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338Y1 -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338Y1
KR200363338Y1 KR20-2004-0020236U KR20040020236U KR200363338Y1 KR 200363338 Y1 KR200363338 Y1 KR 200363338Y1 KR 20040020236 U KR20040020236 U KR 20040020236U KR 200363338 Y1 KR200363338 Y1 KR 200363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negative ion
anion
phone charg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현
Original Assignee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거치대에 부가 설치되는 무(無)오존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내부에 표시수단과 전원스위치를 갖는 고전압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HV) 출력단자에 음이온 발생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은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이 설치된 케이스 부근에 음이온이 방출되는 배기공을 다수 형성하여 방전에 의해 발생된 음이온이 케이스 외부로 배출 작용되게 구성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은 백금, 스텐레스, 구리, 은, 아연, 니켈, 망간, 텅스텐의 합금, 자유전자를 갖는 도전포, 도전성 고무질 및 반도전성 고무질 등을 밧줄처럼 꼰 형태로 구성하여 불꽃없는 무염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오존(O3) 발생없이 다량의 음이온(1,200,000개/CC ~ 1,500,000개/CC)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ANIONS GENERATOR BY USING CHARGER DESKTOP CRADLE OF CELLULAR PHONES}
본 고안은 널리 보급된 휴대폰 충전거치대에 부가 설치되어 무(無)오존 음이온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함께 보급(사용)되는 휴대폰 충전거치대는 휴대폰이 분리된 상태의 배터리 또는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를 장착시킨 다음 소정시간 동안 충전(充電)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 충전거치대는 케이스의 상부로 상기 배터리를 장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장착부와, 장착된 배터리를 붙잡기 위한 홀딩수단과, 충전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와 배터리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와, 충전중인 상태와 충전이 완료된 상태 및 전원공급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충전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프린트기판과, 상ㆍ하로 분리되는 케이스를 피스등으로 체결시켜 고정하는 체결수단 및 전원공급잭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딩수단과 충전단자는 탄성이 부여되어 배터리 단자에 가압 접촉된다.
상기에서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 내부 또는 프린트기판상에 충전회로부가 구비되는 경우 전원공급잭으로 전원플러그가 결합되어 상용교류전원(AC 220V)이 인가되지만, 케이스 내부에 충전회로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외부 충전회로부의 전원출력단자가 상기 전원공급잭에 접속되어 충전에 필요한 전원이 충전단자로 공급된다.
상기 휴대폰 충전거치대는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이나 사물, 이를테면 책상 위 또는 실내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하거나, 차량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책상이나 작업대에서 주로 활동하는 학생, 사무원, 연구원, 근로자 등의 경우 상기 책상이나 작업대에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두고 수 십분 내지 수 시간에 걸쳐 충전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 충전거치대는 충전이 완료되었더라도 휴대폰이나 배터리를 분리시키지 않거나, 또는 휴대폰이나 배터리를 분리시키더라도 전원플러그와 전원콘센트를 분리시키지 않아 휴대폰 충전거치대로 전원이 계속 공급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충전하지 않을 때의 소비전력은 매우 적은 편이다.
그리고, 충전단자로 배터리가 접속되어야 비로소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제품도 선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휴대폰 충전거치대로는 전원이 인입되고 있어서 본 고안에서 처럼 음이온 발생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전원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를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보다 길어져 그 만큼 실내공기의 오염이 심한 편이며, 공기오염에 대한 인식이 날로 증가되어 공기청정기의 사용과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인체에 유익한 공기는 유해가스 성분 또는 여러 가지 악취물질이 없는 공기를 말하는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유해전자파 등이 작용하면서 공기중의 음(-)이온은 크게 줄어들고 양(+)이온은 크게 증가된다.
