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622Y1 - Shuttlecock - Google Patents
Shuttlec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622Y1 KR200366622Y1 KR20-2004-0019040U KR20040019040U KR200366622Y1 KR 200366622 Y1 KR200366622 Y1 KR 200366622Y1 KR 20040019040 U KR20040019040 U KR 20040019040U KR 200366622 Y1 KR200366622 Y1 KR 2003666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shuttlecock
- battery
- light
- exhaust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셔틀콕을 개시한다.Start the shuttlecock.
본 고안은,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을 내부에 수용하는 광원고정모듈과 상기 광원고정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광원으로 전원공급을 실시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발광기를 구비하여 통상의 셔틀콕 날개와 헤드 간에 형성된 배기공에 상기 발광기를 삽입체결하거나 체결해제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발광기의 점ㆍ소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기만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 가능하며, 야간에도 셔틀콕의 헤드측, 날개측 및, 측방으로의 광발산이 이루어져 어느 위치에서나 쉽게 인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lecock, in particular, having a light source fixing module for receiving a light source therein and a light emitter consisting of a battery that is coupled to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between the conventional shuttlecock wings and the head The light emitter can be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exhaust hole so that the light emitter can be easily turned on or off, and only the light emitter can be replaced or maintained. It is related with the shuttlecock which has the effect that light divergence to the side and the side is made, and can be easily recognized in any posi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간과 야간사용이 모두 가능하며, 어느 위치에서나 셔틀콕을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광발산효율을 개선함은 물론, 발광기의 유지보수 및 교체의 용이성 및, 통상의 셔틀콕에 적용 가능한 발광기 및 상기 발광기를 구비하는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lecock, in particular, can be used both day and night, improve the light divergence efficiency to easily recognize the shuttlecock at any position, as well as ease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light emitter, A light emitter applicable to a shuttlec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uttle cock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er.
주지된 바와 같이, 날개와 헤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셔틀콕은, 상기 날개가 깃털로 구현되고 상기 헤드가 코르크(cork)로 구현된 경기용 셔틀콕과, 상기 날개가 합성수지재로 구현되고 상기 헤드가 소정의 탄성도를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보급형 셔틀콕으로 대별된다.As is well known, a conventional shuttlecock consisting of a wing and a head includes a competition shuttlecock in which the wing is embodied in a feather and the head is embodied in cork, the wing is embodied in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head is predetermined. It is roughly divided into the entry type shuttlecock made of a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경기용 셔틀콕은, 바람의 영향에 민감한 특성상 주로 실내에서 행하여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내구성이 취약하여 대부분 일회성 사용에 국한되었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Shuttlecock for the competition, the characteristics are sensitive to the effects of the wind is mostly performed indoors, the durability is weak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such as limited to most one-time use.
이에, 상기 보급형 셔틀콕은, 상기한 경기용 셔틀콕과 대비하여 볼 때 뛰어난 내구성과 바람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으므로 야외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중량이 무겁고 비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짐에 따라 보다 넓은 공간에서 사용될 수밖에 없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Thus, the entry type shuttlecoc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outdoors because it is not sensitive to the excellent durability and the influence of the wind as 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shuttlecock, but in a wider space as the weight is heavy and the distance is relatively long There were disadvantages such as being forced to be 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 제조되는 보급형 셔틀콕은, 도 1에서와 같이, 중량을 저감하면서도 적정한 비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헤드(40)의 내부에 공간부(42)를 구성하고, 날개(20)와 상기 헤드(40)가 체결되는 부위면에 배기공(22)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42)와 상기 배기공(22)이 상호 연통된 구성을 갖는 바, 상기 헤드(40)를 타격할 시에 상기 공간부(42) 상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기공(2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헤드(40)가 적정한 탄성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공간부(42)에 존재하는 공기와 타격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한 상기 헤드(40)의 손상 방지를 도모함으로써, 적정한 비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제조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ecently-produced shuttlecock, as shown in FIG. 1, constitutes a space portion 42 inside the head 40 so as to have a proper flying distance while reducing weight, and wings 20 And the exhaust hole 22 is formed in the site surface to which the head 40 is fastened so that the space portion 42 and the exhaust hole 22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air existing in the space 42 may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hole 22 at the time, so that the head 40 maintains an appropriate elasticity and the air and the impact force present in the space 42 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head 40 due to the repulsive force according to, it is manufactured to have an appropriate flying distance.
그러나 이들 통상의 셔틀콕은 야간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140호”의 “셔틀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127호”의 “발광수단을 갖는 셔틀콕”(이하, “종래기술2”라 함.),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611호”의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이 개시된 바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shuttlecock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cannot be used at night.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overcoming this, "Shuttlec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39140, and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7127 "Shuttle cock with light emitting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Technology 2"), "Shuttle cock capable of bidirectional light emi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Technology 3")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27611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1은, 셔틀콕의 헤드 내부에 LED를 장착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내부에 상기 LED를 고정하는 기판 및 배터리 수납부를 구성하고, 헤드의 상면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와 나사결합을 이루는 별도의 캡을 구비하여 상기 캡에 의해 상기 배터리 등의 구성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캡의 분실우려가 있었으며, 캡을 분실하였을 시에는 배터리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밖에 없어 사실상의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헤드 내부에 이루고자하는 목적 구성물이 모두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헤드가 파손되었을 시에는 이를 폐기처분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헤드의 내부에 기판 및 배터리수납부를 구성하기에는 그 제조공정이 비교적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저렴한 제조원가를 제공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the related art 1, an insertion hole is formed to mount an LED inside the head of the shuttlecock, and a substrate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fixing the LED inside the insertion hole,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to form a screw. It was to have a separate cap to form a combination to seal the components such as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by the cap. However,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cap was lost, and when the cap was lost, the battery could not be leaked to the outside, and thus practical use was impossible, and substantially all of the target components to be achieved inside the head were formed. When was damaged, it had to be disposed of.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latively complicated to configure the substrate and the battery storage unit in the hea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cannot be provided.
