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80Y1 -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80Y1
KR200369580Y1 KR20-2003-0040010U KR20030040010U KR200369580Y1 KR 200369580 Y1 KR200369580 Y1 KR 200369580Y1 KR 20030040010 U KR20030040010 U KR 20030040010U KR 200369580 Y1 KR200369580 Y1 KR 200369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inforcement
reinforced concrete
plat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현
Original Assignee
(주)씨 에스 엠 엔지니어링
손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 에스 엠 엔지니어링, 손영현 filed Critical (주)씨 에스 엠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40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장기간 혹은 단기간 공용 중에 발생되는 재료적 열화요인 및 구조적 안전성 저해요인과 현재 통과하중(예:DB-24)에 못 미치는 설계하중(예:DB-18이하)을 갖는 교량이나 설계하중 이하의 공용내하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는 교량에 대한 성능개선을 위하여 강판 및 강선, 탄소섬유 쉬트, 섬유보강 에폭시 판넬과 같은 다양한 보강재를 활용한 방법이 적용된다.
본 고안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주 보강재인 고강도·고인성 보강판(High-strength and High-toughness Reinforced Panel)에 의한 성능개선 장치는 유압잭에 의한 인상장치에 의해 구조물의 중앙부에 상향의 솟음을 직접 발생시켜 설계두께와 설계 폭, 설계간격으로 상기 주 보강재를 양단부와 중앙부에서 단순 부착방식이 아닌 정착방식에 의해 정착시킨 후 상기 구조물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솟음량 도입시 기존의 압축철근이 인장응력을 부담하게 되는 상기 구조물의 중앙부 압축철근과 연속구간이 존재할 경우의 부모멘트 인장철근의 변형률을 측정하여 철근 허용응력과의 비교 뿐만아니라 상기 구조물 경간 중앙부의 솟음량 변화를 시공 전 단계에 걸쳐 계측수단을 도입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주 보강재인 상기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 시 계측이 병행됨에 따라 솟음량 도입에 의한 보강 후 실제 잔류변형량을 실측하게 되어 신속한 성능개선효과의 평가가 가능하며 형강에 비해 두께가 매우 적은 박판형의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을 사용함으로써 교차하천의 다리 밑 공간을 저해하지 않아 교차하천의 범람의 요인이 되는 계획홍수위의 감소가 유발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솟음량 형성에 따른 균열의 폐합과 인장부에서 전단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주 보강재를 채용함으로써 정·부모멘트 구간의 내하력을 증진시킨다.

Description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Devices for Improving Load-Carrying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by Jacking Up, Anchoring High-strength and High-toughness Reinforced Panel, and Monitoring Deformations}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 및 라멘교, 박스 컬버트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가설 후 공용기간 동안 발생되는 상기 구조물의 주 구조부재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에서의 균열 및 박리·박락 등에 의한 성능저하가 외관조사결과 예상되거나 정밀안전진단에 의해 실제 구조내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성능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구조물의 정·부 모멘트 부위 및 전단부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계측을 병행한 상기 구조물 경간 중앙부의 인상과 설계두께 및 설계 폭, 설계 간격으로 박판형 고강도·고인성 보강판 정착을 포함하는 성능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강방법으로써 초기에 강판을 단순 접착 혹은 단순 압착시키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 강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의 섬유재질 보강재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현재 강판보강에 비하여 널리 적용되고 있는 탄소섬유를 주재료로 한 쉬트보강공법 및 에폭시패널를 주재료로 한 보강공법은 비교적 양호한 부착특성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결함에 대하여 보강재가 갖는 고유의 높은 탄성과 인장강도에 의하여 외력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력 증대가 기대되고 그에 따라 내하력 평가시(설계강도) ,(고정하중에 의한 모멘트) 와(활하중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 결정되는 교량평가계수(Rating Factor ; RF)가 높이 평가되어 실제 응답과는 관계없이 이론적으로 교량을 중심으로 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이 증진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대부분은 손상부 표면에 보강재를 단순히 바름의 형식을 취함으로서 노후화된 철근콘크리트 인장부에서 발달되어 내부로 진전된 균열과 같은 결함을 완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어 실 응답을 기초로 할 경우 기대하는 성능개선의 수준이 낮게 나타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부모멘트구간의 보강효과는 기대하기 곤란하며, 보강재 단부에서 부착파괴가 발생될 경우 사용된 보강재가 단순한 부착물로 변화되어 제대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휨 보강 및 사인장보강(전단보강)의 기능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원형 혹은 각형으로 성형된 스테인레스 철재나 섬유재를 주재료로 한 보강방법 또한 상기와 동일한 이론을 배경으로 보강효과가 성립될 수 있으나 단순히 보강재의 단부 혹은 정착부를 핀이나 보강철물을 이용한 정착장치로 정착하고 특수한 재질의 도포제에 의해 단면이 수복되는 되는 것으로 이 방법 또한 구조물의 인장부에서 발달되어 내부로 진전된 균열 등의 결함을 완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 뿐만아니라 공종이 비교적 복잡하고 극히 단순한 정착장치에 의하여 공종이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와 보강재 사이의 순수한 부착강도에 그 효과가 좌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쉬트 혹은 판넬 형식의 보강방법에서와 같이 단순 체결에 따라 부모멘트 및 전단구간의 보강효과의 기대는 어렵고, 단부의 고정핀이나 폴리머 재료와 같은 피복재의 품질이 실험실 수준으로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할 경우 보강재는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단순 부착재로서 잔류하게 된다.
