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27Y1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27Y1
KR200361427Y1 KR20-2004-0014689U KR20040014689U KR200361427Y1 KR 200361427 Y1 KR200361427 Y1 KR 200361427Y1 KR 20040014689 U KR20040014689 U KR 20040014689U KR 200361427 Y1 KR200361427 Y1 KR 200361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inwater
accommodation chamber
storm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6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권
최승도
Original Assignee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최승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최승도 filed Critical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to KR20-2004-0014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2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우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맴돌이 현상을 유도함을 통한 물과의 비점 분리방식을 채용하여 하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필터링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함으로써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ollutants from rainwater that is discharged to the river and the like through the sewage pipe. This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water pollution by adopting a boiling point separation method with water through inducing eddy phenomenon to separate pollutants from rainwater flowing through sewage pipes and to filter and discharge them to the stream.

Description

우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Rainwater Treatment System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본 고안은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을 통해 방류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the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pipe.

일반적으로 초기우수는 대기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흙, 모래 등을 포함한 상태로 하수관을 통해 호소(湖沼)나 하천 등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고, 이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이 자명한 사실이다.Generally,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s pollutants in the air and dirt from the commercial, industrial, residential and road surfaces, dust, oil or grease, soil, sand, etc. It is well known that water is flowing into the water, and it is obvious that water quality such as rivers is contaminated by this pollutant.

이 때문에, 기존에는 식생수로와 식생여과대, 불투수지역의 최소화를 포함하는 우수침투시설, 이중목적 저류지, 연못, 인공습지, 여과시설, 유수분리장치 등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갖는 초기우수로 인한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있으나, 이 시설물들 대부분은 작은 면적을 차지하며 지하에 설치되는 유수분리장치 유형에 속하기 때문에 부유물질이나 침전물질 제거에는 우수하나 용존성 물질의 제거에는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초기오염 농도가 높은 우수의 처리에는 우수하나 우수량이 증가할 경우 희석된 우수를 그대로 월류시켜 방류시키기 때문에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existing preparatory waterway with pollutants by installing vegetation waterways, vegetation filtration units, and stormwater penetration facilities including the minimization of impervious areas, dual purpose reservoirs, ponds, artificial wetlands, filtration facilities, and oil and water separation devices, etc.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is prevented. However, most of these facilities occupy a small area and belong to the type of oil / water separator installed underground, which is excellent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sediment, but effective for removing dissolved substance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large, it is excellent in the treatment of rainwater with a high initial pollution concentration, but if the amount of rainwater is increased,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event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because it discharges the diluted rainwater as it i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점 분리방식으로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필터링하는 과정을 거쳐 우수를 방류함으로써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게 한 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rainwater through a process of separating and filtering pollutants in a boiling point separation method to prevent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To provid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에서 우수 맴돌이관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m eddy tube in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에서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in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a∼도6d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a to 6d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몸체 11:중공된 내부10: body 11: hollow interior

11a:제1수용실 11b:제2수용실11a: 1st room 11b: 2nd room

12:덮개 13:입수관12: Cover 13: water pipe

14:배수관 15:분리벽14: drain pipe 15: separation wall

15a:단차 20:우수 맴돌이관15a: step 20: excellent eddy tube

21:개구된 일단 22:구멍21: Once opened 22: Hole

30:스크린 31:다공관30: Screen 31: Perforated tube

32a,32b:다공판 40:우수 유도관32a, 32b: Perforated plate 40: Excellent induction pipe

50:돌부 60:퇴적량 감시 및 청소용 관50: protrusion 60: pipe for monitoring and cleaning amount of deposit

