(50)를 완전히 떼어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개(50)를 필요한 정도로 구부려 컵 내부의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 3b에서는 a 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b 구간이 a 구간의 양쪽 단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완제품 일회용 컵에서는 젓개(50)를 완전히 떼어낼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완전히 떼어낸 젓개(50)의 한쪽 끝을 잡고 반대쪽 끝을 이용해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경우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젓개(50) 사용에 다소 불편함을 느낄수도 있을 것이나, 분리된 젓개(50)가 별도로 버려지는 등 쓰레기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의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젓개(50)는, 젓개(50)의 사용이 종료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개(50)를 절취되지 않은 가장자리(11) 둘레 외주면을 따라 겹친 후 젓개(50) 끝을 접는 등의 방법으로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음료 등의 음용 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일회용 종이컵 등에서 음료의 양을 컵 높이의 약 70% 정도까지 채워 마신다고 가정하면, 입구 가장자리(11)로부터 절취선(40)까지의 길이로 형성되는 젓개(50)의 최대 두께는 컵 전체 높이의 3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외 높이의 컵의 경우 젓개의 두께는 대략 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에서는 긴 직사각 형태의 젓개(50)가 도시되어 있으나, 컵의 상하 방향이 아니라 입구부 가장자리(11)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다면 젓개(50)의 형태는 상기 직사각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구성함으로써, 컵에 담긴 내용물 혼합을 위하여 컵으로 부터 간단히 젓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스푼을 여러명이 함께 사용하거나 차 포장지 등으로 내용물을 혼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 미관상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그 구성 및 제조 방법이 간단하여 기존의 설비로도 쉽게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제조 단가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 종이, 고분자 수지 등 잘 휘어지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음료 등 유체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도록 열린 입구를 가지는 입구부(10)와, 상기 유체물이 내부에 담길 수 있도록 바닥판(25)으로 막힌 바닥부(20) 및 상기 입구부(10)와 상기 바닥부(20)를 연결하는 옆면(30)으로 구성되는 일회용 컵에 있어서,상기 입구부(10)가 놓이는 가상의 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옆면(30)에 절취선(40)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40)의 적어도 일측 이상의 단부는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11)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40)은 한쪽 단부 만이 상기 입구부(10)의 가장자리(11)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40)은 양쪽 단부 모두 상기 입구부(10)의 가장자리(11)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10)와 상기 입구부(10)에 대략 평행한 구간의 상기 절취선(40) 사이의 간격은 3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290U KR200374229Y1 (ko) | 2004-10-27 | 2004-10-27 |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290U KR200374229Y1 (ko) | 2004-10-27 | 2004-10-27 |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4229Y1 true KR200374229Y1 (ko) | 2005-01-26 |
Family
ID=4944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0290U KR200374229Y1 (ko) | 2004-10-27 | 2004-10-27 |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4229Y1 (ko) |
-
2004
- 2004-10-27 KR KR20-2004-0030290U patent/KR2003742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39349B2 (en) | Disposable cup | |
KR200374229Y1 (ko) | 젓개 일체형 일회용 컵 | |
KR101543513B1 (ko) |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 |
WO2016105250A1 (ru) | Одноразов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 |
KR200480933Y1 (ko) | 젓개가 내장된 종이컵 | |
KR200422853Y1 (ko) | 티스픈이 구비된 일회용 커피믹스 | |
KR200170084Y1 (ko) |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 | |
KR200443066Y1 (ko) |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 |
KR200412075Y1 (ko) |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 |
KR102193287B1 (ko) |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 |
KR101998938B1 (ko) | 다용도 컵형 종이용기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04016Y1 (ko) |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컵 | |
KR200412650Y1 (ko) |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 |
KR20070078858A (ko) | 차 원료 옆면 내장과 농도조절 기능 종이컵 | |
US8839985B1 (en) | Coffee cup plug | |
KR20150145427A (ko) | 믹싱 컵 | |
KR100367631B1 (ko) | 절첩형 보온단열컵 | |
KR200317779Y1 (ko) |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 |
KR200237765Y1 (ko) | 일회용 스픈을 구비하는 종이컵 | |
KR200270181Y1 (ko) | 수용성 팽창 부직포에 의해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되는종이컵 | |
JP7443758B2 (ja) | ドリッパー | |
KR200421560Y1 (ko) | 종이컵 | |
CN108697252B (zh) | 一次性套件和组装这种套件的方法 | |
KR200176915Y1 (ko) | 일회용 차용기 | |
WO2016066902A1 (en) | Mu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