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04Y1 - 고무장화 - Google Patents

고무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04Y1
KR200357904Y1 KR20-2004-0012564U KR20040012564U KR200357904Y1 KR 200357904 Y1 KR200357904 Y1 KR 200357904Y1 KR 20040012564 U KR20040012564 U KR 20040012564U KR 200357904 Y1 KR200357904 Y1 KR 200357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rubber boots
user
rub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20-2004-0012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43B3/04Boots covering the lower leg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장화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사용자 발목의 굵기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쉽게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무장화의 길이 방향으로는 매직 암,수 테이프(11,12)가 결합되어져 있는 고무장화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비교적 목이긴 고무장화를 신을 때 사용자의 발목이 굵은 경우 고무장화를 잘 신을 수 없거나 발목이 작은 경우는 너무 헐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나 쉽게 벗을 수 없다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장화{Ratex foot gloove}
본 고안은 고무장화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사용자 발목의 굵기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쉽게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농어촌에서 널리 사용되는 목이긴 고무장화는 그 발목부가 길고 공기 순환이 어려워 벗기가 쉽지않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장화의 길이 방향으로 자끄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번 제 85-96 호와 85-8292 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 들은 모내기의 경우 진흙탕에서 일하게 되어 자끄에 각종 이물이 끼게되면 작동이 잘 안되어 그 사용에 지장이 많아 실용화가 어렵다.
또, 사용자의 발목은 상호 다르기 때문에 발목이 굵은 사용자의 경우는 고무장화를 신을 수 없거나 또는 억지로 신고 벗어야하는 불편을 피하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 발목의 굵기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쉽게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한 고무장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특히 고무장화의 길이 방향으로는 길게 매직 암,수 매직테이프가 결합되어져 있는 고무장화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고무장화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체 11,12. 암,수매직테이프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고무장화을 나타내었다.
상기 고무장화는 고무장화 본체(1)의 길이 방향으로 발목부 까지 암,수 매직테이프(11,12)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암,수매직테이프(11,12)는 직경이 비교적 큰 고무장화 본체(1)를 형성하고, 이것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부분이 움푹들어간 부위를 형성하면서 암,수매직테이프(11,12)를 접착제로 결합시킨다.
상기, 암,수매직테이프(11,12)는 이것에 대응하여 신축성을 부여하는 다른 결합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 1 과 같이 고무장화 본체(1)의 수매직테이프(12)를 열게되면 고무장화 본체(1)의 움푹 들어가 접혀진 접힘부(13)가 암,수매직테이프(11,12)에 의해 탄압 받다가 풀려져서 고무장화 본체(1)의 원래 크기로 복원된다.
이때 고무장화 본체(1)는 사용자 발목 부위가 비교적 굵은 굵기 보다 훨씬 넓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목이 굵더라도 넉넉한 내공간을 갖는 본체(1) 내에 발을 집어넣기가 쉽고 또한, 벗기가 용이하다.
또, 발목이 가늘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암,수매직테이프(11,12)를 짧게 조일 수 있어 고무장화 본체(1)가 커서 작업이 용이치 않은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비교적 목이긴 고무장화를 신을 때 사용자의 발목이 굵은 경우 고무장화를 쉽게 신을 수 없거나 발목이 작은 경우는 너무 헐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나 쉽게 벗을 수 없다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

  1. 고무장화에 있어서,
    고무장화의 길이 방향으로는 매직 암,수 매직테이프(11,12)가 결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화.
KR20-2004-0012564U 2004-05-06 2004-05-06 고무장화 KR200357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564U KR200357904Y1 (ko) 2004-05-06 2004-05-06 고무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564U KR200357904Y1 (ko) 2004-05-06 2004-05-06 고무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04Y1 true KR200357904Y1 (ko) 2004-07-30

Family

ID=4943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564U KR200357904Y1 (ko) 2004-05-06 2004-05-06 고무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8602S1 (en) Shoe upper
USD569593S1 (en) Shoe outsole
USD549947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D533988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GB2438141A (en) Articulated foldable sandals
DE60309296D1 (de) Sportschuhhülle
USD525773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D547032S1 (en) Boot for motorcycling
WO2008146376A1 (ja) 靴および靴の中敷
KR200357904Y1 (ko) 고무장화
KR20050106611A (ko) 고무장화
USD523625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WO2007031790A3 (en) Debris exclusion garment for use with footwear
JP4027404B1 (ja) 上下着脱式ウェーダー
USD597290S1 (en) Footwear
KR100584012B1 (ko) 신발 방수용 착용구
KR200433392Y1 (ko) 의족용 보조신발
KR200358676Y1 (ko) 고무장갑
JP2004154584A (ja) 尖足防止サンダル
KR20230083726A (ko) .학습증진 및 생활개선을 위한 스터디노트
KR20230083053A (ko) 생활 폐수의 처리방법 및 생산 가능성을 갖는 생물량의 생산 방법
KR200293759Y1 (ko) 고정 신발끈 운동화
JP2009125291A (ja) 作業用履物
KR20230080833A (ko)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KR20230081369A (ko) 분료및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