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666Y1 - 조립 우산 - Google Patents

조립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666Y1
KR200357666Y1 KR20-2004-0007396U KR20040007396U KR200357666Y1 KR 200357666 Y1 KR200357666 Y1 KR 200357666Y1 KR 20040007396 U KR20040007396 U KR 20040007396U KR 200357666 Y1 KR200357666 Y1 KR 200357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unction
assembly
detachabl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광석
Original Assignee
옥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광석 filed Critical 옥광석
Priority to KR20-2004-0007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1/00Umbrellas convertible into walk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5/00Umbrellas with detachable cov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용 우산대 혹은 지팡이에 분리형 우산을 결합하여 비가 오는 경우에는 우산으로 햇볕을 가릴때는 양산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인식하기로는 우산이라 함은 분리형 우산과 우산대가 밀착하여 일체화 제작된 것을 총칭하여 알고 있었음. 본 고안은 상부살통(1)의 기능은 살대 묶음기능 외에 받침살대(9)를 묶음으로 상부살통(1)에 설치하여 이를 이탈방지와 완전 고정을 위하여 잠금손잡이(19)를 나사부(33)에 결합한 것과 분리형 우산과 조립형 우산대(21) 혹은 지팡이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가진 것과 중간살통(5)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멈춤을 할 수 있는 멈춤대(35)의 역활 등 기능을 가지고 있음. 이에 상부살통(1)과 살대, 우산천, 기타 살통 등의 부품이 결합되어 일체화된 분리형 우산과 걸림턱의 기능이 있는 조립용 우산대를 결합한다면 우산의 기능을 가진 조립우산으로 완전 조립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우산은 분리된 두가지 즉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 혹은 지팡이로 일체로 세트화 공급을 할 수 있는 우산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우산은 개인의 개성, 용도, 패션 디자인, 색상 등에 맞추어 교체 조립 가능한 제품으로 선택가능하고 또한 기존 제품을 재활용 교체사용이 가능함으로 원가절감 원자재 절감 등에 이점과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우산{a sectional umbrella}
본 고안은 조립용 우산대와 조립이 가능한 분리형 우산을 서로 결합하여 조립우산으로 세팅화 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이라 함은 우산대와 우산대의 상부에 다단으로 접철가능한 다수의 우산살대 및 그 우산살대의 상부에 씌어지는 방수천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우산은 상부살통에 묶음으로 묶어진 우산살대와 우산대를 일체화하여 고정시켜주는 역활만 하였다.
우천시에는 우산살대를 펴서 방수천으로 씌어진 우산으로 비를 피하고 사용후에는 다단의 우산살대를 접철한 후 고정하여 휴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산은 휴대하기가 무겁고 구입가격이 비싸고 방수천의 색상 디자인 등 패션에 무감각하게 제작되었으나 본래 일체화된 우산의 우산대와 방수천 및 살대의 제품으로 생산되었으므로 기호와 사용에 다소 불편하드래도 어쩔수 없이 사용했음
또한 우산의 한부분이 파손되면 우산이 세트화되어져 있으므로 무조건 몽땅 폐기처분하고 새것을 구입해야됨으로 비용의 낭비와 원자재의 절감에 역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음.
이는 우산을 방수의 목적으로만 생각하여 만들었으므로 어쩔수 없이 사용하였으며 다목적의 용도에는 미쳐 생각지도 못한 실정이 있었음.
예를 들면 우산을 양산으로 전용하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이든지 용도면에서 간단한 등산일 경우 우천대비 우산과 등산용 지팡이를 따로 준비하여야 함은 소지가 복잡하며 귀찮게 여겨져 왔으므로 불편한 관계로 계획을 포기하는 등, 개인의 생활에 어려움이 많았음.
