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810Y1 - Bedclothes - Google Patents

Bed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810Y1
KR200359810Y1 KR20-2004-0013263U KR20040013263U KR200359810Y1 KR 200359810 Y1 KR200359810 Y1 KR 200359810Y1 KR 20040013263 U KR20040013263 U KR 20040013263U KR 200359810 Y1 KR200359810 Y1 KR 200359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uvet
blanket
present
comf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대성
Original Assignee
소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대성 filed Critical 소대성
Priority to KR20-2004-0013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8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810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착탈이 용이한 커버를 갖는 이불에 관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착탈수단이 형성된 이불속과, 상기 이불속의 하부 및 상부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불속에 형성된 착탈수단과 대응하는 착탈수단이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편리한 이불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vet having a cover that is open at the top and easily removable, and includes a duvet in which a plurality of detachable means are formed along an edge thereof, and an upper portion of the duvet to cover the edges of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duvet. And a detachable means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means formed in the comforter includes a cover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discloses a convenient comforter easily detachable and coupled using the detachable means.

Description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BEDCLOTHES}Quilt with a removable cover {BEDCLOTHES}

본 고안은 이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불의 상부가 개방되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이불속과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이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v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ve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duvet is open and detachable and easy to separate and combine the duvet and the cover to be used easily and cleanly.

이불은 통상적으로 보온을 위하여 솜, 오리털 등으로 구성된 이불속과, 상기 이불속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이불속을 천으로 감싼 커버로 구성된다.The quilt is usually composed of a quilt made of cotton, a down fleece, etc. for warming, and a cover wrapped in a quilt with a cloth so that the quilt is not dirty.

상기 이불속은 두꺼운 솜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을 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쉽게 더러워지지는 않기 때문에 자주 세탁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커버는 이불속을 감싸는 얇은 천으로 이루어져 쉽게 더러워지기 때문에 이불에서 자주 벗겨내어 세탁을 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이불속과 커버는 그 기능의 차이에 의해 분리 및 결합의 필요성이 많다.Since the blanket is made of thick cotton or the lik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wash, but does not need to be washed frequently because it is not easily soil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ver is made of a thin cloth that wraps in the comforter and becomes easily dirty, there is a need to frequently remove the cover from the comforter and wash it. In other words, the duvet and the cover need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due to differences in their functions.

그러나, 종래의 이불의 경우 이불속과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이 어렵고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uvet had a dis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duvet and the cover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즉, 종래의 이불은 이불속에 커버를 대고 꿰매거나, 또는 커버의 일측면에 지퍼를 형성하여 분리시에는 지퍼를 열어 이불속을 꺼내고, 결합시에는 커버에 이불속을 넣고 커버와 이불속을 가지런히 배치한 후에 지퍼를 닫음으로써 그 분리 및 결합을 해왔는데, 분리 및 결합의 어려움 때문에 세탁을 자주 하기가 어려워 그 만큼 이불을 청결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That is, a conventional duvet is sewn with a cover on the cover, or by forming a zipper on one side of the cover to open the zipper to remove the cover, when detaching, put the cover into the cover and the cover and the cover After the arrangement, the zipper has been separated and combined by closing the zippe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separating and combining, it is difficult to frequently wash the blanket, so that many cases do not use the blanket cleanly.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이불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불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이불속과 커버의 착탈이 용이한 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mforter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forter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cover and the cover of the comforter.

또한, 본 고안은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이불을 제공하여 세탁시 등에 누구나 커버를 착탈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vet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move and combine the cover to provide convenience for anyone to remove the cover when washing, etc., and to maintain a clean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착탈 수단이 형성된 이불속; 및 상기 이불속의 하부와,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상부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불속에 형성된 착탈수단과 대응하는 착탈수단이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Quilt having a removabl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uvet in which a plurality of removable means is formed along the edge; And a cover having a lower central portion and an upper center portion open to cover an upper edge thereof, and a detachable means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means formed in the comforter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quilt having a removabl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의 결합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comforter having a removabl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의 부분 분해 사시도.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f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수단의 분리 및 결합 상태의 단면도.Figure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achment and coupling state of the removabl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이불 20: 이불속10: quilt 20: quilt

30: 커버 22, 32: 착탈수단30: cover 22, 32: detachable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uv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불(10)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are show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duv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불(10)은 이불속(20)과 이불속을 둘러싸는 커버(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커버(30)는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어진 형태로 구성되며, 따라서, 이불속(20)의 하부와 상부 가장자리 부분만이 커버(30)로 덮여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duv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duvet 20 and a cover 30 surrounding the duvet, the cover 30 is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us, only the lower and upper edge portions of the blanket 20 are covered with the cover 3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불은 이불속(20)과 커버(30)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불속(20)이 커버(30)의 내부로 들어가서 각각 이불속과 커버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착탈수단(22, 32)에 의해 결합된다.Qui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duvet 20 and the cover 3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duvet 20 is entered into the cover 30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ormed in the duvet and the cover, respectively It is coupled by the removable means (22, 32).