공기중의 양이온 증가는 인간의 편안함, 컨디션유지 및 집중력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등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공기정화기술은 실내의 먼지와 분진 및 악취등을 필터로 제거하는 필터정화방식과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전기집진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필터정화방식의 경우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비가 상승하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 집진방식의 경우 음이온이 기대치 이하로 미미하게 발생될 뿐 아니라 우리 몸에 해로운 오존산화물이 발생되며, 0.5 마이크로 영역의 미세먼지는 집진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음이온은 심신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인체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질병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공기 중의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널리 보급된 휴대폰 충전거치대에 무(無) 오존 음이온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주변공간으로 생명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공급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바닥부에 공기유입공을 형성하여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다음 음이온 발생전극의 방전에 의해 음이온화 된 후 배기공을 통하여 자연대류방식으로 배출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공기유통로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발생된 음이온을 강제배출시킬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음이온 발생전극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시켜 발생 음이온의 배출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내부에 표시수단과 전원스위치를 갖는 고전압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의 고전압(HV) 출력단자에 음이온 발생전극을 접속하여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게 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은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이 설치된 케이스 부근에 음이온이 방출되는 배기공을 다수 형성하여 방전에 의해 발생된 음이온이 상기 배기공을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음이온 발생전극을 구성하는 방전전극은 백금, 스텐레스, 구리, 은, 아연, 니켈, 망간, 텅스텐의 합금, 자유전자를 갖는 도전포, 도전성 고무질 및 반도전성 고무질 등을 밧줄처럼 꼰 형태로 구성하여 불꽃없는 무염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음이온(1,200,000개/CC ~ 1,500,000개/CC)이 발생되며, 무염방전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오존(O3)은 거의 또는 전무할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 케이스의 바닥부에 공기유입공을 형성하여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다음 방전에 의해 음이온화 된 후 배기공을 통하여 케이스 바깥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음이온 발생전극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시켜 원하는 각도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전극고정체 부분 단면도.
도 3 : 본 고안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전극고정체 부분 단면도.
도 4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전극고정체의 평단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배기공, 전원스위치 및 표시수단의 정면도.
도 6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회로 구성도.
도 7 : 본 고안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회로 구성도.
도 8 : 본 고안 전극고정체에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의 측면도.
도 9 : 본 고안 오존발생전극(방전전극)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음이온 발생장치 (4)--휴대폰
(6)--배터리 (8)--케이스
(10)--장착부 (12)--홀딩수단
(14)--충전단자 (16)--프린트기판
(18)--전원공급잭 (20)--전원출력단자
(22)(32)--표시수단 (24)--충전회로부
(26)(28)--음이온 발생전극 (30)--전원스위치
(34)--음이온 (36)--배기공
(38)--전극고정체 (38a)(38b)--삽입홈
(40)(40a)(40b)--연결부재 (42)(46)--결합편
(44)--결합부 (48)--개방부
(50)--결합홈 (52)--연결부
(54)--공기유입공 (56)--공기유로
(62)--각도조절수단 (64)--축부재
(66)--걸림홈 (68)--결합부
(70)--장공 (72)--연결부재
(HV)--고전압 (HVG)--고전압발생장치
(L1)--음이온 발생전극의 이격거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휴대폰 충전거치대에 설치되는 음이온 발생장치는 책상이나 작업대와 같은 사물이나 공간에 위치하면서 필요에 의해 또는 지속적으로 무(無)오존 음(-)이온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음이온 발생장치(2)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2)는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8) 상부에 상기 배터리(6)를 장착시킬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되는 1개 이상의 장착부(10)와, 장착된 배터리(6)를 붙잡기 위한 홀딩수단(12)과, 충전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회로부(24)와, 상기 충전회로부(24)와 배터리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14)와, 충전중인 상태와 충전이 완료된 상태 및 전원공급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22)과, 상기 충전단자(14)가 구비되고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단자(14)로 전달 및/또는 공급하는 프린트기판(16)과, 상ㆍ하로 분리되는 케이스(8)를 피스등으로 결합시켜 고정하는 체결수단 및 전원공급잭(18)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딩수단(12)과 충전단자(14)는 배터리(6) 단자에 가압 접촉될 수 있게 탄성이 부여된다.
