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231Y1 -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231Y1
KR200368231Y1 KR20-2004-0024183U KR20040024183U KR200368231Y1 KR 200368231 Y1 KR200368231 Y1 KR 200368231Y1 KR 20040024183 U KR20040024183 U KR 20040024183U KR 200368231 Y1 KR200368231 Y1 KR 200368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housing
gu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4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기 및 접촉부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크기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 배열되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20), 및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 탄성부재(50)에 의해 탄설되고, 소정위치에는 일측 개방부를 통해 메모리 카드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단자를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카드 삽입부(40a)가 형성된 가이드(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Memory card connector}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의 전기 회로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 및 접촉부분이 서로 다른 다른 두 개의 카드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는 계속 발전되어 왔으며, 램(RAM, 임의 추출 기억장치)과 같은 메모리 회로와 CPU(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IC(집적회로)를 보유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의 한 종류인 심카드(SIM CARD, 가입자 식별 모듈카드)는 신원확인과 가입자 관련자료의 기억장치로서 휴대용 전화기에 사용되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SIM카드는 카드 판독기 시스템을 통해 외부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단자 배열체를 포함한다.
SIM카드를 기초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가 삽입 및 제거되는 일정 형태의 하우징과, SIM카드의 단자 배열체와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 내로 노출되는 복수 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하우징에 형성된 카드의 수납공간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 카드만 수용할 수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를 더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기 및 접촉부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크기별로 각각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에 어느 하나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에 다른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11 : 수납공간
20 : 단자 30 : 커버
31 : 차폐면 32 : 슬라이딩면
33 : 유동방지면 40 : 가이드
41 : 이탈방지돌기 50 : 스프링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 배열되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 및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설되고, 소정위치에는 일측 개방부를 통해 메모리 카드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단자를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카드 삽입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중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는 카드 삽입부에 삽입하여 단자와 접속시키고,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중 카드 삽입부보다 큰 메모리 카드는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시켜 카드 삽입부를 통해 단자와 접속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단자들은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 전·후방측에서 각각 좌우로 배열되어 전·후방측에 단자 접촉부가 형성된 메모리 카드 및 전·후방측 중 어느 한 곳에만 단자 접촉부가 형성된 메모리 카드를 모두 접속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의 카드 삽입부 내 일측벽에는 카드 삽입부 내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메모리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는, 회로기판상에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 배열되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20)들과,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30), 및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 탄설되어 메모리 카드의 수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0)은, 그 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레그(12)가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그 상면에는 가이드(40)가 탄설하고 메모리 카드를 탈거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수납공간(11)의 전·후방측 바닥에는 단자(20)들이 각각 좌우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자 고정홀(11a)이 각각 형성되며, 수납공간(11)의 전방측에는 단자 고정홀(11a)의 양측으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두 개의 안내면(11b)(11c)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 때, 높이가 낮은 하부측 안내면(11b)은 크기가 작은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단자 고정홀(11a)쪽에 형성되며, 높이가 높은 상부측 안내면(11c)은 크기가 큰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수납공간(11)의 측벽(13)쪽에 형성된다.
수납공간(11)의 바닥 양측 가장자리중 안내면(11b)(11c)의 후방에 위치된 곳에는 가이드(40)를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술할 ‘’형태의 스프링(50) 양단부가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홀(11d)이 각각 두 개씩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양 측벽(13) 후방측에는 양 측벽(1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납공간(11)을 차폐하는 커버(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4)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각 고정돌기(14)는 커버(30)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된 후술할 고정돌기 삽입홀(32a)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커버(30)를 하우징(10)에 견고히 고정한다.
이 때, 고정돌기(14)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납공간(11)의 양 측벽(1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커버(30)의 일단부 양측면이 고정돌기(14)의 경사면을 따라 벌어진 후 고정돌기(14)가 커버(30)의 고정돌기 삽입홀(32a)에 삽입되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30)는 고정돌기(14)에 걸려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자(20)는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에 형성된 단자 고정홀(11a)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 상부는 수납공간(11) 내로 돌출되며, 그 하부는 용접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다.
그리고, 각 단자(20)의 상부는 하우징(10)의 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결과적으로 메모리 카드는 각 단자(2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각 단자(20)는 수납공간(11)의 전·후방측에 각각 배열 형성됨으로써, 트랜스플래시 카드(TransFlash Card)와 같이 일단부에만 단자 접촉부가 구비된 메모리 카드 뿐만 아니라 심카드(SIM Card)와 같이 양단부에 모두 단자 접촉부가 구비된 메모리 카드중 어느 것이 수납공간(11)에 삽입되더라도, 메모리 카드의 단자 접촉부와 접속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3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여 수납공간(11)에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를 보호함과 더불어 메모리 카드가 수납공간(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공간(11)을 차폐하는 차폐면(31)과, 차폐면(31)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양 측벽(1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32)과, 슬라이딩면(32)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차폐면(31) 및 슬라이딩면(32)의 상부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4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0)이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유동방지면(33)으로 구성된다.
이 때, 슬라이딩면(32)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고정돌기(14)가 관통되는 고정돌기 삽입홀(32a)이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40)는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 스프링(50)으로 탄설되어 메모리 카드의 수납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그 소정위치에는 일측 개방부를 통해 메모리 카드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단자(20)를 상방으로 노출시켜 단자(20)와 메모리 카드가 서로 접속되도록 하는 카드 삽입부(40a)가 형성된다.
