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845Y1 -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 Google Patents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845Y1
KR200359845Y1 KR20-2004-0014920U KR20040014920U KR200359845Y1 KR 200359845 Y1 KR200359845 Y1 KR 200359845Y1 KR 20040014920 U KR20040014920 U KR 20040014920U KR 200359845 Y1 KR200359845 Y1 KR 200359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tary knife
main body
woo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오희
Original Assignee
이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희 filed Critical 이오희
Priority to KR20-2004-0014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8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84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9/00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1/00Dovetailed work; Tenons; Making tongues or grooves; Groove- and- tongue jointed work; Finger- joints
    • B27F1/02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rocess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이동용 체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승강안내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승강 이동되고 하단에 회전칼부를 포함하는 승강부로 구성되되, 회전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모터에 장착된 벨트를 이용하여 한 쌍의 회전칼 중 제1 회전칼을 회전시켜 목재를 깎거나, 제2 회전칼을 회전시켜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는 목재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회전축이 일측과 타측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에 마련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회전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3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ject innovation is a main body which is moved along at least one guide frame by a chain for movement,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moved up and down to the top or bottom of the main body by a lifting guide and a lifting part including a rotary knife at the bottom. Is configured, by using a belt mounted to a motor located inside the rotary knife portion of the pair of rotary knives by rotating the first rotary knife to cut the wood, or by rotating the second rotary knife to form a groove for the frame A w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position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knife unit, the pair of rotation shafts being rot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mounted on the pair of rotation shaft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A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s; And a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tha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to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따라서, 제1 및 제2 회전칼을 동시에 사용하여 목재를 깎아서 평판면을 만들거나, 짜맞추기용 홈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톱밥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대와 톱밥이 모여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작업 후 톱밥의 뒷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first and the second rotary knife at the same time to cut the wood to make a flat surface or to form a groove for forming at the same time, the work speed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o prevent sawdust from splashing For preventing the sawdust and the discharge port discharged by gathering sawdu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post-treatment of sawdust after work.

Description

목재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wood}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본 고안은 목재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회전칼을 동시에 사용하여 목재를 깎아서 평판면을 만들거나, 짜맞추기용 홈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톱밥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대와 톱밥이 모여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작업 후 톱밥의 뒷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목재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at the same time to cut the wood to make a flat surface or to form a groove for the same time at the same time work speed is increased and work efficiency is impr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effect of facilitating aftertreatment of sawdust after work, since it includes a preventive bar for preventing sawdust from splashing and an outlet discharged by gathering sawdust.

일반적으로 목재라 함은 원목을 가공함으로써 건축물에 쓰이는 재료로 제작된 것이다. 목재는 건축물의 특성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원목의 표피층을 벗긴 상태에서 원통체 형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각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작한 각목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목재는 현대화된 신형 건축물에서는 그 소비량이 많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역사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건조물인 유형문화재 또는 사찰 등을 복원하거나 전통 한옥 집을 보수 및 증축할 때에는 반드시 필요한 물품이다. 상기와 같은 목재의 사용처가 대들보와 같이 부피와 크기가 큰 목재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처의 특성상 크기가 상당히 커질 수밖에 없다.In general, wood is made of materials used in buildings by processing solid wood. Wood is us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body with the skin layer peeled off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nd the purpose of use. On the other hand, timber is not consumed much in new modern buildings, but it is necessary for restoring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r temples, such as buildings that are historically or artistically valuable, or for repairing or expanding traditional hanok houses. When the use of the wood is used as a large volume and size of wood, such as girders, the size of the use is inevitably large.