상기에서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8) 내부 또는 프린트기판(16) 상에 충전회로부(24)가 구비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전원플러그(도시안됨)가 결합되어 상용교류전원(AC 220V)이 인가되지만, 케이스(8) 내부에 충전회로부(24)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 1, 도 7과 같이 외부충전기(24)의 전원출력단자(20)가 상기 전원공급잭(18)에 접속되어 충전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케이스(8)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전압발생장치(HVG)와, 상기 고전압발생장치(HVG)에 접속되는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설치되고, 고전압발생장치(HVG)는 전원스위치(30)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충전거치대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부(24)에 연결되며,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위치하는 케이스(8)의 전면부에는 발생된 음이온(34)이 배출되는 소정 직경의 배기공(36)이 조밀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전원스위치(30)와 음이온 발생장치(2)가 동작중 임을 표시하는 표시수단(32)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스위치(30)는 고전압발생장치(HVG)로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온(on)/오프(off)하게 되며, 표시수단(32)은 소비전력이 적으면서 휘도가 높은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 함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발생전극(26)(28)의 단부가 고정되는 전극고정체(38)는 절연재질로 구성되며, 효율적인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극간의 적정 이격거리를 유지하게된다.
상기 전극고정체(38)의 상부 양측에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삽입홈(38a)(38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8a)(38b)에는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전극고정체(38)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는 케이스(8)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거나 삽탈형으로 결합되어 지지된다.
즉, 도 3과 같이 전극고정체(38)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부(52)와 케이스(8)바닥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전극고정체(38)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부재(40)의 하부 양측으로 결합부(44)를 돌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케이스(8) 바닥 부분에 상기 결합부(44)가 억지 결합되는 결합편(42)(46) 및 결합홈(50)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44)를 삽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편(42)(46) 사이에는 연결부재(40)가 지나갈 수 있는 개방부(48)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8)의 바닥부에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설치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유입공(54)과 공기유로(56)를 구비하여 케이스(8)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54)을 통하여 유입된 다음 공기유로(56)를 따라 음이온 발생전극(26)(28)으로 이동하여 음이온화 된 다음 배기공(36)을 통하여 케이스(8) 바깥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공기유로(56) 또는 공기유입공(54)에 송풍팬 또는 순환팬을 설치하여 음이온(34)의 강제배출을 달성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전극(26)(28)은 (+)전하가 인가되는 방전전극(26에 해당)과 (-)전하가 인가되는 그라운드전극(28에 해당)이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방전전극인 음이온 발생전극(26)은 도전성 실리콘 브러쉬형 와이어(Silicone Rubber Wire)의 일종으로 도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그라운드전극과는 방전에 필요한 최적의 거리(L1)로 이격하여 평행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26:방전전극)은 백금, 스텐레스, 구리, 은, 아연, 니켈, 망간, 텅스텐의 합금, 자유전자를 갖는 도전포, 도전성 고무질 및 반도전성 고무질 등을 밧줄처럼 꼰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26)과 다른 음이온 발생전극(28:그라운드전극)으로 고전압(High Voltge)을 인가함으로써 공기중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불꽃없는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며, 인체에 유해한 오존(O3)은 거의 또는 전무할 정도로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갖게된다.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26)(28)의 이격거리(L1)는 고전압발생장치(HVG)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이하지만, 15㎜ ~ 20㎜ 이격시킨 다음 -4,000V ±1,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며, 이 때 음이온 발생전극(26)(28)으로부터 30㎝ 이격된 지점에서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1,200,000개/CC ~ 1,500,000개/CC의 음이온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오존(O3)은 전무할 정도로 측정되지 않았다.
상기 음이온 발생전극(26)(28)의 이격거리(L1)는 전압이 높아질수록 이격시키고, 전압이 낮아질수록 좁혀 방전시 불꽃 발생이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1,200,000개/CC ~ 1,500,000개/CC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본 고안 음이온 발생장치(2)는 수 만개/CC 이하로 발생되는 종래 음이온 발생장치와 비교해 볼 때, 효율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오존(O3) 발생이 전무한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전극은 방전전극과 상호 작용하면서 음이온 발생효율을 크게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방전에 의한 주변공기 탄화를 방지하게된다.
또한, 음이온 발생전극(26)(28)의 노출길이(L2)는 전극고정체(38)의 선단으로 돌출된 거리(L3)보다 짧게 형성하여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 음이온 발생장치(2)는 주로 책상이나 작업대에 놓고 사용하고 있고, 배기공(36)을 기준하여 대략 45°가상선상에 사용자의 얼굴등이 위치하는 점을 감안할 때 음이온 발생전극(26)(28)의 기울기는 45°전후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음이온의 배출 각도 또한 45°전후가 되게 함으로써 배출 음이온이 인체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되게 한다.
