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46Y1 -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 Google Patents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46Y1
KR200359146Y1 KR20-2004-0009074U KR20040009074U KR200359146Y1 KR 200359146 Y1 KR200359146 Y1 KR 200359146Y1 KR 20040009074 U KR20040009074 U KR 20040009074U KR 200359146 Y1 KR200359146 Y1 KR 200359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coupling nut
groove
coupling
golf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제호
Original Assignee
신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제호 filed Critical 신제호
Priority to KR20-2004-0009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연의 미끄러짐 방지기능에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을 동시에 겸할 수 있도록 한 스파이크에 관한 것으로, 골프화(1)의 밑창(2)에 매입된 고정구(3)의 나사산(3b)에 대응하는 나사산(111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3a)에 나사 결합되게 한 인서트부(111) 및, 상기 인서트부(111)와 일체 형성되어 인서트부(111)측 결합시 상기 밑창(2)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끼움홈(112a)을 형성하고 저면 중심에 십자형의 결합조절홈(112b)을 형성한 지지부(112)로 된 결합너트(110)와; 상기 결합너트(110)에 결합/분리되는 몸체(121)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상기 결합너트(110)의 지지부(112)에 대응하는 결합홈(121a)을 형성하되 그 저면에는 상기 몸체(121)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121b)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부(112)의 끼움홈(112a)에 대응하는 끼움돌기(121c)를 형성한 스파이크부(120)로 구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SPIKE FOR BOTH GRADIENT REGULATING AND SPIKING OF GOLF SHOES}
본 고안은 골프화의 밑창에 장착하여 골프화의 미끄러짐 방지기능 및 경사도 조절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골프화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파이크 교체의 용이성을 제공하며 스파이크의 교체 적용 및 높이 조절에 따라 미끄러짐 방지기능은 물론 골프화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golf)는 필드(filed) 위에 정지해 있는 볼을 골프클럽으로 쳐서 필드 상에 형성된 홀(hole)에 넣고 스트로크(stroke; 打數)가 많고 적음에 따라서 우열을 판정하는 경기로서, 골프화/골프클럽 등의 골프장비 사용이나 골퍼의 스윙동작에 따라 그 영향력이 민감해지는 경기이다.
여기서, 골프의 스윙동작은 볼을 기준으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양발의 위치를 정하는 스탠스(stance), 볼의 뒤쪽 지면에 골프클럽을 위치시키고 볼을 타격하기 위하여 적당한 자세를 취하는 어드레스(address), 골프클럽을 뒤로 이동시켜 위로 들어올리는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상태에서 볼을 타격하기 위하여 골프클럽을 끌어내리는 다운스윙(down swing), 다운스윙 된 골프클럽의 헤드로 볼을 타격하는 임팩트(impact), 볼을 타격한 이후 관성에 따라서 골프클럽의 헤드가 볼을 밀어내면서 스윙이 마무리되는 피니시(finish)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윙동작 중에 몸이 좌우로 이동되어 볼 타격력이 상실되고 볼 타격의 정확성을 잃게되는 현상을 스웨이(sway)라고 한다. 이 스웨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쪽 무릎을 모은 상태에서 하체를 고정하여야만 안정된 스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정된 자세에서 스윙동작을 하는 동안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가 번갈아 가면서 버팀대역할을 하여야 정확하고 강한 임팩트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골프화를 착용하고 스웨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 무릎을 모으는 경우 골프화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안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골프화의 바깥쪽 부분이 지면과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윙동작에서 하체가 흔들릴 우려가 많고 결국 스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이러한 스웨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8-0015666호, 특허공개번호 제2001-0100022호, 특허공개번호 제2002-0007273호로 제시한 골프화가 있으나 이들 골프화에 장착된 경사도 조절장치는 시중에 보급된 골프화에는 적용할 수 없는 기술로서 골프화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스윙동작시 버팀대 역할을 하게 되는 기존의 골프화용 스파이크는 단순 버팀 기능만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골프화의 밑창에 매입된 고정구측에 결합되는 스파이크가 사출 성형에 의한 일체 구성으로 스파이크의 교체 적용이 가능하기는 하나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골프화에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파이크 교체에 따른 용이성 및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스파이크의 교체 적용 또는 높이 조절에 따라 스파이크 본연의 미끄러짐 방지기능은 물론 골프화의 경사도를 동시 조절할 수 있게 하여주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파이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파이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파이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파이크가 장착된 상태의 골프화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스파이크 110: 결합너트
111: 인서트부 111a: 나사산
112: 지지부 112a: 끼움홈
112b: 결합조절홈 120: 스파이크부
121: 몸체 121a: 결합홈
