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106Y1 - 수냉식 파라솔 - Google Patents

수냉식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106Y1
KR200370106Y1 KR20-2004-0025496U KR20040025496U KR200370106Y1 KR 200370106 Y1 KR200370106 Y1 KR 200370106Y1 KR 20040025496 U KR20040025496 U KR 20040025496U KR 200370106 Y1 KR200370106 Y1 KR 200370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rasol
circumference
cooled
hollow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욱
Original Assignee
황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욱 filed Critical 황성욱
Priority to KR20-2004-0025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45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a misting device having at least one nozzle for spraying a fluid, e.g. water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냉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파라솔의 차양천 및 그 중앙에 지지된 중공폴과, 상기 중공폴의 하부를 연통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중공지주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물을 유입할 수 있는 밀폐공간이 마련된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내에 유입된 물을 중공지주관 및 중공폴의 관로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양수시켜주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차양천의 외부로 돌출된 중공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천의 원주상 표면을 향해 소정각도로 물을 직접 분사함으로써 상기 차양천의 전체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분사노즐과, 상기 차양천의 원주로부터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물받이 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파라솔의 차양천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켜줌으로써 무더운 여름철에 차양천을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차양천의 원주로부터 낙수되는 시각효과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감과 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파라솔{Water-cooled parasol}
본 고안은 수냉식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라솔의 차양천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켜줌으로써 무더운 여름철에 차양천을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차양천의 원주로부터 낙수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감과 미감을 유발케 하며, 독립적인 냉각수 순환구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함으로써 장소의 제한 없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수냉식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라솔은 옥외장소에서 뜨거운 태양광이나 비를 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로서, 주로 해변이나 다양한 영업장소 등에서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간이 테이블을 결합하여 음료 등을 마실 수 있는 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간이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파라솔들은 태양광을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시원한 그늘을 제공해주는 기능성만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었던 바, 따가운 태양광에 의해 조성된 고도의 기온과 지열 확산이 극심한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파라솔의 차양천 자체도 가열되어 하부로 복사열을 발산함으로써 고유의 피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이러한 기존의 파라솔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순 파라솔의 구조에 송풍기를 이용한 공냉식 또는 냉각수 순환장치를 이용한 수냉식의 구조를 결합하여 그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파라솔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2003년 국내등록특허 제 10-0384244호의 공냉식 파라솔이 있다. 이 등록특허는 중간에 통공이 형성된 2단형의 파라솔 본체 구조에 그 내측으로 송풍기를 장착하여 사용자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인위적인 바람을 형성하여 대류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시적인 청량감을 줄 수는 있으나,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가열된 차양천 자체의 복사열이 바람에 수반되어 오히려 더운 공기를 사용자쪽으로 전달함으로써 그 실효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한편, 이와 다른 예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 1985-0000278호의 수냉식 파라솔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은 물공급관에 의해 급수전과 연결된 중공폴을 통해 그 상단부의 노즐장치로 물이 공급됨과 아울러 파라솔 자체를 회전시켜 그 원심력에 의해 나선상으로 물이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청량감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나, 독립적인 물 순환구조가 아닌 급수전과의 연결에 의한 물 공급구조이므로 이동성이 결여되어 설치장소의 제한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또 다른 예로는 국내공개실용신안 제 1998-012414호의 수냉식 파라솔이 있다. 