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384Y1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384Y1
KR200365384Y1 KR20-2004-0020529U KR20040020529U KR200365384Y1 KR 200365384 Y1 KR200365384 Y1 KR 200365384Y1 KR 20040020529 U KR20040020529 U KR 20040020529U KR 200365384 Y1 KR200365384 Y1 KR 20036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5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38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38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 에는 내부에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폴더 및; 상기 본체의 상부형태를 유지하며 전면에는 양측 끝단에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수직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조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대향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폴더가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 개폐가 가능하여 동영상, 전자수첩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from the main body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provided with a keypad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function key on the front surface, the main body having a 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inside the upper end ; A folder having a liquid crystal screen for outputting an image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center thereof; Maintaining the upper form of the main body on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vertical hinge engag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by the vertical hinge and the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the lower one side of the first of the main body The hinge module includes a hinge module having a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which is rotatably coupled by a horizontal hi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hinge coupler. The folder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vided is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use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a notebook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폴더를 본체로부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hat allows a folder to be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om a main body by an independently configured hinge module to more effectively use various multimedia service functions. It relates to a terminal.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gradually expanded to allow the transmission of text messages and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internet connection, and the transmission of video calls and image information.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 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 되어 가고 있으며, 그 종류로도 다양한 형태의 종류를 갖는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As the diffus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widely us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consumer demands rela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terminals having various types have emerged.

그 중에서 크기도 작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며, 타 기종에 비해 큰 액정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small size and light weight are easy to carry, and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dvantage of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n a large LCD screen compared to other models is being used mo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를 매개로 하여 수직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고, 액정화면 또한 세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에서 와이드 뷰(Wide View)를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단말기를 옆으로 위치시킨 뒤, 화면을 봐야 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으며, 옆으로 위치시킨다 하더라도 안정적인 화면위치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inge, and the LCD screen is also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in using various multimedia services. That is, even if the software supports wide view, there is a structural disadvantage of viewing the screen after the terminal is positioned sideways, and even if the side is positioned sideways, there is a problem that stable screen position is impossi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396호에서와 같이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in which a folder is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from a main body as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5396.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ventional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s as follows.

도 1a는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IG. 1B is a folde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ly.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opened in the direction.

도 1a 및 도 1b의 도시와 같이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와, 폴더(30)및,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마련되는 힌지결합용 판부재(52)와 상기 판부재(52)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판부재(52)를 매개로 상기 폴더(30)를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1힌지부(54)와 상기 판부재(52)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폴더(30)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힌지부(56)로 구성되는 힌지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cludes a main body 20, a folder 30, and a hinge coupling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e first hinge portion 54 and the plate member coupled to the plate member 52 and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52 to open and close the folder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plate member 5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device 50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52 and composed of a second hinge portion 56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20)로부터 폴더(30)를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결합용 판부재(52)가 단지 본체(20)의 상부에 얻혀지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제 1힌지부(54)에만 의존하여 본체(2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폴더(30)의 잦은 여닫음에 따라 본체(20)로부터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힌지부(54)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결국 구조적으로 내구성 악화 및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아주 취약하다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s hinged plate member 5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30 from the main body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20 only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depending only on the first hinge portion 54, so that the main body is in accordance with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Lifting phenomenon occurs from (20). As a result,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54, which results in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very weak in terms of durability and reliability.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폴더가 본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은 물론, 수평방향으로의개폐까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from the main body by a hinge module configured independently, as well as horizont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n a direction so that the functions of various multimedia service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던 힌지모듈이 본체에 닫힐때, 이를 단속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인접위치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본체로부터 유동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폴더의 수직방향으로 잦은 여닫음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a flow from the main body by a stopper for intermittent when the hinge module is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inge module is closed to the main body, and a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stopp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olves the structural weakness caused by the stress concentration caused by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모듈이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힌지모듈에 카메라 모듈과 플래시 등의 내장형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타부품 및 기기와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카메라 모듈의 장착 및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충분한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크기가 커지는 광학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메가급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hinge module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dy, the built-in components such as the camera module and flash to the hinge module,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and devices, the installation and use of the camera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having an optical zoom function that increases in size by securing sufficient free space or a mega camera module that supports high resolution.