그러나, 예를 들어 대들보의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가 원통형상으로 가공된 것을 요할 때에는 목재의 표피층만 벗겨낸 후 그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가능하지만 목재를 각목 형상으로 가공된 것을 요할 때에는 커다란 원통형상의 무거운 목재를 사면이 평탄한 각목으로 가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보통 목재를 가공하는 장치나 기계가 고정되어 있고, 목재를 움직여 가공해야 했기때문에 목재자체가 굴곡이 많거나 심하게 틀어져있는 경우 무거운 목재를 움직여가며 가공해야했다. 즉, 원통형상의 대형 목재를 사면이 평탄한 사각형상 등으로 깍아내기 위한 장치나 기계 등이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for example, when the wood used as the material of the girders is processed into a cylindrical shape, only the skin layer of the wood can be peeled off and the surface can be used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ss a large cylindrical heavy wood into a flat wooden slope. Usually the equipment and machines for processing wood were fixed, and the wood had to be moved and processed, so if the wood itself was very curved or severely distorted, it had to move and process heavy woo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vice or a machine for cutting a large cylindrical wood into a flat rectangular shape and the like increases the number of labors and thus decreases productivity.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도 1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주레일(6)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승강 안내봉(2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하로 이동되며 하단에 회전칼부(40)를 갖는 승강부(20)로 구성되되, 회전칼부(4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동모터(44)에 장착된 구동벨트(43)에 의해 한 쌍의 회전칼(56, 66) 중 제1 회전칼(56)을 회전시켜 목재를 깎거나, 제2 회전칼(66)을 회전시켜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는 신규한 고안을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278346호, 고안의 명칭: 목재의 가공장치)받은 바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the main body 1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at least one or more slide rails 6 as shown in Figure 1,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ifting guide bar 21 It is moved up and down of the main body 10 by a) consisting of a lifting unit 20 having a rotary knife portion 40 at the bottom, mounted on one drive motor 44 located inside the rotary knife portion 40 Rotating the first rotary knife 56 of the pair of rotary knives (56, 66) by the drive belt 43 is used to cut the wood, or rotate the second rotary knife (66) to form a groove for The new design was applied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78346, name of design: wood processing equipment).

이 출원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충분히 개선한 효과가 있었으나, 작업의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키고, 톱밥 등의 뒷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있었다.This application had the effect of sufficiently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bu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work, and to facilitate the post-treatment such as sawdust.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평탄면을 갖는 깎인 목재 또는 원통형의 깎이지 않은 목재에 레일용 홈 또는 짜맞춤용 홈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보다 작업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인 목재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grooves for rails or frame grooves in the shaved wood or cylindrical uncut wood having a flat surface, the working speed is faster and more efficient Phosphorus wood is to provide plant valu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통 형상의 대형 목재를 깎을 때 발생되는 톱밥 등의 뒷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재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 cutting plant that can more easily process the aftertreatment such as sawdust generated when cutting large cylindrical wood.

도 1은 종래 목재 가공장치의 요부사시도1 is a main view of the conventional wood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배면도3 is a rear view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에서 회전칼부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tary knife in detail in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칼부 중 제2 회전칼부의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rotary knife unit of the rotary knife unit shown in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전칼부 중 제1 회전칼부의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rotary knife unit of the rotary knife unit shown in FIG.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승강부에 대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unit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수평 프레임 2;수직 프레임1; horizontal frame 2; vertical frame