또한, 종래기술2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되는 통전수단, 상기 통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단자와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배터리, 상기 통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수단, 스프링단자 및 상기 스프링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로 제작된 컵형단자 등의 구성물이 헤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안착되고, 상기 헤드의 공간부를 이루는 내경 상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날개고정부 상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헤드와 날개고정부가 상호 나사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헤드에 타격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단자가 진동되어 상기 컵형단자와 전기적접점이 이루어져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공급을 이룸으로써 발광하도록 이루어진 기술사상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2는 그 중량이 통상의 셔틀콕과 대비하여 볼 때에 현저히 증가될 수밖에 없는 구성적 결합이 있었으며, 스프링단자, 컵형단자 등을 통전수단 상에 구성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용이한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prior art 2, a power supply means implemented by a printed circuit board,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a battery mak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a light emitting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a spring terminal and the spring A component such as a cup-shaped terminal manufactured in a form of accommodating the terminal inside is seat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head,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and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wing fixing portion. It is formed so that the head and the wing fixing portion can be screwed to each other, the spring terminal is vibrated and th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up-shaped terminal is made when the head is applied to emit light by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means It is to have a technical idea. However, in the prior art 2 made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constitutive coupling that the weight of the conventional shuttlecock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huttlecock, and the spring terminal, the cup-type terminal, etc. had to be configured on the power supply means, so that it was not easy to manufacture. There is a problem such as.
한편, 종래기술3은, 헤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으로 발광부재와 하나 이상의 보조발광부재가 인쇄회로기판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며 이들은 충격스위치로부터 타격에 따른 충격이 감지될 시에 상기 발광부재와 보조발광부재로 전원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회로 설계되어 상기 헤드를 타격할 시에 셔틀콕의 타격자와 수신자 모두가 셔틀콕의 이동궤적을 확인 가능한 기술사상을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수의 발광부재, 인쇄회로기판, 충격스위치 등을 구성하여야만 제 기능을 발휘하는 바, 고가의 제조원가가 소요됨은 물론, 앞서 언급된 종래기술2와 같이 중량적 한계성을 극복키 어려운 고안인 것이다.Meanwhile, in the related art 3,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one or more auxiliary light emitting members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respectively, which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ead. The circuit was designed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auxiliary light emitting member at the time, so that both the hitter and the receiver of the shuttlecock had the technical idea of confirmi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shuttlecock when the head was hi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printed circuit boards, impact switches, and the like to achieve a proper function, which requires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and is a design tha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weight limitations a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2.
이와 더불어, 종래기술1 및 3은, 공히 셔틀콕의 특정부위가 손상되었을 시에 셔틀콕 전부를 폐기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종래기술2는 날개고정부와 헤드 및 통전수단 등이 분리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는 있으나, 이는 한 벌로 제작될 수밖에 없어 통상의 셔틀콕에 적용시킬 수 없었던 바, 특정부품의 교체 등의 유지보수 시에는 반드시 해당 제작자에 의해 제조된 셔틀콕을 구입하여야만 한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s 1 and 3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ll of the shuttlecocks have to be discarded when a specific part of the shuttle cock is damaged, and the prior art 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ng fixing part and the head and the power supply means can be separated. However, this could not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shuttlecock because it can not only be manufactured in a suit,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the need to purchase a shuttlecock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er when the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a specific part.
상기한 종래기술1 내지 3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의 출원인은, 등록유지결정을 받은 바 있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938호”와,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3-0036332호” 및,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4-0007070호”의 주야겸용 셔틀콕을 개시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s 1 to 3,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29938" and th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No. 20-2003" -0036332 "and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20-2004-0007070 "has disclosed a day and night shuttlecock.
이를 보다 상술하면, 배터리와 나사산 및 손잡이를 갖는 배터리 고정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광체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을 이룬 후에 이들이 날개에 형성된 나사공과 나사 결합되어 헤드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한 고정구와 일체로 체결을 이룬 배터리, 발광체를 용이하게 분리 및 체결을 이룰 수 있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었다.More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battery fixture having a battery and a thread and a handle and a light emitting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fter the mutual fastening is screwed with a screw hole formed in the wing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ead As a result, the battery and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are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fixture may be easily separated and fastened, thereby making it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셔틀콕은 헤드측만이 발광되었으므로, 다양한 각도에서 특히, 타격자가 셔틀콕을 타격한 후 그 비행궤적을 관찰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통상의 셔틀콕에 발광체를 체결 적용시킬 수 없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 shuttlecock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mits only the head side, a problem arises that the flight trajectory cannot be observed at various angles, especially after the hitter hits the shuttlecock. A problem has occurred.
