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617Y1 -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 Google Patents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617Y1
KR200372617Y1 KR20-2004-0028539U KR20040028539U KR200372617Y1 KR 200372617 Y1 KR200372617 Y1 KR 200372617Y1 KR 20040028539 U KR20040028539 U KR 20040028539U KR 200372617 Y1 KR200372617 Y1 KR 200372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receiving groove
table clock
cloc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호 filed Critical 김대호
Priority to KR20-2004-0028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61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617Y1/en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는 몸체(10) 일측 전면부위에 메모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0)을 내설하고 상기 수용홈(30)상에 메모지를 인출입하게 하는 개구(40)가 몸체(10)의 측면에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30)의 전면부에는 투명창(50)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50)은 힌지수단(61,62)에 의하여 몸체(1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30)에는 투명 재질로 종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7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a memo paper in a front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n opening for drawing out a memo paper on the accommodating groove 30. 40 is characterized in that is penetrat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10). In addition, a transparent window 50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0, and the transparent window 50 is hinged to the body 10 by hinge means 61 and 62 and the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partition wall 7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urther formed.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에 따르면, 시계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수용되는 메모지 수용홈을 구비하여 메모지가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메모지를 시계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로 인해 목표설정, 구호, 약속문구 등을 기입하여 시간과 스케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a memo paper receiving groove that is integrally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clock body can be easily used to insert the memo paper into the watch while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memo is unnecessarily detach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time and schedule by writing a goal setting, relief, appointment phrases.

Description

메모 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본 고안은 메모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탁상시계 본체의 일측에 메모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메모지를 교체할 수 있고 복수의 메모지를 구비할 수도 있는 탁상시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memo paper on one side of the table clock body, the user can freely replace the memo paper and may have a plurality of memo paper It is about a table clock.

현대 전자 기술의 발달로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전자 제품은 디지털 방식의 제품으로 모습을 달리 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점차 기존 아날로그 제품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나, 이러한 기술의 발달과 상관없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제품도 상당수인데 그 중 하나가 시계이다.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electronic technology, existing analogue electronic products have changed to digital ones. As a result, existing analog products are gradually disappearing, but many products are widely used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One of them is the watch.

시계는 탁상시계, 벽시계, 손목시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제작된 분야에서 디지털 시대인 현대사회에서도 아날로그 방식의 제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고가의 손목시계는 더욱 그러하다. 탁상시계는 현재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시간을 나타낸다는 시계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의 구분이 없기 때문이다.In the field of clocks, wall clocks, and wristwatches, analogue products are widely used in the modern age of the digital age, and more expensive wristwatches are used. Table clocks are currently used with a mixture of analog and digital, becau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analog and digital in performing the watch's original function of indicating time.

모든 매체가 디지털하되는 것에 거부감을 가지는 경우도 있으나 디지털 방식의 탁상시계는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시계가 수행하지 못했던 날짜표시, 달력표시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현재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95774호, 제 272175호 등처럼 D-DAY 표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기억해야 할 중요한 날을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공개가 된 상태이다.In some cases, all media have a disapproval of being digital, but the digital table clock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display date display, calendar display, etc. which the analog clock did not perform. Currentl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95774, As in the case of No. 272175, the D-DAY display function has been made public so that the user can remember the important day to be remembered.

탁상시계는 주로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에게 널리 사용되는데 상기 언급한 D-DAY 표시 시계는 중요한 약속이나 시험일자 등을 사용자에게 숙지시킬 수 있어 유용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The desk clock is widely used b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The D-DAY display clock mentioned above is a useful function to allow users to know important appointments and test dates.

하지만, 이러한 D-DAY 표시 시계는 단순히 날짜만을 카운팅(counting)하고 이를 단순하게 표시하는 역할만을 제공하여 보다 구체적인 메시지나 문구를 나타내기에는 역부족하다.However, the D-DAY display clock merely counts the dates and provides only a role of simply displaying the date, which is insufficient to display a more specific message or phrase.

따라서, 이를 위해 메모지를 삽입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탁상시계가 국내 실용신안공보를 통해 다수 공개되어 있는데 그 예로서 자석을 이용하여 메모지를 고정하는 시계, 시계에 키패드를 장착하여 이로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시계 등이 있다. 이러한 시계를 통해 메모지를 시계의 몸체 부위에 위치하거나 장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석으로 메모지를 시계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자석이 유동가능하기 때문에 메모지가 시계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키패드 입력식 시계는 그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컴퓨터 키보드 등에서의 단순설계변경에 불과하여 진보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table clocks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inserting a note paper are disclosed through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s. For example, a keypad is mounted on a watch and a clock to fix a note paper using a magnet, thereby inputting letters. Electronic clock, etc. This watch has a merit that it can be placed or mounted on the body of the watch, but the method of fixing the note paper to the watch with magnets has a problem that the note paper may not be fixed to the watch firmly because the magnet is movable. The input type wat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s manufacturing cost is relatively high and its progress is lacking because it is only a simple design change in a computer keyboard.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탁상시계의 몸체 일측부에 소정크기의 메모지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홈을 내설하여 시계 본체 내에 메모지가 수월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탁상시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of the table clock to be easily fixed in the clock body by introducing a receiving groove for inserting a predetermined size memo paper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table clock It is do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계 몸체에 내설된 수용홈의 내부구조에 격벽을 설치하여 복수의 메모지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emo papers can be inserted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a partition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watch body.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수용홈의 내부에서 메모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권취 수단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mean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groo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to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4; FIG.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 110: 관통홀10: body 110: through hole

