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222Y1 -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222Y1
KR200358222Y1 KR20-2004-0013453U KR20040013453U KR200358222Y1 KR 200358222 Y1 KR200358222 Y1 KR 200358222Y1 KR 20040013453 U KR20040013453 U KR 20040013453U KR 200358222 Y1 KR200358222 Y1 KR 20035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re extinguisher
rod
support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4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이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정 filed Critical 이수정
Priority to KR20-2004-0013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22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22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큰 직경에 대한 얕은 깊이로부터 작은 직경을 가지는 깊은 깊이에 이르기까지 다단식으로 형성된 리세스부(3)를 구비한 지지대(2); 상기 지지대의 소화기용 리세스부(3) 뒤쪽에 환형 단면의 중공지주봉(5)이 끼워져 입설될 수 있도록 환형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중공지주봉(5) 착설용 그루브(4); 2단 이상의 중공형 봉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총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중공지주봉(5); 및 상기 중공지주봉(5)의 상단부에 제공된 안내표지판(6)을 포함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1)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2) having a recessed portion (3) formed in multiple stages from a shallow depth to a large diameter to a deep depth having a small diameter so as to stand up to the diameter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A hollow groove rod (4) for mounting the hollow support rod (5) recess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hollow support rod (5)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or the fire extinguisher (3) of the support; A hollow support rod (5)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length by connecting two or more hollow rod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it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holder (1) having a guide for supporting the cover including a guide plate (6)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support rod (5).

Description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본 고안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는 소화기 관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호,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기가 비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긴급사용시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사용법을 안내해주는 안내표지판이 제공된 소화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stand that can safely protect and manage the fire extinguisher indoors or outdoors,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s well as to safely protect and manage the fire extinguis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holder provided with a guide board for guiding a user to use the emergency fire extinguisher without knowing how to use the fire extinguisher.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시장건물 및 아파트, 주택 등에는 건축물 등에 관한 소방법령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신속히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체육관 등의 공공시설물에도 긴급상황에 대비한 소화기 비치는 의무사항이며, 상기 건축물 등에 상주하는 인원들에게는 주기적으로 소방훈련이 실시되고 있다.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required for offices, market buildings, apartments, houses, etc., so that they can be used promptly in the event of a fire in accordance with the Fire Act. In addition, it is mandatory to have fire extinguishers ready for emergencies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gymnasiums, and fire drills are periodically carried out for those who reside in the buildings.

그러나 유동인구가 많은 건축물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시에 비상주인들이 우선 소화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익숙하지 않더라도 현장에서 즉시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적절한 안내문이 제공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However, it is important for emergency owners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appropriate guidance must be provided to enable immediate use of fire extinguishers in the field even if unfamiliar with them. .

소화기는 통상적으로 소화기의 용기의 내부에 소화용 약제와 조작에 의해 이 소화용 약제를 분출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예컨대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가스(질소,CO2 등)와 같은 분사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분사물질과 분사 방식에 따라, 또는 소화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축압식, 가압식(수동 펌프식, 화학 반응식, 가스 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기 및 할론 소화기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방법도 다소의 차이가 있게 된다.A fire extinguisher is typ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jection material such as compressed air or a non-combustible gas (nitrogen, CO2, etc.) having a function of e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by manipulation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container of the extinguisher, Depending on the spraying material and the method of spraying,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inguishing object, it is classified into accumulator, pressurized type (manual pump type, chemical reaction type, gas pressurized type), carbon dioxide extinguisher, and halon extinguisher. Will be.

종래에는 대개 소화기를 복도 등의 실내외 바닥이나 어느 한쪽 구석에 놓아두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특정한 용기에 담아 창고에 보관하거나 벽에 매달아 놓는 경우도 있었다.In the past, fire extinguishers were usually placed on indoor or outdoor floors, such as corridors, or on one corner. In some cases, fire extinguishers were stored in warehouses or hung on walls.

