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217Y1 - 해변용 물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해변용 물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217Y1
KR200357217Y1 KR20-2004-0011582U KR20040011582U KR200357217Y1 KR 200357217 Y1 KR200357217 Y1 KR 200357217Y1 KR 20040011582 U KR20040011582 U KR 20040011582U KR 200357217 Y1 KR200357217 Y1 KR 200357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ight end
beach
mounting member
stor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찬 filed Critical 김성찬
Priority to KR20-2004-0011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4Article supports adapted to be stuck in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가에서 컵 등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해변용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해변용 물품 거치대는, 우측단부에 좌·우로 통하는 요홈(g)을 구비한 측벽(W)이 바닥판(P)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향 직립한 스낵류수납부(11A)와, 스낵류수납부(11A)의 우측단부에서 연장되며 컵안착공(h)이 형성된 컵수납부(11B)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1)와; 우측단부가 상기 컵수납부(11B)의 우측단부 중앙부에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컵안착공(h)에 형합되는 돌출부(12A)와, 돌출부(12A)로부터 상기 거치부재(11)의 좌측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꽂이부(12B)로 이루어진 꽂이부재(12)와; 상기 거치부재(11)의 경계부 인접 두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 외형의 지지부재(13)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해변용 물품 거치대는 모래바닥이나 잔디가 깔린 바닥과 같이 평탄하지 않고 무른 바닥에서 컵을 안정적으로 비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쟁반이 없이도 간단한 스낵류를 함께 비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변용 물품 거치대{A cup holder}
본 고안은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가에서 간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에서 모래바닥에 꽂은 후 음료수병 또는 컵 등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을 물론 사탕이나 과자 등을 바닥에 놓지 않고 함께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해변용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5일 근무제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레져활동과 여행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취사도구, 텐트, 간이 식탁 등 간편한 휴대용 물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리고, 1가구 1차량 수준의 자동차 보급이 이루어져 여행과 같은 각종 레져활동은 주로 각 가정의 보유 차량에 의해 이루어지고, 차량에 의한 이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을 타고 이동 중에 음료수 등을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음료수병이나 컵 등을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컵홀더 등이 개발되었으며, 근래에는 차량 자체에 컵홀더뿐만 아니라 간이식탁 등이 구비된 차량도 출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레져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물이나 음료수 등을 필요시마다 손쉽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컵홀더가 개발되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이동 중에는 필요시마다 그 때 그때 물 등을편리하고 손쉽게 음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레져활동 중 물 등을 마시기 위해서는 컵이나 음료수병 또는 물통 등을 안정적으로 비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바, 차량에서는 차량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컵홀더가 있으며, 레져활동이 이루어지는 야외에서는 쟁반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레져활동이 견고한 바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쟁반과 같은 수단이 없다고 하여도 컵이나 뚜껑이 열린 병 등을 견고한 바닥에 그대로 비치하여도 쓰러지거나 하는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세워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쟁반 등과 같은 비치수단을 구비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레져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의 바닥이 견고한 곳이거나, 그 주변에 견고한 바닥이 있는 경우에는 물이나 음료수 등이 들어있는 병이나 컵 등을 놓는데 곤란함이 없으나, 잔디나 해변의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잔디나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의 경우에는 그 바닥이 편평하거나 견고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다소의 쿠션이 있기 때문에 물병이나 컵 등을 안정적으로 세워 놓기가 힘들며, 쟁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쟁반 주위의 움직임이 쟁반에 전달되어 쟁반이 쉽게 움직이게 되어 물병이나 컵 등이 안정적으로 놓여진 상태로 유지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잔디나 모래사장 등에 물병이나 컵 등을 안정적으로 세워 놓기 위해서는 돌과 같이 다소 무거운 물체를 사용하여 바닥을 안정적으로 만든 다음, 그 위에 물병이나 컵 등을 직접 올려 놓거나 쟁반을 올려 놓은 후 그 위에 물병이나 컵등을 비치하여야 하는 바, 주변에 평편한 돌 등이 없으면 레져활동이 이루어지는 곳 가까이에 물병이나 컵 등을 안정적으로 비치하기가 간단치 않은 문제가 있으며, 그에 따라 레저활동 중 물이나 음료수를 음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게 된다.
