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38Y1 - guitar amplifiers - Google Patents

guitar amplifi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38Y1
KR200361938Y1 KR20-2004-0015756U KR20040015756U KR200361938Y1 KR 200361938 Y1 KR200361938 Y1 KR 200361938Y1 KR 20040015756 U KR20040015756 U KR 20040015756U KR 200361938 Y1 KR200361938 Y1 KR 200361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microphone
guitar
volum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7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곤
Original Assignee
김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곤 filed Critical 김정곤
Priority to KR20-2004-001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네크를 연장하는 위치의 옆판 중앙에 잭홀이 형성된 기타가 구비되고, 선단에 마이크가 장착되어 상기 기타의 잭홀에 삽입되는 마이크잭과,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앰프에 연결하여 전송하는 연결잭과 일단은 상기 마이크잭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에서 감지된 음향신호를 전기적으로 전송하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의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에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음량, 음질을 조절하는 조절기로 구성되는 마이크잭 장치;와 상기 연결잭과 연결되어서 전송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증폭된 음향을 발생하는 앰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금속감지판이 공명통의 진동을 감지하여서 음량을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구성으로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잭홀에 마개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기타로도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기타에 특별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tar acoustic amplification device, such a device is provided with a jack hole formed guitar in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in the position of extending the neck, the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to the jack hole of the guitar with a microphone at the front end, and A connection jack which connects and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to an amplifi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jac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udio signal detected by the microphone; The microphone jack device is composed of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sound quality of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and an amplifier for generating an amplified sound of the electric sound signal transmitted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jack. By such a design, the metal detecting plate does not amplify the volume by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resonance tube, but can simply amplify the volum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ffect is to amplify the volume without causing any special damage to the existing guitar.

Description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guitar amplifiers}Acoustic amplifiers, guitar

본 고안은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타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잭홀을 설치하고, 상기 잭홀에 마이크잭을삽입하여서 전기적으로 음량, 음질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tar amplification apparatus, and in particular, to easily install the jack hole without damaging the guitar generally used, and to insert the microphone jack into the jack hole, the sound of the guitar can be electrically controlled volume, sound quality, etc. It relates to an amplification device.

일반적으로 현악기(絃樂器)는 현(絃)을 발음체로 하는 악기로서 바이올린, 기타, 비올라, 첼로, 가야금, 거문고 등이 있으며, 상기 현악기는 현을 건드리면 그 떨림이 공명통으로 전달되어서 소리가 발생된다.In general, stringed instruments are stringed instruments, which include violin, guitar, viola, cello, gayageum, and lyre, and when the strings touch the strings,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tube, which generates sound. do.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현악기는 넓은 장소에서 연주를 할 때 현악기의 자체 공명통에서 울려 나오는 음량만으로는 멀리까지 그 음을 전달할 수가 없으므로 그 동안은 넓은 장소에 운집한 많은 사람들 앞에서 현악기를 연주할 때는 앰프와 연결된 마이크를 현악기 앞에 놓고 연주를 하여 그 음이 마이크와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악기의 공명통 표면에 부착하면 현악기의 공명통을 통해 전달되는 울림량을 센서가 표면과 이면의 떨림 차이로 검출한 후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앰프에 전달하여 앰프와 접속된 스피커를 통해 그 음이 발생되도록 된 현악기용 트랜스 듀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듀사 중에는 "현악기용 트랜스 듀사"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실용신안(츨원번호 1998-17134호)가 있다.However, when the stringed instrument is played in a large place, the volume of the string resonating from its own resonator cannot transmit the far sound. The guitar was played in front of the stringed instrument so that the sound could be heard through the microphones and amplifiers. And when i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inger's resonance tube, the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ringing transmitted through the stringer's resonance tub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ackside, then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mplifier to generate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connected to the amplifier. A transducer for string instrument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Among these dusas is a utility model (patent application No. 1998-17134) filed under the name "trans-dussa for string instruments".

상기 현악기용 트랜스 듀사는 내부에 통상의 커넥터가 설치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함실이 구비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함실에 위치하며 상면에 센서가 부착된 원형의 금속감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감지판은 제1금속감지판과 제2금속감지판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금속감지판과 제2금속감지판 사이 및 제2금속판과 하부케이스의 함실 저면 사이에는 반원형의 양면 테이프를 설치하는 구성이다.The transducer for string instrument,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connector therein; And a circular metal sensing plate positioned in the compartment and having a senso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metal sensing plate is divided into a first metal sensing plate and a second metal sensing plate. A semicircular double-sided tape is provided between the two metal sensing plates and between the second metal plate and the bottom of the compartment of the lower case.