따라서 광원과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기가 통상의 셔틀콕에서도 체결 적용될 수 있어야하며, 착탈이 가능함에 따라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성이어야 하며, 야간 사용에 있어 헤드측은 물론 셔틀콕의 다양한 각도에서도 관찰될 수 있도록 그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발광기의 온/오프(ON/OFF)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하며, 특히 간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셔틀콕의 출현이 요구되어왔다.Therefore, the light emitter consisting of a light source and a battery should be able to be fastened and applied even in a normal shuttlecock, and it should be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as it is detachable, and can be observed from various angles of the shuttlecock as well as the head side at night use. The visibility can be maximiz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light emitter should be designed to be easi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emergence of lowering shuttlecocks has been require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기된 요구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상의 셔틀콕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발광효율을 극대화하여 탁월한 시인성을 갖는 발광기 및 상기 발광기가 채택된 셔틀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shuttlecock, and its structure is simp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maximizing luminous efficiency and excellent visibil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huttlecock employ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광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원이 매립 구성되어 상기 광원과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배터리의 해당 단자와 용이한 접점 및 접점해제를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컵상의 광원고정모듈과; 상기 배터리의 소정외주면이 통상의 셔틀콕 날개에 형성된 배기공과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셔틀콕을 사용할 시에 상기 배기공으로부터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체결구조와, 상기 배터리의 말단부위가 셔틀콕 날개의 내부에서 후방 돌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날개로부터 체결 또는 체결해제를 손쉽게 이룰 수 있는 발광기 및 상기 발광기가 채택된 셔틀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source is buried in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is made of the light source and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to make easy contact and release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A predeterm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xhaust hole formed in the normal shuttlecock wing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exhaust hole when using the shuttle cock, and the end portion of the battery is a shuttlecock wing Providing a rear light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user and the user can gripping it to easily engage or unlock from the wing and the shuttle cock employing the light emitt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일단이 삽입되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기공과 체결 가능한 구성 및 손잡이가 구성되며 투광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더불어 상기 고정구의 특정 외주면 상에 스크래치패턴을 형성하여 광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광의 집광 및 산란작용에 의해 광확산 및 집광작용에 따른 광발산효율을 극대화하여 시인성을 개선한 셔틀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configuration and the handle is fastened to the exhaust hole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er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and also scratch patterns on a specific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er It is to provide a shuttlecock to improve the visibility by maximizing the light divergence efficiency due to light diffusion and condensing action by the light condensing and scattering action of the light flowing from the light source.
도 1은, 통상의 보급형 셔틀콕의 분해단면도.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ropagation shuttlecock.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le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의 결합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the shuttle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의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4.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6.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변형예를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고정구가 체결된 상태의 부분확대단면도 및 고정구가 장착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의 후면도.Figure 10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er of Figure 9 is fastened and a rear view of the shuttle 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mounting the fastener.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jor parts of the drawings>
10 : 셔틀콕 20 : 날개10: shuttlecock 20: wing
21 : 걸림부재 22 : 배기공21: locking member 22: exhaust hole
22a : 중공 22b : 절취부22a: hollow 22b: cutout
27 : 삽입단27: insertion end
30 : 고정구 31 : 고정홈30: fixture 31: fixing groove
33 : 손잡이 34 : 체결부33: handle 34: fastener
37 : 걸림턱 38 : 걸림부재37: locking jaw 38: locking member
38a : 상측 걸림부 38b : 하측 걸림부38a: upper locking portion 38b: lower locking portion
39 : 유격부39: short play
40 : 헤드 41 : 단턱40: head 41: step
42 : 공간부42: space part
50 : 광원 50a : 양단자부50 light source 50a both terminals
50b : 음단자부 51 : 배터리50b: negative electrode portion 51: battery
51a : 양단자부 51b : 철형 음단자부51a: Both terminal parts 51b: Iron type terminal part
51c : 요형 음단자부51c: Concave terminal portion
60 : 격벽60: bulkhead
70 : 발광기 71 : 광원고정모듈70: light emitter 71: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a : 광원고정모듈 몸체 71b : 단자삽입홈71a: Light source fixing module body 71b: Terminal insertion groove
71c : 내경 71d : 단차부71c: inner diameter 71d: stepped portion
80 : 스크래치 패턴 81 : 스크래치80: scratch pattern 81: scratc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의 구성으로서는,As a configuration of the shuttle 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부에 공간부(42)를 갖는 헤드(40); 상기 헤드(40)와 체결되는 소정부위면에 격벽(60)을 가지며, 상기 격벽(60)을 관통하는 배기공(22)을 구비하는 날개(20); 배터리(51)와, 광원(50)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배터리(51)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광원(50)과 전기적 접점 및 접점해제를 이루는 컵상의 광원고정모듈(71)을 구비하는 발광기(70);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광원고정모듈(71) 및 배터리(51)가 상기 날개(20)로부터 상기 헤드(40)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공간부(42)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51)의 소정부위면이 상기 배기공(22)과 억지끼움 결합되어 상기 날개(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발광기(70)를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A head 40 having a space 42 therein; A wing 20 having a partition wall 60 on a predetermined portion surface coupled to the head 40 and having an exhaust hole 22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60; A light emitter comprising a battery 51 and a cup-shaped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for accommodating a light source 50 therein and having one end of the battery 51 inserted therein to make electrical contact and release contact with the light source 50. 70; To include,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and the battery 51 enters the head 40 in the direction from the blade 2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42, the of the battery 51 A predetermined portion has a constitutional feature comprising a light emitter 70 is coupled to the exhaust hole 22 and detachable from the wing 20.