소화기나 소화전 등 소방시설의 위치는 우선 쉽게 눈에 띄도록 제대로 표시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 소화기 종류에 맞는 사용방법 안내문이 함께 비치되어 응급사용시에 조작미숙 등으로 인한 무리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함이 원칙이다.The loc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fire extinguishers and fire hydrants should be clearly marked so that they are easily visible. to be.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기가 쉽게 식별되도록 항상 눈에 잘 띄는 일정한 장소에 비치되어야 하고, 소화기의 사용방법이나 요령을 모르는 사람을 위해서 소화기 주변에 사용요령이 기재된 안내표지판이 부착되어야만 누구나 쉽게 소화기를 쉽게 사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안전용품인 소화기를 장애물로 간주하여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이나 구석에 비치함으로서 화재시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없고 사용요령을 잘 몰라서 초기 진화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안내표지판도 종이에 기재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정도여서 소화기 사용안내문이 부착된 곳이 아닌 사용 장소에서는 안내문을 읽을 수 없는 경우도 있었고, 평상시의 미관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event of a fire like this, the fire extinguisher should be kept in a prominent place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at all times, and for those who do not know how to use the fire extinguisher or the tips, a signboard indicating the usage instructions should be attached to the fire extinguisher. Although it is easy to use and extinguish the fire at an early stage, the fire extinguisher, which is conventionally regarded as a safety device, is regarded as an obstacle and placed in an inconspicuous place or corner, so it is not easy to find a fire extinguisher during fire In many cases, the initial evolution failed, and the information signs were also written on paper and attached to the wall, so they could not be read at the place where the fire extinguisher instructions were attached. There was a problem.

또 다른 문제점은 소화기를 바닥에 세워놓은 모양이 시각적, 실내장식적인 미감을 저해하는 요소로 간주되어 소화기를 한 장소에 비치하지 않고 실내의 구조변경이나 청소 등 사정에 따라서 소화기 위치를 변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동시마다 소화기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표지판을 해당 위치의 벽면에 다시 옮겨 붙여야하는 관리상의 불편한 점도 있었다.Another problem is that the shape of the fire extinguisher on the floor is regarded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visual and interior decoration aesthetics,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such as structural change or cleaning of the room without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in one place. In addition, there was an administrative inconvenience that requires to re-attach the guide signs on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every time it moves.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화기의 비치 장소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응급시에 사용요령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양호하며 운반 또한 편리한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fely store and manage the fire extinguishe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to easily understand the use of the emergency in the emergency It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holder which is not only capable of being aesthetically pleasing but also aesthetically pleasing and carrying a convenient guide cov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화기 거치대의 A'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파단 확대설명도이고,FIG. 2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partial breakage of the portion A ′ of the fire extinguisher hold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소화기 거치대의 B'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부분 확대설명도이며,3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showing a portion B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holder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소화기 거치대의 C'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시켜서 도시한 부분 확대설명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showing a portion rotated to explain the C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holde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소화기 거치대 2: 지지대1: fire extinguisher holder 2: support

3: 소화기 리세스부 4: 중공지주봉 착설용 그루브3: Fire extinguisher recess part 4: Hollow support rod installation groove