도 1a는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1b는 종래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op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Figure 3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3b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저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pening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수단에 적용되는고정구가 구 형태의 볼인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다.7A and 7B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installation stat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astener applied to a fixing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here-shaped ball.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수단에 적용되는 고정구가 반구 형태의 돌출부인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installation stat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case where the fastener appli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mispherical protrus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작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member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작동부재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4A and 14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shown in FIG.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

A - 이동통신 단말기 40 - 수직힌지A-mobile terminal 40-vertical hinge

50 - 수평힌지 100 - 본체50-Hinged 100-Body

110 - 제 1수평힌지 결합부 107 - 스토퍼110-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107-stopper

120,600 - 고정수단 121 - 삽입공120,600-Fixture 121-Insertion hole

123 - 고정구 124,630 - 스프링123-Fixtures 124,630-Springs

200 - 폴더 203 - 수화부200-Folder 203-Earpiece

220 - 제 1수직힌지 결합부 300 - 힌지모듈220-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300-hinge module

301 - 몸체 301a - 단차부301-Body 301a-Step

304,604 - 고정홈 310 - 제 2수평힌지 결합부304,604-Retaining groove 310-Second horizontal hinge joint

320 - 제 2수직힌지 결합부 303 - 멈치320-second vertical hinge coupling 303-stop

400 - 카메라 모듈 500 - 플래시400-Camera Module 500-Flash

610 - 작동부재 장착부 620 - 작동부재610-Actuator Mounting Section 620-Actuating Member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 에는 내부에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폴더 및; 상기 본체의 상부형태를 유지하며 전면에는 양측 끝단에 상기 제1수직힌지 결합부와 수직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조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대향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folder is opened or closed from the main body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provided with a keypad for inputting a signal and a function key on the front side, the uppe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therein main body; A folder having a liquid crystal screen for outputting an image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center thereof; Maintaining the upper form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side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vertical hinge engag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by the vertical hinge and the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the lower one side of the first of the main body And a hinge module having a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which is rotatably coupled by a horizontal hi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hinge coupler.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에 대한 저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view of the hinge modu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the hinge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는 크게 본체(100)와, 폴더(200) 및, 상기 본체(100)로부터 폴더(200)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모듈(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0, a folder 200, and a folder 200 opened and closed from the main body 100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hinge module 300 to enable the operation.

본체(100)는 일면에 신호발생 및 정보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패드(101)와 기능키(102)가 전면에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음성을 입력하도록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화부(103)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0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ain body 100 has a plurality of keypads 101 and function keys 102 on the front side for signal generation and information input on one side thereof, and a talker 103 including a microphone for inputting voices at the bottom center thereof. On the back, the battery 104 for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is detachably coupled.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 일측 끝단에는 내부에 홈 형태를 갖는 제 1수평힌지 결합부(110)가 구비되고, 이와 반대되는 위치에는 상부에 안테나(106)가 구비된 스토퍼(107)가 본체(100)의 후면과 측면에서 일정부분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110 having a groove shap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stopper 107 having an antenna 106 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hereto. A predetermined portion is extended and protruded from the rear and side of the (100).

폴더(200)는 본체(100)와 대략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며 일면에는 서브 액정화면(201)이 구비되고, 단말기(A)가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100)와 맞닿는 폴더(200)의 배면에는 메인 액정화면(202)이 구비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브 액정화면(201)이 생략될 수 있다.The folder 200 has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main body 100, and a sub liquid crystal display 201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older 200, and the main surface of the fold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while the terminal A is fold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202 is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the sub liquid crystal display 201 may be omitted.

또한, 메인 액정화면(202)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는 한조의 수화부(203)가 각각 구비된다. 즉, 메인 액정화면(202)을 와이드 화면으로 보기 위하여 폴더(200)를 수평방향으로 개방하였을 때, 메인 액정화면(202)의 양측단에 수화부(203)가 각각 배치되도록 폴더(200)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한조의 수화부(203)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을 스테레오 사운드의 입체음향을 느끼며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set of hydration units 203 are provided at an upper center and a lower center of the main LCD screen 202,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folder 200 is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view the main LCD screen 202 in a wide screen, the upper end of the folder 200 is arranged so that the receiver 20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ain LCD screen 202, respectively. In order to provide a user with a stereoscopic sound of stereo sound by using a set of sign language units 203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in the center and the lower center, the user can use the multimedia service.