한편, 강재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력을 증진하는 방법으로 단순히 강판접착 혹은 강판압착 외에 최근에 교량 등의 구조물 하면에 강재보를 종행 및 횡행으로 형강을 증설하거나 부모멘트 부의 내력증진을 위해 일정한 솟음량을 갖는 강재보를 이용하여 교량 전체의 내하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빈번히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교대 혹은 교각부에 브라켓을 설치하거나 슬래브 상면에 고정용 강판을 설치하고 하면의 강재보를 연결용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비교적 시공상의 절차가 간소하고 사용재료의 조달이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상하면 상호 체결방식의 경우 시공 중 교통흐름의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형강 증설에 따라서는 고정하중의 증가가 예상되고 곡선교에서 횡구배를 고려한 시공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재보와 콘크리트 하면사이에 공백이 발생되어 이물질의 유입과 그에 따른 국부적인 결함 발생이 우려되며, 일반적으로 h=300mm 이상의 H-형강이 사용됨으로써 교차하는 하천의 홍수시 통수단면 감소와 유송물의 원만한 흐름이 브라켓이나 강재보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어 인근 지역으로의 범람이나 교량의 안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성능개선을 위해 재료의 공급이 원활토록 하고 단순 바름형식이나 체결형식에서와 같이 부착특성에의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교차하천의 설계조건(통수단면적)의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아니라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실제 주 보강재가 아치작용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기 발생된 인장부의 결함을 보강재 시공 전 폐합시키는 등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부 모멘트부 및 전단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기존의 성능개선 방법과는 달리 시공 중의 계측을 병행한 상기 구조물의 국부적 소량 인상과 그에 따른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 그리고 유지관리용 관측 반사프리즘 설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를 기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의 적용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로서 주 보강재의 정착 직전 정착장치 구성요소인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계측센서, 인상장치 위치 및 대상 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로서 주 보강재의 정착 직전 정착장치 구성요소인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계측센서, 인상장치 위치 및 대상 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와 박스컬버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a와 도 2b에 따른 것으로 정착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정착플레이트의 상세도와 그 부착 위치 그리고 대상 구조물 경간 중앙부에 설치되는 인상장치 및 계측센서의 설치 개념도이다.
