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790Y1 - 인형 이동 전화 - Google Patents

인형 이동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790Y1
KR200361790Y1 KR20-2004-0012000U KR20040012000U KR200361790Y1 KR 200361790 Y1 KR200361790 Y1 KR 200361790Y1 KR 20040012000 U KR20040012000 U KR 20040012000U KR 200361790 Y1 KR200361790 Y1 KR 200361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obile phone
output unit
doll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챠이츙
Original Assignee
콤팔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팔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콤팔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oy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인형 이동 전화는 케이싱, 부드러운 하우징, 통신 모듈, 그리고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를 포함한다. 케이싱은 머리, 몸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림을 포함하고, 머리와 림은 몸체에 연결된다. 부드러운 하우징은 케이싱의 표면을 덮고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싱의 표면에 고정되며, 고정수단은 케이싱 또는 부드러운 하우징의 표면에 위치된다. 통신 모듈은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케이싱 상에 설치되고, 통신 모듈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통신 모듈을 조절한다.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명령 입력 유니트, 음성 입력 유니트, 음성 출력 유니트, 그리고 이미지 출력 유니트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형 이동 전화{DOLL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인형 이동 전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형 케이싱과 케이싱의 표면을 덮는 하우징을 가지는 인형 이동 전화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정보 시대에서 전자 통신은 우리 일상 생활의 필수 부분이다. 전자 통신 장치, 특히 이동 전화나 무선 통신 기능들을 가지는 전자 장치와 같은 휴대 가능한 통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개인들간에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인 이동 전화는 케이싱, 통신 모듈,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는 케이싱 상에 배치되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그리고 평평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소비자들의 주의를 끌고,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기 위해 이동 전화의 외부 디자인은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이동 전화의 크기가 감소될 필요가 있다.
이동 전화의 선택시,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가격과 전화의 기능을 고려한다. 그러나 현재 소비자들은 이동 전화들의 외관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그 결과, 이동 전화의 외관 디자인은 점진적으로 원래의 의도 및 단순한 스타일에서 다른 유행하는 스타일들 및 형태들로 변형되고 있다. 전화의 외관에 대한 미감이 향상되었을 뿐 만 아니라 전화를 다루는 것 또한 더 편리해졌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의 외관을 수정하는 것에 대하여, 케이싱이 다른 무늬들로 교체되거나 색상들이 교체될 수 있고, 이동 전화의 특이성 및 매혹성을 증가하기 위해 액세서리들(예컨대 이동 전화 벨트 클립 또는 손잡이 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액세서리들을 포함하거나 케이싱을 다른 무늬들 또는 색상들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이동 전화의 외관은 케이싱의 기본적 형상에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동 전화들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지가 매우 적다. 이동 전화 산업에서 사람들은 이동 전화들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욕구 및 이동 전화의 판매를 자극하는 방법과 이동 전화 시장의 활성화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노력해야 될 것이다.
본 고안은 무선통신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기 위해 독특하고 다양한 변형을 이동 전화의 외관에 제공할 수 있는 인형 이동 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통신 모듈과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c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드러운 하우징에 의해 덮여진 명령 입력 유니트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b는 명령 입력 스크린을 시작하는 도 2a의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인형 이동 전화 110 : 케이싱
112 : 머리 114 : 몸체
116 : 림(limb) 120 : 부드러운 하우징
130 : 통신 모듈 140 :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
140a : 명령 입력 유니트 140b : 음성 입력 유니트
140c : 음성 출력 유니트 140d : 이미지 출력 유니트
140e :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에는 케이싱, 부드러운 하우징, 통신 모듈, 그리고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 : man machine interface)가 제공된다. 케이싱은 머리, 몸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림(limb)을 가진다. 림과 머리는 몸체에 결합되고 몸체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부드러운 하우징은 케이싱을 덮고,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싱의 표면에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각각 케이싱의 표면 또는 부드러운 하우징의 표면에 배치된다. 통신 모듈은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다.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는 케이싱 상에 배치되고, 통신 모듈을 조절하기 위해 통신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명령 입력 유니트, 음성 입력 유니트, 음성 출력 유니트, 그리고 이미지 출력 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에 의하면, 고정장치는 예컨대, 벨크로(Velcro)와 고리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에 의하면, 부드러운 하우징의 재질(material)은 직물 또는 가죽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에 의하면,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케이싱의 머리에 배치된다. 