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323Y1 - 풍수지리용 나경 - Google Patents

풍수지리용 나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323Y1
KR200371323Y1 KR20-2004-0027310U KR20040027310U KR200371323Y1 KR 200371323 Y1 KR200371323 Y1 KR 200371323Y1 KR 20040027310 U KR20040027310 U KR 20040027310U KR 200371323 Y1 KR200371323 Y1 KR 20037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floor
layer
feng shui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연
이채주
Original Assignee
정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연 filed Critical 정경연
Priority to KR20-2004-0027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04Magnetic compasses with north-seeking magnetic elements, e.g. needles
    • G01C17/10Comparing observed direction with north indication
    • G01C17/14Comparing observed direction with north indication by reference marks, e.g. for ships' comp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9층의 나경의 해석 원판이 자체가 회전되고, 회전 원판 외부에 정확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환형 고리의 중앙을 횡단하는 실을 구비하며, 회전 원판에 각각의 방위를 용이하게 표시하기 위해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9층의 나경 해석 원판의 외측부에 현공풍수용 나경에 사용되는 괘(효), 및 살의 표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나경을 개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풍수지리용 나경은,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나경 본체, 중앙에 나침을 일체형으로 갖고, 나경 본체의 중앙부에 삽입하게 되어 있는 데, 손가락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종래의 제 9 층으로 이루어진 괘와 방위 표시 및 현공풍수용 괘(효), 살를 포함하는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므로 나침에 의해 나경의 방향을 맞추고, 나침의 방향과 회전 원판을 맞추기 위해, 상기 회전 원판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나경 본체에 형성된 2개의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가느다란 실, 및 회전 원판(30)의 외곽에는 회전 원판의 직경보다 크고, 회전 원판에 표시된 문자 및 기호를 정확히 판독하기 위해,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 고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풍수지리용 나경{Compass device for using the theory of divison based on topography}
본 고안은 풍수지리용 나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9층의 나경의 해석 원판이 자체가 회전되고, 회전 원판 외부에 정확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환형 고리의 중앙을 횡단하는 실을 구비하며, 회전 원판에 각각의 방위를 용이하게 표시하기 위해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9층의 나경 해석 원판의 외측부에 현공풍수용 나경에 사용되는 괘(효), 및 살의 표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나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경은 우주의 삼라만성을 포함한 천지와 인륜의 이치가 담겨져 있다는 뜻의 "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綸天地)"에서 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허리에 차고 다닌다하여 패철(佩鐵)이라고도 하고 나침반을 뜻하여 '쇠'라고도 한다.
이러한 나경은 풍수지리에서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로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나경의 원리는 우주의 운행 이치를 담고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며 36층으로 이루어 졌으나 풍수지리에서는 보통 9층 내지 13 층까지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나경을 나타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경의 원리는 태극에 있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며, 남북을 가르치는 자침(磁針)이 음양이다. 원을 기준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며 글자가 배열되어 있는 층을 순서대로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나경에 있어서, 제 1 층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 4층 지반정침의방위에 대한 황천살로 입수룡의 오행을 향의 오행이 극하면 용상팔살(龍上八煞)이다.
제 2 층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 : 향(向)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를 표시해두었다. 4층 향 위에 있는 2층의 표시된 방위가 팔로사로황천살을 나타낸다.
제 3 층 오행(五行): 3층은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삼합(三合)이란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생궁(生宮), 왕궁(旺宮), 묘궁(墓宮)을 나타낸다.
제4층 지반정침(地盤正針) : 지반정침은 첫째 24 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둘째 입수룡을 비롯하여 용의 방위를 측정 셋째 형의 좌향(坐向)을 측정하고, 넷째 양택가상(家相)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다섯째 의수입향으로 향을 정할때는 8층을 기준으로 향을 정한다.
제 5 층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 과협처(過峽處)나 결인속기처(結咽束氣處)의 제일 높은 지점인 등마루에 나경 패철을 정반정침하고 4층 지반정침으로 용을 살핀다음 그중에서 중심맥을 5층 천산72룡으로 측정한다.
제 6층 인반중침(人盤中針) : 묘나 혈지의 중앙에 나경 패철을 정반정침하고 6층으로 사격의 방위를 특정하는데 사용한다.