20: 표시부 120: 권취봉20: display unit 120: winding rod

30: 수용홈 121: 결합슬릿30: receiving groove 121: coupling slit

40, 40':개구 130: 메모지홀더40, 40 ': Opening 130: Memo holder

50: 투명창 131: 걸림구멍50: transparent window 131: locking hole

61,62: 힌지수단 140: 스프라켓61, 62: hinge means 140: sprocket

70: 격벽 150: 작동레버70: bulkhead 150: operating le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는 몸체(10) 일측 전면부위에 메모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0)을 내설하고 상기 수용홈(30)상에 메모지를 인출입하게 하는 개구(40)가 몸체(10)의 측면에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30)의 전면부에는 투명창(50)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50)은 힌지수단(61,62)에 의하여 몸체(1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30)에는 투명 재질로 종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7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groove 30 that can accommodate a memo paper o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a note paper on the receiving groove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40 through which the drawer penetrates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10. In addition, a transparent window 50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0, and the transparent window 50 is hinged to the body 10 by hinge means 61 and 62 and the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partition wall 7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urther formed.

더불어, 상기 수용홈(30) 내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1쌍의 권취봉(120)과;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구멍(131)이 형성되며, 일측에 메모지출입구(133)가 형성된 메모지홀더(130)와;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홀더(130)의 걸림구멍(131)에 삽입되어 메모지홀더(130)를 이동시키는 스프라켓(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winding rods 120 are provided to be rotatab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0; A memo holder 13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3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 thereof, and a memo paper entry and exit 133 formed at one side thereof;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the sprocket 14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131 of the memo holder 130 to move the memo holder 13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탁상시계는 중앙에 시간 등의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장착한 시계 몸체(10)의 일측(좌측, 우측,상측부)에 메모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진 수용홈(30)이 내설되어 있다. 시계 몸체(10)의 일측이 개방된 개구(40)를 구비하여 이 개구(40)를 통해 메모지(M)를 수용홈(30) 내부에 수용시킬 수가 있으며, 보통 일반 메모지의 두께가 얇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수용홈(30) 내부에는 복수의 메모지(M)를 보관/수용할 수가 있다. 몸체(10)의 개구(40)는 좌우측 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ure 1, the t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note paper on one side (left, right, upper side) of the clock body 10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a value such as time in the center Receiving groove 30 having a sufficient size to be built in. One side of the watch body 10 has an opening 40 which is open so that the memo paper M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30 through the opening 40, and that a normal memo paper is generally thin. In view of this, the plurality of memo pads M can be stored / received inside the accommodation grooves 30. The opening 40 of the body 10 can be provided not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also on the upper side.

더불어 수용홈(30)의 정면부, 다시 말해 메모지가 표시되는 부위에는 투명창(5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메모지(M)를 인식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구성이 되고 투명창(50)의 일측에 힌지공(62)과 돌출부(61)로 구성된 힌지수단(61,62)이 장착되어 투명창(50)이 몸체(10)로부터 접철되도록 결합되어 투명창(5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구(40)를 통해 메모지(M)를 인출입할 수가 있음과동시에 정면부의 투명창(50)을 통하여 메모지(M)를 인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0), that is, a transparent window 50 is installed on the portion where the note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have no trouble in recognizing the note (M) and hing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50). Hinge means (61, 62) consisting of a ball 62 and the protrusion 61 is mounted so that the transparent window 50 is folded to be folded from the body 10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ansparent window 50. . The user can draw in and out the memo sheet M through the opening 40,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withdraw the memo sheet M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50 in the front portion.