또한, 돌 등을 이용하여 물병이나 컵 등을 바닥에 놓는다 하여도 과자와 같은 간단한 스낵류를 포장이 해체된 상태로 함께 비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쟁반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잔디나 해변과 같이 레져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의 바닥이 평탄치 못하고 견고하지 못한 곳에서 그 때 그 때 음용하여야 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비치하기 어렵거나, 무거운 돌 등을 이용하여야만 비치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이 견고하지 못한 잔디나 해변 등에서 음료수나 물 등은 물론 포장을 뜯은 간단한 스낵류를 바닥에 놓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함께 안정적으로 비치할 수 있는 물품 거치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해변용 물품 거치대를 보인 것으로,
(가)는 상면 사시도이도,
(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사용 직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거치부재 12. 꽂이부재 13. 지지부재
11A. 스낵류수납부 11B. 컵수납부 12A. 돌출부
12B. 꽂이부
C. 컵 g. 요홈 h. 컵안착공
j. 단턱 L. 리브 P. 바닥판
S. 스낵류 W. 측벽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컵안착공이 형성된 접시형 거치부재와, 거치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꽂이부재와, 거치부재와 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해변용 물품 거치대는 크게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및 꽂이부재로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꽂이부재는 각각 거치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와 꽂이부재가 상기 거치부재에 대하여 하향 수직하면서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거치부재에 대하여 각각 270°및 90°회전됨에 본 고안 물품 거치대의 구조적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를 구성하는 상기 거치부재는, 포장이 해체된 과자나 낱개로서의 사탕 등을 올려 놓기 위하여 바닥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측벽이 상향 직립하여 접시나 쟁반 등의 역할을 하게 되는 스낵류수납부와, 스낵류수납부의 우측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컵이나 병 등을 관통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컵안착공이 형성된 컵수납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낵류수납부의 우측단부와 컵수납부의 좌측단부가 만나는 경계부에서 상기 스낵류수납부의 폭은 컵수납부의 폭보다 넓은 구조로서, 좌측의 스낵류수납부와 우측의 컵수납부가 만나게 되는 전·후방 양 측 측면의 경계부에는 동일한 단차를 갖는 단턱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치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컵수납부의 전체 측면에 접촉되도록 밴드형 부재가 수평면 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의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로서, 그 개방측 양 측 단부의 두 대향면이 거치부재의 전·후방 양 측 단턱에 인접한 컵수납부 좌측단부의 전·후방 양 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는 거치부재의 후방측면 단턱부인 컵수납부의 좌측단부 후방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컵수납부의 우측단부를 거쳐 컵수납부의 좌측단부 전방측면까지 "ㄷ"자형으로 연장되어 그 내면이 컵수납부의 전체 측면과 접하면서 결합부인 개방측 양 단부를 중심으로 거치부재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와 폭은 거치부재의 전·후방 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턱의 높이 및 컵수납부의 측면 높이와 각각 동일한 구조로서, 거치부재에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의 외면은 거치부재의 스낵류수납부 측벽 외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즉, 스낵류수납부에 비하여 폭이 좁은 컵수납부에 의해 형성된 거치부재 단턱의 단차가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에 의해 해소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바닥에 꽂히게 되는 꽂이부재는 모래사장이나 잔디가 자라는 바닥에 직접 꽂혀지는 꽂이부와, 바닥에 꽂혀진 꽂이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꽂이부는 상기 컵수납부의 통공에 형합되는 돌출부의 좌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스낵류수납부의 바닥판 상면에 놓여지고, 돌출부의 우측단부는 거치부재의 우측에 위치한 컵수납부의 우측단부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꽂이부재는, 지지부재가 거치부재로부터 하향 방향으로 90°회전되어 지지부재의 우측단부가 컵수납부의 컵안착공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꽂이부의 좌측단부가 돌출부의 우측단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거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측으로 270°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거치부재의 저면에 대하여 하향 수직한 상태가 된다.