그리고, 폴더(200)의 하부 중앙에는 일정부분 하부로 돌출되며, 일측에는 폴더의 내부와 연통된 삽입공(221)이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삽입공(221)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1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된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가 구비되어 폴더(200)를 구성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folder 200 protrudes downward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and an insertion hole 221 communicating with an inside of the folder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side has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insertion hole 221 at the other side thereof. A first vertical hinge coupler 2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to constitute the folder 200.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A)에는 상기 본체(100)와 폴더(200)를 수직 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300)이구비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module 300 that is independentl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a vertical direction.

힌지모듈(300)은 본체(100)의 상부형태를 유지하고 내부가 일정 공간을 갖는 몸체(301)와, 상기 몸체(301)의 전면 양측단에 구비되어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가 안착되기 위한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 및, 상기 몸체(301)의 일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부(310)로 구분된다.The hinge module 300 maintains an upper shape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first vertical hinge coupler 2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301. The second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320 to be seated, and the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310 is provided at one side lower end of the body 301.

또한, 몸체(301)의 일측에는 본체(100)에 구비된 스토퍼(107)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단차부(301a)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301a)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던 힌지모듈(300)이 본체(100)에 닫혀질 때, 본체(100)의 후면으로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body 301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301a to accommodate the stopper 107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The stepped portion 301a i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module 300 which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is closed.

즉, 본체(100)의 스토퍼(107)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몸체(301)의 일측을 일정부분 절개한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차부(301a) 내에 스토퍼(107)가 삽입되어 단차부(301a)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힌지모듈(300)이 본체(100)의 후면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된다.That is, by forming a stepped por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body 301 is partially cut to a size into which the stopper 107 of the main body 100 can be inserted, the stopper 107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portion 301a so that the stepped portion is inse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301a, the hinge module 300 is restricted from rotat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는, 폴더(200)의 제 1수직힌지 결합부(220)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공(2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폴더(30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더미힌지(321a)가 형성되고, 제 1삽입홈(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2삽입홈(321a')이 구비된 한조의 힌지너클(321)(321')로 구성되며, 이때 더미힌지(321a)의 내부에는 후술될 제 2수평힌지 결합부(310)의 배선인출로(311)와 연통되는 배선통로(321b)가 구비된다.The second vertical hinge coupler 320 is a dummy hinge that serves as a rotation axis of the folder 3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221 provided in the first vertical hinge coupler 220 of the folder 200. 321a is formed and a pair of hinge knuckles 321 and 321 'provid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321a'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not shown), wherein the dummy hinge ( A wiring passage 321b communicating with the wire drawing path 311 of the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31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side the 321a.

또한, 제 1삽입홈(미도시)과, 제 2삽입홈(321a')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는 수직힌지(4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not shown)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1a ') i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individually, and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therein The vertical hinge 40 is coupled.

또한, 상기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를 구성하는 한조의 힌지너클(321)(321') 사이에는 폴더(200)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 가장 안정적으로 통화할 수 있는 각도인 135도의 개방각을 갖고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멈치(303)가 구비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pair of hinge knuckles 321 and 321 constituting the second vertical hinge coupler 320, when the folder 20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ngle at which the folder 200 can be most stably communicated is 135 degrees. A stop 303 is provided to allow opening with an opening angle.

제 2수평힌지 결합부(310)는, 본체(100)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 1수평힌지 결합부(110)와, 제 2수평힌지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는 수평힌지(50)가 결합된다.The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31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rizontal hinge coupler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horizontal hinge coupler 110 and the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310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each, the horizontal hinge 5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therein is coupled.

또한, 상기 제 2수평힌지 결합부(310)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 2수직힌지 결합부(320)에 구비되어 있는 배선통로(321b)와 연통되어 폴더(200)의 배선과, 후술될 카메라 모듈(400)의 배선이 본체(100)내부로 연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배선인출로(311)를 구비하며 힌지모듈(300)을 구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er 310 communicates with a wiring passage 321b provided in the second vertical hinge coupler 320, and the wiring of the folder 200 is described below. A wire drawing path 311 is provided to allow the wiring of the camera module 400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constitutes the hinge module 300.