도 4a는 도 2a에 따른 것으로 주 보강재의 정착 직후 정착장치 구성요소인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계측센서, 인상장치 위치 및 대상 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2b에 따른 것으로 주 보강재의 정착 직후 정착장치 구성요소인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계측센서, 인상장치 위치 및 대상 구조물인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와 박스컬버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것으로 내부와 외부 정착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단부영역의 정착장치와 중앙부 영역의 정착장치 상세도 그리고 정착부를 제외한 영역에서의 주 보강재 부착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a에서 도 5에 따른 것으로 대상 구조물 하면 전체 길이에 걸쳐 정착장치에 의해 주 보강재가 정착 및 부착이 완료된 후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각각 콘크리트 구체(1), 보강면 혹은 구조물 하면(2), 포장면(3)]
4a, 4b, 4c : 내부 정착플레이트(Internal anchor plate)
5a, 5b, 5c : 외부 정착플레이트(External anchor plate)
6 : 주 보강재 [고강도·고인성 보강판(High-strength and High-toughness Reinforced Panel)]
7, 8, 9, 10 : 구조물 인상장치 세트[인상대(7), 유압잭(8), 탄성 고무판(9), 유압펌프(10)]
11, 12a, 12b, 13, 14: 계측장비 세트[변위계(11), 변형률 게이지(12a, 12b),계측기(13), 압축철근 혹은 인장철근 노출을 위한 콘크리트 절취면(14)]
15 : 내·외부 정착플레이트 체결용 볼트 홀 및 고장력 정착볼트
16 : 정모멘트부 압축철근
17 : 에폭시 주입을 위한 스페이셔(Spacer)
18 : 익젝티드 에폭시(Injected Epoxy)
19 : 케미칼앵커(Chemical Anchor)
20a, 20b, 20c-1, 20c-2 : 주 보강재의 하면의 변형률 게이지
21 : 부 모멘트부 인장철근
22 : 계측센서연결 케이블
23 : 유압잭과 유압펌프 연결선
24 : 유지관리용 관측 반사 프리즘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완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2,3)의 성능개선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용된다. 즉, 설계하중(예:DB-18이하)과 현재 통과활하중(예:DB-24)과의 차이 혹은 이미 중대한 결함이 발생되어 조속한 성능개선이 요구되는 구조물에 대하여 사전 구조검토에서 압축철근(16)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및 구조물 상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결정된 설계 솟음량을 구조물의 중앙부 하면(2)에 설치한 인상대(7)와 유압펌프(10) 및 유압잭(8)으로 구성되는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설계 상향력에 의해 발생시키고 상기의 구조검토에 의해 결정된 고강도·고인성 보강판(6)을 설계두께와 설계 폭 및 설계 간격으로 구조물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설치한 내부 정착플레이트(콘크리트와 주 보강재 사이에 설치;4a, 4b, 4c)와 외부 정착플레이트(보강재 덮개판;5a, 5b, 5c)사이에 개재시켜 고장력 앵커볼트(15)로 체결시키고, 주 보강재의 전체면 부착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혹은 국부적으로 케미컬 앵커(19)로 고정하고 유압잭을 제거한 후 수지주입(18)을 통하여 성능개선 장치의 구성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포함하여 성능개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인상장치의 설치에서 제거단계까지 상기 구조물의 중앙부의 변위계(11)와 구조물 중앙부 및 부모멘트부의 변형률게이지(12a, 12b)를 이용하여 변형을 지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인상장치와 정착장치가 구성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설계 솟음량의 미세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인상장치가 제거된 직후 대상구조물의 성능개선 효과를 신속하게 검토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보강 직후 상기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 판단을 위한 중요부위에 도 6에서와 같이 유지관리용 관측 반사프리즘(24)의 설치가 포함되어 구성됨이 본 고안의 성능개선 장치의 중요한 하나의 특징이다.
다음 첨부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장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서 도 5에 연속(혹은 단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도 2a, 도 4a),연속(혹은 단순) 라멘교와 박스컬버트(도 2b, 도 4b)를 대상으로 본 고안의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상기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구조물 양단부와 중앙부 정착장치 및 인상장치 그리고 계측장치와 센서 부착위치의 상세를 주 보강재 정착 전(도 3)과 정착 후(도 5)로 나누어 도시하였다.
도 2a, 도 2b, 도 3에 의하면, 인상대(7)를 설치 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2,3)의 보강면(2)과 인상대(7) 사이에 솟음량 형성을 위한 유압잭(8)과 인상에 따른 원 콘크리트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고무판(9)을 설치하고 이와 동시에 포장면(3)과 콘크리트 구체상면에 국부적으로 절취면(14)을 형성하여 압축철근(16)을 노출시키고 연속교인 경우에 있어서는 부모멘트 구간의 인장철근 (21)을 노출시켜 각각에 철근 변형률 게이지(12a, 12b)를 부착하며 탄성고무판(9) 근접부에 솟음량을 관리하기 위한 변위계(11)를 설치한다. 또한, 인상 하기 전에 도 3의 상세 "A", 상세 "B", 상세 "C-1" 과 같이 설계 간격으로 정착볼트 설치용 홀(15)이 성형된 양단부와 중앙부의 내부 정착플레이트(4a, 4b, 4c)를 설치하고, 약 5mm미만의 spacer(17)를 주 보강재(6)의 부착위치에 설치하여 에폭시 수지층(18)을 형성시 충분한 채움성 확보와 부착강도를 확보토록 한다. 이때 도 3의 상세 "C-2"와 도 6과 같이 내부 정착플레이트(4a, 4b, 4c)와 탄성고무판(9)를 중심으로 인상장치의 위치는 반드시 서로 다르게 하도록 한다.
