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26Y1 -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 Google Patents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26Y1
KR200360126Y1 KR20-2004-0014280U KR20040014280U KR200360126Y1 KR 200360126 Y1 KR200360126 Y1 KR 200360126Y1 KR 20040014280 U KR20040014280 U KR 20040014280U KR 200360126 Y1 KR200360126 Y1 KR 20036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ug
cable
so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황
Original Assignee
이수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황 filed Critical 이수황
Priority to KR20-2004-0014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링이 장착된 플러그 케이스에 결속 리브를 성형하고, 소켓 케이스에는 결속홈을 성형하여,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케이블 유입구와 케이블 유출구에 패킹이 삽입된 고정캡을 장착시켜 케이블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며, 플러그 케이스의 단자배열 간격을 상이하게 형성시켜 오결합시 발생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소켓 케이스의 외주연상에 U볼트 체결홈을 성형하여 장치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 케이스(10); 소켓 케이스(20); 플러그부(11); 소켓부(21); 잠금링(30); 고정캡(40)(40'); 패킹(41)(41');의 조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Cable coupler for industrial}
본 고안은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링이 장착된 플러그 케이스에 결속 리브를 성형하고, 소켓 케이스에는 결속홈을 성형하여,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케이블 유입구와 케이블 유출구에 패킹이 삽입된 고정캡을 장착시켜 케이블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며, 플러그 케이스의 단자배열 간격을 상이하게 형성시켜 오결합시 발생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소켓 케이스의 외주연상에 U볼트 체결홈을 성형하여 장치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장치에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야만 하는데, 이와 같은 케이블과 장치의 접속시 그 접속을 용이하기 위해 케이블 접속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접속구는 플러그 케이스에 장착된 플러그부와 소켓 케이스에 장착된 소켓부로 형성되는데,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 케이블 유입구와 케이블 유출구의 수밀성, 단자와 단자 삽입부의 정결합, 접속구의 고정력 등이 접속구의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들어 접속구의 수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 제165191호 " 고암페어용 케이블 접속구"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플러그부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으며,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이 약한 등의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블 유입부과 유출부측에서 케이블과의 이격간격이 많이 발생하여 수밀성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고,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단자 배열간격이 균일하여 단자의 오결합이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잠금링이 장착된 플러그 케이스의 외주연 상측으로 결속 리브를 성형하고, 소켓 케이스 내주연 상측으로는 결속홈을, 외주연상에는 U볼트 체결홈을 성형하되, 상기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일측에는 패킹이 삽입된 고정캡을 장착하고, 플러그부와 소켓부의 단자와 단자 삽입부 배열간격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 및 수밀성을 증대시키고, 접속구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단자를 단자 삽입부에 정결합시킬 수 있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또는 1b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2a 또는 2b는 본 고안의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소켓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러그부 단자배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잠금링 장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캡 장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접속캡을 U볼트로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a 또는 10b는 본 고안의 소켓 케이스에 소켓 커버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러그 케이스 11: 플러그부 12: 케이블 유입구
12': 플러그 삽입부 13: 결속 리브 14,14': 이탈방지 리브
15,15': 이동방지 리브 16: 단자 17: 나사부
20: 소켓 케이스 21: 소켓부 21': 소켓 삽입부
22: 케이블 유출구 23: 결속홈 24,24': 링 걸림턱
26: 단자 삽입부 27: 나사부 28: U볼트 체결홈
29: 회전 방지턱 30: 잠금링 31,31': 회전홈
32,32': 걸림편 40,40': 고정캡 41,41': 패킹
41-1,41'-1: 삽입공 42,42': 삽입공 43,43': 나사부
100: 접속구
