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126Y1 - 충격탄용 탄두 - Google Patents

충격탄용 탄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126Y1
KR200364126Y1 KR20-2004-0018945U KR20040018945U KR200364126Y1 KR 200364126 Y1 KR200364126 Y1 KR 200364126Y1 KR 20040018945 U KR20040018945 U KR 20040018945U KR 200364126 Y1 KR200364126 Y1 KR 200364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jaw
target
support plate
warhead
expl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일
Original Assignee
윤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일 filed Critical 윤병일
Priority to KR20-2004-0018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arget-marking, i.e. impact-indica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발사시 피격대상에게 강한 충격과 함께 폭발음, 염료, 개스 등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마를 살상하지 않으면서도 피격대상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충격탄용 탄두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추진장약이 충진되어 있는 탄피와 하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 및 걸림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와, 상기한 머리부의 결합홈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걸림턱과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탄성지지되며 뾰쪽한 침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격침과, 상기한 격침의 중간부에 관통결합되어 있으며 일정량 이상이 힘이 인가되어야만 상기한 격침이 작동되도록 하는 안전핀과, 상기한 몸체의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격침에 의해서 뇌관에 압력이 집중되는 경우에 폭발음과 함께 폭발하는 장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충격탄용 탄두{Bullet}
이 고안은 총탄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발사시 피격대상에게 강한 충격과 함께 폭발음, 염료, 개스 등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마를 살상하지 않으면서도 피격대상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충격탄용 탄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탄에는 일반탄, 공포탄, 예광탄, 모의탄, 소이탄, 철갑탄, 철갑 예광탄, 철갑 소이탄, 축사탄, SLAP, 어두운 예광탄, 매치 등이 있다.
상기한 보통탄(Ball)은 인마살상용 탄으로, 인마살상이란 사람 혹은 동물, 장갑이 없는 약한 목표를 파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공포탄(Blank)은 훈련 및 연습등을 위해 탄자가 발사되지 않고 소리와 불꽃만 나오는 탄을 말한다. 상기한 예광탄(Tracer)은 탄을 쏘면 탄자속의 예광제가 연소하며 빛을 내게되는데, 탄자가 내는 빛을 보고 총알이 어디쯤 날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신호용으로 사용가능하며, 간혹 예광제가 내놓는 열로 인해 소이탄과 비슷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모의탄(Dummy)은 발사약과 뇌관이 없어 발사되지 않는 탄약으로서, 별 쓸모는 없어보지이만 다른 탄약속에 혼합해 장전하여 총이 고장났을 때 어떻게 응급조치할 것인가를 교육 및 훈련시킬 때 쓸 수 있다. 상기한 소이탄(Incendiary)은 가연성 물체를 불태울 때 사용되며, 인마살상용으로도 사용된다. 상기한 철갑탄(Armor Piercing)은 장갑으로 방호된 목표를 쏠 때 사용되며, 인마살상용으로도 사용된다. 상기한 철갑예광탄(Armor Piercing Tracer)은 철갑탄으로서 예광탄의 역할도 하는 탄을 말한다. 상기한 철갑 소이탄(Armor Piercing Incendiary)는 철갑탄으로서 소이탄의 역할도 하는 탄을 말하는데, 보통 장갑을 관통하고 들어가서 소이탄으로 작용한다. 축사탄은 축소사거리 연습탄으로서 보통보다 사거리가 짧은 사격장에서 훈련 및 연습을 하기위해 짧은 사거리를 가지게 만든 탄약이다. 상기한 SLAP(Saboted Light Armor Penetrator)은 1990년후에 채용된 새로운 철갑탄으로서, 송탄통(sabot)에 텅스텐합금등으로 만든 작고 무거운 관통자(Penetrator)를 넣어 고속으로 발사하여 더좋은 관통력을 얻어내는 탄이다. 상기한 어두운예광탄(Dim Tracer)은 일반적인 예광탄보다 어두운 빛을 내며 육안보다는 야시경으로 보는 것이 좋을 정도이며, 최근 특수한 것중에는 눈에 안보이는 적외선을 내므로 적외선 야시장비로만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상기한 매치(Match)는 사격경기 혹은 저격총과 같은 정밀사격이 필요한 총기에 사용되는 탄약으로서, 일반적인 탄약보다 더욱 고정도로 제조되고 품질이 보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총탄은 사격 후 직접 사람 몸이나 물체에 접촉하는 부분인 탄두(Bullet)를 갖게 되는데, 상기한 탄두는 탄두 표피, 즉 재킷의 재질로서 납,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이 많이 쓰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1. FMJ
현재 대부분의 탄두는 어떤 재질로든 껍질이 씌워진, 즉 재킷이 덮인 탄들이며 그중 재킷, 즉 탄두의 표면을 구리로 덮은 탄환을 FMJ(Full Metal Jacketed)탄이라고 한다. FMJ가 납으로만 된 탄환보다 관통력이 훨씬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보통총탄'이 바로 FMJ 로서, 총의 종류를 막론하고 군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FMJ탄이다. FMJ탄이 가장 많이 쓰이는 이유는 생산비가 저렴하며 제네바 협정에서 사용을 금지한 덤덤탄에 버금가는 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속에 연철로 된 심을 넣어 거의 철갑탄에 가까운 관통력을 지니게 한 것도 있다.