또한,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져 그 일측단부에 상기 배터리(51)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을 이루는 외경 상에 나사산 또는 다수의 철부로부터 선택 구성되어 상기 배기공(22)과 착탈 가능하게 억지끼움 체결되는 체결부(34)와, 상기 체결부(34)의 상방으로 소정면적 측방 연장된 면적을 가짐으로써 상기 배기공(22)을 이루는 격벽(60) 상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37)과, 상기 걸림턱(37)의 상방이 상기 날개(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손잡이(33)를 구비하는 고정구(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haust groove is selected from a screw thread or a plurality of convex parts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ed groove 31 and one end of the battery 51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xed groove 31 is made of a constant length On the partition 60 which forms the said exhaust hole 22 by having the fastening part 34 which detachably fits with the 22, and the area extended laterally a predetermined area above the said fastening part 34.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astener 30 having a catching jaw 37 to be supported and a catch 33 located above the catching jaw 37.
이에, 상기 고정구(30)는, 소정부위면 상에는 스크래치 패턴(8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us, the fastener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cratch pattern 80 on a predetermined portion surface.
그리고, 상기 발광기(70)는, 일단에 양단자부(51a)가 돌설되고, 이와 인접하는 상단 외경상에 요철형상의 음단자부(51b,51c)가 구비되는 상기 배터리(51); 상기 광원(50)의 양단자부(50a)에 이르기까지 천공되어 상기 배터리(51)의 양단자부(51a)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홈(71b)과, 내경(71c) 소정부위면에 상기 광원(50)의 음단자부(50b)가 매설되는 상기 광원고정모듈(71); 로 이루어져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이 상기 배터리(51)에 대하여 상하방 가변위됨에 따라 상기 음단자부(50b, 51b,51c)가 전기적 접점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양단자부(50a, 51a)가 전기적 접점을 이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됨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er 70 includes: a battery 51 having both terminal portions 51a protruding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uneven sound terminal portions 51b and 51c formed on an outer diameter of an upper end adjacent thereto; The light source 50 is drilled down to both terminal portions 50a of the light source 50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71b into which both terminal portions 51a of the battery 51 are inserted,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71c.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in which the negative terminal part 50b of As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is vari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ttery 51, the both terminal parts 50a, 51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negative terminal parts 50b, 51b, 51c make electrical conta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is turned on or off.
한편,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내경(71c)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71d)가 구비되어 요형상의 상기 음단자부(51c)와 전기적 접점 및 접점해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71c)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stepped portion (71d) is provided to achieve electrical contact and release contact with the concave-shaped sound terminal portion (51c).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고정홈(31)과 인접하는 외경 상에 소정형상으로 횡방 돌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걸림부재(38)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날개(20)의 배기공(22)은, 상기 걸림부재(38)와 동일 형상으로 절취 천공된 절취부(22b); 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er 3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locking members 38 protruding laterally in a predetermined shape on an outer diameter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31; The exhaust hole 22 of the blade 20, the cutout portion 22b cut and drill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cking member 38;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구(30)는, 투광소재, 반투광소재로부터 선택됨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fixture 30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 semi-transmissive material.
여기에서, 통상의 셔틀콕이란, 앞서 언급된 바 있는 경기용 셔틀콕 및 보급형 셔틀콕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핵심구성물인 배기공이 형성된 격벽을 갖는 날개, 그리고,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헤드를 모두 구비하는 상태의 셔틀콕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이 경기용 셔틀콕에 적용되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 있는 종래기술2의 특정구성물 즉, 날개고정부와 헤드가 상호 나사체결을 이루어 날개가 손상되었을 시에는 날개부분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주장하고자 하는 특징적 구성부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conventional shuttlecock refers to both the above-mentioned racing shuttle and the entry-level shuttlecock, which have both a wing having a partition wall having an exhaust hole as its core component, and a head having a space therein. If the shuttle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mpetition shuttlecock, when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prior art 2, that is, the wing fixing part and the head are screwed with each other and the wings are damaged There may also be made to replace only the wing portion,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to claim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10)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10)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70)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lec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the shuttlec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emitt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도 2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10)은, 앞서 언급된 바 있는 통상의 보급형 셔틀콕 즉, 내부에 공간부(42)가 형성되고 그 상단이 협소한 내경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단턱(41)을 구비하는 헤드(40);2 to 5, the shuttle c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having a conventional inner-type shuttlecock as mentioned above, that is, the space 42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end has a narrow inner diameter. A head 40 having a step 41;
상기 공간부(42)로 삽입되어 상기 단턱(41)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21)를 구비하는 삽입단(27), 상기 삽입단(27)의 상단면을 마감하는 격벽(60) 및, 상기 격벽(60)을 수직 관통하는 배기공(22)을 구비하는 날개(20);로 이루어진다.An insertion end 27 having a locking member 21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42 and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41, a partition wall 60 closing an upp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27, and And a wing 20 having an exhaust hole 22 vertically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60.