이의 많은 어려움이 있어도 우산이 세트로 되어 일체화를 만들어짐으로 어쩔수 없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많았음.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것으로 분리형 우산을 만들때에는 전문화된 디자이너가 색상, 무늬, 패션 등을 선정하여 살통과 살대를 조립하여 개인의 기호에 맞게끔 제작하고 조립용 우산대는 손잡이 디자인, 색상 등을 개인의 취향에 알맞게 전문화하여 만들어서 각각의 기호와 패션에 맞는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를 잘 선정하여 결합하여 사용함으로 조립우산의 완제품을 사용함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됨.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취사선택의 기회가 가능한 조립우산으로 결합함으로 본 우산의 고안 목적보다 많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분리형 우산이 적성에 맞는 패션과 용도, 기호 간편함 가벼움 등을 고려하여 개인취향에 맞는 조립용 우산대와 결합하여 조립우산을 제공함으로 용도에 맞고 저렴하고 기호에 적합한 조립우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우산의 사시도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우산의 정면도.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우산의 주요부분 단면도.
도면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살통의 사시도.
도면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용 우산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상부살통 3 - 하부살통
5 - 중간살통 7 - 주살대
9 - 받침살대 11 - 지지살대
13 - 보조지지대 15 - 코일스프링
17 - 걸림턱 19 - 잠금손잡이
21 - 조립용 우산대 23 - 우산천
25 - 묶음끈 27 - 걸림턱
29 - 우산대 조립구멍 31 - 살대묶음 장치대
33 - 나사부 35 - 멈춤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우산은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으며 조립용 우산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우산살을 구비하고 조립용 우산대와 우산살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조립용 우산대의 길이에 따라 다단의 우산살을 선택하여 다단으로 우산살을 접어서 묶음끈(25)으로 묶는다.
분리형 우산에 조립용 우산대를 탈착하여 본래의 목적대로 보관 및 사용을 할 수 있다. 조립순서는 조립용 우산대나 혹은 지팡이를 사용해도 아무 상관없이 같은 수순대로 하면 된다. 이번에는 우산대 대신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면 조립순서대로 분리형 우산에 있는 상부살통(1)에 내장된 걸림턱(17)에 적합한 지팡이를 착취시키기 위하여 하부살통(3)과 중간살통(5)을 관통한 후 상부살통(1)에 결합함으로 묶음끈(25)을 풀면 조립우산의 역활이 된다. 만약에 지팡이 단독으로 지팡이로만 사용할경우 분리형 우산을 묶음끈(25)를 묶고 지팡이를 상부살통(1)에 내장된 걸림턱(17)과 걸림턱(27)을 분리하고, 하부살통(3)과 중간살통(5)에 관통된 것을 빼어서 사용하면 지팡이로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는 분리형 우산으로 분리 후 보관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우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본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기와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였음을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의 펼친 상태에 있는 분리형 우산의 사시도이며
도면 2는 본 고안의 펼친 상태에 있는 분리형 우산의 정면도이다
도면 2를 참조하면 조립우산은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으며 접을을때는묶음끈(25)로써 묶어서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분리형 우산으로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간단한 구조체로 만드는 역활을 한다.
도면 3을 참조하면 분리형 우산의 중요한 역활을 하고있는 상부살통(1)은 별첨 살대묶은 장치 기능의 네가지 중요한 기능이 있다. 첫째 기능은 지지살대(11)를 상부살통(1)의 상부 홈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결합되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하는 기능을 가진 살대묶음 장치대(31)가 있으며
둘째 기능은 지지살대(11)를 상부살통(1)으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해 잠금손잡이(19)를 나사부(33)을 이용하여 조이면서 접착하였으며 추후에 조립용 우산대(21)를 삽입하여 조일때 안전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이 있는 잠금손잡이(19)가 있으며 셋째 기능으로 상부살통(1)의 내장에 있는 걸림턱(17)은 조립용 우산대(21)의 굵기와 지닌 모양은 걸림턱(27)에 결합 할수 있는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두 걸림턱(17, 27)이 서로 밀착함으로서 한 구조체의 역활을 할수 있게하는 즉 조립 할수 있는 기능이 있는 걸림턱(17)이 있으며 걸림턱은 노출된 턱이 링 모양의 걸림턱과 나사모양의 나선식 걸림턱이 있으며 넷째 기능으로 조립우산을 폈을때 받침살대(9)가 상부살통(1)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각도를 직각이하로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종축으로 된 멈춤기능을 할수 있는 멈춤대(35)가 있다. 이상과 같은 기능대로 상부살통(1)의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이에 각 중요기능을 가진 부분의 모양과 크기는 상부살통(1)외 각 부분이 요구되어지는 역활분담에 의하여 다소 모양과 크기가 변형 될수 있다.