70:오일 계측기70: oil measuring instrumen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이루어 하수관의 중간에 덮개를 갖는 상면만이 노출되게 매설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된 내부를 상하로 2분리하여 제1및 제2수용실로 구획하기 위한 분리벽이 설치됨과 아울러 벽체에는 상기 제1수용실과 하수관을 연락하기 위한 입배수관이 각각 설치된 맨홀형 몸체; 일단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개구된 일단이 상기 제1수용실을 향하고 길이가 상기 제2수용실에 위치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갖고 상기 입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용실을 통해 제2수용실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갖는 우수를 와류시켜 비점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리하게 한 우수 맴돌이관; 및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다공관과 이 다공관의 양단 외주연에 각각 설치된 환형의 다공판들을 갖는 "I"자 모양의 형상을 이루어 그 주위를 감싸는 우수 유도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제2수용실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2수용실로부터 우수 유도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를 필터링함과 아울러 상기 제2수용실에 대한 우수 출입수량의 평형을 유지하게 한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uried so that only the upper surface having a cover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to form a hollow hollow structure in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by separating the hollow inside two up and down A manhole type body having a dividing wall for dividing into a chamber and a wall having an inlet and drain pipe for contacting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a sewer pipe; One e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length, and the opened end is installed in a partition wall adjacent to the water inlet pipe wit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open end faces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length is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A rainwater eddy tube that separates the pollutants by boiling by vortexing rainwater having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a second shaped accommodating tube supported by an excellent induction pipe that surrounds a cylindrical I tube having an open end and an annular perforated plate provided at an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porous tube. Installed in a partition wall adjacent to the drain pipe so as to be located in the chamber, filtering the rainwater from which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to the drain pipe through the rainwater induction pipe is separated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creen to keep the equilibrium.

이 구조에서, 상기 스크린은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가 상기 다공관을 통해배출되도록 상기 다공관의 상단이 상기 제1수용실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게 상기 분리벽에 설치됨을 바람직하다.In this structure, the screen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eparation wall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porous pipe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so that the rainwater from which the pollutant is separated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ous pipe.

또, 상기 분리벽은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배출되는 우수가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그 중간이 단차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wall is preferably stepped in the middle so that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screen does not flow back to the rainwater eddy pipe.

또, 상기 입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의 우수를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크게 증가한 경우 그 일부량을 월류시켜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부터 바이패스하기 위한 둑(weir)형의 돌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viding wall adjacent to the water inlet pipe induces rainwater from the water inlet pipe to the rainwater duct pipe, and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 greatly increases, a part of the bank for overpassing the rainwater pipe by bypassing the portion ( It is preferable that weir) protrusions are further formed.

또, 상기 분리벽에는 상기 제2수용실에 대한 오염물질의 퇴적량을 감시하고 그 퇴적된 오염물질을 청소하게 하는 관이 더 입설됨과 아울러 유수분리된 오일의 적층량을 계측하게 하는 오일 계측기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wa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pipe for monitoring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contaminants in the second chamber and to clean the deposited contaminants, and an oil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il-separated oil depos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more.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dvantages and other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에서 우수 맴돌이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에서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6a∼도6d는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cellent eddy tube in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in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to 6d is a state of us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는 우수를 집수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한 하수관(P)의 중간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는 하천 등과 인접한 하수관(P)의 중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맨홀형 몸체 (10)를 통해 하수관(P)의 중간에 매설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가 빈 중공구조 (11)를 이루어 덮개(12)를 갖는 상면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매설되며, 벽체에 설치되는 입배수관(13,14)을 통해 상기 하수관(P)과 연락되게 매설된다. 이러한 몸체 (10)의 중공된 내부(11)는 분리벽(15)을 통하여 제1및 제2수용실(11a,11b)로 상하로 2분리되며, 상기 제1수용실(11a)이 상기 입배수관(13,14)과 연락됨을 통해 상기 하수관(P)과 연락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P) to collect rainwater to discharge to the river. Rain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P) adjacent to the river, etc., is embedded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P) through the manhole-shaped body (10). The body 10 is buried so that only the upper surface having a cover 12 to form a hollow hollow structur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and drain pipes (13, 14) installed on the wall (S) Buried in contact with. The hollow interior 11 of the body 10 is divided into two vertically in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chambers 11a and 11b through the separation wall 15, and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1a enters the mouth. It is in contact with the sewer pipe (P) through contact with the drain pipe (13,14).