여기에서, 상기 배기공(2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에 광원(50)이 매립된 구성을 갖는 컵상의 광원고정모듈(71)과,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광원(5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양단자부(51a) 및 음단자부(51b,51c)를 구비하는 배터리(51) 및, 상기 배터리(51)의 일단을 수용하는 로드형상의 고정구(30)로 이루어진 발광기(70)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공(22)에 억지끼움 체결되어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이 상기 헤드(40)의 공간부(42)로 진입 및 수용되는 체결 구성을 갖는다.Here, a cup-shaped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exhaust hole 22 and having a light source 50 embedded therein, and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to be inserted into the light source. A light emitter comprising a battery 51 having both terminal portions 51a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51b and 51c for supplying power to the 50 and a rod-shaped fixture 30 for receiving one end of the battery 51. 70 is provided and fastened to the exhaust hole 22 so that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enters and receives into the space 42 of the head 40.
이를 보다 상술하면,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은, 컵상의 몸체(71a)와 상기 몸체(71a)의 정수리의 내부에 상기 광원(50)이 매립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광원(50)의 양단자부(50a)와 음단자부(50b)가 연결되는 바, 상기 양단자부(50a)는 상기 몸체(71a)의 중앙부위면에 위치되게 매설되고 상기 매설된 양단자부(51a)와 상응하는 상기 몸체(71a)의 소정부위가 상기 양단자부(51a)에 이르기까지 천공된 단자삽입홈(7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71a)의 내경(71c) 소정부위에는, 상기 배터리(51)의 외경에 구비되는 철형 음단자부(51b)와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광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단자부(51b)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51)는, 도 4에서와 같이, 배터리(5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양단자부(51a)와, 배터리(51)의 상측 외경 상에 요철작용에 따른 철(凸)형상의 철형 음단자부(51b)와 요(凹)형상의 요형 음단자부(51c)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배터리(51)의 음단자부(51b, 51c)는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내경(71c)으로 삽입되어 상기 광원(50)으로부터 인출된 음단자부(50b)와 전기적 접점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51)가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내경(71c)으로 더욱 진입됨에 따라 배터리(51)의 양단자부(51a)가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단자삽입홈(71b)으로 삽입되어 상기 광원(50)으로부터 인출된 양단자부(50a)와 전기적 접점을 이룸으로써, 광원(50)이 점등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More 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50 is embedded in a cup-shaped body 71a and the crown of the body 71a. Here, the both terminal portion 50a and the negative terminal portion 50b of the light source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oth terminal portions 50a are buri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central surface of the body 71a and the embedded both ends. A terminal insertion groove 71b is formed in whi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71a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portion 51a reaches the both terminal portions 51a. 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71c of the body 71a, the negative terminal portion 51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5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ron type negative terminal portion 51b provid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attery 51. ) Is configured. Here, the battery 51 is, as shown in Figure 4, both terminal portions (51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attery 51, and the iron shape of the concave-convex action according to the uneven action on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battery 51 Consists of a concave conical terminal portion 51b and a concave concave concave terminal portion 51c, and the negative terminal portions 51b and 51c of the battery 51 have an inner diameter 71c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As the battery 51 further enters the inner diameter 71c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while being inserted into and mad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gative terminal part 50b drawn from the light source 50, Both terminal portions 51a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s 71b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both terminal portions 50a drawn from the light source 50, thereby turning on the light source 50. Principle of operation
한편, 상기 고정구(30)는, 로드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그 일측단에 상기 배터리(51)의 양단자부(51a)를 구비하지 않은 타측말단이 삽입 수용되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단의 외경 상에 나사산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는 다수의 철부 등으로 구현되는 체결부(34)가 상기 날개측(20)의 배기공(22)을 이루는 격벽(6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4)의 상방 외주면으로 횡방향 연장되어 확장된 면적을 갖는 걸림턱(37)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37)의 상방으로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33)가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er 30 has a rod-shaped body, the fixing groove 31 is formed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portion that is not provided with both terminals 51a of the battery 51 is inserted into one side end, A fastening part 34 formed of a screw thread or a plurality of convex part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one end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60 forming the exhaust hole 22 of the wing side 20. And a latching jaw 37 having an extended area extending laterally to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34, and having a length and a shape that is easy to be gripped by a user above the locking jaw 37. A handle 33 is constructed.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1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발광기(70)의 손잡이(33)를 파지한 상태에서 광원고정모듈(71)을 배터리(51)방향으로 가압작용을 실시하여 배터리(51)의 단자부(51a, 51b)가 광원(50)의 단자부(50a, 50b)와 상호 전기적 접점을 이루도록 설정함으로써 광원(50)이 점등되도록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음단자부(50b, 51b)는 상호 전기적 접점을 이룬 상태이며, 상기와 같이 광원고정모듈(71)의 가압작용에 의해 광원(50)과 배터리(51)의 양단자부(50a, 51a)가 상호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작동원리를 갖는 것이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shuttle c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presses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toward the battery 51 in a state of holding the handle 33 of the light emitter 70 By setting the terminal portions 51a and 51b of the battery 51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s 50a and 50b of the light source 50, the light source 50 is turned on. In this case, the negative terminal parts 50b and 51b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oth terminal parts 50a and 51a of the light source 50 and the battery 51 are pressed by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as described above. Has the operating principle of forming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이후,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손잡이(33)를 파지한 상태에서 셔틀콕 날개(20)의 내부 후면으로부터 헤드(40)방향으로 상기 발광기(70)를 진입시켜 상기 고정구(30)측 체결부(34)를 상기 배기공(22)으로 억지끼움 삽입을 실시하고 상기 고정구(30)의 걸림턱(37)이 상기 배기공(22)을 이루는 격벽(60) 상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시킨다.Thereafter, the user enters the light emitter 70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40 from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shuttlecock wing 20 in the state of holding the handle 33 as described above, and the fastener 30 side fastening portion 34. Is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22 and fastened so that the locking jaw 37 of the fixing tool 30 can be caught and supported on the partition wall 60 constituting the exhaust hole 22.