5: 중공지주봉 6: 안내표지판5: Hollow rods 6: Information signs

7: 상부연결부재 8: 걸림홈7: upper connection member 8: locking groove

9: 돌출부 11: 중간부9: protrusion 11: middle

12: 연결부 13: 연결봉12: connecting portion 13: connecting rod

14: 연결부재14: connecting member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세워놓을 수 있도록 큰 직경에 대한 얕은 깊이로부터 작은 직경을 가지는 깊은 깊이에 이르기까지 다단식으로 형성된 리세스부(3)를 구비한 지지대(2); 상기 지지대의 소화기용 리세스부(3) 뒤쪽에 환형 단면의 중공지주봉(5)이 끼워져 입설될 수 있도록 환형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중공지주봉(5) 착설용 그루브(4); 2단 이상의 중공형 봉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총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중공지주봉(5); 및 상기 중공지주봉(5)의 상단부에 제공된 안내표지판(6)을 포함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1)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t is provided with a recess 3 formed in multiple stages from a shallow depth to a large diameter to a deep depth having a small diameter so as to stand up to the diameter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2); A hollow groove rod (4) for mounting the hollow support rod (5) recess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hollow support rod (5)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or the fire extinguisher (3) of the support; A hollow support rod (5)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length by connecting two or more hollow rod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it is provided with a fire extinguisher holder (1) having a guide for supporting the cover including a guide plate (6)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support rod (5).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지주봉(5) 착설용 환형 그루브(4)의 1개 이상의 지점에 상기 환형 그루브의 중심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걸림홈(8)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4)에 끼워지는 상기 중공지주봉(5)의 환형부에 상기 걸림홈(8)에 맞는 돌출부(9)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지주봉(5)이 상기 그루브(4)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 후 겉돌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t least one point of the annular groove (4) for the installation of the hollow support rod (5) engaging groove in the center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8) is formed, the projection (9) to fit the locking groove (8) is formed in the annular portion of the hollow holding rod (5) to be fitted to the groove (4), the hollow holding rod (5) It is fitted to the groove 4 so as not to turn over or detach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지주봉(5)은 환형 단면 연결봉(13)의 내경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원형 또는 환형 단면의 연결부(12)를 중간부(11) 양쪽에 각각 구비한 연결부재(14)에 의해서 3단계 이상의 단위길이 봉을 각각 끼워 맞추어 조립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표지판(6)과 일체화된 상부연결부재(7)가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중공지주봉(5) 상단부의 환형단면에 끼워져 조립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ollow support rod 5 has a connecting portion 12 having a circular or annular cross sec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ng rod 13. The connecting member 14 provided on both sides is assembled by fitting each of the three or more unit length rods, respectively, and as shown in FIG. 4, the upper connecting member 7 integrated with the guide cover plate 6 is like this. In the same manner, the hollow holding rods 5 are fitted to the annular end surface of the upper end.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공지주봉(5)은 복수개의 환형 단면 연결봉들이 선형 안테나 연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안내표지판(6)을 잡아 늘임으로써 예정 높이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표지판(6)과 일체화된 상부연결부재(7)가 상기 중공지주봉(5)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llow support rod 5 is a plurality of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ng rods are coupled in a linear antenna connection method to stretch the guide plate (6) As shown in FIG. 4, the upper connection member 7 integrated with the guide cover plate 6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olumnar rod 5.

상기 안내표지판(6)의 안내문구는 야간에도 잘 식별할 수 있는 형광 또는 축광재료로 표기될 수 있다.The guide phrase of the guide sign 6 may be labeled with a fluorescent or photoluminescent material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at night.

본 고안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상에 도시되지는않았으나, 상기 중공지주봉(5)은 복수개의 환형 단면 연결봉들이, 일개 연결봉의 일측 단부 근처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연결되는 연결봉의 연결측 단부 부근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횡방향 개열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결합될 연결봉의 횡방향 개열부에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완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llow columnar rod 5 is a plurality of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ng rods,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near one end of one connecting rod,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rod A lateral cleavage portion is formed near the side end portion so as to fit the protrusion, and may be complet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y being assembled by fitting the protrusion into the lateral cleavage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to be coupl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가 제공됨으로써,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화기의 비치 장소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응급시에 사용요령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양호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By providing a fire extinguisher holder provided with a guide for support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afely store and manage the fire extinguishe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easily grasp the use instructions in case of emergency Not only can it be possible, but it can also provide good aesthetics.

Claims (4)