도 4a, 도 4b, 도 5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검토에 의하여 결정된 설계 솟음량 만큼 구조물 인상을 실시한 다음 상기의 구조검토에서 계산된 설계 폭과 설계두께, 설계간격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주 보강재(6)를 정착장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내부 정착플레이트(4a, 4b, 4c)에 고정한 후 순차적으로 양단부와 중앙부에서 외부 정착플레이트(5a, 5b, 5c)를 설치하고 완전 체결한다. 완전 체결시 솟음량을 형성할 때 가해진 상향력이 제거된 후 구조물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보강재를 통하여 전달되어 상기 하중을 최종으로 부담하는 양단부의 정착부(도 5의 상세 "A")는 일단절곡 앵글타입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단순 판형 외부 정착플레이트에 의해 포켓형 (pocket 형;ㄷ 타입) 정착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주 보강재(6)를 완전 정착 후 주 보강재(6)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면(2) 사이는 에폭시 수지층(18)을 형성하는데 이는 보강재의 전면 혹은 국부적 케미컬 앵커(19) 체결시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강재 측면 씰링 후 주입법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주입과 양생(1-2일)이 완료된 후 유압잭(8)를 제거하기 직전에 양단부와 중앙부 정착장치 주변의 주 보강재(6) 하면에 변형률 게이지(20a, 20b, 20c-1, 20c-2)를 부착하여 유압잭(8)의 제거에 따른 주 보강재의 변형을 측정하여 허용응력과 비교·검토 한다.
유압잭의 제거와 정착장치의 완전 체결 이후 잔류변형과 성능개선 효과를 검토하고, 주 보강재(6) 및 정착장치(4a,4b,4c,5a,5b,5c)에 대하여 사용재료에 따라 방청 및 방식처리를 수행하며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도 6의 유지관리용관측 반사프리즘(24)을 설치하고 인상대(7)의 철거와 함께 성능개선 장치의 적용을 마무리한다.
도 6은 상술한 보강 예에 따른 구조물의 저면도를 종·횡방향으로 나타낸 것으로 정착장치와 주 보강재(6)의 위치 그리고 인상위치의 탄성고무판(9)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에 따른 정착장치, 인상장치 및 계측수단에 의한 주 보강재의 정착방식으로 성능개선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부착특성에의 의존도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박판형의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을 주 보강재로 사용함에 따라 교차하천의 설계조건(통수단면)의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아니라 구조물에 따라 4-7mm 정도의 솟음량 확보를 위해 가해진 하중이 제거 된 후 전달되는 고정하중과 공용 중 활하중이 이미 보강량과 보강 간격 설계시 고려되었기 때문에 보강 후의 실제 변형이 크게 감소되고 단순 바름형식의 공법에 비하여 성능개선 효과가 정·부 모멘트부 및 전단부 모두에서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고안은 성능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구성으로 인상장치의 구성에서 제거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조물 각 부위에서 변위와 변형률의 지속적인 계측이 포함됨으로써 성능개선 장치의 적용이 수행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설계 솟음량의 작은 변화에도 신속히 대응하고, 유압잭이 제거된 직후 대상구조물의 성능개선 효과가 즉시 검토될 수 있고 보강 직후 설치된 유지관리용관측반사프리즘(24)을 기준으로 관리주체 측에서의 유지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을 위한 박판형의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장치, 상기 구조물의 솟음량 형성을 위한 경간 중앙부에 위치하는 단수의 인상장치와 솟음량 형성에서 부터 정착장치 설치 마무리 단계까지 수행되는 변위 및 변형률 측정과 유지관리용 관측반사프리즘(24) 설치에 의한 계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성능개선 장치는 솟음량 형성에 따른 균열부의 완전한 결합을 유도하고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아치작용에 의해 단부로 전달시킴으로서 단순히 바름형식에 의한 방법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도입되는 계측에 의해 현장에서 확인되는 압축응력에 의해 인장응력 감소를 확실히 유도할 수 있어 구조물의 정·부모멘트부 모두의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슬래브 및 보 구조물의 전체 길이에 대해 보강함으로서 전단저항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기존 H형강을 이용하는 증설공법이 갖는 교하공간의 점유와 그에 따른 교차하천 유지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6)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경간 양단부에서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솟음량을 갖도록 하는 인상장치와 주 보강재인 판형재를 양단부와 중앙부에서 체결하는 정착장치와 계측센서 및 유지괸리용관측반사프리즘의 설치에 의해 상기 주 보강재를 설치하는 전체 과정에 걸쳐 계측수단의 도입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경간 중앙부에 단 하나의 인상장치을 사용하고 상기 인상장치에 의해 솟음이 형성된 상기 구조물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제작된 합성섬유보강판 혹은 용융아연도금강판과 같은 판형재를 주 보강재로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중앙부에서 내부 정착플레이트와 외부 정착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정착장치에 주 보강재를 개재하고 고장력 볼트로 체결함으로서 외부하중하에서도 상기 솟음량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4. 