통상의 케이블 접속구(100)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나사부(17)로 형성된 케이블 유입구(12)가 형성되어져 있고, 타측으로는 플러그 삽입부(12')가 형성되어져 있되, 외주연 상측으로는 결속 리브(13)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결속 리브(13) 일측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이탈방지 리브(14)(14')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 리브(14)(14') 사이에는 한쌍의 이동방지 리브(15)(15')가 서로 대향되게 성형되어져 있는 플러그 케이스(10); 일측으로는 나사부(27)로 형성된 케이블 유출구(22)가 형성되어져 있고, 타측으로는 소켓 삽입부(22')가 형성되어져 있되, 외주연 상측으로는 결속홈(20)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결속홈(23) 양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한쌍의 링 걸림턱(24)(24')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중심에는 저면으로는 회전 방지턱(29)이 형성되어져 있는 U볼트 체결홈(28)이 성형되어져 있는 소켓 케이스(20); 중심으로 부터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배열된 다수개 단자(16)로 형성되어져 있는 플러그부(11); 중심으로 부터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배열된 다수개 단자 삽입부(26)로 형성되어져 있는 소켓부(21); 일면에는 한쌍의 회전홈(31)(31')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한쌍의 걸림편(32)(32')이 형성되어져 있는 잠금링(30); 중심으로 케이블 삽입공(42)(42')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일측은 패킹(41)(41')의 상향 경사진 부분이 요입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타측은 나사부(43)(43')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캡(40)(40'); 중심으로 케이블 삽입공(41-1)(41'-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은 돌출된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향 경사지고, 타측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져 있는 패킹(41)(41');의 조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또는 1b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2a 또는 2b는 본 고안의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소켓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러그부 단자배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잠금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잠금링 장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캡 장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접속캡을 U볼트로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a 또는 10b는 본 고안의 소켓 케이스에 소켓 커버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로서,
먼저 플러그 케이스(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 상측으로 결속 리브(13)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 리브(13) 일측으로 한쌍의 이탈방지 리브(14)(14')를 성형하는데, 이때 각 이탈방지 리브(14)(14')는 잠금링(30)의 결속, 해제가 가능할 정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 형성하고, 이격된 이탈방지 리브(14)(14')의 사이에는 한쌍의 이동방지 리브(15)(15')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한다. 즉, 하나 이동방지 리브(15)는 결속 리브(13)와 연장선상에 놓이도록 형성하고, 그 반대편 플러그 케이스(10) 외주연에 나머지 하나의 이동방지 리브(15')를 형성한다.
플러그 케이스(10)의 외주연 상측으로는 나사부(17)를 형성하는데, 상기 나사부(17) 내주면은 패킹(41)의 일측과 접면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케이스(10) 내부에는 단자(16)가 형성되어져 있는 플러그부(11)를 장착하는데, 이때 단자(16)는 접지 단자(16)와 그외 RST 단자(16)로 구성하고, RST 단자(16)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색상 즉, R단자(16)는 적색, S단자(16)는 흰색, T단자(16)는 흑색으로 형성하여 케이블과 단자(16) 연결시 식별성을 부여하며, 상기 단자(16)가 플러그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단자(16)의 종단과 플러그 케이스(10)의 종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단자(16)배열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한쌍의 단자(16)는 나머지 한쌍의 단자(16)보다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로 배열하여 각 단자(16)의 배열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한다.
소켓 케이스(20)는 도 2b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 상측으로 결속 리브(13)가 삽입되는 결속홈(23)을 형성하고, 외주연 양측으로는 잠금링(30)의 걸림편(32)(32')이 고정될 링 걸림턱(24)(24')을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며, 외주연중심으로는 U볼트(28')가 체결될 수 있는 U볼트 체결홈(28)을 성형하는데, 상기 U볼트 체결홈(28)의 저면으로는 접속구(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평면의 회전 방지턱(29)을 성형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지턱(29)은 U볼트 체결홈(28)의 양단 지점을 평면으로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소켓 케이스(20)의 외주연 타측으로는 나사부(27)를 형성하는데, 상기 나사부(27) 내주면은 패킹(41')의 일측과 접면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소켓 케이스(20) 내부에는 단자 삽입부(26)가 형성된 소켓부(21)를 장착하는데, 이때 각 단자 삽입부(26)는 단자(16)의 배열간격과 동일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한쌍의 단자 삽입부(26)를 나머지 한쌍의 단자 삽입부(26)보다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로 배열한다. 상기 단자 삽입부(26) 외주연상에는 통상의 협지링(16')을 장착하여 각 단자(16)를 협지케 한다.