이 공개실용신안은 평상시에는 차양천을 펼쳐 기존의 파라솔과 같이 사용하다가 시각적인 효과를 살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양천을 접은 후 수중펌프를가동하여 중공폴을 통해 그 상단부의 노즐장치로 물을 순환 분사시킴으로써 반구형의 물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분사된 물이 물받이를 통해 회수되어 상기 수중펌프가 내장된 집수통으로 모아진 후 재 순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공개실용신안은 앞서 언급한 등록실용신안의 예와는 달리 독립적인 물 순환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급수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은 있으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물받이의 구조가 복잡하여 한번 설치 후에는 분해 및 조립이 어려우므로 사실상 이동 설치가 불가하고, 차양천에 물을 흘려주어 복사열을 냉각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차양천을 펼쳐 사용하는 경우와 물막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로 이원화된 사용구조를 제공하는데 불과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 냉각에 의한 시원함을 직접적으로 체감케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막 내에 있을 때 수중펌프 등이 오작동할 경우에는 불의의 물벼락을 맞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갖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 공개실용신안의 구성에 의하면, 물막의 가동 중에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고, 다만 가동스위치를 조작하여 물막을 제거한 후에야 출입 가능하므로 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라솔의 차양천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켜줌으로써 무더운 여름철에 차양천을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차양천의 원주로부터 낙수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감과 미감을 유발케 하며, 독립적인 냉각수 순환구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함으로써 장소의 제한 없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수냉식 파라솔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냉각수의 순환 가동 중에도 파라솔 내외측으로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된 수냉식 파라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은, 절첩 가능한 파라솔의 차양천과, 상기 차양천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중공폴과, 상기 중공폴의 하단부에 밀봉 조립되어 이를 연직방향으로 지지해주는 중공지주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중공지주관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그 내측으로 물을 유입할 수 있는 밀폐공간이 마련된 차양천 지지용 하부 웨이트로서의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내장되어 이 집수통 내에 유입된 물을 상기 중공지주관 및 중공폴의 관로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양수시켜주는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차양천의 외부로 돌출된 중공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천의 원주상 표면을 향해 소정각도로 물을 직접 분사함으로써 상기 차양천의 전체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분사노즐과, 상기 차양천의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물받이 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은 원반형의 노즐몸체의 저면쪽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공이 형성된 다수의 노즐팁의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각 노즐팁의 분사각은상기 중공폴을 기준하여 외측으로 5∼60°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동일하게 지향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사람이 왕래할 수 있는 출입구를 상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차양천의 원주중 1/4∼1/3 범주의 의 폭에 대한 비(非) 낙수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노즐팁의 일부가 폐쇄된 상태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테는 차양천의 원주를 따라 지면상에 설치된 것으로서, 내측 둘레를 따라 낙수가 튀지 않고 집수될 수 있도록 경사진 홈이 형성되고,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밀봉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다수 일조로 균등 분할된 환테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각 분할 형성된 물받이 테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연통하는 회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그 개수만큼 별도로 마련된 각 통수관에 의해 상기 각 회수로의 돌출단부와 상기 집수통의 대응되는 유입단부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테는 차양천의 원주를 따라 그 원주상에 환형 덕트의 형태로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물받이 테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집수통의 유입단부 간에 통수관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원으로는 이동 설치가 자유롭도록 배터리를 적용하고, 상기 배터리는 집수통 일측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된 밀폐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수중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폴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수중펌프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가동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의 물 순환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파라솔을 입설하기 위한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물받이 테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에 의한 낙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구조를 부분적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Z ; 비(非) 낙수영역 11 ; 차양천
12 ; 중공폴 13 ; 테이블
20 ; 집수통 21 ; 관접속부
22 ; 수납커버 23 ; 중공지주관
24 ; 지지플랜지 25 ; 테이블지지대
26 ; 나조부 30 ; 수중펌프
31 ; 배터리 32 ; 전선
33 ; 가동스위치 40 ; 분사노즐
50, 60 ; 물받이 테 51 ; 관접속부
52 ; 회수로 53, 63 ; 통수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의 각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의 물 순환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파라솔을 입설하기 위한 하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물받이 테(50)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40)에 의한 낙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테(60) 및 통수관(63)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간략화하여 도시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한 파라솔의 차양천(11)과, 상기 차양천(11)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중공폴(12)과, 상기 중공폴(12)을 지지해주는 중공지주관(23) 및 집수통(20)과, 상기 집수통(20) 내에 유입된 물을 상기 중공지주관(23) 및 중공폴(12)의 관로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양수시켜주는 수중펌프(30)와, 상기 수중펌프(30)의 