3;지지 프레임 4;다리 부3; support frame 4; leg part

5;가이드 프레임 6;활주 레일5; guide frame 6; slide rail

10;본체 11;제1 스프라켓 휠10; body 11; first sprocket wheel

12;제2 스프라켓 휠 13;본체이동체인12; second sprocket wheel 13; main body moving chain

18;가이드 부재 20;승강부18; guide member 20; lifting portion

21;승강 안내봉 22;제4 스프라켓 휠21; lifting guide bar 22; fourth sprocket wheel

23;핸들 27;체인23; handle 27; chain

28;제2 구동모터 29;제3 스프라켓 휠28; 2nd drive motor 29; 3rd sprocket wheel

30;회동축 31;제3 풀리30; pivot 31; third pulley

33;체인구동용모터 34;체인구동용벨트33; chain drive motor 34; chain drive belt

40;회전칼날부 41;제1 회동축40; rotary blade 41; first rotating shaft

42;제2 회동축 43;벨트42; second pivot 43; belt

44;제3 구동모터 45;구동풀리44; third drive motor 45; drive pulley

46;회전 칼 47;제2 풀리46; rotary knife 47; second pulley

50;제1 회전칼부 51;제1 구동풀리50; first rotary knife 51; first drive pulley

52;제1 구동벨트 53;제2 구동벨트52; first drive belt 53; second drive belt

54;제1 보조풀리 55;제1 회전칼풀리54; first auxiliary pulley 55; first rotary pulley

56;제1 회전칼 57;제1 구동모터56; first rotary knife 57; first drive motor

60;제2 회전칼부 61;제2 구동풀리60; second rotary knife 61; second drive pulley

62;제3 구동벨트 63;제4 구동벨트62; third drive belt 63; fourth drive belt

64;제2 보조풀리 65;제2 회전칼풀리64; second auxiliary pulley 65; second rotary pulley

66;제2 회전칼 67;제2 구동모터66; second rotary knife 67; second drive motor

70;배출구 71;방지대70; outlet 71; guar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용 체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승강안내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승강 이동되고 하단에 회전칼부를 포함하는 승강부로 구성되되, 회전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모터에 장착된 벨트를 이용하여 한 쌍의 회전칼 중 제1 회전칼을 회전시켜 목재를 깎거나, 제2 회전칼을 회전시켜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는 목재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회전축이 일측과 타측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에 마련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회전칼;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3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moved along the at least one guide frame by a moving chain,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moved up and down to the top or bottom of the main body by the lifting guide and lower Consists of a lifting unit including a rotating knife in the rotating knife, using a belt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rotating knife to rotate the first rotary knife of a pair of rotary knife to cut the wood, or the second rotary knife A wood processing apparatus for forming a groove for forming a frame,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knife unit and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ing shafts rot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mounted on the pair of rotation shaft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A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s; And a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to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To provid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로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및 제2 회전칼의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3 구동벨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풀리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풀리는 각각 일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및 제4 구동벨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the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are provided by the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A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ulleys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is provided,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ulleys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second and fourth driving, respectively. Preferably,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by the bel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로는, 상기 제1 회전칼의 전면에는 톱밥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톱밥방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칼의 후면에는 톱밥이 모여서 배출되는 톱밥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wdust prevention ba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otary knife to prevent sawdust from splashing, and a sawdust discharge por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ry knife to discharge sawdust. desirabl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로는, 상기 승강안내구는 수직 중심선 방향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안내봉 또는 체인 형상의 승강용 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guide is preferably an elevating guide bar or chain-shaped elevating chain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center lin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로는,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방향 중 후면일측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체인구동모터; 상기 체인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해주는 체인구동벨트; 상기 체인구동벨트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제1 스프라켓 휠; 상기 제1스프라켓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방향 중 전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프라켓 휠; 상기 본체의 내면일측에 분리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 휠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를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는 본체이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in drive motor which is independent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provides power required for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ain body; A chain driving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hain driving motor; A first sprocket wheel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chain driving belt; A second sprocket wheel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front and rear moving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procket; And a main body moving chain which is separated and fix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and moves the main body back and forth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Do.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재번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parts and members are assigned the same parts and numbers as in the prior art.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front view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목재의 가공장치는 하단에 수평 프레임(1)이 배치된다.2 and 3,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horizontal frame (1) at the bottom.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평 프레임(1)은 한 쌍으로 배치되며 그 사이에 목재(T)가 놓여지게 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3)에 의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1)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과 높이를 유지하는 복수개의 다리 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물론, 다리 부는 피 가공물의 중량을 고려하여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lthough not shown, the horizontal frames 1 are arranged in pairs and are spaced by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3 on which wood T is placed.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not shown)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course, the leg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workpiece.