상기 몸체(10)는 개폐되는 상기 덮개(12)를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사다리와 같은 승강시설을 설치하여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10)는 콘크리트, 유리섬유, FRP,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고, 현장여건에 적합하면서도 그 유지관리와 처리효율이 높게 발생하도록 원형 또는 각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body 10 is accessible through the cover 12 to be opened and closed, although not shown,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installing a lifting facility such as a ladder therein.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ncrete, glass fiber, FRP, stainless, etc.,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 so as to generate high maintenance and treatment efficiency while being suitable for site conditions.

이러한 몸체(10)에는 우수 맴돌이관(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은 일단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이다. 이러한 우수 맴돌이관(20)은 그 개구된 일단(21)이 상기 제1수용실(11a)을 향하고 길이가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위치하도록 상기 입수관(13)과 인접한 분리벽(15)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구멍들(22)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이 구멍들(22)은 상기 2수용실(11b)의 원주선상을 따르도록 형성됨이 좋다.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n excellent eddy tube 20. The excellent eddy tube 2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at which one end is opened. The excellent eddy tube 20 has a partition wall adjacent to the water inlet pipe 13 such that the open end 21 faces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1a and the length thereof is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15) is installed. A plurality of holes 2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ellent eddy tube 20, and preferably, the holes 22 are formed to follow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따라서 상기 입수관(13), 제1수용실(11a) 및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개구된 일단(21)과 그 길이로 유입되는 상기 하수관(P)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을 갖는 우수는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구멍들(22)을 통하여 상기 제2수용실(11b)의 원주를 따라 와류하게 되며 이에 의해 맴돌이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맴돌이 현상은 오염물질 중 물보다 비중이 큰 오염물질, 예컨대 흙, 모래, 중금속(아연, 구리, 납, 카드뮴 등) 등을 상기 제2수용실(11b)의 바닥으로 침강시키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오염물질, 예컨대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 등을 수면 위로 부상하게 한다. 결국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은 유입되는 우수를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해 와류시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게 한다. 한편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구멍들(22)은 상기 제2수용실(11b)의 통상 수위 아래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멍들(22)을 통한 부유된 오염물질의 재이탈 및 그 역류가 방지된다.Therefore, the rainwater having contaminants from the open end 21 of the water inlet pipe 13,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1a and the rainwater eddy pipe 20 and the sewage pipe P flowing into the length is Vortex vortic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rough the holes 22 of the excellent eddy pipe 20, thereby causing a eddy phenomenon. This eddy phenomenon causes the pollutants having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among the pollutants, for example, soil, sand, heavy metals (zinc, copper, lead, cadmium, etc.) to settle to the bottom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specific gravity than water This small contaminant, such as dust, oil or grease,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As a result, the storm eddy tube 20 vortexes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so that the storm flow occur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les 22 of the storm duct 20 are formed to be below the normal water level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relocation of the contaminants suspended through the holes 22 and their Backflow is preven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는 스크린(3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스크린(30)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다공관(31)과 이 다공관(31)의 양단 외주연에 각각 설치된 환형의 다공판들(32a,32b)을 통해 "I"자 모양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구조의 스크린(30)은 그 주위를 감싸는 양단이 개구된 우수 유도관(40)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관 (14)과 인접한 분리벽(15)에 분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다공관(31)의 상단에 설치된 다공판 (32a)이 상기 분리벽(15)과 동일면이 되게 설치된다.Rainwater in which contaminants are separated in this mann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creen 30. The screen 30 is shaped like a "I" through a cylindrical porous tube 31 having both ends opened and annular porous plates 32a and 32b provided at outer peripheries of both ends of the porous tube 31, respectively. Is fulfilling. The screen 30 of this structure is supported by the drain pipe 14 adjacent to the drain pipe 14 so as to be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ainwater guide pipe 40 having both ends surrounding the periphery thereof. Separately installed, the porous plate 32a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orous pipe 31 is installed to be the same surface as the separation wall (15).