잠금링(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으로 한쌍의 회전홈(31)(31')을 서로 대향되게 성형하고, 타면으로는 한쌍의 걸림편(32)(32')을 서로 대향되게 성형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홈(31)(31')은 잠금링(30)이 이동방지 리브(15)(15')를 기준으로 소정간격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걸림편(32)(32')은 소켓 케이스(20)의 링 걸림턱(24)(24')에 걸려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고정캡(40)(40')은 중심으로 케이블 삽입공(42)(42')을 형성하고, 내주면 일측은 상향 경사지게, 내주면 타측은 나사부(43)(43')로 형성한 후, 중심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케이블 삽입공(41-1)(41'-1)이 형성된 고무재 패킹(41)(41')을 삽입 장착한다. 장착시 고무재 패킹(41)(41')의 외주연 일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져 있어 고정캡(40)(40')의 내주면 일측에 밀착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부품을 접속구(100)로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잠금링(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케이스(10)의 이탈방지 리브(14)(14') 사이에 위치되도록 장착하고, 잠금링(30)의 각 회전홈(31)(31')에는 플러그 케이스(10)의 이동방지 리브(15)(15')가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잠금링(30)이 장착된 플러그 케이스(10)에 소켓 케이스(20)를 삽입하는데, 이때 이때 플러그 케이스(10)의 단자(16)와 소켓 케이스(20)의 단자가 정위치되지 않으면 결합 자체가 되지 않으므로, 소켓 케이스(20)를 회전시켜 정위치에 맞춘 후, 플러그 케이스(10) 외주연에 형성된 결속 리브(13)가 소켓 케이스(20) 내주연에 형성된 결속홈(23)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가 결속된 후에는 잠금링(30)을 소켓 케이스(20)측으로 밀어 잠금링(30)의 일측이 이탈방지 리브(14)에 걸리게 위치시키고, 이어 잠금링(30)에 형성된 걸림편(32)(32')이 소켓 케이스(20)에 형성된 링 걸림턱(24)(24')에 걸리도록 잠금링(30)을 회전시킨다.
회전시 플러그 케이스(10)의 이동방지 리브(15)(15')가 잠금링(30)의 회전홈(31)(31') 사이에 형성되어져 있어 잠금링(30)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게 된다. 즉, 이동방지 리브(15)(15')와 회전홈(31)(31')에 의해 잠금링(30)이 소정 간격만큼만 회전되고, 그로 인하여 걸림편(32)(32')이 링 걸림턱(24)(24')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잠금링(30)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잠금링(30)을 체결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편(32)(32')을 링 걸림턱(24)(24')에서 이탈시킨 후, 소켓 케이스(20)측으로 당겨져 있는 잠금링(30)을 플러그 케이스(10)측으로 밀어 이탈방지 리브(14')에 걸리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잠금링(30)이 해제되면 소켓 케이스(20)와 플러그 케이스(10)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링(30)을 통해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가 결속된 후에는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의 각 나사부(17)(27)에 패킹(41)(41')이 장착된 고정캡(40)(40')을 체결하여서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접속구(100)로 완성시킨다.
완성된 접속구(100)로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40)(40')과 나사부(17)(27)의 체결을 느슨하게 푼 후, 케이블 심선을 고정캡(40)(40')과 패킹(41)(41')의 케이블 유입공(41-1)(41'-1) 및 플러그 케이스(10)의 케이블 유입구(12)에 차례대로 삽입시킨다. 케이블이 삽입되면 고정캡(40)을 쪼으는데, 이때 고정캡(40) 내부의 고무재 패킹(41) 부피가 압축되면서 케이블과 케이블 유입공(41-1) 사이의 이격간격을 없애 케이블의 수밀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의 분기선도 마찬가지로 소켓 케이스(20)측 고정캡(40')의 패킹(41')에 의해 분기선의 수밀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연결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10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켜 U볼트(28)를 U볼트 체결홈(26)에 삽입 체결한다. 이때 U볼트 체결홈(26) 이면에 형성된 회전 방지턱(27)에 의해 접속구(100)가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켓 케이스(20)에 플러그 케이스(10)를 체결하지 않을 때에는 도 10a 또는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유입구(21')측에 소켓 커버(20')를 장착하여서 단자 삽입부(26)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 내부를 보호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 케이스(10)에 형성된 결속 리브(13)와 소켓 케이스(20)에 형성된 결속홈(23)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고, 잠금링(30)을 통해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를 이중으로 결속시킴으로써,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구(100) 내부로 습기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킹(41)(41')이 장착된 고정캡(40)(40')을 플러그 케이스(10)와 소켓 케이스(20)의 나사부(17)(27)에 볼트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고정캡(40)(40') 체결시 패킹(41)(41')을 케이블측으로 압착시켜 패킹(41)(41')과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이격간격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접속구(100) 내부로 습기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 케이스(10)에 저면으로 회전 방지턱(29)이 형성된 U볼트 체결홈(28)에 U볼트(28')를 체결함으로써, 접속구(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플러그부(11)의 단자(16) 배열 간격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고, 소켓부(21)의 다수개 단자 삽입부(26) 또한 상기 단자(16)에 부합되도록 그 배열간격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단자(16)가 단자 삽입부(26)의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결합되지 않아 장치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에 각각 결속 리브와 결속홈을 성형하고, 상기 소켓 케이스에는 잠금링을 장착함으로써,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접속구의 수밀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 유입구와 소켓 케이스의 케이블 유출구에 패킹이 장착된 고정캡을 장착함으로써, 고정캡 체결을 통한 패킹의 압착이 가능하여 케이블과 패킹의 이격공간을 없애 