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80Y1 - 침낭 형 텐트 - Google Patents

침낭 형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80Y1
KR200372580Y1 KR20-2004-0028066U KR20040028066U KR200372580Y1 KR 200372580 Y1 KR200372580 Y1 KR 200372580Y1 KR 20040028066 U KR20040028066 U KR 20040028066U KR 200372580 Y1 KR200372580 Y1 KR 200372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leeping bag
opening
typ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박홍근홈패션 filed Critical (주)박홍근홈패션
Priority to KR20-2004-0028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8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낭 형 텐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두부(頭部)수용부와 사용자의 몸체가 수용되는 몸체수용부로 구분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텐트에 별도의 운반손잡이를 형성시킴으로서, 상황에 따라 들것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텐트의 전체적인 부피 와 높이 및 부품을 줄일 수 있으므로, 텐트의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유사 시 발생되는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많은 양의 물품을 한번에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침낭 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낭 형 텐트{sleeping bag type tent}
일반적으로 산지나 바다같은 야외에서 숙박을 할 경우,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한 텐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텐트는 대부분 부속품을 상호 조립함으로서 일정한 형태를 이루며 유지하게 되는데, 텐트의 몸체에 해당하는 텐트천과, 텐트의 골격에 해당하는 텐트지지수단 등의 상호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텐트의 조립방법은 일정한 길이와 형태의 텐트지지수단과, 텐트천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체결구를 상호 결합하여 텐트지지수단의 형상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텐트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텐트는 사용인원이나 장소, 목적에 따라 그 규모나 형태가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다.
텐트의 형태는 크게 지붕형, 가옥형, 돔(dome)형과 그 변형체인 A형텐트 등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지붕형과 가옥형은 일반 오두막 형태의 텐트로써 내부공간이 넓어 많은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그러나 지붕형과 가옥형 텐트는 텐트의 벽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람에 상당히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설치장소에 따라 사용의 제약이 따르며, 텐트설치에 소요되는 부속품이 많이 필요하여 설치 및 해체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A형텐트는 설치 후 정면에서 보았을때, 그 형태가 A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서, 대개 1~2인이 동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보급되어 있으며, 현재 군(軍)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텐트이다.
이러한 A형텐트는 지붕형 및 가옥형과 마찬가지로 바람을 받는 면적이 많으므로 바람에 의해 쓰러지기 쉬우며 설치시간과 방법이 지연되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돔형텐트는 전체적인 형상이 반구(半球) 형태로써 전제적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어 바람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나 시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이다. 이러한 돔형텐트는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형태상 사용인원에 비해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안된 일반적인 텐트들은 설치가 완료되었을 시 텐트의 전체 높이가 상당히 높고 부피가 큰 형태이기 때문에 야전(野戰) 과 같이 은폐?엄폐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텐트의 부피 및 높이가 큰 만큼 설치 시 필요한 부품의 양도 많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텐트천의 면적도 넓기 때문에 텐트를 철거하여 접은 후 보관 및 운반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야전에서 원활한 은폐?엄폐를 위해 부피 및 높이가 큰 텐트대신에 사용자의 신체크기와 비슷한 침낭만을 사용하여 휴식이나 취침을 취하기도 하는데, 상기 침낭은 단순히 보온용 천이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신체와 밀착되기 때문에 외기와 몸사이에 보온역활을 하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없어 보온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야전에서 사용되는 침낭은 상용자의 편안한 호흡을 위하여 얼굴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비나 눈이 올 경우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통상의 침낭은 사용자의 신체를 수용하게 되면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배낭같은 물품을 보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텐트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숙영생활을 하는 동안 사고나 질병에 의해 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치료가 가능한 곳으로 옮기기 위한 구급용 들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급용 들것은 일반적으로 특정 장소에 별도로 비치하거나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숙영생활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환자를 신속하게 옮기지 못하여 부상이나 질병이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인 구급용 들것을 이용하여 환자를 이송할 경우에는 환자의 체온유지나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모포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덮은 상태로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텐트의 부피 및 높이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와 해체 및사용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은폐?