또한, 상기 수직힌지(40)와, 수평힌지(50)는 형태와 구성은 다르지만,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폴더(200)가 열리거나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의 수직힌지(40)와, 수평힌지(50)는 일정각도의 주기를 갖고 고정되는 클릭힌지 방식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hinge 40, the horizontal hinge 50 is different in shape and configuration, but by the spring force provided therein is rotated by the folder 200 to open or close the folder 200, the vertical in this manner The hinge 40 and the horizontal hinge 50 may be configured as a click hinge method that is fixed with a period of a predetermined angle or a free-stop hinge method that can be set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또한, 상기와 같은 클릭힌지 방식이나, 프리스톱힌지 방식으로 구성되는 수직힌지(40)와 수평힌지(50)는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hinge 40 and the horizontal hinge 50, which are configured as the click hinge method or the free stop hinge method, are already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체(100)에 힌지모듈(300)을 통하여 결합되는 폴더(200)는 수직방향으로의 개폐는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folder 2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hinge module 30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도 3b의 도시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300)의 몸체(301) 후면에는 외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400)이 장착된다. 즉, 힌지모듈(300)이 본체(1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몸체(301) 내부에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타 부품과의 간섭 없이 카메라 모듈(40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내장형 카메라 모듈 보다 크기가 커지는 광학줌 기능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이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메가급 카메라 모듈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module 400 for capturing an external image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dy 301 of the hinge module 300 independently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3b. That is, since the hinge module 300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dy 100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secured inside the main body 301, the camera module 400 can be mounted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unt a camera module capable of an optical zoom function that is larger than a conventional built-in camera module or a mega camera module supporting high resolution.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400)이 설치되는 그 인접부분으로는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플래시(500) 등의 내장형 부품을 상기 몸체(301) 내의 공간을 통하여 함께 장착할 수 있어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힌지모듈(300)의 몸체(301) 내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djacent portion where the camera module 400 is installed, the built-in components such as flash 500 can be mounted together through the space in the body 301 so that shooting at night or in the dark can be mounted together. It can be mounted in the body 301 of the hinge module 300 without being limited.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107)의 인접위치로는 본체(100)로부터 힌지모듈(3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2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120)과 대응되는 위치의 힌지모듈(300) 하부에는 고정홈(304)이 구비된다. 이는 폴더(200)가 본체(1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기 위하여, 한쪽 측면에서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수평힌지(50)측에가해지는 응력집중 현상으로 인한 취약점을 보완함은 물론, 힌지모듈(300)이 본체(100)에 닫혔을 때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stopper 107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120 for fixing the hinge module 300 from the main body 100, the fixing means 120 and A fixing groove 304 is provided below the hinge module 30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is compensates for the vulnerability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horizontal hinge 50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 folder 200 must be rotatably coupled only on one side in order to op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00. Of course, when the hinge module 300 is closed to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arbitrary flow.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수단(12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ixing means 12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힌지모듈에, 고정수단과 고정홈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수단에 적용되는 고정구가 구 형태의 볼인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수단에 적용되는 고정구가 반구 형태의 돌출부인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means and a fixing groove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hinge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appli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at the fixture is a sphere-shaped ball, Figures 8a and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installation state showing a case where the fixture applied to the fixing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mispherical protrus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6 내지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A)에 적용되어 본체(100)로부터 힌지모듈(300)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고정수단(120)은, 본체(100) 상부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107)의 인접위치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삽입공(121)과,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며, 상부가 일정부분 개방되어 그 개방면 둘레가 단턱부(122a)를 이루는 원통형의 케이스(122)와, 상기 케이스(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구(123) 및, 상기 고정구(123)의 하부에 탄지되어 고정구(12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3)는 구 형태를 갖거나, 반구 형태를 갖는 고정구(123)가 적용될 수 있다.6 to 8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means 12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hinge module 300 from the main body 100,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stopper 107 provided in the insertion hole 12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around the opening surface (the stepped portion ( A cylindrical case 122 forming a 122a, a fastener 123 inserted into the case 122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22, and is supported by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er 123, the elastic force to the fastener 12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124 to give. In this case, the fastener 123 may have a spherical shape, or a fastener 123 having a hemisphere shape may be applied.

즉, 상기 고정구(123)가 구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케이스(122)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면의 직경이 구 형태의 고정구(123)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고정구(123)는 상기 개방면의 직경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된다.That is, when the fastener 123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since the diameter of the open surfac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2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er 123 of the spherical shape, the fastener 123 of the opening surface Only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고정구(123)는 케이스(122)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작용하는 힘에 따라 케이스(122)의 개방면 내부로 삽입되거나, 일정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성이다.Therefore, the fixture 123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22, is inserted into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122, or only a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force acting.

