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308Y1 - 곶감 건조대 - Google Patents

곶감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308Y1
KR200366308Y1 KR20-2004-0023650U KR20040023650U KR200366308Y1 KR 200366308 Y1 KR200366308 Y1 KR 200366308Y1 KR 20040023650 U KR20040023650 U KR 20040023650U KR 200366308 Y1 KR200366308 Y1 KR 200366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dried
drying
hook portion
dried persi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이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형 filed Critical 이진형
Priority to KR20-2004-0023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중인 곶감의 변질을 최소하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곶감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곶감을 건조대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곶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가로살대들과 세로살대들을 서로 교차시켜 구성하며, 상기 가로살대와 세로살대의 교차면에는 곶감이 걸려지도록 체결구멍을 가지는 걸이부를 형성시켜 구성한 곶감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려지는 곶감과 걸이부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도록 돌출부를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곶감 건조대{a dried persimmons drying}
본 고안은 곶감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중인 곶감의 변질을 최소화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곶감을 동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곶감은 일종의 건시라고도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결실된 감이 홍씨로 완전히 익기전에 이를 수확하여 껍질을 제거한 다음, 이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로우프에 고정시킨 다음, 건조바라 일컬어지는 지지대에 매달아 건조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곶감을 건조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의 인력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건조과정에서 감 자체가 가지는 무게로 인해 처지는 등의 형상변형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346049 호(명칭: 곶감 건조대)(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잇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각지지틀내에 격자형태로 다수의 가로살대와 세로살대를 교차시키고, 이 가로 및 세로살대로 형성된 공간으로 곶감을 걸이부에 매달아 건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로 인해 작업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걸이부에 걸려지는 곶감이 상기 걸이부에 항시 접촉된 상태에서 건조되어 짐으로서 건조과정에서 접촉부위로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부위가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꼭지부가 짧은 곶감의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곶감건조대는 외곽의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지지틀로 인해 통풍성 저하와 다른 곶감건조대와의 연결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연결시에 곶감건조대의 공간활용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사가지지틀의 성형에 따른 재료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걸이부의 전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곶감이 걸이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건조과정에서 곶감의 변질이나 부패됨을 방지할 수 있는 곶감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건조핀을 이용하여 곶감을 걸이부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꼭지부가 없는 곶감역시 건조대의 걸이부에 간편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곶감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곽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지지틀없이 가로살대와 세로살대만으로 곶감 건조대를 제작함으로서 재료비 절감은 물론 다른 곶감 건조대와의 연결작업이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활용을 최대화하여 보다 많은 양의 곶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곶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가로살대들과 세로살대들을 서로 교차시켜 구성하며, 상기 가로살대와 세로살대의 교차면에는 곶감이 걸려지도록 체결구멍을 가지는 걸이부를 형성시켜 구성한 곶감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려지는 곶감과 걸이부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도록 돌출부를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곶감 건조대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곶감 건조대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인 곶감 건조대에 곶감이 걸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인 곶감 건조대에 건조핀을 사용하여 곶감이 걸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곶감 건조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로살대 12: 세로살대
16: 걸이부 20: 돌출부
22: 건조핀 24: 후크부
26: 고정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곶감의 변질을 최소하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곶감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곶감을 건조대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대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러한 곶감 건조대의 상세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인 곶감 건조대(100)는 곶감(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들을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 것으로서, 이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의 교차면에는 곶감(1)의 꼭지부(1a)가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18)을 가지는 걸이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곶감(1)이 수용되어 지는 공간부(14)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벌집모양인 육각형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크기가 큰 곶감의 수용시에 곶감 아랫부분이 가로살대(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이부(16)는 곶감(1)이 수용되어 지는 공간부(14)마다 각각 하나씩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이부(16)의 전면 하단에는 "V"형상을 가진 돌출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20)는 상기 걸이부(16)에 걸려지는 곶감(1)과 걸이부(16)사이에 일정공간 만큼의 간격(G)을 발생시켜 곶감(1)의 변질이나 부패를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곶감(1)을 걸이부(16)에 걸어주게 되면 돌출부(20)로 인해 곶감(1)과 걸이부(16) 사이에는 간격(G)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간격(G)으로 인해 곶감(1)은 걸이부(16)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곶감(1)의 변질이나 부패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곶감(1)을 걸이부(16)에 걸어주는 과정에서 곶감(1)의 꼭지부(1a)가 없거나 짧은 꼭지부를 가진 곶감(1)의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핀(22)을 통해 곶감 건조대(10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러한 건조핀(22)의 상세구조는 첨부된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토록 한다.
상기 건조핀(22)은 180° 절곡되어 곶감(1)의 일측에 삽입되어 지는 후크부(24)와, 상기 후크부(24)에 연장 형성되며 90°절곡되어 상기 걸이부(16)에 끼워지는 고정부(26)로 나뉘어져 구성된다. 여기서 곶감(1)에 삽입되는 후크부(24)를 180°절곡시켜 구성한 것은 곶감 건조시 상기 곶감(1)이 건조핀(22)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핀(22)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후크부(24)를 절곡 구성함으로서 삽입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곶감(1)의 꼭지부(1a)쪽으로 얇게 삽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종래와 달리 삽입부위의 변질이나 부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건조핀(22)은 사용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24)를 곶감(1)의 일측인 꼭지부내로 삽입한 다음, 고정부(26)를 걸이부(16)의 체결구멍(18)에 끼워넣어 줌으로서 꼭지부가 없는 곶감(1)역시 건조대(100)에 간편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곶감 건조대(1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고안인 곶감 건조대(100)는 사용시 체결수단(40)을 통해 지지봉(50)에 매달아 사용하게 되며, 또한 다른 곶감 건조대(100')와의 연결시에도 연결끈(60)으로 상호 결속 시켜주는 동작만으로 간편히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곶감이 걸려지는 걸이부의 전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곶감이 걸이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종래 접촉부위에서 빈번히 발생되던 변질이나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건조핀을 이용하여 꼭지부가 없는 곶감 역시 걸이부에 간편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외곽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지지틀없이 가로살대와 세로살대만으로 곶감 건조대를 제작함으로서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다른 곶감 건조대와의 연결작업을 보다 손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곶감(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가로살대(10)들과 세로살대(12)들을 서로 교차시켜 구성하며, 상기 가로살대(10)와 세로살대(12)의 교차면에는 곶감(1)이 걸려지도록 체결구멍(18)을 가지는 걸이부(16)를 형성시켜 구성한 곶감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6)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걸이부(16)에 걸려지는 곶감(1)과 걸이부(16)사이에 간격(G)이 발생하도록 돌출부(20)를 형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6)에는 곶감(1)을 고정시키기 위한 건조핀(22)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핀(22)은;
    180° 절곡되어 상기 곶감(1)의 일측에 삽입되는 후크부(24)와, 상기 후크부(24)에 연장 형성되며 90°절곡되어 상기 걸이부(16)에 끼워지는 고정부(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대.
KR20-2004-0023650U 2004-08-19 2004-08-19 곶감 건조대 KR200366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50U KR200366308Y1 (ko) 2004-08-19 2004-08-19 곶감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50U KR200366308Y1 (ko) 2004-08-19 2004-08-19 곶감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308Y1 true KR200366308Y1 (ko) 2004-11-04