그리고, 음이온 발생장치(2)가 보다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경우 상기 기울기 각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연결부(44) 또는 전극고정체(38) 부분에 각도조절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 일 실시 예로 도시한 각도조절수단(62)의 측면도로, 연결부재(40)를 상하로 분리 구성하여 축 결합하되, 축 결합된 그 부분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즉, 상부 연결부재(40a)와 하부 연결부재(40b)를 축부재(64)로 축 결합하고, 상부 연결부재(40a)의 하단에 복수 개의 걸림홈(66)을 이웃하도록 형성하고, 하부 연결부재(40b)의 상단 중앙부에 상기 걸림홈(66)에 탄지 결합되는 결합부(68)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68)와 축부재(64)사이에는 장공(70)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68)와, 상기 결합부(68)와 장공(70)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72)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서 결합부(68)가 한 개의 걸림홈(66)에 결합되어 탄지되게 되므로 조절된 각도로 전극고정체(38)의 기울기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서 전극고정체(38)의 경사각도조절수단(6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로 설명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구조 이외에도 클릭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여타의 구성으로 전극고정체(38)의 각도 조절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음이온 발생전극(26)(28)이 고전압(HV)에 의해 불꽃없는 코로나 방전이 진행되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며, 발생된 음이온은 상기 배기공(36)을 통하여 케이스(8)의 전면부로 배출되어 주변 대부분의 공기가 음이온화 된다. 즉, 배출되는 음이온(34)은 음이온 발생장치(2) 부근에 위치하는 인체를 포함하는 생명체들에 특유의 작용을 일으키게된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들은 무성방전(無聲放電)에 의해 음이온과 동시에 산화성이 높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오존(O3)이 생성된다. 상기 오존은 3개의 산소 원자 중 하나를 다른 물질로 전달하는 시간이 매우 빠르고, 산화력이 매우 강해서 유기화합물, 무기화합물과 모두 반응해서 산화시킨다.
특히, 오존은 어린이, 노약자, 심장병환자 등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데 오존농도가 0.1ppm 올라가면 사망자 수가 7%나 늘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올 정도로 위험한 기체중의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각국에서는 오존의 허용농도를 지정하여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음이온 발생전극로 고전압을 인가시키면 전기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소정의 저항을 통하여 공기 중으로 코로나 방전을 하기 때문에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될 뿐 아니라 불꽃방전이 방지되어 오존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 음이온 발생전극(26)은 침상부(26a)를 갖는 섬유형태로 그 표면을 확대해보면 도 9와 같이 마치 무수히 많은 피뢰침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곳을 통하여 넓은 표면적에 걸쳐 공기중에 방전을 하게된다.
음이온 발생전극(26)의 내부에서 공기중으로 코로나 방전을 하면, 불꽃이 생기지 않는 방전이 이루어지고, 열에너지와 함께 방출된 전자에 의해 일부 대기 중의 수분(H2O)은 수소(H+)와 수산기(OH-)로 분해된다.
또한 섬유 표면으로 오존 음이온(O3 -)이 발생한다.
이 오존은 수산기(hydroxyl radical: OH-)와 반응하여 완전한 수산기 음이온(HO2 -)과 강산화성 음이온(O2 -)을 발생시킨다.
상기 강산화성 음이온(O2 -)은 수분과 만나서 클러스터(cluster)이온을 형성한다. 다음 식(1)은 오존의 분해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O3+ OH- → HO2+ O2 --------------------------------------------- 식(1)
상기 공기 중에 방출된 강산화성 음이온(O2 -)들은 공기 중의 물분자들에 둘러 싸이면서 분자집단(cluster)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일부 방출된 전자는 대기 중에 전자이온을 방출시키고 순간적으로 이것이 핵이 되면서 주변의 기체분자를 끌어와 소이온이 되고 이들이 결합하여 분자집단(cluster)으로 된다.