또한, 상기 고정구(123)가 반구 형태로 이루어 진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22)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판체(125)와, 상기 판체(125)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22)의 개방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구 형태의 돌출부(126)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체(125)가 케이스(1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판체(125)는 케이스(122)의 단턱부(122a)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돌출부(126)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astener 123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 disk-shaped plate body 125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22, and protrudes in the center of the plate body 125, Consists of a hemispherical protrusion 126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122, the plate body 125 is inserted into the case 122 by the plate body 125 is inserted into the case It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122a of the 122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and only the protrusion 126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따라서, 힌지모듈(300)이 본체(100)에 닫혀있을 경우에는 고정수단(120)의 고정구(123)가 힌지모듈(300)의 고정홈(304)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폴더(200)의 잦은 여닫음에 따라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inge module 300 is closed to the main body 100, it is randomly flown by being fixed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04 of the hinge module 300 by the fixing tool 123 of the fixing means 120. In addition to being prevente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stress applied by the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200 will be able to solve the structural weakness.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먼저, 이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폴더(200)를 수직방향으로 열어 메인 액정화면(202)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메인 액정화면(202)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First, in order to make a call, the user opens the fold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9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main LCD screen 202. In this case, the main LCD screen 202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이용자는 폴더(200)를 수직방향으로 개방하여 키패드(101)와 송화부(103)가 노출된 상태에서, 키패드(101)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송화부(103)와 수화부(203)를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a signal using the keypad 101 while the folder 20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keypad 101 and the talker 103 are exposed, and the talker 103 and the receiver.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through (203).

또한, 이 상태에서는 카메라(400)가 본체 후면을 향하게 되므로,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메인 액정화면(202)으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In this state, since the camera 400 faces the rear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while checking the main LCD screen 202.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폴더(200)를 닫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개방하게 된다.In this state, in order to use the multimedia service, the user opens the folder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10.

이와 같이 폴더(200)를 본체(10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개방하게 되면, 메인 액정화면(202)은 가로 방향인 와이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 액정화면(202)의 상,하단 중앙에 각각 위치하던 수화부(203)는 메인 액정화면(202)의 양측으로 배치되며, 힌지모듈(300)의 몸체(301)후면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400)은 메인 액정화면(202)과 동일한 위치로 회동된다.When the folder 200 is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LCD screen 202 is disposed in a wide shap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LCD screen 202, respectively. The receiver 203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LCD screen 202, and the camera module 400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301 of the hinge module 300 is rotated to the same position as the main LCD screen 202. .

따라서, 이용자는 메인 액정화면(202)을 바라보면서 안정적인 구도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ectively us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in a stable composition while looking at the main LCD screen 202.

또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때에도, 카메라 모듈(400)과 메인 액정화면(202)이 동일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카메라에 촬영되는 영상을 메인 액정화면(202)으로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hotographing itself, since the camera module 400 and the main LCD screen 202 face the same plan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can be photographed while checking the main LCD screen 202.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단말기에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작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작동부재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Figure 13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14a and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shown in FIG.

도 11 내지 도 1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600)은 본체(100)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107)와 인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작동부재 장착부(610)와, 상기 작동부재 장착부(610) 내에 장착되는 작동부재(620) 및, 상기 작동부재(620)의 하부에 탄지되어 작동부재(6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30)으로 구성된다.11 to 14, and the fixing mean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610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opper 107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 An operating member 620 mounted in 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art 610, and a spring 630 which is supported by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member 620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ng member 620.

또한, 상기 작동부재 장착부(610)와 대응되는 위치의 힌지모듈(300)에는 상기 작동부재(620)의 작동구(62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 고정홈(604)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inge module 300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61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604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rating hole 622 of the operating member 620. .

작동부재 장착부(610)는 일정 깊이를 갖는 작동홈(611)과, 상기 작동홈(611)의 하단 내부에 구비되는 축공(612) 및, 상기 작동홈(611)의 일측과 연결되어 본체(100)의 후면측으로 연통되는 장공(6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홈(611)의 상면 양측에는 후술될 작동부재(6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턱(614)이 구비된다.The operation member mounting part 6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groove 61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shaft hole 612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groove 611, and the operation groove 611, the main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ng hole 613 is communicated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groove 611 is provided with a fixing jaw 614 to prevent the operation member 620 to be described later is separated to the outside.