그러나 상기 트랜스 듀사는 금속감지판이 기타의 공명통의 진동량을 감지하여서 전기적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서, 트랜스 듀사의 구조가 복잡하여 빈번하게 고장이 발생되며, 또한 기타에서 상기 트랜스 듀사를 제거하면 통상의 기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ransdusa is a method in which the metal sensing plate detects the vibration amount of the other resonance tube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and the structure of the transdue is complicated and frequently breaks dow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감지판이 공명통의 진동을 감지하여서 음량을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구성으로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앰프를 사용하여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도 있고 보통의 기타로도 사용할 수도 있게 하며,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기타에 특별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는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amplify the volume by sensing the vibration of the resonance tube, but to amplify the volume as a simple configuration,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Therefore, the amplifier can be used to amplify the volume or use it as a normal guitar. In particular, it provides a guitar amplification device that can amplify the volume without any special damage to the existing guitar. have.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uitar acoustic ampl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기타의 부분 단면도.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tar shown in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기타가 통상의 기타로 사용될 때의 부분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guitar shown in FIG. 1 is used as a conventional guita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기타, 11:네크,10: Other, 11: Neck,

13:옆판, 15:잭홀,13: side plate, 15: jackhole,

20:마이크잭 장치, 21:마이크잭,20: microphone jack device, 21: microphone jack,

22:마이크, 23:연결잭,22: Mike, 23: connection jack,

25:연결선, 27:조절기,25: connecting line, 27: regulator,

30:앰프, 40:착용벨트,30: amplifier, 40: wearing belt,

50:마개50: stopper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는 네크를 연장하는 위치의 옆판 중앙에 잭홀이 형성된 기타가 구비되고, 선단에 마이크가 장착되어 상기 기타의 잭홀에 삽입되는 마이크잭과,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앰프에 연결하여 전송하는 연결잭과 일단은 상기 마이크잭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에서 감지된 음향신호를 전기적으로 전송하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의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에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음량, 음질을 조절하는 조절기로 구성되는 마이크잭 장치;와 상기 연결잭과 연결되어서 전송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증폭된 음향을 발생하는 앰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object is easily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tar acoustic ampl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tar with a jack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of the position extending the neck, the microphone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guitar A microphone jack inserted into a jack hole, a connection jack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sound signal to an amplifi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jac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to electrically transmit the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microphone. And a microphone jack device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volume and sound quality of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and generating an amplified sound of the electric sound signal transmi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An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에는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띠 형상의 착용벨트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shaped wearing belt is further mounted to be worn on the human bod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uitar acoustic ampl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는 기타(10)와 마이크잭 장치(20) 및 앰프(3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tar acoustic ampl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tar 10, a microphone jack device 20, an amplifier 30, and the like.

상기 기타(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타로서 옆판(13)에 잭홀(15)이 형성된 기타이다. 그런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홀(15)이 형성되는 위치는 기타(10)의 네크(11)와 일직선으로 연장된 선이 옆판(13)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기타(10)의 옆판(13)은 두개의 원통이 접하는 형상인데, 상기 잭홀(15)은 두개의 원통 중에서 큰 원통이 네크(11)가 연장된 선과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The guitar 10 is a guitar which is generally used, and a jack hole 15 is formed in the side plate 13.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where the jack hole 15 is formed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a lin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with the neck 11 of the guitar 10 meets the side plate 13. That is, the side plate 13 of the guitar 10 has a shape in which two cylind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jack hole 15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a large cylinder among the two cylinders meets a line extending from the neck 11.

상기 잭홀(15)에는 마이크(22)가 삽입되어서 상기 기타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공명통(19)에 전달기고, 이와 같이 전달된 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타 소리는 상기 마이크(22)를 통하여 앰프(30)로 전송되게 된다. 즉 상기 잭홀(15)에 삽입되는 마이크잭(21)의 선단에는 마이크(22)가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22)에서는 상기 공명통(19)에서 발생되는 기타의 음향을 감지하여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전기적인 음향신호는 연결선(25)에 의하여 상기 앰프(30)로 전달되는데, 상기 연결선(25)의 중간에는 조절기(27)가 장착되어 있어서 음량, 음질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기(27)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조절기를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25)은 연결잭(23)에 의하여 상기 앰프(30)에 연결된다.The microphone 22 is inserted into the jack hole 15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guitar string is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cylinder 19, and the guitar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amplified through the microphone 22. To 30. That is, the microphone 22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microphone jack 21 inserted into the jack hole 15, and the microphone 22 detects other sounds generated from the resonance cylinder 19 and converts them into electrical signals. . The electrical sound signal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amplifier 30 by the connection line 25. The controller 27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25 to adjust the volume and sound quality. Since the regulator 27 uses a regulator that is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nnection line 25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30 by a connection jack 23.