이렇게 형성된 소이온과 전자가 먼지, 안개 등과 같은 주변의 미립자에 붙으면 질량이 수백 배에 달하는 클러스터(cluster) 이온이 되므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생성하면서도 오존을 생성하지 않는 무 오존 클러스터 음이온 발생장치인 것이다. 클러스터 이온이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이온과 가장 유사한 이온으로 공기 중에서 좀더 오랜 시간 그리고 멀리 움직일 수 있는 이온을 말한다. 오존을 수반하는 기존의 음이온 발생장치들은 이온이 발생하자 마자 중화되어 버리는 일종의 전자 같은 것으로 음이온 발생량이 수만개/CC에 그치는 결과를 초래하게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58)은 받침대이고, (60)은 충전단자의 탄지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오존발생장치는 휴대폰 충전거치대에 설치되므로 휴대폰 충전을 겸하면서 전원을 공유할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가까이에 두고 사용하게되므로 음이온에 의한 유익한 효과를 거둘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이 다량으로 발생(1,200,000개/CC ~ 1,500,000개/CC)되어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음이온 발생량이 많아 방출영역이 자연적으로 넓어지게 되며, 오존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시 고려했던 오존 규제에 대한 문제가 말끔히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감전등의 위험이 없어 사용이 안전하고, 저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음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 휴대폰 충전거치대의 케이스 내부에 전원회로부에 접속된 고전압발생장치 및 절연 전극고정체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다수의 배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는 음이온 발생전극은 상기 전극고정체에 평행하도록 이격 설치하여 배기공을 향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음이온 발생전극은 도전성 실리콘 브러쉬형 와이어와 도전성 와이어로 각각 구성되는 한 쌍으로 하되, 도전성 실리콘 브러쉬형 와이어는 백금, 스텐레스, 구리, 은, 아연, 니켈, 망간, 텅스텐의 합금, 자유전자를 갖는 도전포, 도전성 고무질 및 반도전성 고무질을 밧줄처럼 꼰 형태로 구성하여서 된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음이온 발생전극의 이격거리는 15㎜ ~ 20㎜ 이고, 음이온 발생전극으로 인가하는 고전압은 -4,000V ±1,000V 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케이스 바닥부에 음이온 발생전극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유입공과 공기유로를 구비하여서 된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전극고정체에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 각도조절수단은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를 축부재로 축 결합하고, 상부 연결부재의 하단에 복수 개의 걸림홈을 이웃하도록 형성하고, 하부 연결부재의 상단 중앙부에 상기 걸림홈에 탄지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축부재 사이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에 탄성이 부여되게 하여서 된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KR20-2004-0020236U 2004-07-15 2004-07-15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KR200363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36U KR200363338Y1 (ko) 2004-07-15 2004-07-15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36U KR200363338Y1 (ko) 2004-07-15 2004-07-15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228A Division KR20060006294A (ko) 2004-07-15 2004-07-15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338Y1 true KR200363338Y1 (ko) 2004-10-01

Family

ID=4935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236U KR200363338Y1 (ko) 2004-07-15 2004-07-15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3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899B1 (ko) * 2023-05-23 2024-01-09 이희웅 음이온이 제공되는 휴대용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899B1 (ko) * 2023-05-23 2024-01-09 이희웅 음이온이 제공되는 휴대용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0910B1 (en) Air cleaning device
KR101207365B1 (ko) 엘이디 램프 기능을 겸하는 공기 청정기
US5529613A (en) Air ionization device
JP2017519611A (ja) 再充電可能な携帯個人用イオン空気清浄機
CA2659198C (en) Air cleaner conductor system
WO2006031036A1 (en) Negative ion emission lamp
KR200363338Y1 (ko)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KR20060006294A (ko) 휴대폰 충전거치대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장치
CN202777187U (zh) 一种正负离子空气净化装置
CN212870008U (zh) 空调挂机用等离子体空气净化设备
KR100427086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CN112012944B (zh) 风扇
KR100799713B1 (ko) 플러그인 타입의 공기청정기
CN203848415U (zh) 一种车载净化器
CN212430544U (zh) 一种小夜灯
CN214276083U (zh) 一种落地式空气净化器
KR200303120Y1 (ko) 공기청정기의 음이온발생 장치
CN112956824A (zh) 具有净化功能的柜子
CN204084629U (zh) 负离子空气净化器
KR100665478B1 (ko) 가변 방전식 음이온발생램프
CN114811816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1606798B1 (ko) 이온 발생장치
CN217274714U (zh) 气体净化装置以及空调机组
CN219454195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设备
KR200388064Y1 (ko) 가변 방전식 음이온발생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