또한, 작동부재(620)는 상기 작동부재 장착부(610)의 작동홈(611)에 삽입되는 몸체(621)와, 상기 몸체(62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힌지모듈(300)의 고정홈(604)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에 의해 본체(100)로부터 힌지모듈(300)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작동구(6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동구(622)의 양측은 몸체(621)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몸체(621)의 상단이 턱부(623)를 이루도록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홈(6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턱(614)에 걸려 작동부재(6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620 is formed in the body 621 inserted into the operating groove 611 of 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610, the upper end of the body 621, the fixing groove of the hinge module 300 An operation tool 622 is provided to fix or release the hinge module 300 from the main body 100 by being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604.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operation port 622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62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ody 621 forms the jaw portion 623. This is to prevent the operation member 6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by being caught by the fixing jaw 614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groove 611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몸체(621)의 하단 중앙에는 작동축(62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작동축(624)은 후술될 작동노브(625)의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620)가 이동시 작동부재(6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홈(611)의 하단 중앙에 구비된 축공(61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작동부재(620)가 안정적으로 작동홈(611)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n operating shaft 624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621. That is, the operation shaft 624 is to enable a stabl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620 when the operation member 62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6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center of the operation groove 611 By being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612 provided in the operating member 620 is able to move stably in the operating groove 611.

한편, 상기 몸체(621)의 일측에는 작동노브(6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작동홈(611)과 연통된 장공(613)을 통하여 본체(100)의 후면측으로 노출되는 작동노브(625)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작동부재(62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ody 621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knob 625. That is, by operating the operating knob 625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ong hole 613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ng groove 61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620 from the outside.

또한, 작동노브(620)는 본체(10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후면 일정부분을 함몰시킨 요입부(64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작동노브(620)는 본체(100)의 후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하면서 사용자가 작동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knob 620 forms a recess 640 recessed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prevent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he operation knob 620 is the main body ( 100) can be made easy for the user to operate without protruding from the rear.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14a의 도시와 같이 작동부재(620)가 스프링(630)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모듈(3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홈(604)으로 삽입되어 본체(100)와 힌지모듈(3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normally, as shown in FIG. 14A, the operating member 6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04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module 3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30, so that the main body 100 and the hinge module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620. 300 remains fix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폴더(200)를 수평방향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본체(100)의 후면에 노출되어 있는 작동노브(625)를 하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와같이 작동노브(625)를 하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 14b의 도시와 같이 작동부재(620)의 작동축(624)이 축공(612)을 따라 이동되면서 작동부재(620)가 작동홈(61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본체(100)로부터 힌지모듈(300)이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such a state, in order to open the folder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peration knob 625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pushed downward, and when the operation knob 625 is pushed downwar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4B, as the operating shaft 624 of the operating member 620 moves along the shaft hole 612, the operating member 620 is moved downward of the operating groove 611, so that the hinge module from the main body 100. 300 becomes rotatabl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힌지모듈(300)을 본체(100)에 고정하려면,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작동부재(620)를 작동홈(611)의 아래쪽으로 밀어놓은 상태에서 힌지모듈(300)을 회동시킨 다음, 파지하고 있던 작동노브(625)를 놓게 되면 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620)는 다시 상부측으로 올라가면서 작동구(622)가 힌지모듈(300)의 고정홈(604)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100)로부터 힌지모듈(300)을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o fix the hinge module 300 to the main body 100 in such a state, the hinge module 30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620 is pushed downward of the operating groove 611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n, when the operating knob 625 was held, the operating member 620 is raised to the upper side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30, while the operating tool 622 is fixed groove 604 of the hinge module 300. It is to be inserted into the hinge module 300 from the main body 100 will be able to be fixed without flow.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폴더가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까지 개폐가 가능하여 동영상, 전자수첩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이용시 와이드 화면으로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폴더를 수평방향으로 개방하였을 때 액정화면과 카메라 모듈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화상채팅이나, 화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본인의 모습까지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등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장착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r can be opened and clos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hinge module that is independently configured, so that a wide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a video and an electronic notebook can be used. When the folder is op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CD screen and the camera module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video chat or video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camera module. It provides effects such as making it easy to mount and use the camera module, such as to enable the shooting of the camera.