그리고, 본체(10)가 위치하는 측의 수평 프레임(1)에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적어도 한 쌍의 수직 프레임(2)이 배열되며, 그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프레임(5)이 고정 설치되어 본체(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18)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At least one pair of vertical frames 2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frame 1 on the side where the main body 10 is located, and the guide frame 5 is fixed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18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여기서, 수평 프레임(1)의 사이에는 상호 마주하며 배열된 적어도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는 목재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지지 프레임(3)의 상측에 놓여지는 피가공 목재(T)에 대해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 is provided with a wood fixing part (not shown)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a plurality of pairs facing each other arranged to flow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wood (T)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3)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prevent the.

본체(10)는, 본체(10)의 전후이동방향 중 후면 하단에 배치되는 체인구동모터(33)에 의해 구동력이 부여되며, 제1 스프라켓 휠(11)과 제2스프라켓 휠(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분리된 상태로 본체(10) 내측에 고정되는 본체이동체인(13)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 하게 마련된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by a chain driving motor 33 disposed at the lower rear side 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irections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procket wheel 11 and the second sprocket wheel (not shown). It is disposed in the,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y the main body moving chain 13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separated.

또한, 수평 프레임(1)의 적어도 일측 상방에는 길이방향으로 활주가능한 레일(미도시)이 배열되어 본체(10)의 이동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체(10)의 하단일측에는 활주가능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 등이 장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ail (not shown)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rranged above at least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 to stab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that are slidably arranged on the slidable rail.

또 본체(10)의 일측면에는 본체(10)에서 상, 하로 승강 동작되는 승강부(20)가 마련된다. 승강부(20)에는 상단부가 승강부(2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승강부(2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 안내봉(21)이 관통된다. 승강 안내봉(21)의 상단부에는 제4 스프라켓 휠(22)이 장착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모터(28)의 내측에는 승강모터(28)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3 스프라켓 휠과 제4 스프라켓 휠(22)을 체인이 연결하고 있다. 또한, 승강부의(20)의 상단일측에는 핸들(23)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lifting unit 20 for lifting up and down in the main body 10. The elevating portion 20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portion 20,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20, the lifting guide bar 21 through which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ourth sprocket wheel 22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guide rod 21, and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sprocket wheel and the fourth sprocket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28 are located inside the elevating motor 28. The chain is connecting the wheel 22. In addition, the handle 23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unit 20.

한편, 회전칼부(40)의 일측에는, 지지 프레임(3)의 상측에 놓여지는 원목(T)을 평면 상태로 깍는 제1 회전칼부(5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rotary knife portion 40, the first rotary knife portion 50 for cutting the wood T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3 in a planar state.

제1 회전칼부(50)는 본체(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회전칼(56)이 일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1 회전칼(56)의 양면에는 한 쌍의 제1 회전칼풀리(55)가 장착되며, 제1 회전칼풀리(55)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구동벨트(53)가 제1 회전칼(56)의 상단에 위치한 제1 보조풀리(54)까지 연장되어 장착된다. 또한, 제1 보조풀리(54)는 그 상단에 위치하며, 본체(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 구동모터(57)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구동풀리(51)와 한 쌍의 제1 구동벨트(52)에 의해 연결된다.The first rotary knife unit 50 is provided such that one end of the first rotary knife 56 rotatably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pair of first rotary knife pulleys 55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tary knife 56, and a pair of second driving belts 53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knife pulley 55 are first mounted. It extends and is mounted to the first auxiliary pulley 54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ry knife 56.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pulley 54 is loca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air of first driving pulleys 51 and a pair of first driving pulleys 51 mounted on the first driving motor 57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1 is connected by a drive belt (52).