엄폐가 가능한 침낭 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텐트설치에 필요한 부속품을 최소화함으로서,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침낭 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텐트에 별도의 투명창을 구비시켜 텐트 내부에서 항시 외부를 볼 수 있는 침낭 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텐트의 양측부에 운반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서, 손잡이와 손잡이 사이의 텐트에 환자나 물품을 위치시킨 후 이송할 수 있는 침낭 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텐트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 즉 텐트내부에 환자나 물품이 위치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자나 물품을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침낭 형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제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이면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 는 텐트에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운반손잡이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 는 텐트천을 들것으로 이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텐트천 10a : 지지수단체결구
14 : 텐트지지수단 16 : 지지수단고정편
20 : 두부수용부 30 : 몸체수용부
40 : 전면개폐구 50 : 상면개폐구
60 : 보조환기구 70 : 투명창
80 : 후면개폐구 82 : 보관실
84 : 고정끈 84a : 고정클립
86 : 중간개폐구 88 : 지지수단보관주머니
90 : 운반손잡이 100 : 텐트
200 : 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침낭 형 텐트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수용되는 두부(頭部)수용부와 몸체부분이 수용되는 몸체수용부로 구분되고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전면개폐구, 상면개폐구, 후면개폐구와, 별도의 보관실 및 투명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트 양측면의 소정위치에 운반손잡이가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텐트(100)는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신체크기와 비슷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텐트천(10)에 다수의 지지수단체결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수단체결구(10a)에는 텐트지지수단(14)이 결착되며 상기 텐트지지수단(14)의 양 끝단부는 상기 텐트천(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수단고정편(16)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텐트지지수단(14)을 사용자가 텐트내부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위치하는 부위만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텐트지지수단(14)이 설치된 부분은 텐트천이 사용자의 얼굴과 닿지 않을 정도의 일정한 공간부를 이루는 두부수용부(20)를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텐트몸체에 해당하는 텐트천(10)이 사용자가 누웠을 때의 신체크기에 맞는 크기, 즉 침낭과 비슷한 형태이므로 상기 텐트(100)는 수면이나 잠깐 누워서 휴식을 취할 경우에만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텐트내부에서의 이동이 거의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의 몸체가 위치하는 몸체수용부(30)에는 실내공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두부수용부(20)에는 비교적 많은 공간부를 확보하여 수면이나 휴식 중 원활하게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두부에 텐트천(10)이 닿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 특히, 야전과 같이 잦은 이동이 필요하고 은폐?엄폐를 유지한 상태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텐트(100)가 최대한 지면과 가까운 상태, 즉 부피와 높이가 최대한 작은 상태이어야 하고, 텐트지지수단(14)의 길이 및 설치면적을 최소화 하여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이상의 텐트지지수단(14)을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텐트천(10)과 결착시켜 두부수용부(20)가 돔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전면개폐구(40)는 텐트(100)의 전면, 즉 두부수용부(20)방향의 전단부에 형성되되, 텐트천(10)의 일부분이 개폐수단(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텐트(100)내부로의 출입이나 환기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면개폐구(40)에는 텐트천과는 별도로 방충망(42)을 설치하고 별도의 개폐수단(200)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더욱 원활할 공기 순환과 벌레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상면개폐구(50)는 상기 텐트(100)의 상면, 즉 몸체수용부(3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개폐구(40)와 마찬가지로 텐트천의 일부분이 개폐수단(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면개폐구(50)에도 상기 전면개폐구(4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방충망을 구비하여 공기순환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전면개폐구(40)와 상면개폐구(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함께 구비시킬 수 있으며, 둘 중 하나만 취사선택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보조환기구(60)는 텐트내부의 환기를 돕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텐트천의 일부분에 방충망을 형성시켜 환기도모 및 벌레침입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환기구(60)의 외부에는 방수를 위한 텐트천이 상기 보조환기구(6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덮여 있다. 상기 보조환기구(60)의 크기나 모양, 위치 및 개수는 텐트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창(70)은 사용자가 텐트내부에 누웠을 때 텐트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위치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부나 측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7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텐트(100)의 철거 시 텐트천을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 바람직 할 것이다.