이러한 스크린(30)은 수두차로 인해 상기 우수 유도관(40)으로 유도되어 상기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상기 제1수용실(11a) 및 배수관(14)을 거쳐 하수관(P)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내재된 고형물질을 필터링하게 하며,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을 통해 상기 제2수용실(11b)로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증가한 경우 오염물질이 분리된 상태에서 그 일부량을 상기 다공관(31)을 통해 배출하게 하여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한 우수 출입수량의 평형을 유지하게 한다.The screen 30 is led to the rainwater induction pipe 40 due to the water head difference through the first receiving chamber 11a and the drain pipe 14 between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and the sewer pipe P. The pollutants discharged to the filter filter out the solid matter contained therei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parated rainwater, and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rough the storm storm pipe 20 is increased, Part of the amount in the separated state i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orous pipe 31 to maintain the equilibrium of the excellent water intake amount 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즉, 상기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배출량보다 상기 제2수용실(11b)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이 크면, 대부분의 우수가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배수관(14)으로 바이패스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다공관(31)은 상기 제2수용실(11b)로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증가한 경우 그 일부량을 배출하게 하여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한 우수 출입수량의 평형을 이루게 하여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을 매우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한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is greater than the discharge of rainwater discharged between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most of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20. Since the perforated pipe 31 can be bypassed to the drain pipe 14 without causing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o increase, the part of the porous pipe 31 is discharg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Equilibrium of the stormwater runoff for (11b) ensures a very efficient treatment of pollutants for stormwater.

이러한 스크린(30)은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가 상기 다공관(31)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다공관(31)의 상단이 상기 제1수용실(11a)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게 상기 분리벽(15)에 설치됨이 좋다. 이는 상기 제2수용실(11b)에서 오염물질이 분리된 오염의 농도가 가장 큰 우수가 상기 다공관(31)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안정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내재된 고형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상기 스크린(30)은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로부터 내재된 고형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한다.The screen 30 is the separation wall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orous pipe 31 is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1a)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rainwater is separated from the pollutants through the porous pipe (31) ( It is good to be installed in 15). This is to ensure that the rainwater having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s separated from the second storage chamber 11b is discharged stably between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without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porous pipe 31. This is to effectively filter the intrinsic solid matter. Accordingly, the screen 30 more effectively prevents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by filtering solid matter embedded in rainwater from which pollutants are separated.

또한, 상기 스크린(30)에 의해 필터링된 우수가 상기 분리벽(15)을 통하여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분리벽(15)의 중간은 단차 (15a)되게 형성됨이 좋다.In addition, the middle of the separation wall 15 may be formed to have a step 15a so that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screen 30 does not flow back into the storm circumference pipe 20 through the separation wall 15. .

또한, 상기 입수관(13)과 인접한 분리벽(15)에는 상기 입수관(13)으로부터의 우수를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으로 안정되게 유도함과 아울러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크게 증가한 경우 그 일부량을 월류시켜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으로부터 배수관(14)으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둑(weir)형의 돌부(50)가 형성됨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돌부(50)는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개구된 일단(21)을 감싸는 호형상으로 상기 분리벽(15)에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from the inlet pipe 13 is stably guided to the rainwater duct tube 20 and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 the partition wall 15 adjacent to the inlet pipe 13 increases, the partial amount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a weir-shaped protrusion 50 for bypassing the storm duct 20 from the storm pipe 20 to the drain pipe 14 is formed. To this end, the protrusion 5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the separation wall 15 in an arc shape surrounding the open one end 21 of the excellent eddy tube 20.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설계치 이상의 큰 우수가 하수관(P)을 통해 상기 입수관(13)으로 유입될 시 상기 돌부(50)가 일부량을 월류시켜 상기 배수관(14)으로 배출하게 하고 그 나머지 량을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유도하여 오염물질을 분리 처리하게 한 후 상기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상기 스크린(30)의 다공관(31) 및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배출하게 함으로써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한 출입수량을 상기 다공관(31)과 함께 평형을 이루게 하여 분리된 오염물질 즉, 침전물 및 부유물질의 재부상 또는 그 역류, 이로 인한 우수와의 동반유출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 때문에 설계치 이상의 큰 우수가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에 유입되어도 초기우수로부터 분리된 오염의 농도가 큰 오염물질은 상기 다공관(31) 및 돌부(50)를 통해 상기 제2수용실(11b)에안정되게 머물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ainwater that is greater than the design value of the storm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s into the water inlet pipe 13 through the sewage pipe P, the protrusion 50 overflows a partial amount and discharges it to the drain pipe 14. The remaining amount is led to the second chamber 11b to separate the contaminants, and then the porous tube 31 and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of the screen 30 hav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Minimize water pollution by discharging through the water and equilibrate the water inflow and outflow 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with the porous pipe (31) to re-suspend the separated pollutants, that is,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Or countercurrent flows and concomitant spills with rainwater. For this reason, even if a large rainwater exceeding a design value flows into the rain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ant having a large concentration of the pollution separated from the initial rain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rough the porous pipe 31 and the protrusion 50. You can stay stable at).

