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87Y1 -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87Y1
KR200364287Y1 KR20-2004-0021080U KR20040021080U KR200364287Y1 KR 200364287 Y1 KR200364287 Y1 KR 200364287Y1 KR 20040021080 U KR20040021080 U KR 20040021080U KR 200364287 Y1 KR200364287 Y1 KR 200364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hwasher
door
washing chamber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쌍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04-002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4Flat fil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식기세척기(2)의 배수통(12)과 인접한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에는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놓여진 필터(100)를 지지하는 압지돌부(130)가 돌출 형성되고, 도어(40)에는 도어(40)의 폐쇄시 필터(100)를 안착면(14)에 밀착되게 눌러 지지하는 누름돌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식기세척기(2)의 배수통(12)에 간극없이 필터(100)가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세척된 오물이나 이물질이 모두 필터(100)에서 걸러져 오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공급펌프(20) 등과 같은 부품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Filter for Dishwasher}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필터를 식기세척기에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필터의 들뜸을 방지하여 여과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물질에 의한 공급펌프 등과 같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에 구비된 식기 수납부재에 세척할 식기를 수납한 후, 이 식기에 세제가 함유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오물 등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실 바닥면에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 및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바, 이를 첨부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2)는 그 내부가 빈 본체(10)의 세척실(10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식기 수납부재가 출입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0)의 일측면에는 세척실(10a)을 개폐시키는도어(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실(10a)의 바닥면(10b) 중앙부에는 어댑터(22)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이 어댑터(22)의 상부에는 세척실(10a)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갖는 분사관(30)이 설치되며, 어댑터(2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분사관(30)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실(10a)의 바닥면(10b) 일측에는 세척실(10a)내로 분사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배수통(12)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통(12)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단차진 안착면(14)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안착면(14)에는 세척수에 의해서 세척된 식기의 오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필터(5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50)는, 스테인리스재질로서 대략 사각형상의 메쉬(Mesh)형태로 형성된 여과망(52)이 구비되고, 이 여과망(52)의 외주연은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폴리프로필렌재질의 고정틀부재(54)가 사출 성형되어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안착되며, 도어(40)에 인접한 고정틀부재(54)에는 상향 절곡된 손잡이부(5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세척작동을 설명한다.
식기세척기(2)를 작동시키면, 식기세척기(2)의 본체(10) 하부에 설치된 공급펌프(20)가 작동되고, 이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인해 배수통(12)에 저장된 세척수가 공급펌프(20)로 유입된다.
공급펌프(20)로 유입된 세척수는 어댑터(22)를 지나 분사관(30)으로 유입되어 각 노즐을 통해 본체(10)의 세척실(10a)로 분사되면서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오물 및 이물질을 함유한 채로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으로 떨어져 배수통(12)으로 유입되는 바, 이때 세척수는 배수통(12)의 상부에 설치된 필터(50)의 여과망(52)을 통과하면서 오물 및 이물질이 여과망(52)에 의해 걸러져 배수통(12)으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세척과정을 모두 마친 후에는 일정시간 동안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킨다.
이후, 식기세척기(2)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도어(40)를 개방시켜 배수통(12) 상부의 안착면(14)에 놓여진 필터(50)를 식기세척기(2) 외부로 인출시켜 세척한 후, 세척된 필터(50)를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다시 올려놓아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식기세척기(2)의 필터(50)는, 여과망(52)의 외주면에 폴리프로필렌재질로서 사출 성형된 고정틀부재(54)가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단순히 놓여져 설치되는데, 이는 공급펌프(20)의 작동시 펌프(20)의 진동이 어댑터(22)를 통해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배수통(12)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해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놓여진 필터(50)가 안착면(14)으로부터 들썩여 간극이 발생됨으로써 오물이나 이물질이 필터(50)에 의해걸러지지 않고 직접 배수통(12)으로 유입되어 공급펌프(20)를 오작동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50)가 별도의 단품으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상의 오류로 인해 여과망(52) 또는 고정틀부재(54)에 뒤틀림이 발생된 경우에는,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항상 이격된 간극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아주 크게 대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세척작동시 필터를 배수통의 상부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필터의 들뜸을 방지하여 주므로써 필터의 여과성능을 향상시켜 이물질에 의한 공급펌프 등과 같은 부품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설치된 필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설치된 필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닫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식기세척기 10 : 본체
10a : 세척실 10b : 바닥면
12 : 배수통 14 : 안착면
20 : 공급펌프 22 : 어댑터
30 : 분사관 40 : 도어
50 : 필터 52 : 여과망
54 : 고정틀부재 56 : 손잡이부
100 : 필터 110 : 여과망
120 : 고정틀부재 122 : 손잡이부
130 : 압지돌부 140 : 누름돌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세척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세척실의 바닥면에 설치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고 세척실의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통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배수통과 인접한 세척실의 바닥면에는 배수통의 안착면에 놓여진 필터를 지지하는 압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도어에는 도어의 폐쇄시 필터를 안착면에 밀착되게 눌러 지지하는 누름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는 여과망의 외주연에 배수통의 안착면에 놓여지는 고정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부재에는 손잡이부가 탄력을 갖도록 고정틀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돔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그 단부가 세척실의 바닥면과 이격된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어의 폐쇄시 도어의 누름돌부가 손잡이부의 단부를 세척실의 바닥면측으로 눌러 지지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지돌부는 어댑터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필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형태의 대략 사각형상으로서 이루어진 여과망(110)이 스테인리스재질로서 제작 형성되고, 이 여과망(110)의 외주연은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폴리프로필렌재질의 고정틀부재(120)가 사출 성형되어,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2)의 도어(40)에 인접한 고정틀부재(120)에는 돔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2)가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2)는 그 단부가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어 자체 탄력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부(122)는 고정틀부재(120)와 같이 사출 성형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를 고정틀부재(120)에 설치하여 손잡이부(122)를 형성하여도 된다.