특히, 야전에서 군인들은 수시로 외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휴식을 취하는 동안 각각의 개폐구(40,50)를 열지 않고 누운상태로 상기 투명창(70)을 통해 외부상황을 항시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후면개폐구(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00)의 후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개폐구(40) 및 상면개폐구(50)와 마찬가지로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면개폐구(80)는 상황에 따라 출입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후면개폐구(90)를 통해 배낭(2)이나 기타 물품들을 후술하는 보관실(82)에 보관하기 위한 입구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후면개폐구(80)를 통해 텐트(100)의 후면부에 배낭(2)을 넣어 보관한다면 배낭(2)이 위치한 부분의 텐트천(10)은 배낭(2)의 높이만큼 올라가게 된다. 더불어 몸체수용부(30)에는 배낭(2)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텐트의 후단부에 텐트지지수단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관실(82)의 외부에는 배낭(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84)과 고정클립(84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관실(8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2)이나 기타물품을 상기 후면개폐구(80)를 통해 넣어 보관하는 공간으로서, 텐트(10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낭(2) 또는 물품의 고정과 몸체수용부(30)와의 격리를 위한 중간개폐구(8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개폐구(86) 또한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텐트내부에서 배낭 또는 물품들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관실(82)의 일측에는 상기 텐트지지수단(14)을 보관할 수 있는 지지수단보관주머니(88)를 구비하여 텐트(100)의 철거 시 텐트지지수단(14)을 텐트천(10)와 함께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텐트지지수단(14)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개폐수단(200)은 일반적인 지퍼(zipper)나 벨크로(velcro)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와 같이 텐트천끼리의 상호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한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유사시 상기와 같은 텐트(100)를 들것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텐트(100)에 별도의 운반손잡이(90)가 구비되는데, 상기 운반손잡이(90)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단부가 고리부(92)로 이루어져 있으며 텐트천(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서, 운반자가 양쪽에서 동시에 텐트천(10)을 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반손잡이(90)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형성시킨다면, 힘을 분산시켜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반손잡이(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리부(92)의 끝단부를 상기 텐트천(1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각각의 고리부(92)를 일체로 형성시켜 텐트천(10)의바닥면을 감싸도록 지지면(94)이 형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면(94)를 통해 상기 텐트천(10)의 바닥면을 감싼 형태로 설치한다면 하중에 의해 운반손잡이(90)가 텐트천(1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천(10)의 바닥면을 감싸는 지지면(94)의 면적을 넓게 한다면 지지면(94)이 환자의 몸 전체를 동시에 감싼 형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는 동안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운반손잡이(90)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텐트(100)외에도 일반적인 텐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들것 겸용 텐트(100)는
먼저, 설치할 경우 절첩되어 있는 텐트지지수단(14)을 펴서 상기 텐트천(10)에 구비된 지지수단체결구(10a)에 결착시켜 두부수용부(20)를 형성시키고 배낭(2) 또는 기타 물품들을 상기 보관실(82)에 비치하여 몸체수용부(30)의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서, 완료된다. 이때 텐트(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끈(84)과 고정클립(84a)을 이용하여 배낭(2)을 고정시키면 몸체수용부(30)의 공간을 항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텐트내부에 누우면 사용자의 머리부는 상기 두부수용부(2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두부수용부(20)는 텐트지지수단(14)에 의해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텐트천이 사용자의 얼굴에 닿지 않아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트지지수단(14)의 높이를 두부수용부(20)의 텐트천이 사용자의 얼굴과 닿지 않을 만큼의 높이로만 설치하면 되므로, 텐트의 전체높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어 야전에서의 은폐?엄폐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와 텐트천 사이에는 공간부가 생겨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공기층과 텐트천에 의해 보온효과가 오래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텐트(100)내부에서 누운상태로 수면이나 휴식 취하는 동안 상기 전면개폐구(40) 또는 상면개폐구(50)와 보조환기구(60)를 통해 외부공기와 텐트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고, 사용자는 텐트내부에서 상기 투명창(70)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다.
상기 텐트(100)를 철거할 경우에는 텐트지지수단(14)을 상기 지지수단체결구(10a)로부터 분리시킨 후 절첩시켜 상기 보관실(82)에 형성된 지지수단보관주머니(88)에 보관한다. 그리고 배낭(2)을 비롯한 물품들을 상기 보관실(82)에서 꺼내고 상기 텐트천은 접거나 말아서 보관한다.