구동용 배터리(31) 및 온/오프 조작용 가동스위치(33)와, 상기 중공폴(12)의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0)과, 상기 차양천(11)의 원주로부터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하여 상기 집수통(20)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물받이 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폴(12)은 그 하단부 외주면상에 나조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지주관(23)의 상단부 내주면상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조부(2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공폴(12)을 나사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중공지주관(23)의 내측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중공폴(12)이 집수통(20)과 연통된 채 상기 중공지주관(23)의 연장선상에서 연직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폴(12)과 중공지주관(23)의 결합부를 통해 누수되지 않아야 하므로 그 접촉부위간에 오링 등을 개재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공지주관(23)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용의 테이블(13)을 설치하는 경우에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지주관(23)의 상단에 지지플랜지(24)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공지주관(23)의 외주면 상에 다수의 테이블지지대(25)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공지주관(2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집수통(20)은, 그 내측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밀폐공간이 마련되어 차양천(11)이 좌우로 쓰러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하부 웨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부분으로서, 그 하단부 외주상에는 내측의 밀폐공간과 후술하게 될 통수관(53)간을 연통시켜 결합하기 위한 관접속부(21)가 다수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공간 내에는 상기 수중펌프(30)가 내장되어 그 토출측 관부가 상기 중공지주관(23)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31)는 수중펌프(30)를 구동시켜주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설치가 자유로운 구동수단으로서, 앞서 언급한 밀폐공간과 구분되는 집수통(20)의 일측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된 밀폐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수중펌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외부는 수납커버(22)에 의해 밀폐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31) 대신에 교류전원용 전선을 연결하여 수중펌프(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중펌프(30)와 배터리(31) 및 이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가동스위치(33)간에는 그 접속부가 모두 착탈 가능한 커넥터로 연결됨으로써, 소모된 배터리 등의 교체 또는 충전이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집수통(30)의 외부로 노출된 전선(32)은 상기 집수통(30) 및 중공지주관(23)의 표면을 따라 배선되어 상기 가동스위치(3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천(11)의 외부로 돌출된 중공폴(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천(11)의 원주상 표면을 향해 소정각도로 물을 직접 분사함으로써 상기 차양천(11)의 전체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부이다.
즉, 상기 분사노즐(40)은 차양천(11) 위에 물을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원반형의 노즐몸체의 저면쪽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공이 형성된 다수의 노즐팁의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각 노즐팁의 분사각은 가급적 차양천(11)의 중심에 인접하는 원주를 따라 지향될 수 있게 형성하여 상기 차양천(11)의 외측 전체면에 대해 고르게 흘러내리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노즐팁의 분사각이 수직에 가깝게 배열될수록 그 분사되는 물이 차양천(11)의 표면으로부터 강하게 반사되어 사방으로 튈 수 있으므로 이점에 주의하여 이상적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러한 노즐팁의 분사각을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해보면, 상기 중공폴(12)을 기준하여 외측으로 5∼60°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동일하게 지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40)의 노즐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몸체의 저면쪽 원주 전체에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이 없이도 사람이 왕래할 수 있는 출입구를 상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차양천(11)의 원주중 일부 폭에 대한 비(非) 낙수영역(Z)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노즐팁의 일부가 폐쇄된 상태로 배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비(非) 낙수영역(Z)은 사람이 왕래할 수 있는 출입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양천(11)의 원주에 대한 1/4∼1/3 정도의 폭, 다시 말해 상기 차양천(11)의 중심점으로부터 90∼120°정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40)의 노즐팁을 배열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 테(50)는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천(11)의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하여 상기 집수통(20)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서, 차양천(11)의 원주를 따라 지면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물받이 테(50)는 그 내측 둘레를 따라 낙수가 튀지 않고 집수될 수 있도록 경사진 홈이 형성되고,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밀봉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다수 일조로 균등 분할된 환테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각 분할 형성된 물받이 테(50)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연통하는 회수로(52)가 각각 형성되어 그 개수만큼 별도로 마련된 각 통수관(53)에 의해 상기 각 회수로(52)의 관접속부(51)와 상기 집수통(20)의 대응되는 관접속부(21)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분할 형성된 각 물받이 테(50)의 양단은 상호 삽입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며, 그 접촉부위간의 