또한, 상기 분리벽(15)에는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한 오염물질의 퇴적량을 감시하고 그 퇴적된 오염물질을 청소하게 하는 관(60)이 입설됨과 아울러 유수분리된 오일의 적층량을 계측하게 하는 오일 계측기(7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wall 15 is provided with a pipe 60 for monitoring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contaminant o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1b and cleaning the deposited contaminant, and stacking the oil-separated oil. It is preferable that an oil meter 70 for measuring the quantity is provided.

상기 제2수용실(11b)에 분리된 오염물질은 상기 관(60)을 통해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스크린(30)을 우수 유도관(40)으로부터 분리한 후 우수준설 펌프차 등의 압송 흡입관을 삽입하여 제거해도 좋다.The contaminants separ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can be removed through the pipe 60, and after separating the screen 30 from the rainwater induction pipe 40, a pressure-suction suction pipe such as rainwater dredging pump car It may be inserted and removed.

이하,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첨부한 도6a∼도6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6a to 6d attached state of use of the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structure as follows.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수처리장치가 하수관(P)의 중간에 연락되게 매설된 상태에서,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P)으로부터 입수관 (13)을 통해 제1수용실(11a)로 오염농도가 큰 오염물질을 갖는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그 초기우수는 돌부(50)의 유도하에 우수 맴돌이관(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으로 유동되는 초기우수는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구멍들(22)을 통해 상기 제2수용실(11b)로 유입되는데 맴돌이 현상이 발생하도록 와류되며 유입된다.As shown in Fig. 6A, in a state where th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sewer pipe P, the sewage pipe P is provid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3 as shown in Fig. 6B. When the initial rainwater having the pollutant having a large pollutant concentration flows into the one storage chamber 11a, the initial rainwater flows to the storm duct 20 under the guidance of the protrusion 50.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storm duct tube 20 flows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rough the holes 22 of the storm duct tube 20 and vortex so as to generate a eddy phenomenon.

이와 같이 초기우수가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에 의해 와류되며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유입되면 그 와류되는 동안 초기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이 비점에 의해서 분리된다. 즉, 물보다 비중이 큰 오염물질은 상기 제2수용실(11b)의 바닥으로 침강되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오염물질은 수면 위로 부상한다. 수면은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오염물질은 이 수면 위로 부상한다.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의 구멍들(22)은 이 수면 아래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initial rainwater is vortexed by the excellent eddy tube 20 and flows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e pollutant is separated from the initial rainwater by the boiling point during the vortex. That is, contaminants having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settle to the bottom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and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e water rise above the water surface. The water surface is formed above the excellent eddy tube 20 and contaminants having a small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rise above the water surface. It can be seen that the holes 22 of the even eddy tube 20 lie beneath this water surface.

