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40Y1 -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 Google Patents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40Y1
KR200372040Y1 KR20-2004-0027980U KR20040027980U KR200372040Y1 KR 200372040 Y1 KR200372040 Y1 KR 200372040Y1 KR 20040027980 U KR20040027980 U KR 20040027980U KR 200372040 Y1 KR200372040 Y1 KR 200372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p
boiler
outer cylin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Original Assignee
강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석 filed Critical 강경석
Priority to KR20-2004-0027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4Balanced-flue arrangements, i.e. devices which combine air inlet to combustion unit with smok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배기캡과 역풍 방지구 사이에 금속망이 결합되어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배기캡의 출구와 역풍 방지구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연도(煙道)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보일러(1)의 연통(10) 외부에 흡입공(21)들이 뚫려진 외통(20)이 결합되고, 외통(20)의 하부에는 외기 공급관(22)이 접속되어 보일러(1)의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이중 관 구조의 보일러 연통(10)에 있어서, 상기 외통(20)의 출구에는 원통형 관으로 구성된 캡(30)이 삽입되고, 캡(30)의 하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결합관(30a)이 연통(10)의 출구에 삽입되어 외통(20)과 연통(10) 사이가 밀폐되며, 캡(30)의 상부에는 원통형 금속망(31)이 결합되고, 금속망(31)의 상부에는 원추형 역풍 방지구(3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a exhaust cap for gas boiler exhaust pipe}
본 고안은 가스 보일러의 연통 출구에 결합되는 배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캡과 역풍 방지구 사이에 금속망이 결합되어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배기캡의 출구와 역풍 방지구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연도(煙道)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나 LPG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보일러의 연통에는 역풍에 의하여 보일러의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풍 방지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역풍 방지구는 주로 연통의 출구에 장착되어 연결편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주로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풍 방지구와 연통의 출구 사이가 15mm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므로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연도가스가 역풍 방지구와 연통의 출구 사이에 형성된 좁은 틈새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연도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이지지 않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역풍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역풍 방지구에 의하여 연도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결국 거주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기캡과 역풍 방지구 사이에 금속망이 결합되어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배기캡의 출구와 역풍 방지구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연도(煙道)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보일러(1)의 연통(10) 외부에 흡입공(21)들이 뚫려진 외통(20)이 결합되고, 외통(20)의 하부에는 외기 공급관(22)이 접속되어 보일러(1)의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이중 관 구조의 보일러 연통(10)에 있어서, 상기 외통(20)의 출구에는 원통형 관으로 구성된 캡(30)이 삽입되고, 캡(30)의 하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결합관(30a)이 연통(10)의 출구에 삽입되어 외통(20)과 연통(10) 사이가 밀폐되며, 캡(30)의 상부에는 원통형 금속망(31)이 결합되고, 금속망(31)의 상부에는 원추형 역풍 방지구(3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기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기캡이 외통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기캡이 외통 및 연통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보일러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보일러에 장착된 연통 및 외통이 벽을 관통하기 위하여 직각을 이루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일러 10 : 연통
20 : 외통 21 : 흡입공
22 : 공급관 30 : 캡
30a : 결합관 31 : 금속망
32 : 역풍 방지구 32a : 테두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1)의 케이스 상부에 결합된 연통(10)의 외부에는 외통(20)이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결합되어 있고, 외통(20)의 상부에는 복수의 흡입공(21)들이 뚫려져 외부 공기가 흡입공(21)들을 통해 외통(20)과 연통(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통(20)의 하부에는 외기 공급관(22)이 접속되어 보일러(1)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연소용 공기는 외통(20)과 연통(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데워진 후 공급관(22)을 통해 보일러(1)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연소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20)과 연통(10)으로 구성된 이중 관 구조의 보일러 연통(10)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외통(20)과 연통의 출구에 결합되는 캡(30)의 구성에 있다.