2. JSP
JSP(Jacketed Soft Point)는 FMJ의 맨 끝쪽의 재킷(흰색)이 살짝 벗겨져서 납(회색)이 약간 드러나 있으며 표적(동물이나 사람의 몸)에 맞으면 끝이 벌어지면서 FMJ나 납탄보다 훨씬 큰 상처를 남기게 된다. 이 효과를 덤덤효과라고도 하며 치사율이 높기로 유명했던 덤덤탄이 바로 JSP로, 20세기초에 영국이 인도의 덤덤지방에 있는 무기공장에서 처음 만들어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마살상용이나 사냥용 라이플탄으로 쓰인데, 제네바 협정에 의해 군용으로는 쓸수 없다.
3. JHP
JHP(Jacketed Hollow Point)탄은 JSP탄과 비슷하지만 앞쪽에 마치 분화구같은 구덩이가 파여있어 목표에 맞으면 버섯처럼 퍼지는 효과가 있다. 원리 자체는 JSP와 비슷하지만 JHP는 벌어지는 정도가 더 크고 경우에 따라서는 탄환이 폭발하다시피 하면서 흩어지기도 한다. 표적을 뚫고 돌진하는 관통력이 약한 대신 적에게 매우 커다란 충격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권총탄에 많이 쓰인다. 특히 미국 경찰들은 JHP를 써야하는 것이 당연시 되어있다. 관통력은 낮지만 펀치력이 높은 JHP탄은 상대를 확실히 제압할 수 있어 이상적인 권총탄으로 애용되고 있지만, 제네바 협정에 의해 군용으로는 쓸수 없으며, 자동화기에 사용할 때 가끔 작동불량을 일으키기도 한다.
4. Nyclad
FMJ의 구리 대신 테플론 수지로 표면을 입힌것이 Nyclad이다. 이 Nyclad 탄은 공해문제 때문에 만들어졌는데, 1960년대 당시 실내사격장의 대기오염이 큰 문제가 된 것이 중요한 계기였다. 총탄이 총구를 빠져나올때 납이나 구리의 미세한 분말이 먼지처럼 대기중으로 날리게 되어 대기를 오염시켰기 때문이며, 더군다나 권총 특히 리볼버는 납탄을 쓰는 경우도 많아서 화약이 터지는 연기와 함께 납이산화하는 연기까지 뒤섞여 인체에 매우 해롭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납위에 금속대신 테플론 수지를 입힌 것이 Nyclad이다. Nyclad는 본래 실내사격장용으로 만들어졌으며 대부분 JHP로 만들어져 있어 관통력이 그다지 좋지않다.
6. WC 및 SWC
WC(Wad Cutter)탄은 탄두 앞이 평면에 가까워 종이 표적에 맞으면 동그란 구멍을 뚫어주는 경기용 탄두이다. SWC(Semi Wad Cutter)탄은 WC 탄보다 앞이 조금 더 튀어나온 것으로 WC와 목적은 같지만 위력을 조금 더 높여 주기 위한 것이다. 두가지 다 대부분 납으로만 되어있는 것이 많지만 SWC에는 FMJ로 된것도 있다.