상기 조립우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형 우산의 한 역활을 할 수 있는 중간살통(5)의 기능은 받침살대(9)를 중간살통(5)의 홈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또한 상부살통(1)에 조립용 우산대(21)를 밀착기 위하여 중간살통(5)을 관통하여야 되며 조립우산의 접었다 폈다하는 반복운동을 할 수 있는 통로가 조립용 우산대(21)의 굵기와 모양에 따라 맞춤하여 제작되어진다.
또한 하부살통(3)의 기능은 보조지지대(13)를 하부살통(3)의 홈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상부살통(1)에 조립용 우산대(21)를 밀착하기 위해 하부살통(3)을 관통하여야 되며 조립우산의 접었다 폈다하는 반복운동을 할 수 있는 통로가 조립용 우산대(21)의 굵기와 모양에 따라 맞춤하여 제작되어진다.
하부살통(3)의 마지막 기능은 조립우산이 접었다 폈다 할때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이 단독의 기능이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조립우산을 폈을때의 편 상태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하여 일정한 힘이 받침살대(9)와 보조지지대(13)의 사이를 팽창시킬려는 반발힘이 생기며 받침살대(9)는 고정되어져 있는 지지살대(11)에 견인되어져 있으므로 하부살통(3)은 상부살통(1)로 이동하기를 원하므로 반발힘에 의하여 각 살통은 한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고안으로 조립우산의 각부의 기능과 사용의 일부에 대한 사용의 역활에 대한 설명으로 분리형 우산은 우산천(23)과 함께 방수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고안한 기능을 가진 분리형 우산에 조립용 우산대(21)를 결합하여 이상이 없는 완전 우산의 기능을 갖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우산을 접었다가 조립용 우산대를 분리한 상태에서 묶음끈(25)을 풀었을 경우는 도면(1) 분리형 우산의 사시도처럼의 상태가 된다. 이때는 하부살통(3)의 손잡이를 한손에 상부살통(1)에 있는 잠금손잡이(19)를 다른 한손으로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원하는 바와 같이 접을 수 있어 묶음끈(25)로 묶으면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형 우산의 중심점에 대해서는 접었을때 하부살통(3)과 중간살통(5)의 위치가 중심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상부살통(1)에서의 같은 간격과 크기가 같은 살대가 각각 유지하고 있으며 코일스프링(15)이 각 방향의 반발력으로 밀고 있으므로 평형하게 유지되므로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조립우산을 폈을때는 중심점에 대해서는 하부살통(3)과 중간살통(5)의 위치는 횡방향은 사면팔방으로 동일한 조건이 편심이 발생되므로 인하여 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는 상기에서 기술된바와 같이 멈춤대(35)에서 맞닿아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평상시 생각하는 일반 사고의 영역에서 벗어나 도면 3 도면 5에서 표기된대로 걸림턱(17. 27)에 의해 분리된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를 결합시킴으로서 조립우산으로 일반우산의 기능을 초월한 즉 개성과 패션에 맞출 수 있는 제작이 가능하고 다용도용으로도 전용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 등 많은 기능을 가진 우산이 가능하다.