제 7층 투지60룡(透地六十龍) : 주산 현무봉에서 천산의 과정을 거치며 형장의 입수도두까지 내려온 주룡의 용맥이 입수도두에서 혈까지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제8층 천반봉침(天盤縫針): 득수처(得水處), 수구처(水口處-破口處), 지호수(池湖水)등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풍수지리에서 물은 용혈(龍穴)과 더불어 중요하다 음인 용과 양인 물이 서로 음량 교배를 해야만이 형을 결지할 수 있다.
제 9층 분금(分金) : 분금법(分金法)은 장사(葬事)에서 최종적 마무리 작업으로 내광(內壙)에 하관(下棺)하고 고허살요공망맥(孤虛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왕상분금(旺相分金)만을 취하여 영혼의 명복과 그 자손의 부귀왕정(富貴旺丁)을 도모하는 층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반적인 나경을 사용하여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방위를 측정할 때,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나경을 수평으로 놓고 원 가운데있는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한다. 보통 나경의 자침은 북쪽을 가르치는 곳에 적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적색 부분이 제4층 지반정침의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남)의 중앙에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나경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이러한 나경을 이용하여 묘지에서의 측정은 기존의 묘가 있는 곳은 묘 앞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새로운 자리는 묘지의 혈심처 중앙에 정반정침하고, 제4층 지반정침으로 묘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제6층 인반중침으로는 주변의 산(사격)의 방위를 측정하고, 제8층 천반봉침으로는 득수처(得水處)와 수구(水口), 저수지나 호수 등 물이 있는 방위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용맥의 측정은 묘 뒤 입수도두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제4층 지반정침으로 용이 내려온 쪽을 보고, 용이 변화한 지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이것이 입수1절룡이며 보통 입수룡(入首龍)이라고 한다. 입수2절룡은 용의 변화지점에 다시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다음 변화 지점까지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다. 입수3절룡, 입수4절룡 등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면 된다. 단, 현무봉에서 소조산(주산) 또는 중조산, 태조산 까지는 입수룡처럼 용맥의 한절 한절 변화한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산봉우리 정상에서 다음 봉우리 정상까지 방위를 측정하여 어떤 방위로 용맥이 내려 왔는지를 판단한다. 이법론에서 제일 많이 응용되는 부분은 입수1절룡이다. 입수1절룡의 정확한 측정이 제일 중요하다.
한편, 주택 등의 입지를 정하는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 중심점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여 기점(기두)을 설정한다. 기점은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이고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 된다.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곳에서 기점(기두)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고, 기타 문, 방, 거실, 부엌, 수도, 하수구, 화장실 등의 방위를 측정한 다음 가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여기서, 양택에서 방위 측정은 4층 지반정침만을 사용하고, 24방위를 3방위씩 나눈 팔괘방위가 기본 단위가 된다. 즉, 감(坎)은 임자계(壬子癸) 3방위가 되고, 간(艮)은 축간인(丑艮寅), 진(震)은 갑묘을(甲卯乙), 손(巽)은 진손사(辰巽巳), 이(離)는 병오정(丙午丁), 곤(坤)은 미곤신(未坤申), 태(兌)는 경유신(庚酉辛), 건(乾)은 술건해(戌乾亥)가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나경의 구조 및 사용법에서 사용자의 방위 표시 등 편리성을 도모하고, 암기를 용이하게 하는 형태로 개량되어 왔다.