121b: 관통홀 121c: 끼움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화의 밑창에 매입된 고정구의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형성한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상기 인서트부와 일체 형성되어 인서트부측 결합시 상기 밑창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저면 중심에 십자형의 결합조절홈을 형성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너트에 결합/분리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결합너트의 지지부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상기 몸체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끼움홈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형성한 스파이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너트와 스파이크부를 상호 끼움 결합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파이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파이크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파이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스파이크가 장착된 상태의 골프화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100)는 골프화(1)의 밑창(2)에 매입된 고정구(3)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성의 결합너트(110)와, 상기 결합너트(110)와 분리/결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스파이크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는 중심에 체결홈(3a)을 형성하고 있고 그 체결홈(3a)에는 체결용 나사산(3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결합너트(110)는 상기 고정구(3)의 체결홈(3a)에 나사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111a)을 형성한 인서트부(111)와, 상기 인서트부(111)와 일체 형성되며 인서트부(111)의 나사 결합시 골프화(1)의 밑창(2)에 배치되는 지지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2)에는 그 외주면 중심에 끼움홈(112a)이 형성되고 그 저면 중심에 십자형의 결합조절홈(112b)이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부(120)는 필드 지면과의 마찰력을 유발하여 버팀 기능을 발휘하는 몸체(121)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너트(110)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부(112)에 대응하는 결합홈(121a)을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홈(121a)의 저면 중심에 몸체(121)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121b)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121b)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부(112)의 끼움홈(112a)에 대응하는 끼움돌기(121c)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121)는 그두께(T1,T2,T3)의 길이가 조정된 즉,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몸체를 구비토록 하여 필요에 따라 교체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되 이에 의해 골프화(1)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골프화(1)에 매입된 고정구(3)에 결합너트(110)의 인서트부(111)가 나사 결합되고 지지부(112)에 스파이크부(120)의 몸체(121)가 끼움홈(112a)과 끼움돌기(121c)의 맞춤 결합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서, 결합조절홈(112b)을 통해 결합너트(110)의 결합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관통홀(121b)을 통해 결합너트(110)와 스파이크부(120)의 결합 후에도 결합조절홈(112b)을 조절하여 스파이크(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께(T1,T2,T3)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몸체(121)를 경사도 조절이 요구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 적용하면 필요에 따른 스파이크(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골프화(1)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본연의 스파이크 기능을 동시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너트(210)와 스파이크부(220)로 이루어진다.상기 결합너트(210)는 골프화(1)의 고정구(3)에 형성된 체결홈(3a)에 나사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211a)을 형성한 인서트부(211)와, 상기 인서트부(211)와 일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나사산(212a)을 형성한 지지부(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12)에는 그 저면 중심에 도 1에서와 같은 십자형의 결합조절홈(미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상기 스파이크부(220)는 필드 지면과의 마찰력을 유발하여 버팀 기능을 발휘하는 몸체(221)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221)의 상부에는 결합홈(222)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으로 상기 지지부(212)의 나사산(212a)에 대응하는 나사산(222a)을 형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홈(222)의 저면 중심에 몸체(221)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223)을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골프화(1)에 매입된 고정구(3)에 결합너트(210)의 인서트부(211)가 나사 결합되고 결합너트(210)의 지지부(212)에 스파이크부(220)의 몸체(221)를 나사산 결합되게 하는 형태로서,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너트(210)와 스파이크부(220)의 높이 조절에 따른 경사도 조절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30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너트(310)와 스파이크부(320)로 이루어진다.상기 결합너트(310)는 골프화(1)의 고정구(3)에 형성된 체결홈(3a)에 나사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311a)을 형성한 인서트부(311)와, 상기 인서트부(311)와 일체 형성되며 외주면 중심에 끼움홈(312a)을 형성한 지지부(312)와, 상기 지지부(312)의 끼움홈(312a) 내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는 오링(3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12)에는 그 저면 중심에 도 1에서와 같은 십자형의 결합조절홈(미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상기 스파이크부(320)는 필드 지면과의 마찰력을 유발하여 버팀 기능을 발휘하는 몸체(321)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321)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312)에 대응하는 결합홈(321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321a)의 저면 중심에 몸체(321)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321b)을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골프화(1)에 매입된 고정구(3)에 결합너트(310)의 인서트부(311)가 나사 결합되고 지지부(312)에 스파이크부(320)의 몸체(321)를 끼움 결합되게 하되 지지부(312)의 끼움홈(312a) 내에 고정 장착되는 오링(313)의 작용에 의해 몸체(321)의 결합홈(321a)측 내주면을 지지되게 하여 결합너트(310)와 스파이크부(320)의 상호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형태이다. 