7. KTW
약간 특별한 것으로 탄두를 납대신 단단한 황동 덩어리로 만들었으며 총신속의 강선을 마모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겉에는 테플론이 코팅되어 있다. 본격적인 철갑탄 만큼은 아니지만 가공할 관통력을 자랑하는데 미국등 여러나라에서 판매 금지되었다.
8. 철갑탄
철갑탄(Armor Piercing)은 관통력을 극도로 높여 적의 차량이나 장갑차 등을 관통하기 위해 만들어진 탄두이다. 일반 납탄과 달리 속에 텅스텐, 크롬강 등의 단단한 심이 들어있어 관통력이 매우 높다. 탄환의 무게를 늘려 멀리까지 쏘기위해 만들어졌지만 1차대전 당시 독일군이 대전차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한때 대전차 병기로도 쓰였다. 그러나 전차의 장갑이 두꺼워진 2차대전 때에는 대전차 무기로의 가치를 상실하였으며, 2중 군용탄(Military Ball)의 보급으로 철갑탄의 사용은 많이 줄었으나 아직도 적지 않은 양이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탄두는 모두 인마를 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민간 경비 및 경호시에, 경찰의 범인 체포시에, 군 작전훈련 및 예비군 훈련시에 사용하기에는 피격 대상 뿐만이 아니라 피격대상의 주변에 있는 관계가 없는사람들에도 너무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사시 피격대상에게 강한 충격과 함께 폭발음, 염료, 개스 등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마를 살상하지 않으면서도 피격대상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충격탄용 탄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용 탄두의 작용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탄피 2 : 몸체
3 : 머리부 4 : 격침
5 : 안전핀 6 : 스프링
7 : 장약통 8 : 염료통
9 : 가스 캡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추진장약이 충진되어 있는 탄피와 하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 및 걸림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와, 상기한 머리부의 결합홈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걸림턱과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탄성지지되며 뾰쪽한 침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격침과, 상기한 격침의 중간부에 관통결합되어 있으며 일정량 이상이 힘이 인가되어야만 상기한 격침이 작동되도록 하는 안전핀과, 상기한 몸체의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격침에 의해서 뇌관에 압력이 집중되는 경우에 폭발음과 함께 폭발하는 장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장약통이 폭발하는 경우에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가스캡슐을 더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 고안의 구성은, 상기한 장약통이 폭발하는 경우에 염료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염료통을 더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용 탄두의 작용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용 탄두의 구성은, 내부에 추진장약이 충진되어 있는 탄피(1)와 하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21) 및 걸림턱(22)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23)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2)와, 상부가 완만한 곡면(3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3)와, 상기한 머리부(3)의 결합홈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걸림턱(22)과 걸리기 위한 걸림턱(41)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판(21)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6)에 의해 하부가 탄성지지되며 뾰쪽한 침(42)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격침(4)과, 상기한 격침(4)의 중간부에 관통결합되어 있으며 일정량 이상이 힘이 인가되어야만 상기한 격침(4)이 작동되도록 하는 안전핀(5)과, 상기한 몸체(2)의 지지판(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격침(4)에 의해서 뇌관에 압력이 집중되는 경우에 폭발음과 함께 폭발하는 장약통(7)과, 상기한 장약통(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장약통(7)이 폭발하는 경우에 염료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염료통(8)과, 상기한 염료통(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장약통(7)이 폭발하는 경우에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가스캡슐(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탄용 탄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충격탄이 총에 장전된 뒤에 사용자가 방아쇠를 당김으로써 총에 의해 탄피(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뇌관이 압력을 받게 되면, 탄피(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추진장약이 폭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총으로부터 탄두가 발사되어 목표물에 가서 부딪히게 된다.
이와 같이 충격탄용 탄두가 목표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충격에 의해서 머리부(3)가 강하게 뒤로 후진을 하게 됨에 따라 격침(4)에 결합되어 있던 안전핀(5)이 꺽여지게 되면서 격침(4)이 스프링(6)의 탄성력을 누르고 뒤로 후진을 하게 되면서 하단의 뾰족한 침(42)이 장약통(7)의 뇌관을 때리게 된다.