이러한 개량된 형태의 나경은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335053에서 12 포대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암기 사항을 줄일 수 있도록 개량한 나경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형태의 나경은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230087호에서는 기존의 10층패철의 활용법을 접목하여 원관통규법술(元關通竅法術)로 풀이하여 필요한 향을 정하고 확인하는데 있어 직접 지시케하는 회전식 해석판을 11층간해석판서 부터 16층간해석판을 설치 구성하되 각 해석판의 상면을 회전시키면, 색상끼리 맞추는 방식으로 즉시 원하는 향방을 정하고, 길흉판단이 용이하도록 사용할수 있게 한 풍수지리 방향지시 나경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나경은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207010호에서는 묘터를 선정할 때 사용하는 음택용나침반의 상부에 살아있는 사람에게 좋은 주택이나 사무실 등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양택용나침반을 별도로 장착하여 음택용나침반과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택ㅇ양택겸용나침반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나경은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189498호에서는 주역을 기초로한 풍수용어가 기재된 하부 측정판, 중간 측정판과 상부 측정판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위에 보조 측정판을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며 하부 측정판 아래에 접철식 다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야외에서도 사용할 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3단 회전 측정식 풍수지리용 패철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나경은 고안자의 학습도에 의해 필요한 기능을 추가 또는 개량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가장 많이 사용을 하는 것으로서 범용성을 갖는 패철에서 방향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요구되어 왔다. 또한, 나경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지관으로서, 이러한 지관들은 필요에 따라 대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현공풍수용 나경을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공풍수용 나경은 제8층에 천반, 제6층에 인반, 제4층에 지반을 표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제8층의 천반, 제6층의 인반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나, 제4층 지반정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관에 따라 현공풍수를 보는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일반용 나경에 현공풍수용 나경을 별도로 소유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나경의 본체 중앙에 자오선을 맞추기 용이하도록한 실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방위를 표시하는 괘를 포함하고 있는 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전 원판의 방위를 정확히 판독하게 하기 위해 환형 고리 및 이 환형 고리 중앙에 실을 포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정확한 방위를 판독할 수 있는 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 원판에 표시된 방위표시에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작은 글씨를 오독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판의 외각에 현공풍수에 사용되는 괘(효), 및 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현공풍수용 나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 9 층 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회전원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택용 사용가능하도록 표시된 양택용 방위 및 괘를 표시한 나경의 배면을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방향 판독 환형 고리 11 : 실 고정구
13 : 실 20 : 고정 실
30 : 해석 원판 40 : 나침
60 : 환형 고리 삽입 리세스 100 : 나경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수지리용 나경은
풍수지리에서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하고,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나경 본체,
중앙에 나침을 일체형으로 갖고, 나경 본체의 중앙부에 삽입하게 되어 있는 데, 손가락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종래의 제 9 층으로 이루어진 괘와 방위 표시 및 현공풍수용 괘(효), 살를 포함하는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므로 나침에 의해 나경의 방향을 맞추고, 나침의 방향과 회전 원판을 맞추기 위해, 상기 회전 원판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나경 본체에 형성된 2개의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가느다란 실, 및
회전 원판(30)의 외곽에는 회전 원판의 직경보다 크고, 회전 원판에 표시된 문자 및 기호를 정확히 판독하기 위해,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 고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수지리용 나경은, 상기 환형고리는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느다란 실이 환형고리의 양쪽 원주 위에 형성된 실 고정구에 묶여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수지리용 나경은, 상기 회전 원판이, 팔요황천살을 표시,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내는 제 1 층, 로사로황천살로 황천방위를 나타내는 제 2 층,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사국(四局)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하는 제 3 층,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이며, 동사택은 적색, 서사택은 청색으로 표시된 제 4 층, 구성을 색상으로 표시(예, 乾甲은 동궁으로 청색), 흑점은 정약, 백점은 정음을 나타낸 제 4-1 층,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왕상맥(旺相脈)으로 색상을 넣어 표시한 제 5 층,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는 제 6 층, 28 수와 성수 오행을 표시 좌와 사경의 생극관계를 표시한 제 6-1 층, 왕기맥(旺氣脈)-丙子旬과 상기맥(相氣脈)-庚子旬만 사용하여 색상으로 표시한 제 7 층, 천방봉침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는 제 8 층, 사국을 색상으로 표현(목국: 녹, 화국: 적 금국 : 회색, 수국 : 흑) 점은 기포점을 표시한 제 8-1 층, 분금으로 120 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48 개의 갑자가 표시되어 있는 제 9 층과, 분금의 오행을 색상으로 표시 망자와 분금의 생극관계를 표시한 제 9-1 층으로 이루어진 풍수지리용 문자표, 및
적색은 하괘. 노란색은 체괘. 파란색은 공망을 나타내는 제 H-3 층, 64괘를 표시하고 숫자는 1운부터 9운까지를 나타낸 제 H-2 층, 현공 풍수 적용 384 효 흑점이 길효를 나타내는 제 H-1 층을 포함하는 현공풍수용 괘(효) 및 살을 포함하는 문자표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나경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회전원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따른 나경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배면을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회전 원판(30)에 표시된 제 1 층 내지 제 9 층의 기입 내용은 종래의 나경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각각의 층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의 나경과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있어서, 중앙에는 나침을 갖는 나침판이 형성되어 있고, 나침의 주위에는 각각의 각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후천팔괘를 표시하는 태극(59)의 8괘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층(60)은 팔요황천살을 표시,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낸다.
