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33Y1 -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33Y1
KR200361433Y1 KR20-2004-0015139U KR20040015139U KR200361433Y1 KR 200361433 Y1 KR200361433 Y1 KR 200361433Y1 KR 20040015139 U KR20040015139 U KR 20040015139U KR 200361433 Y1 KR200361433 Y1 KR 200361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case
pillow body
pillow
pai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1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율
Original Assignee
김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율 filed Critical 김종율
Priority to KR20-2004-0015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3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베갯잇으로 감싸진 베개몸체가 베갯잇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이 개시된다. 베개몸체(30)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12)가 각각 설치된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는 일단이 베갯잇(10)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21a)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1)가 간격을 두고서 각각 설치된다. 연결부재(21)의 결합고리(21a)에는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22) 및 체결고리(24)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은 베개몸체를 베갯잇의 내측면에 위치시킨 다음, 베갯잇으로 베개몸체를 감싸도록 덮어 씌우고, 베갯잇의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에 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지퍼식 체결부재를 서로 체결시킨 상태에서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으로 양 측단 내측에 위치된 연결부재의 결합고리에 각각 설치된 체결구와 체결고리를 서로 체결하여 베개의 사용시 베갯잇으로 감싸진 베개몸체가 베갯잇의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illowcase having a release preven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pillow body wrapped in the pillowcase from being separated to the side of the pillowcase is disclosed.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30, both side ends 1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ing members 12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 Inside one end is fixed to the pillowcase 10,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21 is formed with a coupling ring (21a) at intervals, respectively. The coupling ring 21a of the connecting member 21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ers 22 and fastening rings 24 form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 pillowcas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pillowcase, and then covered with a pillowcase to cover the pillow body, and fastened with zippers respectively installed at inner and outer sides at both ends of the pillowcase overlapping each other. When the members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fasteners and the fastening 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joining rings of the connecting members located on both side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the pillow body wrapped in the pillowcase is Departure through the side opening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본 고안은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몸체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된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 내측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간격을 두고서 각각 배치함으로써, 베갯잇에 감싸진 베개몸체가 베갯잇의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갯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cas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and a pair of fastening members are formed o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It relates to a pillowcase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side opening of the pillowcase pillow body wrapped around the pillowcase by arranging each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 ends.

일반적으로, 베개는 침구류의 일종으로서, 취침시에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쾌적한 수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In general, pillows are a kind of bedding, and have been widely used since ancient times to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at bedtime to achieve a comfortable sleep.

종래의 전통 한식 베개는 직물로 만든 원통형 또는 사각형 베개몸체 내에 다양한 소재의 베갯속을 채워 넣고, 베개몸체를 꿰매어 밀봉한 다음, 베개몸체의 표면을 베갯잇으로 둘러싸고 다시 베개몸체에 대하여 베갯잇을 실로 꿰매어 고정시켜 사용하였다.Conventional Korean pillows are filled with pillows of various materials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illow body made of fabric, and then the pillow body is sewn and sealed, then the pillow body is surrounded by a pillowcase and the pillow body is sewn on the pillow body. Used.