한편, 회전칼부(40)의 타측에는 제2 회전칼부(60)가 마련된다. 제2 구동모터(67)는 제1 구동모터(57)와 마찬가지로 본체(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각각의 측면에 제2 구동풀리(61)가 장착되며, 각각의 제2 구동풀리(61)에는 제2 보조풀리(64)까지 연장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구동벨트(62)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2 보조풀리(64)에는,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되는 제2 회전칼(66)의 양측면에 장착된 제2 회전칼풀리(65)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4 구동벨트(63)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tary knife portion 6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knife portion 40. Like the first driving motor 57, the second driving motor 67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econd driving pulley 61 is mounted on each side thereof, and each of the second driving pulleys 61 is provided. There is a pair of third drive belt 62 is extended to the second auxiliary pulley 64 is connected. The second auxiliary pulley 64 has a pair of fourth drive belts 63 connected to second rotary knife pulleys 65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ry knife 66 whose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Prepared.

한편, 상기의 구성요소, 즉 본체(10)와 승강부(20) 그리고 회전칼부(40)는 다수개의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제어박스(1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components, that is, the main body 10, the lifting unit 20 and the rotary knife 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box 100 is selectively mount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frames do.

별도의 도면 표현은 생략하였지만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승강모터, 체인구동모터에는 전선이 연결되고 그 전선은 제어박스와 전기 접속된다.Although a separate representation is omitted, a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the lifting motor, and the chain driving motor, and the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에서 회전칼부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회전칼부 중 제2 회전칼부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전칼부 중 제1 회전칼부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제1 및 제2 회전칼부의 대략적인 설명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rotary knife in detail in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rotary knife portion of the rotary knife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shown in Figure 3 It is an enlarged view of a 1st rotary knife part among rotary knife parts. Here,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so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보조풀리(54, 64)는 각각 제1 및제2 회동축(41, 42)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특히, 제2 보조풀리(64)는 제2 구동모터(67)에 연결된 제3 구동벨트(62)와 제2 회전칼(66)에 연결된 제4 구동벨트(63)가 제2 회동축(42)을 경계로 하여 각각의 제3 및 제4 구동벨트(62, 63)가 장착되는 부분이 나누어진다. 여기서, 제1 보조풀리(54) 또한 제2 보조풀리(64)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4 to 6,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pulleys 54 and 64 are fixedly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shafts 41 and 42,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second auxiliary pulley 64 has a third drive belt 62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 motor 67 and a fourth drive belt 63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knife 66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42. The portion on which the third and fourth drive belts 62 and 63 are mounted is divided at the boundary. Here, the first auxiliary pulley 54 may als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auxiliary pulley 64.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의 승강부에 대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the lifting unit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모터(28)의 상단에 제3 스프라켓 휠(29)이 장착되어 있다. 제3 스프라켓 휠(29)에는 체인(27)이 장착되어 있는데, 체인(27)은 승강 안내봉(2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4 스프라켓 휠(22)을 거쳐 핸들(23)까지 끊기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7, a third sprocket wheel 29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motor 28. The third sprocket wheel 29 is mounted with a chain 27, but the chain 27 does not break up to the handle 23 via the fourth sprocket wheel 22 mount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guide rod 21. It is connected in one pie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동작에 대한 도면이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을 생략하였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the illustrated drawings, only a partial view of the operation described below is illustrated, but the drawings are omitted for the parts tha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y are conventionally used.

처음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에 의해 원통 형상의 목재(T)를 평면이 형성된 각재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박스(100)를 동작시켜 승강부(20)를 승강시킨다.First, in order to process the cylindrical wood (T) in a flat shape formed by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y elevating the lifting unit 20 by operating the control box 100.

즉, 승강부(20) 구동용 제어박스(100)를 동작시키면 승강모터(28)가 동작되며, 승강모터(28)의 회전으로 승강모터(28) 내에 위치한 제3 스프라켓 휠(미도시)이 동작된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100 for driving the lifting unit 20 is operated, the lifting motor 28 is operated, and the third sprocket wheel (not shown) located in the lifting motor 28 is rotated by the lifting motor 28. It works.