따라서 상기 광원(50)의 점등작용에 의해 셔틀콕 헤드(40)가 발광을 실시하게 되므로 조명효과를 달성하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발광기(70)를 소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의 역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광원(50)의 소등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셔틀콕의 사용에 있어 조명효과가 요구되지 않는 주간 등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70)를 셔틀콕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 할 수도 있으며, 조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단한 작동원리에 의해 소망하는 조명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huttlecock head 40 emits light by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50, the lighting effect is achieved, and when the user wants to turn off the light emitter 70, the abov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The light source 50 can be turned off. Therefore, during the day when the lighting effect is not required in the use of the shuttlecock, the light emitt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separately from the shuttlecock, and in the situation where lighting is required, a simple operation principle as described above is desired. Lighting effect can be achieved.
바람직하기로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70)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원(50)은 발광효율이 좋고 소비전력이 적은 엘이디(LED)로 구현함이 좋으며, 배터리(51)는 중량과 부피가 작은 형태의 리튬이온배터리로 구현됨이 좋으나 부피와 중량이 작으며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것이라면 모두 이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투광소재로 이루어져 셔틀콕 헤드(40)로부터 반사된 빛을 날개(20)의 후방 및 측방으로 소정의 광발산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배드민턴을 즐기는 플레이어는 물론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 모두가 셔틀콕의 비행궤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Preferably, in constituting the light emitt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5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n LED (LED) with good luminous efficiency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 battery 51 is small in weight and volume It is good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lithium ion battery, but if the volume and weight is small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can be applied to this type. In addition, the fixture 30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configured to achieve a predetermined light divergence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huttlecock head 40 to the rear and side of the wing 20, the player enjoying the badminton as well as watching It is good to configure so that everyone can recognize the shuttle trajectory.
또한, 전술한 광원고정모듈(71)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광원(50) 및 단자부(50a, 50b)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특정부위에 위치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사출공정에 의해 상기 몸체(71a)와 광원(50) 등을 일체로 형성하여 저렴한 제조원가를 실현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the body 71a by an injection process in the state that the light source 50 and the terminal portion (50a, 50b) is set to be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as mentioned above And the light source 50 and the like ar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low manufacturing cos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7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로서, 앞서 언급된 제1실시예의 구성을 차용하되 셔틀콕의 날개의 측방 및 후방으로의 발광효율을 개선한 발광기(70)를 예시하고 있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ght emitt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6, borr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but the side of the wing of the shuttle cock And a light emitter 70 having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to the rear.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발광기(70)는, 고정구(30)의 특정부위면 상에 스크래치 패턴(80)이 형성하고, 광원고정모듈(71)을 이루는 몸체(71a) 및 상기 몸체(71a)의 내경(71c)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차부(71d)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6 and 7, the light emitter 70 includes a body 71a and a body 71a forming a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by forming a scratch pattern 80 on a specific surface of the fixture 30.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r more stepped portions 71d are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71c.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되, 광원(50)을 내부에 함유하는 몸체(71a)의 특정부위가 구형상과 같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71a)를 이루는 내경(71c) 상에 철부 또는 나사산형태로 구현되는 다수의 단차부(71d)가 형성된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In more detail,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7, but includes a light source 50 therein. The specific part of the structure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uch as a sphe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71d)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71c) constituting the body (71a) formed in the form of iron or screw Has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손잡이(33) 및/또는 고정홈(31)을 갖는 일측단면 상에 소정형상으로 스크래치 패턴(8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투광소재 및/또는 반투광소재로부터 선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er 30, the scratch pattern 8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one side surface having a handle 33 and / or the fixing groove 31, the fastener is a translucent material and / or translucent material Selected from.
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의 몸체(71a) 내경(71c) 상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71d)는, 앞서 언급된 배터리(51)의 요형 음단자부(51c)와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광원고정모듈(71)의 내경(71c) 하방에 위치하는 단차부(71d)와 상기 배터리(51)의 요형 음단자부(51c)가 요철 결합을 이루게 되면 상기 배터리(51)의 양단자부(51a)가 광원(50)의 양단자부(50a)와 전기적 접점을 이룰 수 없는 상태로 설정되며, 광원고정모듈(71)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내경(71c)의 상방에 위치하는 단차부(71d)에 상기 배터리(51)의 요형 음단자부(51c)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광원(50)과 상기 배터리(51)의 양단자부(50a, 51a)가 상호 전기적 접점을 이룸으로써 광원(50)이 점등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광원고정모듈(71)이 상기 배터리(51)로부터의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점등과 소등을 촉감으로써 인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Looking at the operation effect,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 (71d)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71c) of the body (71a)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corresponds to the concave negative terminal portion (51c) of the battery 51 mentioned above When the stepped portion 71d positioned below the inner diameter 71c of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and the concave-shaped sound terminal portion 51c of the battery 51 form concave-convex coupling as shown in FIG. 7. Both terminal portions 51a of the battery 51 are set in a state in which electrical contact with both terminal portions 50a of the light source 50 is impossible, and the inner diameter 71c is pressed by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When the recessed sound terminal portion 51c of the battery 51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71d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50 and the both terminal portions 50a and 51a of the battery 5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ight source 50 is turned on by forming a contact point. Therefore,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can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battery 51,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perceived by tactile lighting and turning off.