제 1 항,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보강재의 양단부를 일단절곡 앵글타입내부 정착플레이트와 단순 판형 외부 정착플레이트로 포켓형(pocket;ㄷ타입)정착장치를 구성하고, 그 사이에 주보강재를 개재하여 상기 고장력 볼트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 있어서 연속부에서는 부 모멘트부에 변형률계 부착과 경간 중앙부에 변위계 및 변형률계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구조물의 인상 전부터 상기 인상장치 제거 직후까지 지속적으로 구조물의 변위 및 변형률을 측정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 후 지속적인 변형이력을 관찰하기 위한 유지관리용 관측 반사프리즘 설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 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KR20-2003-0040010U 2003-12-24 2003-12-24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KR200369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10U KR200369580Y1 (ko) 2003-12-24 2003-12-24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10U KR200369580Y1 (ko) 2003-12-24 2003-12-24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992A Division KR20050064529A (ko) 2003-12-24 2003-12-24 시공 중 계측을 병행한 잭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을 위한 강판 정착 및 부착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80Y1 true KR200369580Y1 (ko) 2004-12-09

Family

ID=4944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010U KR200369580Y1 (ko) 2003-12-24 2003-12-24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ven et al. Post-tensioning tendon installation and grouting manual
KR100352646B1 (ko)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공법
Harries et al. Updated research for collision damage and repair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ang et al. An experiment study on behavior of corrosion RC beams with different concrete strength
Jawdhari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in flexure with spliced CFRP rod panels
Fehling et al. Gärtnerplatz–Bridge over River Fulda in Kassel: Multispan Hybrid UHPC‐Steel Bridge
KR200369580Y1 (ko) 계측을 병행한 인상과 고강도·고인성 보강판의 정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장치
Vatandoost Fatigue behaviour of steel girders strengthened with prestressed CFRP strips
Tavassoli Behaviour of GFRP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Combined Axial Load and Flexure
Rossini FRP reinforcement for prestressed concrete applications
KR20050064529A (ko) 시공 중 계측을 병행한 잭업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성능개선을 위한 강판 정착 및 부착공법
Schnell et al. Improving tomorrow’s infrastructure: Extending the life of concrete structures with solid stainless steel reinforcing bar
Rizkalla Partial Bonding and Partial Prestressing Using Stainless Steel Reinforcement for Members Prestressed with FRP.
KR20150111714A (ko) 긴장력 손실량을 측정하여 외부강선을 긴장할 수 있는 연속교 시공 방법
Medina Characteristics of AFRP bars for prestressing applications
Navarro Concrete cracking in the deck slabs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Prato et al. Case Studies of Failure, Damage Assessment, and Repair of Multispan Bridges in Argentina
Parsekian et al. Innovative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structures
Brush Connection of modular steel beam precast slab units with cast-in-place closure pour slabs
Kamaitis Field investigation of joints in precast post-tensioned segmental concrete bridges
Van Wijk Validation of the deck behaviour due to post-tension loading of Ashton arch bridge
Farimani Resistance mechanism of simple-made-continuous connections in steel girder bridges
McCammon In-plane shear strength and stiffness of precast concrete panels
Khalafalla et al. Fatigue Behavior of a Developed UHPC-Filled Precast Deck Joint in Bulb-Tee Bridge Girder System Reinforced with Sand-coated GFRP Bars
Shdid et al. Visual rating and strength testing of 40-year-old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ridge p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