특히, 후자의 경우 즉, 별도의 부재를 고정틀부재(120)에 설치하여 손잡이부(12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형상기억합금으로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놓여진 필터(100)를 견고하게 구비하기 위해, 배수통(12)과 인접한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에는 압지돌부(130)가 하향 돌출되어 필터(100)의 고정틀부재(120)를 배수통(12)의 안착면(14)측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내측면 하부에는 도어(40)의 폐쇄시 필터(100)를 안착면(14)에 밀착되게 눌러 지지하는 누름돌부(140)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의 개방시에는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이격된 간극을 형성하여 손잡이부(122)의 파지를 용이케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의 폐쇄시에는 도어(40)의 누름돌부(140)가 손잡이부(122)의 단부를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측으로 눌러 지지함으로써 필터(100)가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한편, 상기 압지돌부(130)는 어댑터(2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댑터(22)의 설치시 압지돌부(130)와 안착면(14) 사이의 폭을 고정틀부재(120)의 두께에 대응하게 조절하여 필터(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필터(100)의 설치시는, 필터(100)의 손잡이부(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22) 반대편의 고정틀부재(120)를 배수통(12)의 안착면(14)과 압지돌부(130) 사이로 밀어 넣으면서 필터(100)를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올려 놓는다(도 3 참조).
그러면, 필터(100)는 압지돌부(130)에 의해서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안정적으로 구비되고, 손잡이부(122)는 그 단부가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후, 도 4와 같이 식기세척기(2)의 도어(40)를 닫으면, 도어(40)의 누름돌부(140)가 도어(40)와 같이 회전되면서 손잡이부(122)의 단부를 세척실(10a)의 바닥면측으로 누르게 되고, 그로 인해 필터(100)는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더 견고하게 밀착되어, 유동이나 간극의 발생이 방지된다(도 2 참조).
특히, 배수통(12)의 안착면(14)상에 구비된 필터(100)를 동일선상의 양편에서 눌러 지지함으로써 필터(100)는 안착면(14)상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된 필터(100)에 의해 세척된 오물이나 이물질은 모두 필터(100)의 여과망(110)에 걸러져 배수통(12)으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식기세척기(2)의 작동후, 도어(40)를 다시 개방시키면, 도어(40)의 누름돌부(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 있던 필터(100)의 손잡이부(122)가 외력인 가압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원상태로 복귀되어 손잡이부(122)의 파지를 용이케 한다.
따라서,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이격된 손잡이부(122)를 잡고 필터(100)를 식기세척기(2)로부터 인출시켜 내어 필터(100)의 여과망(110)에 걸러진 오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에 의하면, 식기세척기의 배수통에 간극없이 필터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세척된 오물이나 이물질이 모두 걸러져 배수통으로의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오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공급펌프 등과 같은 부품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세척실(10a)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에 설치된 분사관(30)과, 상기 분사관(3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20)와, 상기 공급펌프(20)와 연결되고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에 설치된 배수통(12)과,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40)를 갖는 식기세척기(2)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2)의 배수통(12)과 인접한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에는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놓여진 필터(100)를 지지하는 압지돌부(130)가 돌출 형성되고, 도어(40)에는 도어(40)의 폐쇄시 필터(100)를 안착면(14)에 밀착되게 눌러 지지하는 누름돌부(14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0)는 여과망(110)의 외주연에 배수통(12)의 안착면(14)에 놓여지는 고정틀부재(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부재(120)에는 손잡이부(122)가 탄력을 갖도록 고정틀부재(120)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된 돔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22)는 그 단부가 세척실(10a)의 바닥면(10b)과 이격된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어(40)의 폐쇄시 도어(40)의 누름돌부(140)가 손잡이부(122)의 단부를 세척실(10a)의 바닥면(10b)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2)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돌부(130)는 어댑터(22)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KR20-2004-0021080U 2004-07-23 2004-07-23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KR200364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80U KR200364287Y1 (ko) 2004-07-23 2004-07-23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80U KR200364287Y1 (ko) 2004-07-23 2004-07-23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87Y1 true KR200364287Y1 (ko) 2004-10-14

Family

ID=4935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080U KR200364287Y1 (ko) 2004-07-23 2004-07-23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2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77B1 (ko) 식기세척기
KR100529879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EP1543759B1 (en) Devic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n dish washer
KR101332286B1 (ko) 세탁기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20040084068A1 (en) Dishwasher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100438270B1 (ko) 식기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JP2005334360A (ja) 食器洗浄機
CN108252029A (zh) 可清洗洗衣机内外桶的外桶盖及洗衣机
KR200364287Y1 (ko) 식기세척기용 필터 고정구조
JP5029215B2 (ja) 食器洗い機
KR100617123B1 (ko) 식기세척기의 구동부
KR101241871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100028282A (ko) 식품 세척기
KR20160118791A (ko) 세면기 배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454054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0141252Y1 (ko) 식기세척기의 분리세척용 유로차단장치
KR960013163B1 (ko) 식기세정기용 필터장치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060085972A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필터 세척 구조
KR970010424B1 (ko) 식기세척기의 미세필터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