예컨대,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기본적으로 얼굴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둥근 형상이다.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에 의하면, 명령 입력 유니트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통합되어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는 인형 형상의 케이싱을 가진다. 부드러운 하우징은 케이싱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는 많은 독특한 외관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그들의 구매욕을 자극할 뿐 아니라, 위의 부드러운 하우징은 이동 전화의 의상 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된 고안에 대해더 나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제 1실시예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외관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통신 모듈과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는 케이싱(casing)(110), 부드러운 하우징(soft housing)(120),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130), 그리고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an machine interface : MMI)(14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머리(112), 몸체(114), 그리고 복수의 림들(limbs)(116)을 포함하며, 머리(112)와 림들(116)은 고정수단(122)에 의해 케이싱(110)의 표면 일부분(예컨대 몸체(114)의 일부)에 결합된다. 고정수단(122)은 케이싱(110)의 표면 일부분(예컨대, 몸체(114)의 등부분 또는 부드러운 하우징(120)의 탑부분)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통신 모듈(130)은 통신 신호를 보내거나 받기 위해 케이싱(110) 내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140)는 케이싱(110) 상에 배치되고, 통신 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모듈(130)을 조절한다.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140)는 명령 입력 유니트(command input unit)(140a), 음성 입력 유니트(phonetic input unit)(140b), 음성 출력 유니트(phonetic output unit)(140c), 그리고 이미지 출력 유니트(image output unit)(140d)를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케이싱(110)의 머리(112)와 림들(116)은 몸체(114)로부터 회전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머리(112)는 몸체(114)에 대해 회전되거나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고, 림들(116)은 다양한 포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머리(112)는 머리카락, 눈들, 귀들, 코, 그리고 입을 포함할 수 있다. 림들(116)은 예컨대, 손들, 다리들 또는 꼬리들 등을 포함한다. 림들(116)이 다른 포즈들로 배치될 수 있도록 림들은 복수의 관절(joint)을 더 포함한다. 인형 이동 전화(101)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머리(112)나 림들(116)이 움직이고 흔들릴 수 있도록 구동하기 위해 케이싱(1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움직임은 전화 수신 기능들이나 다른 기능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인형 이동 전화(101)의 케이싱(110)이 사람의 형상으로 고안될 때, 부드러운 하우징(120)은 셔츠, 바지, 한 벌, 또는 다른 액세서리들 등과 같은 옷을 포함할 수 있다. 부드러운 하우징(120)을 통해 사람 형상의 케이싱의 일부분이 덮어질 수 있다. 인형 이동 전화(101)의 케이싱(110)이 동물 형상으로 고안될 때, 부드러운 하우징(120)은 동물 형상의 케이싱(110)의 일부분을 덮는 동물의 털일 수 있다. 그러므로 부드러운 하우징(120)의 재질은 직물이나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에 부드러운 하우징(120)을 입히는 것 외에 부드러운 하우징(120)을 케이싱에 고정 배치하기 위해 벨크로(Velcro), 자석(magnetic) 또는 금속 고리(metal hook), 접착제(adhesive), 단추(button), 실(string)과 같은 고정수단이나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이 부드러운 하우징(120)을 케이싱(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130)은 케이싱(110) 내(예컨대, 케이싱의 머리(112) 또는 몸체(114) 내)에 배치된다. 게다가, 통신 모듈(130)은 무선통신과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한다. 통신 모듈(13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무선통신회로, 그리고 장치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와 인형 이동 전화(101) 사이에 정보 전달 매체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140)는 명령 입력 유니트(140a), 음성 입력 유니트(130b), 음성 출력 유니트(140c), 그리고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명령 입력 유니트(140a)는 키패드(또는 키보드)이고, 이들은 비교적 더 넓은 표면을 가지는 케이싱(110)의 영역(예컨대, 케이싱(110)의 몸체(114))에 배치되고, 통신 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음성 입력 유니트(140b)는 마이크로폰이고, 이들은 감춰지거나 케이싱(110)(예컨대, 케이싱(110)의 몸체(114) 또는 림(116))에 부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음성 출력 유니트(140c)는 스피커이고, 이들은 감춰지거나 케이싱(110)(예컨대, 케이싱(110)의 몸체(114) 또는 림(116))에 부착될 수 있다.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예컨대 평평한 스크린 디스플레이이다.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또한 비교적 넓은 표면을 가지는 케이싱(110)의 영역(예컨대, 케이싱(110)의 머리(112) 또는 림(11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도 1c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부드러운 하우징에 의해 덮여지는 명령 입력 유니트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인형 이동 전화(101)의 미감을 증대하기 위해 보통 사용되지 않는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140)(예컨대,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완전히 감춰질 수 있다. 부드러운 하우징(120)은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를 덮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인형 이동 전화(101)가 동작되는 동안에, 부드러운 하우징(120)의 일부분은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가 노출되도록 밀어질 수 있다.