Family

ID=4935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50U KR200366308Y1 (ko) 2004-08-19 2004-08-19 곶감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742B1 (ko) 2018-01-25 2018-03-16 윤순영 상하 반전형 곶감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742B1 (ko) 2018-01-25 2018-03-16 윤순영 상하 반전형 곶감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29B1 (ko) 고추작물용 지지대
CN200969823Y (zh) 营茧槽蔟具
KR101769449B1 (ko) 비가림시공이 가능한 농작물 가지걸침지지구
CN213784406U (zh) 七彩番茄大棚种植支撑装置
KR200366308Y1 (ko) 곶감 건조대
CN216140530U (zh) 甜瓜保鲜贮藏网架
CN212936969U (zh) 一种大葱育种防倒伏固定装置
KR200426529Y1 (ko) 곶감꽂이 행거
JP5185053B2 (ja) 網又はシートの定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植物育成用ハウス
KR200477174Y1 (ko) 농작물 지지대
KR200445203Y1 (ko) 곶감 제조용 걸이구
CN205848387U (zh) 一种黄粉虫专用养殖架
KR101155520B1 (ko) 식물줄기 지지용 줄 고정구
CN215912686U (zh) 一种辣椒种植架
CN207219598U (zh) 一种便于安装的园林树木用固定架
JP3069785U (ja) 鉢植え用装飾支柱
CN220674612U (zh) 一种树木种植用保护支撑装置
KR200430547Y1 (ko) 농작물 지지장치
CN216567165U (zh) 一种蔬菜大棚采摘装置
CN208598007U (zh) 一种货架挂钩
KR100499264B1 (ko) 농수산물 건조대
KR20140005240U (ko)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CN214711830U (zh) 一种景观园林挂架
KR200290900Y1 (ko) 곶감 건조대
KR102611180B1 (ko) 농작물 지지대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