상기와 같이 제3 스프라켓 휠이 동작되면 그 동력은 체인(미도시)을 통해 상기 승강 안내봉(21)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제4 스프라켓 휠(22)을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승강안내봉(21)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third sprocket wheel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rotates the fourth sprocket wheel 22 integral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guide rod 21 through a chain (not shown), and thus the elevating guide rod. 21 rotates in one direction.

상기 승강 안내봉(21)이 회전하게 되면, 승강 안내봉(21)은 승강부(20)의 내측과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된 구조에 의해 승강 안내봉(21)은 정위치에서 회전하게 되지만 승강부(20)는 승강 안내봉(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elevating guide bar 21 is rotated, the elevating guide bar 21 is rotated in a fixed position by th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levating guide bar 21 is screwed with the inner portion of the elevating unit 20. The lifting unit 20 is moved upward along the lifting guide bar 21.

상기와 같이 승강부(2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승강부(20)와 수평 프레임(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3)의 상측에 피 가공물인 목재(T)를 안착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fting unit 20 moves upwar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ifting unit 20 and the horizontal frame 1, and the workpiece 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3 positioned in the space (T). )).

상기 지지 프레임(3)에 목재(T)가 안착되면 다시 제어박스(100)에 구비된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의 역순으로 승강부(20)를 하강시켜 목재(T)의 상측에 제1 회전칼(56)을 접촉시킨다.When the wood (T) is seated on the support frame (3) by operating the buttons provided in the control box 100 again to lower the lifting unit 20 in the reverse order to the first rotary knife on the upper side of the wood (T) (56) is contacted.

또 상기와 같이 승강부(20)를 하강시켜 목재(T)의 상측에 제1 회전칼(56)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목재고정부(미도시)를 동작시켜 목재(T)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목재의 가공 준비를 완료한다.In addition, by lowering the lifting unit 20 as described above to operate the wood fixing part (not shown) in the state of contacting the first rotary knife 56 on the upper side of the wood (T) by fixing the wood (T) Complete the preparation of the workpiece.

이 때, 목재(T)에 평탄면을 만들기 위한 제1 회전칼(56)만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회전칼(66) 또한 제1 회전칼(56)과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목재(T)에 평탄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짜맞추기용 홈 또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ork may be performed using only the first rotary knife 56 to make a flat surface on the wood (T), in addition to the second rotary knife 66 for forming the forming groove, the first rotary knife As it is lowered with the (56) it will be able to form a groove for forming at the same time as forming a flat surface on the wood (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상기와 같이 목재(T)의 가공 준비가 완료되면 제어박스(100)에 구비된 또 다른 버튼을 동작시켜 회전칼부(40)와 본체(10)를 동작시킨다.When the preparation for processing of the wood (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another button provided in the control box 100 to operate the rotary knife 40 and the main body 10.

제1 구동모터(57)가 제어박스(100)에 의해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제1 구동풀리(51)와 제1 구동벨트(52), 제1 보조풀리(54), 제2 구동벨트(53), 제1 회전칼풀리(55)를 거쳐 제1 회전칼(56)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1 회전칼(56)이 회전하여 원통 형상의 목재(T)를 가공하여 평탄하게 깍게 된다. 한편, 제어박스(100)에 의해 본체(10)의 체인구동모터(33)가 구동되며, 이는 체인구동벨트(34)를 통해 그 축에 구비된 제1 스프라켓 휠(11)을 회전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driving motor 57 is driven by the control box 100, the driving force is the first driving pulley 51, the first driving belt 52, the first auxiliary pulley 54, and the second driving belt 53. The first rotary knife 56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ry knife 56 via the first rotary knife pulley 55, and the first rotary knife 56 is rotated to process the wood T in a cylindrical shape, thereby cutting the flat wood. Meanwhile, the chain drive motor 33 of the main body 10 is driven by the control box 100, which rotates the first sprocket wheel 11 provided on the shaft through the chain drive belt 34.

상기한 제1 스프라켓 휠(11)이 회전하게 되면 본체이동체인(13)이 회전되며 그 동력은 제2 스프라켓 휠(미도시)로 전달된다.When the first sprocket wheel 11 is rotated, the main body moving chain 13 is rotated and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rocket wheel (not shown).