특히 우천시 등산과 산책시에는 지팡이를 분리형 우산과 조립하여 조립우산으로 만들어 배낭에 꽂으면 손쉽게 비를 피하고 두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우산 중 상부살통(1)과 조립용 우산대(21)외는 기존 제품으로 전용이 가능하며 특히 2 단과 3단의 다단식으로 접어지는 우산을 대상으로 실시하면 효과가 크다.
마지막으로 상부살통(1)와 조립용 우산대(21)은 합성수지나 금속과 같이 소정의 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조립우산으로서의 역활을 할 수 있고 또한 살대와 같은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도면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고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능이 실용신안특허청구범위의 균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조립우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의 교체 사용 및 전용 사용으로 원가절감 및 원자재의 과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 개성의 시대에 맞추어 패션과 색상 디자인 적성에 맞는 제품을 휴대할 수 있다.
셋째 : 다용도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다.

Claims (5)

  1.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의 결합에 있어서 상부살통과 조립용 우산대를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우산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우산.
  2. 상부살통의 주요기능인 살대의 묶음장치, 상부살통의 고정기능을 가진 잠김손잡이와 상부살통과 조립용 우산대를 결합시킬 수 있는 걸림턱과 중간살통의 멈춤기능을 가진 멈춤대의 각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우산.
  3. 분리형 우산과 조립용 우산대를 다수개의 걸림턱과 나선식 걸림턱을 이용 결합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우산
  4. 지팡이의 다수개의 걸림턱 또는 나선식 걸림턱에 맞는 분리형 우산의 다수개의 걸림턱과 나선식 걸림턱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우산.
  5. 조립용 우산대의 관경에 따라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에 관통되는 구멍크기가 맞게끔 제작 조립작업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우산.
KR20-2004-0007396U 2004-03-17 2004-03-17 조립 우산 KR200357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96U KR200357666Y1 (ko) 2004-03-17 2004-03-17 조립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396U KR200357666Y1 (ko) 2004-03-17 2004-03-17 조립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666Y1 true KR200357666Y1 (ko) 2004-07-30

Family

ID=4943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396U KR200357666Y1 (ko) 2004-03-17 2004-03-17 조립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6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8B1 (ko) 2012-07-30 2014-04-24 임종석 압착고무가 장착된 diy우산
KR20170028465A (ko) 2015-09-03 2017-03-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스탠딩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8B1 (ko) 2012-07-30 2014-04-24 임종석 압착고무가 장착된 diy우산
KR20170028465A (ko) 2015-09-03 2017-03-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디자인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는 스탠딩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5174B2 (ja) 折り畳み式椅子
US20080066793A1 (en) Hubs for shade structures
WO1992011069A1 (en) Adjustable and foldable ski pole
WO2005087037A1 (es) Sombrilla plegable
US5927310A (en) Double sunshade
EP0895798A1 (en) Collapsible flying structures
US5678586A (en) Umbrella for alleviating wind gust
CN114222510A (zh) 关节炎辅助三帆风转伞
US7350530B2 (en) Asymmetric umbrella
KR200357666Y1 (ko) 조립 우산
US20040099296A1 (en) Inflatable umbrella
US4114911A (en) Ski pole
AU2007201059A1 (en) Blind device
US20120222188A1 (en) Collapsible Costumes
US6234186B1 (en) Canopy frame for umbrella of various shapes
US4621653A (en) Windshell
US1051698A (en) Umbrella.
KR200158600Y1 (ko) 차광모 겸용 양산
KR100693353B1 (ko) 파라솔의 상단에 미려한 곡선부 모양이 나타나도록표현하는 데코레이션 파라솔 및 그 제조방법
KR200392712Y1 (ko) 개량형 우산
KR200348657Y1 (ko) 우산천과 손잡이의 교체가 가능한 우산
KR200233782Y1 (ko) 케이스로 완전 밀폐되는 우산
KR200348644Y1 (ko) 우산용 장식구
CN201260440Y (zh) 多功能手杖
JP3243958U (ja) 折り畳み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