접속구의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 케이스 외주연상에 U볼트 체결홈과 회전 방지턱을 성형하고, 단자와 단자 삽입부의 배열간격을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U볼트 체결홈에 U볼트를 체결하여 접속구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평면의 회전 방지턱에 의해 고정된 접속구가 회전되지 않게 형성되어 접속구의 이탈 등으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케이스와 소켓 케이스의 결합시 단자가 단자 삽입부에 정위치되지 않으면 서로 결합되는 않아 단자의 오결합을 통해 발생되는 접속구의 파손이나 안전 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접속구의 수밀성을 증대시켜 접속구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하여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케이블 유지보수 작업이 용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케이블 접속구(100)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나사부(17)로 형성된 케이블 유입구(12)가 형성되어져 있고, 타측으로는 플러그 삽입부(12')가 형성되어져 있되, 외주연 상측으로는 결속 리브(13)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결속 리브(13) 일측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이탈방지 리브(14)(14')가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 리브(14)(14') 사이에는 한쌍의 이동방지 리브(15)(15')가 서로 대향되게 성형되어져 있는 플러그 케이스(10); 일측으로는 나사부(27)로 형성된 케이블 유출구(22)가 형성되어져 있고, 타측으로는 소켓 삽입부(22')가 형성되어져 있되, 외주연 상측으로는 결속홈(20)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결속홈(23) 양측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한쌍의 링 걸림턱(24)(24')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중심에는 저면으로는 회전 방지턱(29)이 형성되어져 있는 U볼트 체결홈(28)이 성형되어져 있는 소켓 케이스(20); 중심으로 부터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배열된 다수개 단자(16)로 형성되어져 있는 플러그부(11); 중심으로 부터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배열된 다수개 단자 삽입부(26)로 형성되어져 있는 소켓부(21); 일면에는 한쌍의 회전홈(31)(31')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한쌍의 걸림편(32)(32')이 형성되어져 있는 잠금링(30); 중심으로 케이블 삽입공(42)(42')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일측은 패킹(41)(41')의 상향 경사진 부분이 요입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타측은 나사부(43)(43')가 형성되어져 있는 고정캡(40)(40'); 중심으로 케이블 삽입공(41-1)(41'-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은 돌출된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향 경사지고, 타측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져 있는 패킹(41)(41');의 조합으로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KR20-2004-0014280U 2004-05-22 2004-05-22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KR20036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80U KR200360126Y1 (ko) 2004-05-22 2004-05-22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80U KR200360126Y1 (ko) 2004-05-22 2004-05-22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26Y1 true KR200360126Y1 (ko) 2004-08-31

Family

ID=4934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280U KR200360126Y1 (ko) 2004-05-22 2004-05-22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7240A (zh) * 2023-08-02 2023-10-24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承力水密电传输连接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7240A (zh) * 2023-08-02 2023-10-24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承力水密电传输连接组件
CN116937240B (zh) * 2023-08-02 2024-04-12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承力水密电传输连接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5425C (en) Closure cap with gasket for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10290977B2 (en) Lockout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cable connector
CA2175299C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RU2231184C2 (ru) Штепсельное соединение
FI120925B (fi) Pistorasia
US10431922B2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contact carrier for capturing set screws
JP5977812B2 (ja) ケーブル終端装置
CA2999840A1 (en) Hermaphroditic sealed power connector for rail applications
US20130045622A1 (en) Contact reg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WO2017034120A1 (ko)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CN110366802B (zh) 用于矩形插接连接的保护性分离装置
GB2546750A (en) A cable splice closure
KR200360126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JPH0619281U (ja) ボルト締め型コネクタ
US8500468B2 (en) Protective housing assembly and connector
KR200360125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US8598455B2 (en) Protection assemblies for terminal devices
KR200360124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US2018023385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60123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EP0709925B1 (en) Improved receptacle housing for connector assembly
CN210779271U (zh) 一种拉绳解锁防呆连接器
KR200366482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KR0116048Y1 (ko) 단자대의 연결단자 체결장치
KR200292508Y1 (ko) 전선퓨즈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