상기한 안전핀(5)은 평소에는 격침(4)의 후진을 방지함으로써 장약통(7)의 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격침(4)의 하단의 침(42)이 장약통(7)의 뇌관을 때리게 됨에 따라, 장약통(7)이 폭발하면서 강한 소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장약통(7)의 폭발력에 의해 장약통(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던 염료통(8) 및 가스캡슐(9)이 터지면서 관통구(23)를 통하여 염료 및 가스가 외부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한 관통구(23)는 염료 및 가스가 목표물을 향하여 분출될 수 있도록 탄두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관통구(23)가 예각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관통형성된다.
한편, 목표물의 피격시 발생되는 큰 소음은 목표물을 심적으로 위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염료로서 붉은 색을 사용하게 되면 목표물의 피격시 붉은 색 염료가 목표물에 분출되어 마치 목표물로부터 마치 피가 나오는듯한 느낌을 갖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이 심적으로 위축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염료로서 반드시 붉은색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충격탄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른 색의 염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가스로서 최루가스를 사용하게 되면 목표물의 피격시 최루가스가 목표물에 분출되어 목표물의 생리현상을 자극함으로써 목표물의 저항의지가 위축되도록 한다. 상기한 가스는 최루가스이외에도 연막 가스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발사시 피격대상에게 강한 충격과 함께 폭발음, 염료, 개스 등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인마를 살상하지 않으면서도 피격대상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내부에 추진장약이 충진되어 있는 탄피와 하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 및 걸림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와,
    상기한 머리부의 결합홈에 상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걸림턱과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판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탄성지지되며 뾰쪽한 침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격침과,
    상기한 격침의 중간부에 관통결합되어 있으며 일정량 이상이 힘이 인가되어야만 상기한 격침이 작동되도록 하는 안전핀과,
    상기한 몸체의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격침에 의해서 뇌관에 압력이 집중되는 경우에 폭발음과 함께 폭발하는 장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탄용 탄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약통이 폭발하는 경우에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가스캡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탄용 탄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약통이 폭발하는 경우에 염료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염료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탄용 탄두.
KR20-2004-0018945U 2004-07-03 2004-07-03 충격탄용 탄두 KR200364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945U KR200364126Y1 (ko) 2004-07-03 2004-07-03 충격탄용 탄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945U KR200364126Y1 (ko) 2004-07-03 2004-07-03 충격탄용 탄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126Y1 true KR200364126Y1 (ko) 2004-10-11

Family

ID=4943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945U KR200364126Y1 (ko) 2004-07-03 2004-07-03 충격탄용 탄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1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06Y1 (ko) 2009-04-03 2011-11-03 고려화공 주식회사 연습용 축사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06Y1 (ko) 2009-04-03 2011-11-03 고려화공 주식회사 연습용 축사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5915A (en) Shotgun slug tracer round and improved shotgun slug
US6973879B1 (en) Monolithic high incapacitation small arms projectile
US7455015B2 (en) Special purpose small arms ammunition
US8176850B2 (en) Special purpose small arms ammunition
US4899660A (en) Training round for firearm
US8468946B2 (en) Low shrapnel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US20180321021A1 (en) Mechanically adaptable projec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158760B2 (ko)
US5293822A (en) Defensive shooting projectile
US5092246A (en) Small arms ammunition
RU159193U1 (ru) Выстрел с имитатором снаряда
US6971314B2 (en) Munitions mines
KR200364126Y1 (ko) 충격탄용 탄두
BELLAMY et al. THE WEAPONS OF
US20020152914A1 (en) Self-destructing bullet
US20110167700A1 (en) Light activated cartridge and gun for firing same
KR20230057415A (ko) 스포터 탄약 발사체 및 그 제조 방법
RU207328U1 (ru) Снаряд бронебойный подкалиберный с энергоимпульсом подкалиберному сердечнику взрывчатым веществом в глухом канале поддона
EP3548834B1 (en) Self-glowing materials, tracer ammunition, and illumination devices
US9297619B1 (en) Bullet for striking obstructed targets
RU17610U1 (ru) Патрон для личного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и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для него
Helliker Ballistic threats: bullets and fragments
WO2018174747A1 (ru) Дротик фугасный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далее дфп)
US20170205214A1 (en) Dual-mode Projectile
US4882995A (en) Projectile for darting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