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134Y1 -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 Google Patents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134Y1
KR200372134Y1 KR20-2004-0027285U KR20040027285U KR200372134Y1 KR 200372134 Y1 KR200372134 Y1 KR 200372134Y1 KR 20040027285 U KR20040027285 U KR 20040027285U KR 200372134 Y1 KR200372134 Y1 KR 200372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ligament
blade body
blade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탁
Original Assignee
오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순탁 filed Critical 오순탁
Priority to KR20-2004-0027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008Vein tendon st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육조직에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빠르고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봉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면서 끝단을 향해 점차 넓어진 반원형의 칼날몸체가 형성되며,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칼날몸체의 슬라이딩이 안내되도록 상기 칼날몸체의 상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선단으로 상기 칼날몸체의 끝단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칼날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Instrument for detaching a adhered tendon or ligament}
본 고안은 근육조직에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빠르고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힘줄은 건(腱 : tendon)이라고 하며 근육을 뼈에 들러붙어 있게 하는 끈 모양의 흰 섬유질 조직을 말하는 것이고, 인대(靭帶 : ligament)는 뼈를 잇는 끈 모양의 결합 조직을 말하는 것으로, 상호 호환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힘줄 또는 인대는 끊어진 후에 봉합되어 재접합되면서 주변의 근육조직 등에 들러붙어 유착되고, 이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는 뼈의 굴곡운동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힘줄 또는 인대의 유착으로 유발되는 뼈의 굴곡운동 방해를 해소하여 힘줄 또는 인대의 본연의 기능인 뼈의 굴곡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메스 혹은 절단가위를 이용하여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에 들러붙은 근육조직을 절단하는 외과적인 절단수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그런데, 힘줄 또는 인대는 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들러붙은 근육조직을 메스 혹은 절단가위로 매끄럽게 절단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시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근육조직에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빠르고 손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힘줄 또는 인대의 분리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시술시에 활용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는 봉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면서 끝단을 향해 점차 넓어진 반원형의 칼날몸체가 형성되며, 힘줄또는 인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칼날몸체의 슬라이딩이 안내되도록 상기 칼날몸체의 상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선단으로 상기 칼날몸체의 끝단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날몸체의 일측에 상기 칼날과 연이어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20 : 칼날몸체
21 : 가이드홈 22 : 칼날 23 : 돌출칼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는 봉형상의 손잡이(1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0)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칼날몸체(2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칼날몸체(20)는 손잡이(10)의 하단에서 끝단을 향해 점차 넓어진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의 선단으로 그 끝단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칼날(22)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22)과 연이어지면서 일측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칼날(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칼날몸체(20)는 손잡이(10)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면서끝단을 향해 점차 넓어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힘줄 또는 인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이 하부 외주면에 들러붙어 유착된 근육조직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홈(21)은 칼날몸체(20)의 상면에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칼날몸체(20)의 상면이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에 비스듬히 맞닿아 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칼날몸체(20)가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될 때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22)은 가이드홈(21)이 연이진 칼날몸체(20)의 끝단에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칼날몸체(20)가 상기 가이드홈(21)에 밀착된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그 외주면으로 유착된 근육조직을 잘라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칼날(23)은 칼날(22)과 연이어지면서 칼날몸체(20)의 일측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힘줄 또는 인대에 유착된 근육조직의 절단이 보다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비교적 작은 유착부위를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칼날몸체(20)의 활용도가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는 간단한 구조로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그 외주면에 유착된 근육조직을 손쉽게 절단하여 힘줄 또는 인대가 근육조직과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는 일예로 수지(2 : 손가락)의 유착된 힘줄(3)을 박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수지(2)의 유착된 힘줄(3)을 박리하기 위해서 우선, 상기 수지(2)의 상면을 절개하여 후크(5)로 상기 힘줄(3)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힘줄(3)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수지(2)의 근육조직(4) 사이에 형성된 유착부위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시술자가 손잡이(10)를 잡은 상태로 노출된 힘줄(3)의 하부 외주면을 칼날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에 밀착한 상태로 그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칼날몸체(20)의 선단에 형성된 칼날(22)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힘줄(3)의 외주면에 들러붙어 있는 근육조직(4)을 박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힘줄(3)의 외주면을 따라 칼날(22)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힘줄(3)의 손상 없이 그 외주면에 유착된 근육조직(4)이 매끄럽게 절단되어 박리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근육조직에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빠르고 손쉽게 박리할 수 있고, 시술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며, 근육조직의 분리가 매끄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힘줄 또는 인대의 박리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시술시에 활용도가 증대되고, 유착된 근육조직의 분리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봉형태의 손잡이(1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0)의 하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면서 끝단을 향해 점차 넓어진 반원형의 칼날몸체(20)가 형성되며, 힘줄 또는 인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칼날몸체(20)의 슬라이딩이 안내되도록 상기 칼날몸체(20)의 상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1)의 선단으로 상기 칼날몸체(20)의 끝단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칼날(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칼날(22)과 연이어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칼날(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KR20-2004-0027285U 2004-09-22 2004-09-22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KR200372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85U KR200372134Y1 (ko) 2004-09-22 2004-09-22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85U KR200372134Y1 (ko) 2004-09-22 2004-09-22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134Y1 true KR200372134Y1 (ko) 2005-01-10

Family

ID=4944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285U KR200372134Y1 (ko) 2004-09-22 2004-09-22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1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68B1 (ko) * 2012-08-23 2014-06-27 이재학 인대 절단 기구
KR101476671B1 (ko) * 2014-08-29 2014-12-30 유상호 방아쇠 수지 수술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668B1 (ko) * 2012-08-23 2014-06-27 이재학 인대 절단 기구
KR101476671B1 (ko) * 2014-08-29 2014-12-30 유상호 방아쇠 수지 수술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0236B1 (en) Illuminated saphenous vein retractor
US5100391A (en) Double-bladed scalpel
US5026385A (en) Double-bladed scalpel
WO2007047380A3 (en)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US10631882B2 (en) Oscillating decortication burr assembly
US4098157A (en) Method for suture removal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KR200372134Y1 (ko) 유착된 힘줄 또는 인대를 박리하는 도구
US3716056A (en) Vasectomy procedure and instrument for use therewith
GB2560956A (en) Femoral implant explantation chisel
JP5436072B2 (ja) トレフィンドリルのガイド器
RU2299697C1 (ru) Проводник сухожилия
CN201578330U (zh) 多功能骨膜剥离器
CN206434389U (zh) 导引型割刀
KR101679754B1 (ko) 지그리쏘 위치 결정기구
CN220833226U (zh) 大鼠膝骨关节炎手术刀
JP2000333964A (ja) 腱鞘・筋腱支帯切離用キット
CN2873125Y (zh) 一种新型医用钢钉取出钳
CN211094512U (zh) 应用于治疗拇趾外翻的骨膜剥离子
CN211962135U (zh) 一种手外科用组织钳
CN217390816U (zh) 一种手外科取腱器
KR20140005428U (ko) 신경감압술용 수술 가위
CN216570124U (zh) 一种用于颈椎前路手术带吸引装置的钝性剥离器械
CN209808459U (zh) 一种用于掌指骨截骨手术的直角导向钳
CN212489995U (zh) 一种髋臼拉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