상기 이불속(20)은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명주솜, 목화솜 등의 솜이나 오리털 등이 들어 있고 외피는 천으로 덮여져 마무리되어 있다.The quilt 20 is usually contained therein, such as silk cotton, cotton wool or down, and the outer shell is covered with a cloth is finish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불속(20)에는 그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들어온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착탈수단(22)이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detachable means 22 are formed in the duvet 20 along edges that ent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thereof.

상기 착탈수단(22)으로서는 단추 또는 스냅단추 등 다수의 다양한 착탈수단에서 선택할 수 있고, 착탈수단(22)의 수 및 간격 또한 적절하게 선택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detachable means 22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etachable means such as a button or a snap button, and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detachable means 22 may also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djusted.

또한, 상기 착탈수단(22)은 이불속의 윗면에만 부착될 수도 있지만, 이불속(20)의 상하를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부착하여 이불속(20)으로부터 착탈수단(2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means 22 may be attached on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mforter, but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mforter 20, attaching the bond firmly so that the detachable means 22 falls from the comforter 20 Can be prevented.

상기 커버(30)는 상기 이불속(20)을 덮어씌우는 외피인데, 통상의 경우와는 달리 이불속(20)의 전체를 감싸지 않지 하부전체와 상부의 측면 테두리부분만 덮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즉, 커버(30)는 이불속(20)의 하부와 이불속(20)의 상부의 주변부만을 덮게 된다.The cover 30 is an outer cover to cover the blanket 20, unlike the usual case does not cover the entire blanket 20, the top is opened so as to cover only the entire lower and upper side edge portion Has That is, the cover 30 covers only the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lanket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lanket 20.

상기 커버에는 통상의 이불의 커버와 같이 다양한 문양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커버(30) 중에서 상부의 주변부에만 문양을 인쇄하여 미감을 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불속에 문양을 넣을 수도 있으며, 특히, 이불속의 상부 중앙부의 외피에 문양을 넣어 종래의 이불과 같이 문양이 새겨진 이불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 variety of patterns, such as a cover of a conventional duvet, in particular, it can be printed a pattern only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ver 30 to enhance the aesthetics. In addition, a pattern may be placed in the comforter, and in particular, by inserting a pattern on the outer cover of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comforter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blanket engraved with a pattern like a conventional comforter.

이불(10)의 상부는 인체에 직접 닿는 하부와는 달리 땀 등에 의해 쉽게 더럽혀지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와 같이, 커버(3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도 이불속(20)의 청결함을 유지하는데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에, 커버(30)의 분리 및 결합시에는 간편하게 집어넣거나 꺼낼 수 있어 매우 큰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Unlike the lower part directly touching the human body, the upper part of the duvet 10 is not easily contaminated by sweat, etc., so as to maintain the cleanness of the duvet 20 even wh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30 is ope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n't matter much.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30 is separated and combined can be easily inserted or taken out can enjoy a great convenience.

또한, 상기 커버(30)를 이불속(20)과 견고히 결합함과 동시에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불속(20)에 부착된 착탈수단(22)과 대응되도록 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착탈수단(32)이 부착된다.In addition, the cover 3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so as to be firmly coupled with the blanket 20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attachment 22 attached to the blanket 20. Means 32 are attached.

상기 대응되는 착탈수단(22, 32)은 통상적인 단추와 단추구멍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스냅단추 등 여러 가지가 상정될 수 있지만, 착탈의 편리성을 감안할 때 스냅단추가 가장 편리할 것이다.The corresponding detachable means 22 and 32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button and a buttonhole, or various kinds of snap buttons may be assumed. However, the snap button may be the most convenient in view of convenience of detachment.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이불(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및 4b에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착탈수단(22, 32)의 분리 및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uv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and 4b is shown i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achable means 22, 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t i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은 커버(30)를 펼쳐 놓고 이불속(20)을 넣은 후에 착탈수단(22, 3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즉, 이불속(20)의 네 변의 모서리 부분만을 커버(30)의 겹쳐진 모서리 부분에 넣고 착탈수단(22, 3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the duv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upled using the detachable means 22 and 32 after the cover 30 is opened and the duvet 20 is put therein. That is, only the four corners of the four sides of the blanket 20 is placed in the overlapping corner of the cover 30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using the detachable means (22, 32).

이불속을 완전히 둘러싼 커버의 일측면에 지퍼를 형성한 종래의 이불의 경우, 커버와 이불속의 분리 및 결합시 커버 속에서 이불속을 가지런히 배치하여야 하나 용이하지 않고 매우 불편하고 힘이 든다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의 경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불속을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uvet formed with a zipper on one side of the cover completely surrounding the blanket, when the cover and the blanket is separated and combined, the blanket should be arranged neatly in the cover, but it is not easy and very inconvenient and difficul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in a simple and convenient duvet.