본 고안에서의 시계는 굳이 탁상시계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책상 위에서 사용되는 일반 탁상시계, 더욱 바람직하게는 D-DAY 표시 기능이 구비된 탁상시계에서 사용될 수가 있으며, 만일 시험을 앞둔 학생의 경우 시험이 앞으로 10일 남았다면 시계의 표시부에서 "D-10"이라는 표시가 디스플레이가 될 것이고 이에 관련된 중요메시지나 신조, 구호, 목표 등을 메모지에 기입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용홈 상에 장착한다면 더욱 효과적이다.The c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desk clock, but may be preferably used in a general desk clock used on a desk, more preferably a desk clock equipped with a D-DAY indication function. If the test is left for 10 days, "D-10"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watch. If important messages, creeds, slogans, targets, etc. are written on the memo sheet and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ectiv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의 수용홈(30)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70)을 설치하여 복수의 메모지(M)를 구분하여 수용할 수가 있으며 격벽(70)은 투명 합성수지재질로 제작이 되어 앞쪽의 메모지(M)를 인출하면 바로 뒤에 수용된 메모지(M)가 노출이 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at least one partition wall 70 may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30 of the body 10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memo pads M, and the partition wall 7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the front memo (M) is withdrawn so that the memo (M) accommodated immediately behi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 관한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개구(40')가 상측에 전면 개방되게 하여, 개구(40') 부위를 경사지게 구성하여 메모지의 크기에 따라 구획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평행하게 바닥면도 경사지게 구성하여 적층식으로 격벽(70)을 구성할 수도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4, it is possible to make the opening 40 'open to the front side and to make the opening 40' part inclined and to part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emo paper.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configure the partition wall 70 in a stacked manner.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시계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4 and 5 is a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t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탁상시계의 제 3실시예는, 수용홈(30) 상에서 구비되는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1쌍의 권취봉(120)과,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메모지홀더(130)와,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메모지홀더(130)를 이동시키는 스프라켓(14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tabl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winding rods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s 120 which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provided on the receiving groove 30 It is composed of a memo holder 130 to be wound, and a sprocket 140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to move the memo holder 130.

권취봉(120)은 메모지홀더(130)를 권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홈(30)의 내측벽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주면 일측에 스프라켓(140)과 작동레버(150)가 구비되어 있다. 메모지홀더(130)는 양단이 상기 1쌍의 권취봉(120)에 각각 결합되어 권취되고, 1쌍의 권취봉(12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축회전시키게 되면 메모지홀더(130)가 느슨해지고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시키게 되면 팽팽하게 잡아당겨진다.The winding rod 120 serves to wind the memo holder 130, and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30, and the sprocket 140 and the operation lever 15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Both ends of the memo holder 13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winding rods 120, and when the pair of winding rods 120 are axially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memo holder 130 is loose and the same. When i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t is pulled tight.

메모지홀더(130)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구멍(131)이 형성되고, 두겹으로 형성되어 이 내부에 메모지(M)를 수용할 수 있게 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메모지출입구(133)가 형성되어 있다.The memo holder 130 has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3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both edges thereof, and is formed in two layers to accommodate the memo M therein,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emo paper entry / exit ( 133 is formed.

권취봉(120)의 일측에는 축방향을 따라 결합슬릿(121)이 형성되어 있어 메모지홀더(130)가 권취봉(120)에서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메모지홀더(130)의 일단에는 결합편(132)이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결합편(132)을 상기 결합슬릿(121)에 삽입시키고 권취봉(120)을 축회전시키게 되면서 메모지홀더(130)를 권취봉(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One side of the take-up rod 120 is formed with a coupling slit 121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prevent the memo holder 130 from being unnecessarily separated from the take-up rod 120, for this purpose of the note holder 130 One end of the coupling piece 132 is formed to extend the insertion piece 132 into the coupling slit 121 and to rotate the winding rod 120 while the memo holder 130 to the winding rod 120 It can be combined firmly.

스프라켓(140)은 상기 권취봉(120)의 양단에 1쌍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메모지홀더(130)의 걸림구멍(131)을 걸어 지지함으로써 권취봉(120)의 축회전에 의해 메모지홀더(130)를 이동시켜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권취시키게 되고, 일측이 수용홈(30)의 내측에 위치하는 관통홀(110)로 노출되어 수용홈(30)이 구비된 부위의 시계 몸체(10)의 저면에서 손이나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권취봉(120)은 양단에 작동레버(150)가 구비되어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면 상에서 작동레버(150)는 수용홈(30) 내에 함입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동레버(150)의 종단이 추가로 구비된 오리피스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작동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The sprocket 140 is provided with one pair at each end of the winding rod 120 to support the hook hole 131 of the memo holder 130 to support the sprocket 140 by the shaft rotation of the winding rod 120. To move th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one side is exposed to the through-hole 110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30, the watch body 10 of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receiving groove 30 At the bottom of the car, it can be easily operated by friction with the hands or the floor. In addition, the winding rod 1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lever 150 at both ends may be rotated by holding by hand. Although the operating lever 150 is represented as being embedded in the receiving groove 30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d of the operating lever 1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an orific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user may operate it.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또한, 도면에서는 이러한 권취수단에 따른 권취봉(120)이 가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로 형성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although the winding rod 120 according to the winding means is horizontally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vertical formation is also possible.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메모지(M)의 활용도를 높여 복수의 메모지를 편리하게 시계상에 구비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memo pad M, and a plurality of memo pads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on a watch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table clock having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에 따르면, 시계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수용되는 메모지 수용홈을 구비하여 메모지가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메모지를 시계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로 인해 목표설정, 구호, 약속문구 등을 기입하여 시간과 스케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a memo paper receiving groove that is integrally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clock body, while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memo is unnecessarily detached to watch the paper It can be used to insert in the user has the advantage to manage the time and schedule, such as by entering a goal setting, relief, appointment phrases.