이러한 베갯잇은 주로 세탁 및 표백이 용이한 천으로 만들어져 있고, 세탁시 베갯잇만 벗겨내어 이를 세탁하는 것으로 항상 베개를 청결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다.These pillowcases are mainly made of a cloth that is easy to wash and bleach, and have been used to clean pillows at all times by washing only the pillowcases when washing them.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베갯잇을 베개몸체에 실로 꿰매어 고정시키는 과정에서는 세탁시마다 꿰맨 실을 끊어내고, 세탁 및 건조 후에는 다시 베개몸체에 꿰매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주로 가정보다는 투숙객이 항시 바뀌는 호텔,콘도 및 여관 등의 숙박업소 등에서 한식 베개의 사용이 기피되어 왔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sewing and fixing the pillowcase with a thread on the pillow body, the hotel changes the guest at all times rather than at home mainly due to the hassle of breaking the thread every time the laundry is sewn and again after washing and drying. Korean pillows have been avoided in condominiums and inns.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10)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베갯잇(100)의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104), 예컨대 지퍼식 체결부재(104)를 설치하여 베갯잇(100)의 교환이 용이한 구조의 한식 베개가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에 베개몸체(110)가 베갯잇(100)의 개방된 양측면을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게몸체(110)를 베갯잇(100)에 고정하도록, 베개몸체(110)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체결고리(112)를 부착시키고 그리고 베갯잇(100)의 내측면에는 체결고리(112)를 관통하여 양단이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끈(102)을 부착시켜 베개몸체(110)를 체결끈(102)으로 베갯잇(100)에 고정시켰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s shown in FIG. 5, a pair of fastening members 104, for example, a zipper, are formed o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rectangular pillowcase 100 surrounding the pillow body 110. Korean-style pillow has been developed by installing the fastening member 104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the pillowcase 100, in this case to prevent the pillow body 110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open both sides of the pillowcase (100) In order to secure the pillow body 110 to the pillowcase 100, a plurality of fastening rings 112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10, and the fastening ring 112 penetrat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ase 100. By attaching a pair of fastening straps 102 to which both ends are fastened, the pillow body 110 was fixed to the pillowcase 100 by the fastening straps 102.

한편, 앞서 도 5에서 설명된 지퍼식 체결부재는 사용한 베갯잇 구조와 거의 유사한 구조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10)나 베갯잇(100)의 고정을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120a,120b), 즉 베갯잇(100)의 내면에 제공되는 후크면(120a)과 베개몸체(110)의 외면에 제공되는 루프면(120b)의 결합(이와 반대구조도 가능)을 이용하는 구조가 제시되기도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zipper fastening member described in FIG. 5 is a structure almost similar to the pillowcase structure used, as shown in Figure 6 to secure the pillow body 110 or pillowcase 100 a pair of Velcro tapes 120a, 120b), that is, a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of the hook surface (120a)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case 100 and the loop surface (120b)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10 (possibly opposite structure) has been proposed. .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베개몸체를 체결끈으로 일일이 베갯잇에 고정시켜 했으므로 베갯잇에 베개몸체를 고정시키는 과정이 번거롭고, 베개의 사용시 베개몸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끈이 느슨해져 베갯잇에서 베개몸체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자주 세탁되는 베갯잇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면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함께 세탁되는 다른 세탁물을 손상하고,나아가서 후크면에 보풀이 붙어서 접착기능을 훼손하며, 이와 반대로 베갯잇에 루프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탁시 루프면이 손상되어 루프면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the pillow body is fixed to the pillowcase with fastening straps one by one, so the process of fixing the pillow body to the pillowcase is cumbersome, and when the pillow is used, the fastening strap for fixing the pillow body is loose and the pillow body on the pillowcase is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detached, and also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6 is provided with hook-shaped hook surface on the pillow case frequently washed, damage the other laundry to be washed together, and then go to the hook surface is glued to the adhesive func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loop surface is formed on the pillowcase, the loop surface is damaged during washing, thereby weaken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oop surfa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베개몸체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베갯잇의 겹쳐지는 양 종단의 접합을 지퍼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갯잇의 교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도, 베갯잇에 감싸진 베개몸체가 베갯잇의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y and easily join the two ends of the overlapping rectangular pillowcase surrounding the pillow body using a zipper faste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ease of replacement of the pillowcase, while providing a means for preventing the pillow body wrapped in the pillowcase to escape through the side opening of the pillowcas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cas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갯잇으로 베개몸체를 감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rapped the pillow body with a pillowcase shown in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ow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을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ow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베갯잇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owca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베갯잇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illowca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베갯잇 10b : 양 측단10: pillowcase 10b: both ends

12 : 체결부재 20 : 이탈방지부재12: fastening member 20: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1 : 연결부재 21a : 결합고리21: connecting member 21a: coupling ring