이때, 본체이동체인(13)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분리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본체이동체인(13)은 무한동력식으로 회전되지 않고 그 동력이 본체(10)로 전달되어 본체(10)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된다.At this time, since both ends of the main body moving chain 13 is fixed in a separated stat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moving chain 13 is not rotated indefinitely and its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The 10 is mov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따라서, 본체(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18)는 가이드 프레임(5)을 따라 본체(10)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guide member 18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lides while supporting the main body 10 along the guide frame 5.

여기서, 본체(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하기위해서 수평 프레임(1)의 어느 일측에 활주가능한 레일을 장착하고, 본체의 하측에 레일에서 고정이동이 가능한 롤러 등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for the main body 10 to move more stably,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rail which can slide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 and to arrange | position the roller etc. which can be fixedly moved from a rail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결국, 본체(10)는 목재가공장치의 길이방향의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이동되며, 목재가공장치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된 원통형 목재(T)는 일측이 평면상태로 가공되게 된다.As a result, the main body 10 is mov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the cylindrical wood (T)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is processed to one side in a planar state.

그리고 길이방향의 전, 후로 이동되는 본체(10)의 동작에 따라 반복적으로 목재(T)의 가공이 이루어지게되며 목재(T)의 깍는 깊이와 폭 등을 고려하여 승강 안내봉(21)에 연결된 핸들(23)을 임의적으로 동작시키며 목재(T)의 가공 정도를 조절하며 사용한다.And the processing of the wood (T) is repeatedly ma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 is moved to the front and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guide bar 21 in consideration of the cutting depth and width of the wood (T). The handle 23 is arbitrarily operated and used while adjusting the degree of processing of the wood (T).

따라서 원통형 목재(T)는 평탄하게 가공되며, 원통형 목재(T)를 90°도씩 회전시키며 상기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원통형 목재(T)는 정사각 또는 원하는 크기의 다면체로 가공하게 된다.Therefore, the cylindrical wood (T) is processed flat, the cylindrical wood (T) is rotated by 90 °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the cylindrical wood (T) is processed into a square or a polyhedron of the desired size.

한편, 목재(T)의 길이 방향에 예를 들어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원통형 목재(T) 또는 평면상태로 가공된 목재(T)를 길이 방향으로 안착시킨 후 상기 제2 구동모터(67)를 동작시켜 홈을 파는 작업을 따로 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칼(56)이 목재(T)의 일측을 평면화하고 있을 때 동시에 짜맞추기용 홈파기 작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ming a groove,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od (T), the second drive motor (67) after se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ylindrical wood (T) or wood (T) processed in a planar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peration of digging the groove can be performed separately, and when the first rotary knife 56 is flattening one side of the wood (T), it is also possible to do the groove digging for the same time.

상기의 짜맞추기용 홈파기 작업은 목재를 평탄하게 가공하는 작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grooving operation for the weaving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processing the wood flat, so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회전칼부에 각각의 보조풀리가 장착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작업상황에 따라 보조풀리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1 및 제2 회전칼으로 구동벨트가 연결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auxiliary pulley is expressed as being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arts in the illustrated figure, the driving bel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s without going through the auxiliary pulley according to the working situation.

한편,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사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가공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회전칼을 동시에 사용하여 목재를 깎아서 평판면을 만들거나, 짜맞추기 용 홈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at the same time to cut the wood to make a flat surface, or to form a groove for the same time at the same time work speed is faster and work The efficiency is improved.

또 본 고안은, 톱밥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대와 톱밥이 모여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므로 작업 후 톱밥의 뒷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ventive bar for preventing the sawdust from splashing and the discharge port discharged by gathering sawdust,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post-treatment of sawdust after work.