이로 인해 상기 텐트지지수단(14)은 항시 텐트와 함께 보관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만약 야외에서 사고나 질병에 의한 환자가 발생할 경우,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텐트(100)를 구급용 들것으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를 설치되어있는 텐트 내부에 눕힌 후 상기 텐트(100)에 형성되어 있는 운반손잡이(90)의 고리부(92)를 양측에서 잡아 텐트전체를 들어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환자가 텐트내부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비나 눈같은 외부자극을 받지 않게 됨으로서, 부상이나 질병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트(1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천(10)의 외표면에 환자를 눕힌 후 운반손잡이(90)를 이용하여 텐트천을 들어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 외에도 많은 양의 물품을 한번에 운반해야 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물품운반용 들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침낭 형 텐트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텐트를 텐트지지수단에 의해 일정형상의 공간부를 이루는 두부수용부와 몸체가 수용되는 몸체수용부로 구분되어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낭 형 텐트는
첫째, 텐트의 내부를 두부수용부와 몸체수용부로 구분시킴으로서, 텐트의 전체 부피와 높이 및 부속품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원활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텐트설치에 필요한 부속품을 최소화함으로서, 신속한 설치 및 해체를 도모할 수 있고 생산비용의 절감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텐트의 전체부피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텐트에 운반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서, 텐트의 기능 외에 환자이송이나 물품 운반에 필요한 들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텐트 내부에 환자나 물품을 위치시켜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부상악화 방지나 물품의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텐트천과 상기 텐트천을 소정형상으로 지지하는 텐트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지는 통상의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두부수용부와 몸체수용부로 구분되되,
    상기 두부수용실은 텐트지지수단에 의해 일정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수용실의 전면부에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전면개폐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일측에는 보조환기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상부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상면개폐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일측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이 더 포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용부의 후단부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후면개폐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상호 대향되도록 복수의 운반손잡이가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운반손잡이를 상호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대향되는 손잡이 사이에 위치되는 텐트천의 바닥면을 감싸는 형태로 운반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형 텐트.
KR20-2004-0028066U 2004-10-04 2004-10-04 침낭 형 텐트 KR200372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66U KR200372580Y1 (ko) 2004-10-04 2004-10-04 침낭 형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66U KR200372580Y1 (ko) 2004-10-04 2004-10-04 침낭 형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80Y1 true KR200372580Y1 (ko) 2005-01-14

Family

ID=4935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66U KR200372580Y1 (ko) 2004-10-04 2004-10-04 침낭 형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91B1 (ko) 2007-08-28 2008-09-26 최미숙 침낭 겸용 개인텐트
KR101902488B1 (ko) 2017-04-17 2018-10-01 (주)에어박스 환자 격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91B1 (ko) 2007-08-28 2008-09-26 최미숙 침낭 겸용 개인텐트
KR101902488B1 (ko) 2017-04-17 2018-10-01 (주)에어박스 환자 격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446B2 (en) Pet tent
US20190090667A1 (en) Camp chair with blanket
US2531501A (en) Portable shelter
US20060021643A1 (en) Tent and its components
US6167898B1 (en) Tent with integral air mattress
US8171888B2 (en) Enhanced pet carrier
US8651124B2 (en) Tent with dividable mattress pocket
US5730490A (en) Handle supported cover for infant car seat carrier
US4996733A (en) Air mattress reinforced sleeping bag with head covering
US20090044335A1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20130228600A1 (en) Backpack and sleeping bag
ES2387720T3 (es) Saco de dormir adaptado para unirse a un colchón
US6986178B2 (en) Portable bivouac shelter
US20180116355A1 (en) Storage System For Hunting Equipment and Accessories
US20100192298A1 (en) Sleeping bag with mesh panel
US6351851B1 (en) Personal shelter device
CA2974305A1 (en) Portable bed with attachable tent
KR101430863B1 (ko) 가방 일체형 휴대용 텐트
US20080237281A1 (en) Portable sheltered environments
US20100038939A1 (en) Infant carrier seat cover
KR200372580Y1 (ko) 침낭 형 텐트
KR20090001576U (ko)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KR200372581Y1 (ko) 들것 겸용 텐트
US20160375816A1 (en) Tonneau Tent
KR100860691B1 (ko) 침낭 겸용 개인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