카드 삽입부(40a) 내 일측벽에는 카드 삽입부(40a) 내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의 일측에 형성된 홈(2a)에 삽입되어, 메모리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4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40)의 개방된 일단부 및 이탈방지돌기(41)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이드(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수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스프링(50)에 의해 상승되어 그 상면이 수납공간(11) 내의 상부측 안내면(11c)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가이드(4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의 끝이 상부측 안내면(11c)과 조금 낮거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기 전 가이드(40)와 커버(30)의 저면이 이루는 간격은 메모리 카드의 두께보다 좁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상부측 안내면(11c)을 따라 크기가 큰 메모리 카드(1)를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1)는 상면이 커버(30)의 저면에 접면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가이드(40)의 전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40)를 눌러 하강시키게 되고, 가이드(40)의 하강에 의해 스프링(50)은 압축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기가 큰 메모리 카드(1)가 완전히 삽입되면 가이드(40)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50)의 반발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1)는 커버(3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메모리 카드(1)의 분리가 방지된다.
한편,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40)의 카드 삽입부(40a)에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2)를 수납공간(11)의 하부측 안내면(11b)을 따라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2)의 일단부는 카드 삽입부(40a)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이탈방지돌기(41)에 먼저 도달하게 되고, 초기 삽입시보다 더 큰 힘을 가해 메모리 카드(2)를 삽입하면, 메모리 카드(2)가 이탈방지돌기(4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41a)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돌기(41)는 메모리 카드(2)에 눌리게 되고 가이드(4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를 완전히 삽입하여 카드 삽입부(40a)에 형성된 고정돌기(14)가 메모리 카드(2)에 형성된 홈(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가이드(40)를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고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40)가 상승하면서 고정돌기(14)는 메모리 카드(2)의 홈(2a)에 삽입되고, 메모리 카드(2)는 카드 삽입부(40a)에 고정된다.
한편, 고정돌기(14)의 타단면에도 일측면보다는 짧지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삽입부(40a)에 형성된 메모리 카드를 꺼낼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때보다 더 큰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메모리 카드(2)가 고정돌기(14)의 후방측 경사면을 타면서 가이드(40)를 눌러 하강시킴에 따라 메모리 카드(2)를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42는 가이드(40)의 양측 전후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수납공간(11) 내에서 가이드(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이다. 즉, 가이드(40)는 스프링(50)의 양단부상에 단지 올려진 상태이므로 유동방지돌기(42)가 없다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기울이거나 운반할 때 가이드(40)가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메모리 카드를 올바르게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따르면, 하우징에 탄설되는 가이드를 이용해 크기 및 접촉부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메모리 카드를 간편하게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크기별로 각각의 커넥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수납공간내에 복수개의 단자를 전후측에 좌우로 배열함으로써, 일단부에만 단자 접촉부를 갖는 메모리 카드뿐만 아니라 양단부에 모두 단자 접촉부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회로기판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 배열되어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설되고, 소정위치에는 일측 개방부를 통해 메모리 카드가 삽입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를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카드 삽입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중 상기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는 상기 카드 삽입부에 삽입하여 상기 단자와 접속시키고, 상기 수납공간 내로 수납되는 메모리 카드중 상기 카드 삽입부보다 큰 메모리 카드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시켜 상기 카드 삽입부를 통해 상기 단자와 접속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은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 전·후방측에서 각각 좌우로 배열되어 전·후방측에 단자 접촉부가 형성된 메모리 카드와 전·후방측 중 어느 한 곳에만 단자 접촉부가 형성된 메모리 카드를 모두 접속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카드 삽입부 내 일측벽에는 상기 카드 삽입부 내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2004-0024183U 2004-08-24 2004-08-24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368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83U KR200368231Y1 (ko) 2004-08-24 2004-08-24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83U KR200368231Y1 (ko) 2004-08-24 2004-08-24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742A Division KR100624203B1 (ko) 2004-08-24 2004-08-24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231Y1 true KR200368231Y1 (ko) 2004-11-17

Family

ID=4944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183U KR200368231Y1 (ko) 2004-08-24 2004-08-24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465B1 (ko) 2010-09-30 2015-10-14 애플 인크. 넓은 전원 접속부를 갖는 고속 카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465B1 (ko) 2010-09-30 2015-10-14 애플 인크. 넓은 전원 접속부를 갖는 고속 카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4655B2 (en) Connector
EP0678824A1 (en) Universal ejector mechanism for an IC card connector apparatus
US7494381B1 (en) SIM card connector
US7059909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
US632860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module cards and an operating circuit card
JP2001134737A (ja) プラグイン・カード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US7794250B2 (en) Card mounting apparatus
JP4669969B2 (ja) 電子装置用差込み型カード
US5973924A (en) Symmetric multi-processor-package design
US7252529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KR100624203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368231Y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US6048232A (en) Withdrawable contact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US7568926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ng mechanism
US7238052B2 (en) Card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US20050136743A1 (en) Card connector
JP2003304313A (ja) カード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20220140510A1 (en)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KR101312683B1 (ko) Micro SIM홀더를 통해 Micro SIM카드 및 Micro SD카드를 수용하는 듀얼 소켓 커넥터
US7544075B2 (en) Card connector
US7534119B2 (en) Stacked card connector having ejecting mechanism
EP1365562A1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holder for at least two memory cards
KR100817346B1 (ko) 다른 크기의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커넥터용 어댑터
EP1104907A1 (en) Card reader for mounting to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