제 2 층(61)은 팔로사로황천살로 황천방위를 나타내는 층이다
제 3 층(62)은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사국(四局)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한다.
제 4 층(63)은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이며, 동사택은 적색, 서사택은 청색으로 표시한다.
제 4-1 층(64)은 구성을 색상으로 표시(예, 乾甲은 동궁으로 청색), 흑점은 정약, 백점은 정음을 나타낸다.
제 5 층(65)는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왕상맥(旺相脈)으로 색상을 넣어 표시하였다.
제 6 층(66)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제 6-1 층(67)은 28 수와 성수 오행을 표시 좌와 사경의 생극관계를 표시하였다.
제 7 층(68)은 왕기맥(旺氣脈)-丙子旬과 상기맥(相氣脈)-庚子旬만 사용하여 색상으로 표시하였다.
제 8 층(69)은 천방봉침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제 8-1 층(70)은 사국을 색상으로 표현(목국: 녹, 화국: 적 금국 : 회색, 수국 : 흑) 점은 기포점을 표시하였다.
제 9 층(71)은 분금으로 120 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48 개의 갑자가 표시되어 있다.
제 9-1 층(72)은 분금의 오행을 색상으로 표시 망자와 분금의 생극관계를 수있다.
제 H-3 층(73)은 적색은 하괘. 노란색은 체괘. 파란색은 공망을 나타낸다.
제 H-2 층(74)은 64괘를 표시하였고 숫자는 1운부터 9운까지를 나타낸다
제 H-1 층(75)은 현공 풍수 적용 384 효 흑점이 길효를 나타낸다.
제 H-3 층(73) 내지 제 H-1 층(75)는 현공풍수용 괘(효) 및 살을 표시하는 층이다. 현재 대만 등지에서 널리 이용되는 현공풍수는 비성파와 대괘파 두 개의 파가 있고, 현공풍수에서는 기본적으로 비성파를 위주로 하지만 좌향(坐向)을 정할 때는 대괘파의 64괘와 384효를 활용한다.
1괘에는 6개의 효가 있는데 64 x 6=384 효가 된다 효의 순서는 나영 64 괘에 표시된 숫자가 음수 즉, 짝수는 시계방향으로 초효부터 2,3,4,5 상효로 진행되고 홀수(陽)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초효부터 3,4,5 상효로 진행된다. 나경 384효중 흑점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길(吉)한 살(爻)를 표시 한 것이다. 보통은 좌와 향을 보고 최종적으로 분금까지 확인하지만 현공 풍수에서는 분금중에서도 더 세밀하게 효로 나누아 측점이 있는 효를 사용하는 것이다. 360도를 64괘로 나누면 5.625도가 되고, 5.625도를 6개의 효로 나무면 1개의 효당 0.09375도가 된다. 1개의 괘애서도 측점이 여러개가 나오는 그중에서도 형세적인 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후 흑점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현공풍수에서는 24좌마다 하괘와 체괘로 나뉜다.1개의 좌 즉 15도 중에서 중앙의 9도 내에 좌향을 놓으면 하괘가 되고 중앙의 9도를 제외한 양쪽의 3도씩 총 6도에 좌향을 놓으면 체괘가 된다. 이 체괘에는 공망(空亡)이 들어 있어 주의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부분을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384효를 색상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하괘는 빨강색 체괘는 노랑색, 공망은 파랑색으로 표시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8괘에서 괘와 괘사이에 있는 공망은 대공망이라 하고, 24좌에서 좌와 좌 사이를 소공망이라 하는데 대공망은 본괘에서 벗어났다고 하여 출괘라고도 한다.