이와 같이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유입되어 오염물질이 분리되는 초기우수는 우수 유도관(40)의 유도하에 스크린(30)의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과한 다음 상기 제1수용실(11a) 및 배수관(14)을 거쳐 하수관(P)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출되며, 이 과정 동안 분리되지 않고 초기우수에 내재된 고형물질은 상기 다공판들 (32a,32b)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통상 하수관(P)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강우량은 작은 관계로 오염물질이 분리된 초기우수가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수면은 스크린(30)의 다공관(31)의 상단에 설치된 다공판(31a)과 평행을 이룬다.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excellent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1b and the pollutants separated therebetween passes between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of the screen 30 under the guidance of the rainwater guide pipe 40. 1 is discharged to the river through the sewage pipe (P) through the storage chamber (11a) and the drain pipe (14), the solid material that is not separated during this process and inherent in the initial excellent water passes through the porous plates (32a, 32b) Is filtered. Usually, the rainfall of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sewer pipe (P) is small, so that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porous pipe 31 of the screen 30 while the initial rainwater separated from the contaminants passes between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Parallel to the porous plate 31a installed on the top of the.

이 상태에서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실(11b)에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증가하여(이때, 하수관(P)를 통해 입수관(13)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량은 돌부(50)를 월류하지 않는 량이 된다) 상기 제2수용실(11b)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스크린(30)의 다공관 (31)과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배출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수용실(11b)에 대한 우수의 출입수량이 평행을 이루게 되어, 결국 증가된 우수가 상기 돌부 (50)를 월류하여 상기 배수관(14)을 통해 바이패스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초기우수 이후 증가된 강우량을 갖는 우수 또한 상기 스크린(30)을 통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된 상태에서 하천 등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 등의 수질오염은 상당히 예방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C,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ipe 13 through the sewer pipe P is a protrusion 5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rises, the rainwater from which contaminants are separated by the storm duct 20 is formed from the porous pipe 31 of the screen 3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ous plates (32a, 32b), through which the water inflow and outflow of the rainwater 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is in parallel, eventually increased rainwater overflows the protrusion (50) It is not bypassed through the drain pipe (14). Therefore,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is significantly prevented because rainwater having an increased rainfall after the initial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rivers in the state in which the pollutants are separated through the screen 30.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우 등의 이유로 강우량이 크게 증가된 상태에서 우수가 상기 입수관(13)을 통해 제1수용실(11a)로 유입되면, 일부의 우수는 상기 돌부(50)를 월류하여 상기 배수관(14)으로 배출되고 그 나머지의 우수가 상기 우수 맴돌이관(20)을 통해 제2수용실(11b)로 유입된 다음 오염물질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30)의 다공관(31)과 다공판들(32a,32b) 사이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 등의 수질오염은 상당히 예방된다.As shown in FIG. 6D, when rainwater flows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11a through the inlet pipe 13 in a state where the rainfall is greatly increased due to heavy rain or the like, some rainwater may cause the protrusion 50 to fall. The overflow pipe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14 and the rainwater of the remainder flows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11b through the storm storm pipe 20, and then the contaminant is separated from the porous pipe of the screen 30. Since water is discharged between the 31 and the porous plates 32a and 32b, water pollution such as rivers is significantly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맴돌이 현상을 유도함을 통한 물과의 비점 분리방식을 채용하여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하고 필터링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함으로써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boiling point separation method with water through inducing eddy phenomenon to separate pollutants from rainwater flowing from sewage pipes and filter them and discharge them to rivers to effectively prevent water pollution. have.