이 때, 상기와 같이 광원(50)이 점등되면 광원고정모듈(71)을 이루는 몸체(71a)가 구형상으로써 횡방 확장된 구성을 갖는 바, 광원(5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다양한 각도(특히, 후방의 날개방향)로 광확산이 이루어지며, 이에 셔틀콕 헤드(40)의 공간부(42)로부터 반사된 빛이 상기 고정구(30)의 고정홈(31)을 이루는 일단면 상에 형성된 스크래치패턴(80)에 입사되어 손잡이(33)방향으로 빛의 산란 및 굴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손잡이의 말단면에 이르러서는 보다 많은 광량이 표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스크래치패턴(80) 등을 경유한 빛은 손잡이(33)의 외경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크래치 패턴(80)으로 입사되어 스크래치(81)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향해 스크래치(81)에 집광된 빛이 광표출을 이루게 되므로 보다 많은 광표출을 이루게 되는 바, 하나의 광원(50)을 이용하여 헤드(40)측은 물론, 날개(20)의 후방 및 측방에 까지 광확산 및 집광을 실시하여 셔틀콕(10) 전체가 하나의 조명등과 같이 광발산을 이룰 수 있어 시인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ight source 50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the body 71a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fixing module 71 has a laterally extended configuration as a spherical shap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50 has various angles (particularly, , The light spreading in the rear wing directio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pace 42 of the shuttlecock head 40 is scratch pattern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31 of the fixture 30 The light incident on the handle 80 causes light scattering and refra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33 so that a greater amount of light reaches the end surface of the handle. Thereafter,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cratch pattern 80 is incident on the scratch pattern 8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33 to the scratch 81 toward the surface where the scratch 81 is not formed. Since the collected light is made to emit light, more light is produced. By using one light source 50, light diffusion and condensing are performed not only on the head 40 side but also on the rear and side of the wing 20. Thus, the entire shuttlecock 10 can achieve light divergence like a single lamp,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3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2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되, 손잡이(33)의 말단부가 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그 외주면 상에 나선형상의 스크래치(81)를 형성함으로써, 파지가 용이하고 셔틀콕의 비행에 있어 심미감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손잡이(33)의 형태가 원추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써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체결부(34)는, 걸림턱(37)과 상기 걸림턱(37)으로부터 앞서 언급된 격벽(60)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만큼의 거리에서 횡방 연장 돌출된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바, 배기공(22)과 억지끼움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하였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tur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formed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33 can have a more expanded area By forming a spiral scratch 8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easy to grip and illustrates a configuration that can maximize the aesthetics in the flight of the shuttlecock. In addi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handle 33 is shown in the shape of a cone in FIG. 8,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34 illustrated in FIG. 8 includes a locking jaw that protrudes laterally at a distanc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locking jaw 37 and the barrier rib 60 mentioned above from the locking jaw 37. To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configuration was made to be fastened to the exhaust hole 22 and the interference fit.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3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고정구(30)가 체결된 상태의 부분확대단면도 및 고정구(30)가 장착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셔틀콕(10)의 후면도로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개시된 셔틀콕의 구성을 그대로 차용하되, 고정구(30) 및 이와 체결되는 날개(20)에 형성된 배기공(22)을 구성함에 있어 고정구의 삽입 및 슬라이딩 잠금ㆍ잠금해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xtur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fixture 30 of FIG. 9 is faste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mounting the fixture 30. As a rear view of the shuttle c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orr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uttle cock disclos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s it is, to configure the exhaust hole 22 formed in the fixture 30 and the wing 20 coupled thereto It illustrates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insertion of a fixture and sliding locking and unlocking are possible.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고정구(30)의 일단 즉, 배터리(51)가 고정되는 고정홈(31)의 외경 상에 소정형상과 소정면적으로 횡방 돌출된 걸림부재(38)가 형성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38)는 유격부(39)간에 상측 걸림부(38a)와 하측 걸림부(38b)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격부(39)는 앞서 언급된 날개(20)의 격벽(60)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그 체결원리를 살펴보면, 날개(20)에 구성된 격벽(60) 또한, 상기 유격부(39)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천공된 중공(22a) 및 상기 중공(22a) 중 상기 걸림부재(38)와 상응하는 부위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써 절취 구성된 절취부(22b)가 구비되는 바, 도 10에서와 같은 체결단면을 갖는다.9 and 10, at one end of the fixture 30, that is, the engaging member 38 protru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groove 31 to which the battery 51 is fixed. As illustrated, the locking member 38 includes an upper locking portion 38a and a lower locking portion 38b between the clearances 39, and the clearance 39 is a partition wall of the wing 20 mentioned above. It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which consists of thickness same as (60). Looking at the fastening principle, the partition wall 60 formed in the wing 20, and also the hollow 22a and the locking member 38 of the hollow 22a and the perforated to a size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clearance 39 A cutout portion 22b having a corresponding portion cut in the same shape and size is provided, and has a fastening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1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구(30)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재(38)와 상기 배기공(22)의 형상을 일치시킨 후, 상기 고정구(30)를 상기 배기공(22)으로 진입시켜 고정구(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재(38)가 격벽(60)의 내부면 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한다. 물론, 상기 고정구(30)의 체결해제방법은 상기한 역동작을 취함에 따라 용이한 체결해제를 이룰 수 있다.In more detail, after matching the shape of the engaging member 38 and the exhaust hole 22 formed in the fixture 30, the fixture 30 is entered into the exhaust hole 22 to fix the fixture Rotate 3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fasten the locking member 38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60. Of course, the release method of the fastener 30 can achieve an easy release by taking the reverse action.