나경에는 천반(9층), 인반(6층) 지반(4층)이 있으나, 현공풍수에서는 4층 지반점 침만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경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나경(100)은 정사각형의나경 본체(60), 원형의 회전 원판(30), 나침(40), 환형 고리(10)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경 본체(60)은 중앙에 나침을 일체형으로 갖는 회전 원판(30)을 본체의 중앙부에 삽입하게 되어 있는 데, 이 회전 원판(30)은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 원판(30)의 중앙에는 나침(40)을 포함하는 나침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원판(30)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가느다란 실(20)이 나경 본체(60)에 형성된 2개의 구멍(61)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느다란 실(20)은 나경의 원판(30)이 회전되므로 나침(40)에 의해 나경의 방향을 맞추고, 나침(40)의 방향과 회전 원판(30)을 맞춘다.
회전 원판(30)의 외곽에는 회전 원판(30)의 직경보다 큰 나경의 방향을 정확히 판독하기 위한 환형 고리(10)이 배치된다. 환형고리(10)는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느다란 실(13)은 환형고리의 양쪽 원주 위에 형성된 실 고정구(11)에 묶여 있다. 이 가느다란 실(13)은 회전 원판(30)에 기입된 글자 및 점 등을 정확히 판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환형 고리(10)은 일반적으로 투명의 아크릴 또는 비닐과 같은것으로 형성되며, 나경 본체(60)상에 형성된 환형고리 삽입 리세스(5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택용 사용가능하도록 표시된 양택용 방위 및 괘를표시한 나경의 배면을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양택용 방위 및 괘를 표시는 일반적인 양택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양택용 나경의 문자판(80)은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층(91)는 양택삼요의 동서사택을 동사택은 적색, 서사택은 청색으로 표시한다. 다음층(90)은 선천팔괘, 구궁도, 주역에서의 해당되는 가족을 표시하였다. 그 다음층(81~89)부터는 동서사택과 구성법을 병행하여 양택의 배치에 적용을 할 수 있도록, 측정지점에서 각 기두방위를 보고 각 방위의 기두(보필)를 찾고 이 칸을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것 만으로 생기, 천을, 연년, 화해, 절명, 육살, 오귀의 방위를 표시하여 길방과 흉방을 쉽게 찾을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도 5에 도시한 괘를 포함하는 문자표(80)은 라벨 형태로 작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경(100)의 배면에 형성된 부착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나경은 나경의 본체 중앙에 자오선을 맞추기 용이하도록한 실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방위를 표시하는 괘를 포함하고 있는 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전 원판의 방위를 정확히 판독하게 하기 위해 환형 고리 및 이 환형 고리 중앙에 실을 포함으로써,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정확한 방위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나경은 또한, 회전 원판에 표시된 방위표시에 색상으로 표시하고, 환형 고리 및 이 환형 고리 중앙에 실을 포함으로써, 작은 글씨 또는 점 등을 오독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판의 외각에 현공풍수에 사용되는 괘(효), 및 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현공풍수용 나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풍수지리에서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풍수지리용 나경에 있어서,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나경 본체,
    중앙에 나침을 일체형으로 갖고, 나경 본체의 중앙부에 삽입하게 되어 있는 데, 손가락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종래의 제 9 층으로 이루어진 괘와 방위 표시 및 현공풍수용 괘(효), 살를 포함하는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이 회전되므로 나침에 의해 나경의 방향을 맞추고, 나침의 방향과 회전 원판을 맞추어 현재의 좌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회전 원판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나경 본체에 형성된 2개의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가느다란 실, 및
    회전 원판(30)의 외곽에는 회전 원판의 직경보다 크고, 측정지점에서 수구처나 주변의 사격 및 수세등의 방향을 지시하게 하고 회전원판상에 표시된 정확한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 고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수지리용 나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고리는 환형 고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느다란 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느다란 실이 환형고리의 양쪽 원주 위에 형성된 실 고정구에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수지리용 나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원판이,