제 2실시예
제 1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controlled display screen)으로 통합된 명령 입력 유니트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를 가지는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인형의 얼굴표정을 보여주기 위해 케이싱의 머리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 통신 모듈과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제 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 특징들만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예로써 인간 형상의 인형 이동 전화를 사용한다. 그러나 인간 형상의 인형 이동 전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인형 이동 전화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인형 이동 전화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a에서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도 2a에서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touch-controlled display unit)(140e)으로 통합된다. 다시 말하면, 도 2a에서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은 도 1b에서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를 대신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이 케이싱(110)의 머리(112)에 배치되거나케이싱(110)의 머리(112)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작동 프로그램으로 인형 이동 전화(102)의 머리(112)에 있는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은 다양한 얼굴들 또는 얼굴 표정을 보여줄 수 있다. 예로, 인형 이동 전화(102)로 걸려오는 전화가 있을 때,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은 통화자의 사진을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은 전화 사용시 추가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얼굴을 보여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터치 컨트롤 스크린 디스플레이(140e)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둥글고, 3차원으로 인지될 수 있는 얼굴을 표시하기 위해 돌출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명령 입력 스크린을 시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전화의 다른 기능을 사용할 때,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은 명령 입력 스크린을 시작하고, 사용자는 인형 휴대 전화를 작동하기 위해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ㅅ크린에 배치된 키를 누를 수 있다.
비록 터치 컨트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e)이 도 1b의 명령 입력 유니트(140a)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나, 제 1실시예에서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예컨대 케이싱(110)의 머리(112)에 배치되거나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케이싱(110)의 머리(112)로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명령 입력 유니트(140a)는 케이싱(110)의 몸체(114) 상에 보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머리(112)에 배치된 이미지 출력 유니트(140d)는 다양한 얼굴들과 얼굴 표정들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의 구성에 다양한 수정과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 해당된다면, 본 고안은 수정 및 변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형 이동 전화는 인형 형상의 케이싱을 사용한다. 단지 다른 케이싱(예컨대, 인간 형상 또는 동물 형상)으로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인형 이동 전화는 흥미를 유발하고 소비자의 구매욕을 증가한다.
더 나아가 인형 이동 전화는 인형 형상의 케이싱에 입혀지는 부드러운 하우징을 가진다. 사용자는 인형 이동 전화를 위한 옷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바꿀 수 있다. 결과로써, 인형 이동 전화의 부드러운 하우징과 액세서리들은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형성할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의 인형 이동 전화의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의 이미지 출력 유니트와 명령 입력 유니트는 터치 컨트롤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얼굴들 또는 얼굴 표정들이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보여져 폰 사용시 즐거움을 더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인형 이동 전화에 있어서,
    머리, 몸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림(limb)을 가지는, 그리고 상기 몸체와 상기 림은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덮는, 그리고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일부에 고정되는 부드러운 하우징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과; 그리고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MI : 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벨크로(Velcro), 고리(hook), 접착제(adhesive), 실(string), 그리고 단추(button)로 구성되는 그룹들로부터 선택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명령 유니트, 음성 입력 유니트, 그리고 음성출력 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출력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상기 케이싱의 몸체 또는 머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얼굴을 보여주기 위해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는 명령 입력 유니트와 이미지 출력 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입력 유니트와 상기 이미지 출력 유니트는 터치 컨트롤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드러운 하우징은 직물과 가죽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이동 전화.
KR20-2004-0012000U 2003-12-08 2004-04-29 인형 이동 전화 KR2003617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21525U TWM251405U (en) 2003-12-08 2003-12-08 Doll mobile phone
TW92221525 2003-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790Y1 true KR200361790Y1 (ko) 2004-09-14

Family

ID=3457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000U KR200361790Y1 (ko) 2003-12-08 2004-04-29 인형 이동 전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04727U (ko)
KR (1) KR200361790Y1 (ko)
TW (1) TWM25140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9066A (ja) * 2010-07-23 2012-02-09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携帯電話機
JP6356494B2 (ja) * 2014-06-06 2018-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04727U (ja) 2004-10-07
TWM251405U (en) 200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6719B (zh) 可攜式模組化多功能通訊裝置
EP2937744B1 (en) Wearable device
CN208386859U (zh) 一种装饰性无线通信系统及其模块
KR101580560B1 (ko) 사용자 설정 가능한 모듈화된 다기능 통신 장치
CN105394891B (zh) 智能手环
TW200522841A (en) Interlocking cover for mobile terminals
TW20041730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ver member thereof
KR200361790Y1 (ko) 인형 이동 전화
JP2002125022A (ja) 折畳み型携帯電話機
CN109752944A (zh) 一种基于柔性透明液晶显示屏的智能手表
TWM601937U (zh) 手機保護殼
CN108810194A (zh) 移动终端模块和手表型移动终端
CN2669505Y (zh) 玩偶手机
JP2002125016A (ja) 携帯電話機
CN101494671A (zh) 手腕带式手机
CN112205720A (zh) 可穿戴式装置、及其应用的电子装置与饰品
US11899899B2 (en) Techniques for adjusting a detachable display capsule of a wrist-wearable device to operationally complement a wearable-structure attachment, and wearable devices and systems for performing those techniques
CN213279771U (zh) 一种分体式手机壳
JP2001282391A (ja) 小型携帯端末
KR200379279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세서리
GB2417166A (en) A headset assembly
KR200301570Y1 (ko) 핸드폰 장착용 팔찌
US20040029608A1 (en) Mobile handset
KR200301222Y1 (ko)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TWI544311B (zh) 保護殼及電子總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