소화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세워놓을 수 있도록 큰 직경에 대한 얕은 깊이로부터 작은 직경을 가지는 깊은 깊이에 이르기까지 다단식으로 형성된 리세스부(3)를 구비한 지지대(2); 상기 지지대의 소화기용 리세스부(3) 뒤쪽에 환형 단면의 중공지주봉(5)이 끼워져 입설될 수 있도록 환형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중공지주봉(5) 착설용 그루브(4); 2단 이상의 중공형 봉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총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중공지주봉(5); 및 상기 중공지주봉(5)의 상단부에 제공된 안내표지판(6)을 포함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1).A support (2) having a recess (3) formed in multiple stages from a shallow depth to a large diameter to a deep depth having a small diameter so as to stand up to the diameter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A hollow groove rod (4) for mounting the hollow support rod (5) recess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hollow support rod (5)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rear portion of the support for the fire extinguisher (3) of the support; A hollow support rod (5)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length by connecting two or more hollow rod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a fire extinguisher holder (1) having a guide for supporting the cover including a guide plate (6)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support rod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지주봉(5) 착설용 환형 그루브(4)의 1개 이상의 지점에 상기 환형 그루브의 중심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걸림홈(8)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4)에 끼워지는 상기 중공지주봉(5)의 환형부에 상기 걸림홈(8)에 맞는 돌출부(9)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지주봉(5)이 상기 그루브(4)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 후 겉돌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The groove (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cking groove (8) is formed at one or more points of the annular groove (4) for installing the hollow support rod (5) in the center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nnular groove, and the groove (4) The projection 9 is fitted to the engaging groove 8 is formed in the annular portion of the hollow holding rod (5) to be fitted to the hollow holding rod (5) is fitted to the groove (4) Fire extinguisher holder provided with a support for the guid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turn over or detached aft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지주봉(5)은 환형 단면 연결봉(13)의 내경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원형 또는 환형 단면의 연결부(12)를 중간부(11) 양쪽에 각각 구비한 연결부재(14)에 의해서 3단계 이상의 단위길이 봉을 각각 끼워 맞추어 조립되며, 상기 안내표지판(6)과 일체화된 상부연결부재(7)가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중공지주봉(5) 상단부의 환형단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The intermediate portion 11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llow support rod (5) has a circular or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on portion (12)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ng rod (13). Each of the three or more steps of unit length rods is assembled by connecting members 14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7 integrated with the guide plate 6 is the hollow supporting rod ( 5) Fire extinguisher holder with guide support for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is fitted to the annular end surfa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지주봉(5)은 복수개의 환형 단면 연결봉들이 선형 안테나 연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안내표지판(6)을 잡아 늘임으로써 예정 높이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표지판(6)과 일체화된 상부연결부재(7)가 상기 중공지주봉(5)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소화기 거치대.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llow support rod 5 is a plurality of annular cross-section connecting rods are coupled in a linear antenna connection method is to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stretching the guide sign (6),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a guide support fo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late 6 and the upper connection member 7 is integra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hollow support rod (5).
KR20-2004-0013453U 2004-05-14 2004-05-14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KR2003582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53U KR200358222Y1 (en) 2004-05-14 2004-05-14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453U KR200358222Y1 (en) 2004-05-14 2004-05-14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222Y1 true KR200358222Y1 (en) 2004-08-05

Family

ID=4934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453U KR200358222Y1 (en) 2004-05-14 2004-05-14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22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65B1 (en) * 2019-06-24 2020-10-26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keeping tool for fire extingui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65B1 (en) * 2019-06-24 2020-10-26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keeping tool for fire extingui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79428B (en) Device for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e.g. about emergency exits on ships, aircraft, in buildings or information on special land areas
JP6546490B2 (en) Firefighting equipment
US20040212514A1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for firefighters
EP0685602B1 (en) Partition pole system
US20080285294A1 (en) Decorative lighting devices
KR200358222Y1 (en) Fire extinguisher holder having post for notice board
US20180293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nap-on emergency exit led lighting
KR101249412B1 (en)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fire extinguisher
US20060162070A1 (en) Infant evacuation crib
US20230055364A1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US20180030725A1 (en) Flexible Furniture System
JP2019141644A (en) Firefighting equipment
US20190259253A1 (en) System for wall-mounted emergency exit led lighting
JP2007332538A (en) Glass floor with leading light
RU201144U1 (en) Fire extinguisher stand
KR200391809Y1 (en) A stand for fire extinguisher
KR200226888Y1 (en) Fire extinguisher stand
JP2005062906A (en) Signboard system
JP2945881B2 (en) Fire extinguisher stand
CN216108985U (en) Modular building and emergency rescue station thereof
KR200382741Y1 (en) Hanger for fire extinguisher
CN215309870U (en) Fire control is with emergent multi-functional cabinet
KR20230083072A (en) Outdoor fire hydrant with rotating function
Djunaidi et al. Analysis of Fire Protection System Standard in Hospital: Case Study in Jakarta, Indonesia
JP2004213213A (en)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