22 : 체결구 24 : 체결고리22: fastener 24: fastener

26 : 스냅단추 28 : 벨크로테이프26: snap button 28: Velcro tape

30 : 베개몸체30: pillow bod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베개몸체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베갯잇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 내측에는 상기 베개몸체의 측면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가 간격을 두고서 한쌍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을 제공한다.The pillow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and a pair of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the pillow body is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 case. Provides a pillowcas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air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coupled to form a pair so as to prevent side departure of the.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 내측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베갯잇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고리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 및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disposed at intervals inside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one end is fixed to the pillowca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ring is formed; And a pair of fasteners and fastening ring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coupling rings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s, and are form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body.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베갯잇의 내측에 암,수로 구성되어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스냅단추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it may be made of a pair of snap buttons which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the female, male and the inside of the pillowcase.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베갯잇의 내측에 암,수로 구성되어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may be made of a pair of velcro tapes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a male, male inside the pillowcase.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은 베게몸체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된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 내측에는 일단이 베갯잇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고 연결부재의 결합고리에는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 및 체결고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체결구와 체결고리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베갯잇에 감싸진 베개몸체의 측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Pillowcases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and to form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each installed a pair of fastening member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A pair of fasteners and fastening r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illow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at intervals, and the connecting ring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stalling eac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departure of the pillow body wrapped in the pillowcase while maintaining the fastener and fastening ring fastened st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illowcase having a departure-avoidanc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pillow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10)은 베개몸체(30)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서로 겹쳐지는 한쌍의 체결부재(12)(예컨대, 지퍼), 그리고 베개몸체(30)를감싸도록 베갯잇(10)의 양 측단(10b) 내측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illowcase 10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l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30, a pair of overlapping each other on the inner, outer surface of both ends Fastening member 12 (for example, a zipp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installed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inside each side end (10b) of the pillowcase 10 so as to surround the pillow body (30). .

상기 체결부재(12)는 베갯잇(10)으로 베개몸체(30)를 감싸도록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베갯잇(10)의 내측면에 베개몸체(30)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2)가 서로 결합되어 베개몸체(30)가 베갯잇(10)으로 감싸진다. 이때, 체결부재(12)는 베갯잇(10)으로 덮어지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The fastening members 12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to surround the pillow body 30 by the pillowcase 10,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case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illow body 30 is located in the fastening member 12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pillow body 30 is wrapped in a pillow case (10).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12 is covered with a pillowcase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이탈방지부재(20)는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베갯잇(10)으로 감싸진 베개몸체(30)의 측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며, 일단은 베갯잇(10)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21a)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1), 및 연결부재(21)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고리(21a)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22) 및 체결고리(24)로 이루어진다.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side side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so as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illow body 30 of the pillowcase (10) wrapped In order to prevent the side deviate, are arranged at intervals inside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one end is fixed to the pillowcase (10) and the other end coupling ring (21a) is A pair of fasteners 22 and fastening rings 24,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21 and the coupling ring 21a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 are form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done.

여기에서, 연결부재(21)는 베개몸체(30)의 크기에 따라 탄성을 갖도록 탄성체로 형성된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21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to hav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llow body 30.

즉, 연결부재(21)는 베개몸체(30)가 베갯잇(10)으로 감싸진 상태에서 체결구(22)가 체결고리(24)에 끼워져 결합되면 탄성에 의해 늘어나거나 수축되어서베개몸체(30)의 크기에 대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1 is stretched or shrunk by elasticity when the fastener 22 is fitted to the fastening ring 24 in a state in which the pillow body 30 is wrapped with the pillow case 10 so as to have a pillow body 30. The adaptability to the size of can be increased.

그리고, 체결구(22)는 체결고리(24)에 끼워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절곡되어형성된다.Then, the fastener 22 is bent and form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being fitted to the fastening ring 24.

본 실시 예에 도시된 베갯잇(10)의 연결부재(21)가 탄성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관계로 베개몸체(30)의 크기에 대한 적응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베개를 사용시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이탈방지부재(20)에 의해 베개몸체(30)가 베갯잇(10)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21 of the pillowcase 10 shown in this embodiment can increase the adaptability to the size of the pillow body 30 du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by elasticity, when using the pillow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The pillow body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side of the pillow case 10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s 20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side ends 10b.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베갯잇으로 베개몸체를 감싼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illow body is wrapped with the pillow case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의 적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describes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pillowcase having a departure-avoidanc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으로 베개몸체를 감싸려는 경우에는 베갯잇(10)의 내측면에 베개몸체(30)를 위치시킨 다음, 베갯잇(10)으로 베개몸체(30)를 감싸도록 덮어 씌우고, 베갯잇(10)의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에 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지퍼식 체결부재(12)를 서로 체결시킨다.Referring to Figure 2, when the pillow body to wrap the pillow bod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body 30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ase 10, the pillow body 30 as a pillow case 10 ) To cover the cover, and fasten the zipper type fastening members 12 respectively installed on inner and outer surfaces at both ends of the pillowcase 10 overlapping each other.