    팔요황천살을 표시,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내는 제 1 층, 로사로황천살로 황천방위를 나타내는 제 2 층,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사국(四局)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하는 제 3 층,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이며, 동사택은 적색, 서사택은 청색으로 표시된 제 4 층, 구성을 색상으로 표시(예, 乾甲은 동궁으로 청색), 흑점은 정약, 백점은 정음을 나타낸 제 4-1 층,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왕상맥(旺相脈)으로 색상을 넣어 표시한 제 5 층,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는 제 6 층, 28 수와 성수 오행을 표시 좌와 사경의 생극관계를 표시한 제 6-1 층, 왕기맥(旺氣脈)-丙子旬과 상기맥(相氣脈)-庚子旬만 사용하여 색상으로 표시한 제 7 층, 천방봉침으로 24 방위가 표시되어 있는 제 8 층, 사국을 색상으로 표현(목국: 녹, 화국: 적 금국 : 회색, 수국 : 흑) 점은 기포점을 표시한 제 8-1 층, 분금으로 120 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48 개의 갑자가 표시되어 있는 제 9 층과, 분금의 오행을 색상으로 표시 망자와 분금의 생극관계를 표시한 제 9-1 층으로 이루어진 풍수지리용 문자표, 및
    적색은 하괘. 노란색은 체괘. 파란색은 공망을 나타내는 제 H-3 층, 64괘를 표시하고 숫자는 1운부터 9운까지를 나타낸 제 H-2 층, 현공 풍수 적용 384 효 흑점이 길효를 나타내는 제 H-1 층을 포함하는 현공풍수용 괘(효) 및 살을 포함하는 문자표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수지리용 나경.
KR20-2004-0027310U 2004-09-23 2004-09-23 풍수지리용 나경 KR20037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10U KR200371323Y1 (ko) 2004-09-23 2004-09-23 풍수지리용 나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10U KR200371323Y1 (ko) 2004-09-23 2004-09-23 풍수지리용 나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323Y1 true KR200371323Y1 (ko) 2004-12-29

Family

ID=4935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310U KR200371323Y1 (ko) 2004-09-23 2004-09-23 풍수지리용 나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3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67B1 (ko) * 2014-02-17 2015-11-06 안효명 출입문을 기준으로 한 주택 내부 배치용 나경판 및 이를 이용한 주택 배치방법
KR101644537B1 (ko) 2016-03-25 2016-08-01 안효명 묘소 배치용 나경판 및 이를 이용한 묘소 배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67B1 (ko) * 2014-02-17 2015-11-06 안효명 출입문을 기준으로 한 주택 내부 배치용 나경판 및 이를 이용한 주택 배치방법
KR101644537B1 (ko) 2016-03-25 2016-08-01 안효명 묘소 배치용 나경판 및 이를 이용한 묘소 배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Kenzie et al. The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c. 300 BC to AD 700
Buisseret Envisioning the city: six studies in urban cartography
US5217226A (en) Three-dimensional model atmosphere puzzle
David The experience of ancient Egypt
Weissbein et al. The Level VI north-east temple at Tel Lachish
Bradley et al. Crossing the border: contrasting styles of rock art in the prehistory of north‐west Iberia
KR200371323Y1 (ko) 풍수지리용 나경
Blair Holy beams: Anglo-Saxon cult sites and the place names element Beam
Trimble Process and transformation on the Severan Marble Plan of Rome
KR200407755Y1 (ko) 풍수지리용 나경
Thakur Trade and Towns in Early Medieval Bengal (c. AD 600-1200)
KR200393820Y1 (ko) 풍수지리용 현공자동나경
Johnston Prehistoric Irish petroglyphs: thei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anthropological context
Jones Tycho Brahe, Cartography and Landscape in 16 th Century Scandinavia
KR200207010Y1 (ko) 음택양택겸용나침반
GARDNER Global Activities in a Localized Context: Mercenaries, Proxeny, and the Small Local World of Hellenistic Mani
Key Yoon The expression of landforms in Chinese geomantic maps
Hsu Structured perceptions of real and imagined landscapes in early China
Gogate et al. Area maps in Maratha cartography: A study in native maps of Western India
Palmer et al. GREG JOHNS
Hebin A study of Chinese elements in the multicultural communication of Lamu Archipelago based o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KR20090000817A (ko) 양택풍수 좌향측정 및 9궁 분할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oust Public archaeology and the physical legacy of European colonisation in South East Asia
Taffesse Engineering Drawing
KR20050053541A (ko) 천지인 라경 (天地人 羅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