Claims (5)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이루어 하수관의 중간에 덮개를 갖는 상면만이 노출되게 매설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된 내부를 상하로 2분리하여 제1및 제2수용실로 구획하기 위한 분리벽이 설치됨과 아울러 벽체에는 상기 제1수용실과 하수관을 연락하기 위한 입배수관이 각각 설치된 맨홀형 몸체;The hollow structure of the inside is embedded so that only the upper surface having a cover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is exposed, and inside the partition wall for dividing the hollow inside up and down and partition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on rooms, The wall body has a manhole-type body installed in each of the inlet and drainage pipe for conta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wer pipe; 일단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개구된 일단이 상기 제1수용실을 향하고 길이가 상기 제2수용실에 위치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갖고 상기 입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용실을 통해 제2수용실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갖는 우수를 와류시켜 비점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리하게 한 우수 맴돌이관; 및One e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length, and the opened end is installed in a partition wall adjacent to the water inlet pipe wit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open end faces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length is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A rainwater eddy tube that separates the pollutants by boiling by vortexing rainwater having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And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다공관과 이 다공관의 양단 외주연에 각각 설치된 환형의 다공판들을 갖는 "I"자 모양의 형상을 이루어 그 주위를 감싸는 우수 유도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제2수용실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2수용실로부터 우수 유도관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를 필터링함과 아울러 상기 제2수용실에 대한 우수 출입수량의 평형을 유지하게 한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처리장치.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is supported by an excellent induction pipe that forms a “I” shape having a cylindrical porous tube having open ends at both ends and annular porous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y of both ends of the porous tub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wall adjacent to the drain pipe so as to be located in the second pipe,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rain pipe to the drain pipe is separated from the rainwater to the second A stormwater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creen to maintain equilibr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오염물질이 분리된 우수가 상기 다공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다공관의 상단이 상기 제1수용실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게 상기분리벽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처리장치.The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is installed on the separation wall such that an upper end of the porous pipe is ex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on chamber so that rainwater from which pollutan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ous pip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배출되는 우수가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그 중간이 단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처리치.The storm water treatment valu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wall is stepped so that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screen does not flow back to the storm storm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과 인접한 분리벽에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의 우수를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우수의 량이 증가한 경우 그 일부량을 월류시켜 상기 우수 맴돌이관으로부터 바이패스하기 위한 둑(weir)형의 돌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처리장치.The bank of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wall adjacent to the water inlet pipe leads the rainwater from the water pipe to the storm duct tube, and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increases, a portion of the bank overflows to bypass the storm duct tube. (weir) type storm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form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에는 상기 제2수용실에 대한 오염물질의 퇴적량을 감시하고 그 퇴적된 오염물질을 청소하게 하는 관이 더 입설됨과 아울러 유수분리된 오일의 적층량을 계측하게 하는 오일 계측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처리장치.5. The dividing wa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ividing wall further includes a pipe for monitoring the amount of contaminant deposited on the second accommodation chamber and cleaning the deposited contaminant. And an oi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acked oils.
KR20-2004-0014689U 2004-05-27 2004-05-27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2003614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89U KR200361427Y1 (en) 2004-05-27 2004-05-27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89U KR200361427Y1 (en) 2004-05-27 2004-05-27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739A Division KR100673536B1 (en) 2004-05-27 2004-05-27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27Y1 true KR200361427Y1 (en) 2004-09-14

Family

ID=4943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689U KR200361427Y1 (en) 2004-05-27 2004-05-27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2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100862740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two-stage swirl and filtering type
US20190078310A1 (en)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KR10067353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0605267B1 (en)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KR20070098971A (en) Sh purication appratus for road
KR20070057744A (en) Manhole of multi-structure with rainwater drain control system for road side drain
KR20090033663A (e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rainwater
KR100742388B1 (en) centrifugation typed waste water dealing device
KR100913315B1 (en)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RU2481440C2 (en) Device for treatment of rain water
KR101167963B1 (en) Oil and sludge separating apparatus for floating, depositing, and filtering oils and sludges included in first rain-water by gravitation
KR100799251B1 (en)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ditch
KR100807192B1 (en) Vortex type treatment apparatus for early rainwater
KR101067699B1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200205193Y1 (en) Simplicity filtration system for waterworks
KR200424846Y1 (en) the sewer overflows disposal plant using inclined plates sedimentation
KR100923632B1 (en)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of rainwater
KR101036944B1 (en) 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KR101203059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980412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KR101145050B1 (en) Non-point Source Controal Facility
KR200361427Y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105367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