이러한, 체결원리는, 앞서 언급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체결방식 즉, 고정구(30)와 배기공(22)의 억지끼움결합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체결 및 체결해제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This, the fastening princi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urability due to the interference fit of the fastening method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at is, the fastener 30 and the exhaust hole 22, as well as increase the binding force And the fastening and disengaging action can be more easily achieved.
바람직하기로는, 앞서 언급된 제2 및 제3실시예에 개시된 스크래치 패턴(80)은, 고정구(30)의 배터리(51)와 인접하는 부위면으로부터 손잡이의 말단부를 향하여 점차 조밀하게 구성하여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날개(20)의 후방 및 측방으로 균일한 조도로써 광표출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Preferably, the scratch pattern 80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s gradually densifi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from the site surface adjacent to the battery 51 of the fixture 30, so that the light source ( The light incident from 50 may be configured to achieve light expression with uniform illuminance to the rear and side of the wing 20.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70) 및 상기 발광기(70)를 구비하는 셔틀콕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특정구성물을 상호 선택적으로 조합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보급형 셔틀콕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경기용 셔틀콕 또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기술범주 내에 있다할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er 70 and the shuttlecock provided with the light emitt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That is,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may also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entry-type shuttlecock, but the competition shuttlecock may also be configur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also b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 및 상기 발광기가 적용된 셔틀콕에 의할 것 같으면, 광원과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기가 통상의 셔틀콕에서도 체결 적용 가능하여 별도의 구매 비용이 소비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발광기는 셔틀콕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uttle cock are applied to the light emitter, the light emitter made of a light source and a battery, etc. may be fastened and applied in a normal shuttle cock,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o additional purchase cost is consumed.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bar is made to be detachable from the shuttlecock, and thus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또한, 셔틀콕의 다양한 각도에서도 관찰될 수 있도록 그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등을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소비전력의 절감은 물론, 종래의 기술과 대비하여 작은 중량과 부피로 구현할 수 있고, 특히 간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visibility can be maximized so that it can be observed from various angles of the shuttlecock, and since it is not equipp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well as a small weight and volume can be realiz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particular, it is a very useful design with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especially made of a simplified configura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040U KR200366622Y1 (en) | 2004-07-05 | 2004-07-05 | Shuttlecock |
JP2006518549A JP2007521083A (en) | 2003-07-07 | 2004-07-07 | Shuttlecock |
PCT/KR2004/001670 WO2005002684A1 (en) | 2003-07-07 | 2004-07-07 | Shuttlec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9040U KR200366622Y1 (en) | 2004-07-05 | 2004-07-05 | Shuttlec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622Y1 true KR200366622Y1 (en) | 2004-11-09 |
Family
ID=493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9040U KR200366622Y1 (en) | 2003-07-07 | 2004-07-05 | Shuttlec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622Y1 (en) |
-
2004
- 2004-07-05 KR KR20-2004-0019040U patent/KR20036662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4668B1 (en) | Structure of a shining personal adornment | |
US20070021244A1 (en) | Illuminating ball | |
US20070281811A1 (en) | Ball with lighting device | |
US6808290B2 (en) | LED flashlight assembly | |
WO2006086572A3 (en) | Miniature flashlight | |
KR200366622Y1 (en) | Shuttlecock | |
CN208319999U (en) | luminous building block toy | |
CN217526352U (en) | Function of component and spinning top | |
KR20100103282A (en) | Shuttlecock having electric lighting means | |
KR100861141B1 (en) | Shuttlecock of badminton | |
KR100953793B1 (en) | Light emitting diode module for shuttlecock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 |
US20060096406A1 (en) | Gear lever having a light emitting effect | |
JP2007521083A (en) | Shuttlecock | |
US20040095755A1 (en) | Flashlight having two sets of bulbs | |
KR200333646Y1 (en) | A shuttlecock with luminous device | |
KR200362981Y1 (en) | Racket that equip emitting light device | |
CN209679445U (en) | A kind of novel luminous badminton ball support | |
KR200439558Y1 (en) | Shuttlecock having electric lighting means | |
CN218515626U (en) | Novel top spiral egg ware | |
CN209809452U (en) | Luminous badminton | |
KR200388395Y1 (en) | A radiation of badminton ball | |
KR200362734Y1 (en) | luminous shuttle cock | |
KR200359310Y1 (en) | Night shuttlecock | |
KR200437700Y1 (en) | shuttlecock having electric lighting means | |
KR200377949Y1 (en) | Radiation type badminton shuttlec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2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