밀폐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오링 등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는 다른 형태의 물받이 순환 구조로서, 도 5에 개시된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물받이 테(60)는 차양천(11)의 원주를 따라 그 원주상에 환형 덕트의 형태로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물받이 테(6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집수통(20)의 관접속부(21)간에 통수관(63)이 연결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통수관(63)이 상기 물받이 테(60)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해 및 조립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야 이동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의 물 순환과정을 도 1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후 가동스위치(33)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수중펌프(30)가 구동되어 집수통(20)내의 물을 중공지주관(23) 및 중공폴(12)을 따라 분사노즐(40)쪽으로 상향 토출시키게 되고, 강제 토출된 물은 상기 분사노즐(40)의 노즐팁을 통해 차양천(11)의 전체 표면 쪽으로 방사되어 상기 차양천(11)을 따라 흘러내린 후, 물받이 테(50 또는 60)의 홈 내로 낙수된다. 이와 같이 낙수되어 모인 물은 통수관(53 또는 63)을 통해 상기 집수통(20)으로 집수되어 상기 수중펌프(30)에 의해 재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상기 냉각수는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차양천(11)을 지속적으로 식혀줌으로써 그 내측에 있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청량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사된 물이 파라솔의 차양천(11)으로부터 지면쪽으로 떨어지는모습은 사용자로 하여금 미감을 유발케 하여 무더운 여름철의 운치를 더해준다.
더욱이, 본 고안은 모든 부품이 조립/분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동 또는 설치상의 아무런 제한이 없어 그 활용성이 매우 높다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냉식 파라솔에 의하면, 파라솔의 차양천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켜줌으로써 무더운 여름철에 차양천을 통해 전달되는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차양천의 원주로부터 낙수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청량감과 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독립적인 냉각수 순환구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함으로써 장소의 제한 없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양천 원주의 일부에 비(非) 낙수영역을 마련함으로써 냉각수의 순환 가동 중에도 파라솔 내외측으로의 출입을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성하기에 본 고안의 수냉식 파라솔을 옥외 설치 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제품 효율성이 우수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실내 거주시 냉방기 등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상당 부분 대체 및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절첩 가능한 파라솔의 차양천;
    상기 차양천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중공폴;
    상기 중공폴의 하단부에 밀봉 조립되어 이를 연직방향으로 지지해주는 중공지주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중공지주관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그 내측으로 물을 유입할 수 있는 밀폐공간이 마련된 차양천 지지용 하부 웨이트로서의 집수통;
    상기 집수통에 내장되어 이 집수통 내에 유입된 물을 상기 중공지주관 및 중공폴의 관로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양수시켜주는 수중펌프;
    상기 수중펌프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차양천의 외부로 돌출된 중공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양천의 원주상 표면을 향해 소정각도로 물을 직접 분사함으로써 상기 차양천의 전체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주는 분사노즐; 및
    상기 차양천의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연직하방향으로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하여 상기 집수통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물받이 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원반형의 노즐몸체의 저면쪽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분사공이 형성된 다수의 노즐팁의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각 노즐팁의 분사각은 상기 중공폴을 기준하여 외측으로 5∼60°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동일하게 지향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사람이 왕래할 수 있는 출입구를 상시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차양천의 원주중 1/4∼1/3 범주의 의 폭에 대한 비(非) 낙수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노즐팁의 일부가 폐쇄된 상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테는 차양천의 원주를 따라 지면상에 설치된 것으로서, 내측 둘레를 따라 낙수가 튀지 않고 집수될 수 있도록 경사진 홈이 형성되고,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밀봉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다수 일조로 균등 분할된 환테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각 분할 형성된 물받이 테의 일측에는 상기 홈과 연통하는 회수로가 각각 형성되어 그 개수만큼 별도로 마련된 각 통수관에 의해 상기 각 회수로의 돌출단부와 상기 집수통의 대응되는 유입단부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테는 차양천의 원주를 따라 그 원주상에 환형 덕트의 형태로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물받이 테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집수통의 유입단부 간에 통수관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으로는 이동 설치가 자유롭도록 배터리를 적용하고, 상기 배터리는 집수통 일측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된 밀폐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수중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폴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수중펌프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가동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파라솔.