Claims (12)

본체로부터 폴더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folder is opened and closed from the main body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기능키를 전면에 구비하고, 상부 일측 끝단 에는 내부에 제 1수평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A main body having a keypad and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signal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therein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end; 일면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는 제 1수직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폴더 및;A folder having a liquid crystal screen for outputting an image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center thereof; 상기 본체의 상부형태를 유지하며 전면에는 양측 끝단에 상기 제 1수직힌지 결합부와 수직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조의 제 2수직힌지 결합부가 대향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제 1수평힌지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수평힌지 결합부가 구비된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Maintaining the upper form of the main body on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vertical hinge engaging portion which is rotatably coupled by the vertical hinge and the first vertical hinge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the lower one side of the first of the main body And a hinge module having a second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by a horizontal hi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 1수평힌지 결합부의 대향측에는 힌지모듈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부분의 힌지모듈에는 단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hinge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module protruding, and the hinge modul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is a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에 구비된 스토퍼의 인접 위치로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모듈이 본체에 접혔을 때,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힌지모듈에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fixing means is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stopp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when the hinge module is folded in the main body, a hinge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고정수단은,The fixing means, 제 1수평힌지 결합부의 대향측 임의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공과,An insertion hole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hinge coupler; 상면이 일정부분 개방되며, 그 개방면이 단턱부를 이루는 원통형의 케이스와,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a certain portion, the open surface of the cylindrical case forming a stepped portion,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부분이 개방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구 및,A fixture inserted into the case to expose a portion outside the open surface;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 탄지되어 고정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which is supported by a lower portion of the fixture to give an elastic force to the fixtur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구는 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astener is a bal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 shap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구는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단턱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중앙에 일정부분 돌출된 반원형의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fastener is inserted into the case,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ate body formed to be caught on the stepped portion, and a semi-circular protrusion proj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plate bod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수단은,The fixing means, 본체에 구비된 스토퍼의 인접 위치에 형성되는 작동부재 장착부와, 상기 작동부재 장착부 내에 설치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에 탄지되어 작동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actu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stopp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actuating member installed in the actu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and a spring hel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membe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actuating member.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작동부재 장착부는,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일정 깊이를 갖고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는 고정턱이 구비된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하단 중앙에 구비되는 축공 및, 상기 작동홈의 일측과 연결되어 본체의 후면측으로 연통되는 장공으로 구성되고,It is forme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composed of a working groove having a fixed jaw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 shaft hole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operating groove, and a long ho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orking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작동부재는 작동부재 장착부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동구와, 상기 작동구의 하단 중앙에 설치되어 작동부재 장착부의 축공에 삽입되는 작동축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동부재 장착부의 장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actuating member includes a bod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actuating member mounting part, an actuating tool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 actuating shaft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actuating tool a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actuating member mounting part, and one side of the body.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ng knob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operating member mount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모듈에는 외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hinge module i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external image is mount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카메라 모듈은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힌지모듈의 몸체 후면 중앙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The camera module i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body of the hinge module is configured independently.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인접 위치로는 플래시가 추가적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sh is additionally mounted to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camera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폴더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한조의 수화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earpieces including a speaker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folder.
KR20-2004-0020529U 2004-07-19 2004-07-19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53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29U KR200365384Y1 (en) 2004-07-19 2004-07-19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529U KR200365384Y1 (en) 2004-07-19 2004-07-19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089A Division KR20060007297A (en) 2004-07-19 2004-07-19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384Y1 true KR200365384Y1 (en) 2004-10-22

Family

ID=4935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529U KR200365384Y1 (en) 2004-07-19 2004-07-19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38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200B2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KR100454965B1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KR100800677B1 (en) Hinge device having plurality of axis for mobile phone and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same
CN100499972C (en) Bi-axial swivel mechanism in electronic apparatus
KR100630068B1 (en) Hinge device for display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20050105790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7412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5384Y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155118B2 (en) Portable terminal
KR20060007297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5385Y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0717B1 (en) Ratatable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95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ry LCD
CN1787553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53084Y1 (en) Rotat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evice for stopping folder at specific position
KR100819277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369496Y1 (en) Fixing devic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mobile phone
KR10063950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ouble folders
KR20060014567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80873Y1 (en) Mobile video terminal equipment
KR100531936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536395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614705B1 (en) Sw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51523B1 (en) Hinge combination device of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38956Y1 (en) Sw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