이때에도 높이 조절에 다른 경사도의 조절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골퍼가 본 고안의 스파이크를 적절하게 적용 결합하거나 높이 조절한 다음 스탠스 자세를 취하게 되면 골프화(1)가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골퍼의 버팀대 역할을 하게 되며, 골퍼의 양쪽 무릎이 안쪽으로 모아진 상태가 유지되어 하체가 안정적인 고정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안정된 자세에 의해서 스윙동작을 하게 되므로 정확하면서도 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의하면, 결합너트와 스파이크부를 분리/결합되게 구성하되 간단한 구성으로 골프화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교체 적용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교체시 스파이크부만을 교체 사용하면 되므로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또한, 결합너트의 결합정도 조절 및 스파이크부의 두께 형성에 따른 차별 적용으로 필요에 따라 골프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본연의 스파이크 기능을 동시 발휘되게 하므로 지면 버팀대 역할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골퍼의 안정적인 자세 유도로 스윙동작시 스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하면서도 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게 하여준다.

Claims (3)

  1. 골프화의 밑창에 매입된 고정구의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형성한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상기 인서트부와 일체 형성되어 인서트부측 결합시 상기 밑창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저면 중심에 십자형의 결합조절홈을 형성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너트에 결합/분리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결합너트의 지지부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저면에는 상기 몸체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끼움홈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를 형성한 스파이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너트와 스파이크부를 상호 끼움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2. 골프화의 밑창에 매입된 고정구의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형성한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상기 인서트부와 일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너트의 지지부에 결합/분리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으로 상기 지지부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홈의 저면 중심에 몸체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한 스파이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너트와 스파이크부를 나사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3. 골프화의 밑창에 매입된 고정구의 체결홈에 나사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형성한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는 상기 인서트부와 일체 형성되며 외주면 중심에 끼움홈을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끼움홈 내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며;
    상기 결합너트의 지지부에 결합/분리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저면 중심에 몸체의 저면과 직결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한 스파이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너트와 스파이크부가 오링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KR20-2004-0009074U 2004-04-01 2004-04-01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KR200359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74U KR200359146Y1 (ko) 2004-04-01 2004-04-01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74U KR200359146Y1 (ko) 2004-04-01 2004-04-01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46Y1 true KR200359146Y1 (ko) 2004-08-21

Family

ID=4934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074U KR200359146Y1 (ko) 2004-04-01 2004-04-01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263B2 (en) Golf tee set
US8622853B1 (en) Golf training device
US20060135278A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WO2014186188A1 (en) Lie adjustable putter
USD448437S1 (en) Golf putter head
CA2459075A1 (en) Golf tee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USD474253S1 (en) Golf putter head
US5150903A (en) Golfer's training device
USD474520S1 (en) Golf putter head
KR200359146Y1 (ko) 골프화의 경사도 조절 겸용 스파이크
KR20070049747A (ko) 골프화
US20120329582A1 (en) Multi-purpose football tees
KR20043513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골프티
US20080009372A1 (en) Golf tee
US20120046121A1 (en) Variable height golf tee
KR20090083839A (ko) 골프클럽용 퍼터
KR100533707B1 (ko) 골프화의 밑창
KR200240630Y1 (ko)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화
KR102656942B1 (ko) 페이스각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101528311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US20030195057A1 (en) Golf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KR100629966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KR200407280Y1 (ko) 골프화
KR200190194Y1 (ko) 티샷 연습용 골프채
KR200374388Y1 (ko) 정타 및 비거리 향상을 위한 티샷용 경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