KR20-2004-0025496U 2004-09-06 2004-09-06 수냉식 파라솔 KR200370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96U KR200370106Y1 (ko) 2004-09-06 2004-09-06 수냉식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96U KR200370106Y1 (ko) 2004-09-06 2004-09-06 수냉식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106Y1 true KR200370106Y1 (ko) 2004-12-14

Family

ID=4944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96U KR200370106Y1 (ko) 2004-09-06 2004-09-06 수냉식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10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40B1 (ko) 2006-07-27 2006-11-1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빗물을 이용한 건축물 지붕 온도저감시설
KR101584157B1 (ko) * 2015-09-02 2016-01-11 (주)가교테크 순환형 냉난방 기능을 갖는 파라솔
KR101584152B1 (ko) * 2015-09-02 2016-01-11 (주)가교테크 개방형 냉난방 기능을 갖는 파라솔
CN107259735A (zh) * 2017-08-04 2017-10-20 东莞市盛奇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户外遮阳伞
KR20190001066U (ko) * 2017-10-26 2019-05-07 함명수 안개쉼터
KR20210002225A (ko) 2019-06-28 2021-01-07 문희수 태양광 미스트 파라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40B1 (ko) 2006-07-27 2006-11-1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빗물을 이용한 건축물 지붕 온도저감시설
KR101584157B1 (ko) * 2015-09-02 2016-01-11 (주)가교테크 순환형 냉난방 기능을 갖는 파라솔
KR101584152B1 (ko) * 2015-09-02 2016-01-11 (주)가교테크 개방형 냉난방 기능을 갖는 파라솔
CN107259735A (zh) * 2017-08-04 2017-10-20 东莞市盛奇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户外遮阳伞
CN107259735B (zh) * 2017-08-04 2018-11-27 浙江天合雨具设计有限公司 一种户外遮阳伞
KR20190001066U (ko) * 2017-10-26 2019-05-07 함명수 안개쉼터
KR200490367Y1 (ko) * 2017-10-26 2019-11-06 함명수 안개쉼터
KR20210002225A (ko) 2019-06-28 2021-01-07 문희수 태양광 미스트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4928B (zh) 薄膜太阳能电池驱动型户外蒸发冷却气幕伞
KR200370106Y1 (ko) 수냉식 파라솔
KR20120133809A (ko) 하이브리드 멀티 벤치
CN104101227A (zh) 一种新型冷却塔
CN105889861A (zh) 一种水冷式交通照明乘凉装置
JP2010144438A (ja) 休憩施設
KR200459525Y1 (ko)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KR20200001562U (ko) 냉난방 겸용 파라솔
CN205403013U (zh) 屋顶清洁降温系统以及建筑物
CN205299790U (zh) 可调节室温的家用水循环系统
CN214402903U (zh) 一种园林景观凉亭
KR102281432B1 (ko) 태양광발전 휴대용 냉난방 쉼터
KR102118908B1 (ko)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벤치
KR102221480B1 (ko)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CA2241562A1 (en) Support for independently-powered interchangeable sun shielding-ventillation-gas heating devices
CN105889860A (zh) 一种交通洒水照明装置
KR100423562B1 (ko) 단열용 이동식 구조물
CN112983052A (zh) 一种基于环境人性化设计的绿色建筑结构
CN207277914U (zh) 一种排风隔热组合式园林凉亭
KR200478285Y1 (ko) 음수 공급장치
CN216667474U (zh) 一种基于人居环境设计的景观灯
CN220004625U (zh) 一种新型水上喷泉
CN220631612U (zh) 石木两用可加热可充电多功能坐凳
CN220522129U (zh) 一种园林用生态景观亭
CN205456646U (zh) 一种高度可调多功能中柱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