그러면, 베갯잇(10)의 양 측단(10b)에 일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한쌍의 이탈방지부재(20), 예컨대 연결부재(21)에 의해 베갯잇(10)의 내측에 설치된 체결구(22)와 체결고리(24)가 서로 베개의 측면 원주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으로 양 측단(10b) 내측에 각각 설치된 체결구(22)를 체결고리(24)에 끼우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연결부재(21)는 탄성에 의해 늘어나거나 수축되어서 베개몸체(30)에 대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Then, a fastener 22 installed inside the pillowcase 10 by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members 20,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21, which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 ends 10b of the pillowcase 10, and The fastening ring 24 is plac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pillow. At this time, the coupling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fasteners 22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 ends 1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to the fastening ring 24.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21 may be stretched or contracted by elasticity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to the pillow body 30.

이러한 상태에서 베개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베개의 사용시 베갯잇(10)으로 감싸진 베개몸체(30)는 이탈방지부재(20)에 의해 베갯잇(10)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What is necessary is to use a pillow in this state, the pillow body 30 wrapped in the pillowcase 10 when using the pillow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side of the pillowcase 10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한편, 베갯잇(10)이 오염되어 세탁을 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베갯잇(10)의 연결부재(21)에 각각 설치된 체결구(22)와 체결고리(24)를 각각 분리시키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양 종단의 지퍼식 체결부재(12)를 분리시켜 베갯잇(10)을 베개몸체(30)에서 벗겨내면 베갯잇(10)을 베개몸체(3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갯잇(10)만을 깨끗하게 세탁한 후 다시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합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illowcase 10 is contaminated and needs to be washed, the fasteners 22 and the fastening rings 24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s 21 of the pillowcase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eparating the zipper fastening member 12 of both ends there is peeling off the pillowcase 10 from the pillow body 30, the pillowcase 1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illow body (30). In this state, only the pillowcase 10 is to be washed clean and then combin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이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pillowcas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20)는 암,수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스냅단추(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is composed of a male and a male, each pair is install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snap button 26 of.

이러한 이탈방지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베갯잇(10)의 길이가 베개몸체(30)의 길이보다 길어서 베갯잇(10)의 양 측단(10b) 내측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접촉될 수 있을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베갯잇(10)의 양 측단(10b)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스냅단추(26)가 서로 결합되어 베개를 사용시 베갯잇(10)에 감싸진 베개몸체(30)가 베갯잇(10)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Unlike the case shown in FIG. 2,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has a length of the pillowcase 10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llow body 30 so that the faces facing each other inside the side ends 10b of the pillowcase 10 are mutually different. It is used when it can be contacted, a pair of snap buttons (26)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 ends (10b) of the pillowcase 10 is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pillow body (30) wrapped in the pillowcase (10) when using a pillow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side of the pillowcase (10).

여기에서, 이탈방지부재(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베갯잇(10)의 양 측단(10b) 내측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의 스냅단추(26)를 설치하여 사용할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may be us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nap buttons 26 o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side the side end 10b of the pillowcase 10.

도 4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베갯잇이 도시되어 있다.4 is a pillow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20)는 암,수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벨크로테이프(2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is composed of a male, male and a pair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Velcro tape 28 of the.

이러한 이탈방지부재(20)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베갯잇(10)의 길이가 베개몸체(30)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베갯잇(10)의 양 측단(10b)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28)가 서로 결합되어 베개를 사용시 베갯잇(10)에 감싸진 베개몸체(30)가 베갯잇(10)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is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is used when the length of the pillowcase 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llow body 30, as shown in Figure 3, a pair of each installed on both side ends (10b) of the pillowcase (10) Velcro tape 28 is coupled to each other is to prevent the pillow body 30 wrapped in the pillowcase 10 is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pillowcase 10 when using the pillow.