그리고 상기 조절기(27)는 기타(10)를 연주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조절기(27)에 착용벨트(40)를 부착하여서 사용자의 허리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adjuster 27 is to be worn on the human body so that the user playing the guitar 10 is convenient to operate, attaching the wearing belt 40 to the adjuster 27 to be worn on the user's waist or neck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이와 같이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를 사용하여서 음량을 크게 하다가, 통상적인 기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타의 잭홀(15)에서 상기 마이크잭(21)을 분리한 후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홀(15)에 마개(50)를 삽입하여서 소리가 상기 잭홀(15)을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개(50)는 상기 잭홀(15)에 삽입되어서 밀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고, 또한 공명이 발생되기 위하여 상기 공명통(19)과 동일한 재질인 목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volume is increased by using the acoustic amplifier of the guitar, the microphone jack 21 is disconnected from the jack hole 15 of the guitar in order to use it as a conventional guitar. The plug 50 is inserted into the jack hole 15 to prevent the sound from leaking through the jack hole 15. If the stopper 50 is inserted into the jack hole 15 and can be sealed, it is sufficient, and in order to generate reson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50 is formed of woo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sonance cylinder 19. (See FIG. 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금속감지판이 공명통의 진동을 감지하여서 음량을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구성으로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잭홀에 마개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기타로도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기타에 특별한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tal sensing plate does not amplify the volume by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resonance tube, but can simply amplify the volume 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also be used as a normal guitar when inserting a stopper into a jackhole. In particular, the effect is that the volume can be amplified without particularly damaging the existing guitar in general us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other acoustic ampl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as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ha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2)

네크(11)를 연장하는 위치의 옆판(13) 중앙에 잭홀(15)이 형성된 기타(10);가 구비되고,A guitar 10 having a jack hole 15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ide plate 13 at a position extending the neck 11; 선단에 마이크(22)가 장착되고, 상기 기타(10)의 잭홀(15)에 삽입되는 마이크잭(21)과,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앰프(30)에 연결하여 전송하는 연결잭(23)과, 일단은 상기 마이크잭(2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잭(23)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22)에서 감지된 음향신호를 전기적으로 전송하는 연결선(25)과, 상기 연결선(25)의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22)에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음량, 음질을 조절하는 조절기(27)로 구성되는 마이크잭 장치(20);와 상기 연결잭(23)과 연결되어서 전송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증폭된 음향을 발생하는 앰프(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The microphone 22 is mounted at the front end, the microphone jack 21 inserted into the jack hole 15 of the guitar 10, the connection jack 23 for connecting and transmitting an electric sound signal to the amplifier 3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jack 2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23 and the connection line 25 for electrically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microphone 22, and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line 25 A microphone jack device 20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 controller 27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sound quality of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2; and an electrical sound signal transmi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23; Amplifier for generating an amplified sound (30); Guitar acoustic ampl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27)에는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띠 형상의 착용벨트(40)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기타의 음향 증폭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27) is further equipped with a belt-shaped wearing belt (40) to be worn by the human body.
KR20-2004-0015756U 2004-06-05 2004-06-05 guitar amplifiers KR2003619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56U KR200361938Y1 (en) 2004-06-05 2004-06-05 guitar amplif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56U KR200361938Y1 (en) 2004-06-05 2004-06-05 guitar amplifi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38Y1 true KR200361938Y1 (en) 2004-09-16

Family

ID=4943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756U KR200361938Y1 (en) 2004-06-05 2004-06-05 guitar amplifi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3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48B1 (en)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Lightweight electric guitar capable of detacting and ataching eff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448B1 (en) 2012-02-03 2012-04-20 (주)한국정밀 Lightweight electric guitar capable of detacting and ataching eff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4947B1 (en) Apparatus for a reed instrument
KR101245381B1 (en) acoustic and electrical string instruments of violin group
EA2007005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SOUND
ATE294491T1 (en) DEVICE WITH BUILT-I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TIMAL VOICE REPRODUCTION
EA002838B1 (en) Head phone
AU2003239776A1 (en) A transducer for bioacoustic signals
JP2009260883A (en) Earphone for person with hearing loss
DE60117779D1 (en) "ACOUSTIC TRANSMISSION CONNECTION, HEADPHONE WITH ACOUSTIC TRANSMISSION CONNECTION AND USE OF THE ACOUSTIC TRANSMISSION CONNECTION"
US20090071317A1 (en) Internally mounted self-contained amplifier and speaker system for acoustic guitar
CN101536082B (en) Tuner strap
JP2002358089A (en) Method and device for speech processing
JP4479688B2 (en) Performance assist mouthpiece and wind instrument with performance assist device
US20040159225A1 (en) Sound pickup system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s
AU2001258134A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ounds
KR200361938Y1 (en) guitar amplifiers
US8822805B2 (en) Musical instrument
EP2058798A3 (en) Voice signal blocker, talk assist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JP3788382B2 (en) Stringed instrument
KR200207763Y1 (en) A korean fiddle including volume control function
JP3885673B2 (en) Silencer for string instruments
CN209388693U (en) A kind of integrated portable silica gel nation's dagger-axe drum
KR101431202B1 (en) The reverberation amplifier for the stringed instrument
CN111684520A (en) Signal output device
US20210043178A1 (en) Cymbal pickup apparatus
JP3027699U (en) Weak instrument practice for stringed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