또한,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착탈수단(22, 32)으로 스냅단추를 이용함으로써 이불속(20)과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by using a snap button to the removable means 22, 32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blanket 20 and the cover.

또한, 상기 이불속(20)의 충전재로서는 흡수력과 건조성이 뛰어나고 항균 및 방취, 자외선 차단기능이 있는 건강성 섬유인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ller of the blanket 20, 'functional polyester fiber', which is a healthy fiber having excellent absorption and drying properties, and having antibacterial and deodorant and UV protection functions, may be used.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라 함은 국내 특허출원 제2001-0070921호(출원인: 주식회사 휴비스)에 개시된 것과 같은, 섬유에 혼입된 바이오세라믹과 은성분이 인체와 같은 파장의 원적외선을 영구적으로 발산하는 다기능 건강 쾌적섬유를 말한다.The term 'functional polyester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bioceramic and silver component incorporated into a fiber, such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1-0070921 (Applicant: Huvis Co., Ltd.). It says multifunctional health comfortable fiber releasing.

상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축열 보온 기능, 자외선 차단 기능, 항균 및 방취 기능, 원적외선 방사 기능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은은한 광택과 부드러운 터치로 청량감을 주며, 반영구적 기능 유지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The functional polyester fiber has a function such as heat storage thermal insulation function, UV protection function,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far-infrared radiation function, and gives a refreshing feeling with a soft luster and soft touch,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emi-permanent function.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성 폴리에스테를 섬유를 이불속의 충전재로 사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such a functional polyester as a filler in the blanket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blan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blanket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and used cleanly.

또한, 본 고안은 세탁시 등에 누구나 커버를 착탈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이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er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move and combine the cover to provide a convenience for anyone to remove the cover when washing or the like to always maintain a clean state.

또한, 본 고안은 흡수력과 건조성이 뛰어나고 항균 및 방취, 자외선 차단기능이 있는 건강성 섬유인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쾌적하고 건강에 유용한 이불을 제공하여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lth of the public 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useful futon using functional polyester fiber, which is a healthy fiber with excellent absorption and dryness, and antibacterial and deodorant, and UV protection func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이불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이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lt having an open top and a detachable structur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ltered and substituted.

Claims (3)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착탈 수단이 형성된 이불속; 및A blanket in which a plurality of detachable means are formed along an edge; And 상기 이불속의 하부와,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상부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불속에 형성된 착탈수단과 대응하는 착탈수단이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Removabl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lanket and the upper center portion is formed to open to cover the upper edge, the removable means and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means formed in the blanket comprises a cover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Having a duv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스냅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The futon having a detachable co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achable means is a snap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속의 충전재는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를 갖는 이불.The futon with a removable co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ler in the comforter is a functional polyester fiber.
KR20-2004-0013263U 2004-05-13 2004-05-13 Bedclothes KR2003598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63U KR200359810Y1 (en) 2004-05-13 2004-05-13 Bed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63U KR200359810Y1 (en) 2004-05-13 2004-05-13 Bedclot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810Y1 true KR200359810Y1 (en) 2004-08-21

Family

ID=4943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63U KR200359810Y1 (en) 2004-05-13 2004-05-13 Bed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81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59B1 (en) 2018-10-18 2019-11-27 이혜정 Functional duvet
KR102157226B1 (en) 2020-03-04 2020-09-17 권혁태 detachable duv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59B1 (en) 2018-10-18 2019-11-27 이혜정 Functional duvet
KR102157226B1 (en) 2020-03-04 2020-09-17 권혁태 detachable duv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9962B2 (en) Quick change bed sheet set
CA2645694C (en) Mattress cover
KR19990004189U (en) Hat Undershirt Absorption
KR200359810Y1 (en) Bedclothes
JP2003116693A (en) Comforter cover
US20170099966A1 (en) Multi- Pieced Bedding Cover
KR20100008084A (en) Cover sheet of mat
KR200471508Y1 (en) Quilt
JP3666757B2 (en) Partially washable futon
KR200453276Y1 (en) Mat cover with removable waterproof cover
KR20090009577U (en) Separable quilt
KR102203824B1 (en) The cover for a sleeping gear
CN212438021U (en) Washable high-breathability 3D mattress
KR200416217Y1 (en) A cushion
JP3100318U (en) Pants or briefs
JP3105752U (en) Kotatsu comforter set
JP3026153U (en) Arm cover
KR200201407Y1 (en) Quilt
JP3096996U (en) Duvet cover with removable collar cover
KR200280627Y1 (en) A quilt
KR20230001845U (en) Diatomite mat having changeable cover
JP3087249U (en) Baby bath gloves
JP3107013U (en) Shoulder covering blanket
JP2005068580A (en) Apron contrivance and sheet device
KR20030045318A (en) easiy exchangable shee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