더불어, 수용홈 상의 공간에 추가로 투명 재질의 격벽을 설치하여 복수의 메모지를 구분지어 수용할 수 있고 중요한 일의 순서대로 메모지의 순서를 위치시킬 수가 있으며, 수용홈 상에 메모지를 권취하여 표시할 수 있는 권취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가 있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면서 작동하기 쉽게 복수의 메모지를 인출입 및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artition of transparent material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pace on the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memo papers, and the order of the memo papers may be placed in the order of important task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winding means that can be more convenient, easy and easy to operate a plurality of memo paper has the effect that can be taken out and displayed.

Claims (5)

시간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장착한 탁상시계에 있어서,In the table clock equipped with the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the time value, 몸체(10) 일측 전면부위에 메모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0)을 내설하고 상기 수용홈(30)상에 메모지를 인출입하게 하는 개구(40)가 몸체(10)의 측면에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The opening 10 which has a receiving groove 30 for accommodating the memo paper on one side of the body 10 and draws out the memo paper on the receiving groove 30 is penetrat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10. The table clock with the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홈(30)의 전면부에는 투명창(50)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50)은 힌지수단(61,62)에 의하여 몸체(10)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A transparent window 50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0, and the transparent window 50 is hinged with the body 10 by hinge means 61 and 62. Table clock with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홈(30)에는 투명 재질로 종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7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The receiving groove 30 is a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at least one partition wall 7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홈(30) 내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1쌍의 권취봉(120)과;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구멍(131)이 형성되며, 일측에 메모지출입구(133)가 형성된 메모지홀더(130)와; 상기 권취봉(12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메모지홀더(130)의 걸림구멍(131)에 삽입되어 메모지홀더(130)를 이동시키는 스프라켓(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A pair of winding rods 120 which are rotatably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in the receiving groove 30; A memo holder 13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3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 thereof, and a memo paper entry and exit 133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sprocket 14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d 120 and inserted into a locking hole 131 of the memo holder 130 to move the memo holder 130; and further includes a memo Table clock with fun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권취봉(120)의 양단에는 작동레버(1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기능을 구비한 탁상시계.Both ends of the winding rod 120,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lever 150 is further provided, table clock with a memo function.
KR20-2004-0028539U 2004-10-08 2004-10-08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KR2003726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39U KR200372617Y1 (en) 2004-10-08 2004-10-08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39U KR200372617Y1 (en) 2004-10-08 2004-10-08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617Y1 true KR200372617Y1 (en) 2005-01-14

Family

ID=4944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39U KR200372617Y1 (en) 2004-10-08 2004-10-08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61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317860A (en) Apparatus; atm cash cassette; method of changing the representation of an indicator on the condition of the atm cash cassette; cash cassette in automatic banking machine; method;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disarming adjustment of a low cash indicator device on a cash cassette at
Lisa et al. Negative particle questions: A dialectal comparison
KR200372617Y1 (en) Table clock with memo function
US2132051A (en) Attachment for clocks
JP4616420B1 (en) Perpetual calendar
KR101182794B1 (en) Clock having planner function
KR20090010219U (en) Triangle calendar
KR200253192Y1 (en) A late calendar
US20030217487A1 (en) Date cycling storage calendar
KR101437598B1 (en) Storage
JP2020085841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380196Y1 (en) The Money Box With Hollow Fixing Cellular Phone
KR200451569Y1 (en) The multi-calendar
WO2007032575A1 (en) Calendar having an improved portability and capable of being used as a advertiser
KR200219828Y1 (en) Desktop calendar
KR200335710Y1 (en) A desk calendar
JP3135679U (en) Easy replacement calendar board
KR101194633B1 (en) Calendar
KR910003826Y1 (en) Portable universale watch
JP3165068U (en) A multi-year roll calendar that can be filled in a dedicated calendar case.
KR920008290Y1 (en) Telephone number recording plate for desk
KR200379231Y1 (en) Stock mark apparatus
KR20060000106U (en) Calendar for table with memo paper
KR960006338Y1 (en) National flag chargebox and stand
JPH09305110A (en) Daily pad cal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