여기에서,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양 측단(10b) 내주연에 벨크로테이프(28)를 설치하여 베갯잇(10)의 양 측단(10b) 전체를 접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Velcro tape 28 may be install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both side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and thus the whole of both side ends 10b of the pillowcase 10 may be joi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은 베게몸체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된 베갯잇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 내측에는 일단이 베갯잇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간격을 두고서 배치하고 연결부재의 결합고리에는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 및 체결고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베갯잇의 교환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베개몸체가 베갯잇의 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illowcas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to form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each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ing member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A pair of fasteners and fast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illow cas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at intervals, and the connecting ring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stalling each of the loops, the pillow body can be easily exchanged, but the pillow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side opening of the pillow cas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yone with a variety of variations will be possible.

Claims (5)

베개몸체(30)를 감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겹쳐지는 양 종단의 내,외측면에 한쌍을 이루는 체결부재(12)가 각각 설치되는 베갯잇(10)에 있어서,In the pillowcas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rround the pillow body 30, a pair of fastening members 12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verlapping each other, 상기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는 상기 베개몸체(30)의 측면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20)가 간격을 두고서 한쌍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Two or more pairs of separation prevention members 20 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so as to prevent side separation of the pillow body 30. Pillowcase having a departure-avoidan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20)는,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상기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길이 방향 양 측단(10b) 내측에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베갯잇(10)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에는 결합고리(21a)가 형성되는 연결부재(21); 및The connecting member 21 is disposed at intervals inside the longitudinal side both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one end is fixed to the pillowcase 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coupling ring 21a ); And 상기 연결부재(21)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고리(21a)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체결구(22) 및 체결고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Detach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ring (21a)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 respectively comprising a pair of fasteners 22 and the fastening ring 24 form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Pillowcase with prevention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1)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3. The pillowcase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21)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20)는, 상기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양 측단(10b) 내측에 암,수로 구성되어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스냅단추(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pair of snap buttons 26, respectively, which is formed of a male and a male inside both side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respectively. Pillowcas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20)는 상기 베갯잇(10)의 원주를 형성하는 양 측단(10b) 내측에 암,수로 구성되어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벨크로테이프(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베갯잇.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pair of velcro tapes 28,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of a male and a male inside both side ends 10b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lowcase 10, respectively. Pillowcases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KR20-2004-0015139U 2004-05-31 2004-05-31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KR2003614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139U KR200361433Y1 (en) 2004-05-31 2004-05-31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139U KR200361433Y1 (en) 2004-05-31 2004-05-31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33Y1 true KR200361433Y1 (en) 2004-09-14

Family

ID=4943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139U KR200361433Y1 (en) 2004-05-31 2004-05-31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3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449B2 (en) Mattress protector and method to wrap a mattress with the same
JP2008520358A (en) Fit-in cover with diagonal elastic band
JP3931428B2 (en) Band and wrist device
KR200361433Y1 (en) Pillow wrapper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TWM569196U (en) One-piece cross-shape quick-assembly quilt cover
JP6671615B2 (en) Bedding covers
WO1997041291A1 (en) Washing aid
TWI737470B (en) blanket
US11439258B2 (en) Bedlinen hold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JP3048144U (en) Futon cover
JP4600702B1 (en) Comforter and cover with slip prevention
JP2004033564A (en) Quilt cover
KR20230103249A (en) Blanket cover for easy binding of inside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74033A (en) Engagement supplementary implement for fastening part of garment
JP2001017295A (en) Fastener for bedclothes
JP3068107U (en) Mounting tool
JP2013162977A (en) Snap with two-layer tape
JP3042760U (en) Bed pad mounting structure
JPH119413A (en) Bedding cover
JPH10276882A (en) Comforter cover
KR200343619Y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pillow and pillow-cover
JPH0761473A (en) Packing pad for furniture, etc.
JP3015595U (en) Duvet cover
JP3056619U (en) Futon cover fastening structure
JPH043386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