즉, 상기 외통(20)의 출구에는 원통형 관으로 구성된 캡(30)이 삽입되어 있고, 캡(30)의 하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결합관(30a)은 연통(10)의 출구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20)과 연통(10) 사이의 공간부가 상기 캡(30)과 결합관(30a)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외통(20)에 뚫려진 흡입공(21)들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30)의 상부에는 위로 갈수록 폭이 완만하게 좁아지는 원통형 금속망(31)이 결합되어 있고, 금속망(31)의 상부에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역풍 방지구(3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역풍 방지구(32)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접혀진 테두리(32a)가 형성되어 있고, 접혀진 테두리(32a) 부위에는 금속망(31)의 상부 주연부가 밀착 삽입되어 코킹(calking)에 의한 작업방법으로 금속망(31)이 역풍 방지구(32)의 둘레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원통형 금속망(31) 상부에 역풍 방지구(32)가 장착되어 캡(30)과 역풍 방지구(32) 사이의 간격을 넓혀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하더라도 조밀한 금속망(31)에 의하여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캡(30)과 역풍 방지구(32) 사이에 형성되는 충분한 간격에 의하여 연도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전체적인 보일러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풍 방지구(32)는 코킹에 의한 작업방법에 의하여 주연부가 외측으로 접혀지면서 금속망(3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연결편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우 간편하에 역풍 방지구(32)를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풍 방지구(32)와 금속망(31)이 차례로 장착된 캡(30)을 외통(20)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직경이 작은 결합관(30a)이 연통(10)에 결합되어 외통(20)과 연통(10) 사이가 자동으로 밀폐되는 것이므로 캡(30)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외통(20)과 연통(10) 사이에 별도의 막음판을 설치하여 밀폐시키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해소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원통형 금속망(31) 상부에 역풍 방지구(32)가 장착되어 캡(30)과 역풍 방지구(32) 사이의 간격을 넓혀 충분한 공간부를 형성하더라도 조밀한 금속망(31)에 의하여 곤충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캡(30)과 역풍 방지구(32) 사이에 형성되는 충분한 간격에 의하여 연도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소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전체적인 보일러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보일러(1)의 연통(10) 외부에 흡입공(21)들이 뚫려진 외통(20)이 결합되고, 외통(20)의 하부에는 외기 공급관(22)이 접속되어 보일러(1)의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이중 관 구조의 보일러 연통(10)에 있어서,
    상기 외통(20)의 출구에는 원통형 관으로 구성된 캡(30)이 삽입되고, 캡(30)의 하부에 형성된 직경이 작은 결합관(30a)이 연통(10)의 출구에 삽입되어 외통(20)과 연통(10) 사이가 밀폐되며, 캡(30)의 상부에는 원통형 금속망(31)이 결합되고, 금속망(31)의 상부에는 원추형 역풍 방지구(3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풍 방지구(32)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접혀진 테두리(32a)가 형성되고, 접혀진 테두리(32a) 부위에는 금속망(31)의 상부 주연부가 밀착 삽입되어 코킹(calking)에 의한 작업으로 금속망(31)이 역풍 방지구(32)의 둘레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KR20-2004-0027980U 2004-10-02 2004-10-02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KR200372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80U KR200372040Y1 (ko) 2004-10-02 2004-10-02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80U KR200372040Y1 (ko) 2004-10-02 2004-10-02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40Y1 true KR200372040Y1 (ko) 2005-01-10

Family

ID=4935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80U KR200372040Y1 (ko) 2004-10-02 2004-10-02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52B1 (ko) 2019-09-30 2020-06-08 조용환 상향 배출식 기류 확산 구조와 집수형 배수 구조를 갖는 연도용 멀티 상부캡
KR20220119793A (ko) 2021-02-22 2022-08-30 조무구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52B1 (ko) 2019-09-30 2020-06-08 조용환 상향 배출식 기류 확산 구조와 집수형 배수 구조를 갖는 연도용 멀티 상부캡
KR20220119793A (ko) 2021-02-22 2022-08-30 조무구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2040Y1 (ko) 보일러 연통용 배기캡
CN205746836U (zh) 燃烧炉头及燃烧装置
US9885477B2 (en) Semi-submersible gas burner
CN108448405A (zh) 一种智能配电柜
KR200458569Y1 (ko)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역풍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된 연도 커버
JP2005326033A (ja) 屋外設置型燃焼器
KR200320209Y1 (ko) 보일러 연도의 역풍유입방지용 캡
KR200219176Y1 (ko) 보일러 연도용 역풍유입방지 캡
KR200372034Y1 (ko) 콘덴싱 보일러용 급배기관
JP2008082613A (ja) 竪型給排気システム
CN217632777U (zh) 一种风帽及风能发电设备人孔盖
CN206073150U (zh) 一种灶具
KR200162119Y1 (ko) 벽면부착식 ff 보일러용 연도
KR200263135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20030088914A (ko) 보일러의 급배기파이프
CN209800065U (zh) 防雨帽
KR20130125427A (ko) 보일러용 급배기관의 연통 접속구조
KR200184762Y1 (ko) 연소기의 급·배기관용 급·배기통 톱
CN211345367U (zh) 一种进气排烟装置
CN208751034U (zh) 一种冷凝式燃气壁挂炉专用水封
CN210892187U (zh) 排气管连接头、燃气热水器的抗风装置及燃气热水器系统
CN212719800U (zh) 一种防倒风吹熄的燃气热水器烟道
CN205860015U (zh) 一种火炬塔式燃烧装置
CN210107390U (zh) 全预混燃烧器
KR200248938Y1 (ko) 증기보일러용 수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