Claims (5)

이동용 체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승강안내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승강 이동되고 하단에 회전칼부를 포함하는 승강부로 구성되되, 회전칼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모터에 장착된 벨트를 이용하여 한 쌍의 회전칼 중 제1 회전칼을 회전시켜 목재를 깎거나, 제2 회전칼을 회전시켜 짜맞추기용 홈을 형성하는 목재가공장치에 있어서,The main body is moved along the at least one guide frame by a chain for movement, an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guide to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comprises a lifting unit including a rotary knife at the lower end, Wood processing to cut wood by rotating the first rotary knife among a pair of rotary knives using a belt mounted on a motor located inside the rotary knife unit, or to form a groove for forming a frame by rotating the second rotary knife. In the apparatus, 상기 회전칼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회전축이 일측과 타측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position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knife unit, the pair of rotation shafts being rot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에 마련된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mounted on the pair of rotation shaft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회전칼;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A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s;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회전칼풀리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3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And a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to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 pulleys.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의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3 구동벨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풀리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풀리는 각각 일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및 제4 구동벨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ves, the pair of first and third drive belts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A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ulleys are provided,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ulley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ry knifes by a pair of second and fourth driving belt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side. Wood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회전칼의 전면에는 톱밥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톱밥방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칼의 후면에는 톱밥이 모여서 배출되는 톱밥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A sawdust prevention ba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otary knife to prevent sawdust from splashing, and a sawdust discharge port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econd rotary knife to discharge sawdust gather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승강안내구는 수직 중심선 방향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안내봉 또는 체인 형상의 승강용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The lifting guide is a wood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guide bar or chain-shaped lifting chain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vertical center line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방향 중 후면일측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체인구동모터;A chain driving motor which is independent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provides power required for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main body; 상기 체인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해주는 체인구동벨트;A chain driving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hain driving motor; 상기 체인구동벨트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제1 스프라켓 휠;A first sprocket wheel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chain driving belt; 상기 제1스프라켓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이동방향 중 전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프라켓 휠;A second sprocket wheel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front and rear moving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procket; 상기 본체의 내면일측에 분리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 휠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를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는 본체이동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가공장치.And a main body moving chain separated and fix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and moving the main body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 wheels. Wood processing equipment.
KR20-2004-0014920U 2004-05-28 2004-05-28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KR2003598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20U KR200359845Y1 (en) 2004-05-28 2004-05-28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20U KR200359845Y1 (en) 2004-05-28 2004-05-28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390A Division KR100617554B1 (en) 2004-05-28 2004-05-28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845Y1 true KR200359845Y1 (en) 2004-08-21

Family

ID=4943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20U KR200359845Y1 (en) 2004-05-28 2004-05-28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84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551933U (en) A kind of continuous equidistant cutter device of plank
KR100617554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EP1338389A2 (en) Die-cutting device for performing slots perpendicular to the feeding direction of box-forming paperboard sheets
KR200359845Y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CN106476087B (en) Multifunctional carpenter efficient cutting
KR200278346Y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CN211760422U (en) Automatic edging mechanism of panel cutting process
CN213440153U (en) Building board cutting machine
US20200180183A1 (en) Automatic wax tree planting device for jewelry making
KR20030067336A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US20200130222A1 (en) Shaving blade with adjustable shaving depth for high-grade floors
KR200458793Y1 (en) Device for processing wood
CN208305273U (en) Multi-functional drum plate cutting bed
KR20170069703A (en) The Working-Table for Multi-Type 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CN201023145Y (en) Hand-held electric planer
CN111633837A (en) Floor cutting device
CN205572607U (en) Electric saw bed
CN217551278U (en) Panel cutting device for decoration
CN215749443U (en) Novel combined cutter
KR20140013281A (en) Wood multi-manufacturing device
CN2702824Y (en) Woodwork planing machine
CN213563159U (en) Multifunctional wood polishing platform
CN217144173U (en) Spiral cutter of rewinder
US20200147827A1 (en) Reversing device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wind energy
CN219404408U (en) Novel integral type cuts meat vegetable-ch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