즉, 지지부재를 거치부재의 저면에 대하여 하향 수직하도록 90°회전시킨 후지지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꽂이부재를 270°회전시켜 지지부재와 꽂이부재 모두를 거치부재의 저면에 대하여 하향 수직하도록 만든 상태에서, 꽂이부재의 꽂이부를 모래사장이나 잔디가 심어진 땅 등에 꽂게 되면, 꽂이부가 바닥에 박힌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꽂이부재의 돌출부와 이에 평행한 지지부재에 의해 거치부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치부재의 바닥판에 스낵류를 올려 놓는 동시에 컵안착공에 음료수가 채워진 컵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컵안착공을 관통한 컵의 하단면은 회동에 의해 컵안착공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부재의 우측단부 내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며, 꽂이부재의 꽂이부가 박힌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가 됨으로써 거치부재가 꽂이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거나, 지지부재가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거치부재가 지지부재 및 꽂이부재의 두 부재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에 꽂이부재와 지지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사시도를, 도 4에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는, 우측단부에 좌·우로 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도록 요홈(g)이 구비된 측벽(W)이 바닥판(P)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향 형성되어 접시 또는 쟁반의 역할을 수행하며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상의 스낵류수납부(11A)와, 폭 방향의 반대되는 전·후방 경계부 양 측면에 단턱(j)이 형성되도록 좌측단부의 폭이 상기 스낵류수납부(11A)의 우측단부 폭보다 작으며 상기 측벽의 요홈(g)이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스낵류수납부(11A)의 우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원형의 컵안착공(h)이 형성된 컵수납부(11B)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1)와;
상기 컵안착공(h)에 형합되며 그 우측단부가 상기 거치부재 컵수납부(11B)의 우측단부 중앙부에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12A)와, 돌출부(12A)의 좌측단부로부터 상기 거치부재(11)의 요홈(g)을 관통하여 스낵류수납부(11A) 상면의 좌측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시 바닥에 꽂히게 되는 꽂이부(12B)로 이루어진 꽂이부재(12)와;
상기 거치부재(11)의 단턱(j)에 인접한 컵수납부(11B)의 전·후방 양 측면 즉, 스낵류수납부(11A)와 컵수납부(11B)의 경계부에 인접하며 서로 반대되는 컵수납부(11B)의 전·후방 두 측면에 개방측인 두 좌측단부의 대향하는 두 내면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 외형의 밴드형 지지부재(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를 이루는 스낵류수납부(11A)와 컵수납부(11B)의 전폭에 걸친 경계부, 즉 요홈(g)이 중앙부에 형성된 스낵류수납부의 우측단부 측벽은 컵안착공(h)에 의해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컵안착부에서 스낵류수납부측으로 볼록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컵수납부의 폭 방향 경계부의 전·후방 측면 결합부는 컵안착공의 좌측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결합부를 중심으로 지지부재의 우측단부를 90°하향 회전시키게 되면 그 우측단부가 컵안착공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컵안착공을 관통하여 안치된 컵의 하단면이 회전에 의해 상향하게 된 지지부재 우측단부의 내면에 올려놓여지게 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를 컵안착부의 측면에 결합시킬 때는 스낵류수납부의 우측단부 측벽이 갖는 형상에 관계 없이 그 결합부가 컵안착공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꽂이부재(12)의 좌측부인 꽂이부(12B)는 바닥에 꽂혀지는 부분인 바, 그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는 있으나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꽂이부가 바닥에 잘 박힐 수 있도록 돌출부와의 경계부에서 그 좌측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뾰족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꽂이부(12B)를, 바닥에 잘 박히는 형태의 하나로서, 타측단부에서 일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얇은 편상으로도 만들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 편상의 꽂이부가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두 반대면의 각 폭 중앙부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하는 일자형 리브(L)를 돌출 형성시켜 "+"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해변용 물품 거치대는, 거치부재(11)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부재(13)를 하향 방향으로 90°회전시켜 거치부재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향 직립시키고, 꽂이부재(12)를 270°회전시켜 지지부재와 평행하도록 만든 다음 하향 수직한 꽂이부재의 꽂이부(12B)를 모래사장 등에 박아 거치부재를 수평하게 유지시킨 후 거치부재의 컵안착공에 컵(C)을 관통 삽입하여 거치시키며, 거치부재의 바닥판에 스낵류(S)를 올려 놓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해변용 물품 거치대는 해변의 모래사장이나 잔디가 깔린 바닥에서 컵을 안정적으로 비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쟁반과 같은 별도의 비치수단이 없이 간단한 스낵류를 깨끗하게 비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컵 등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거치대에 있어서, 우측단부에 요홈(g)을 구비한 측벽(W)이 바닥판(P)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향 형성된 스낵류수납부(11A)와, 상기 요홈(g)이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스낵류수납부(11A)의 우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컵안착공(h)이 형성된 컵수납부(11B)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1)와;
    상기 컵안착공(h)에 형합되며 그 우측단부가 상기 컵수납부(11B)의 우측단부 중앙부에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12A)와, 돌출부(12A)의 좌측단부로부터 상기 요홈(g)을 관통하여 스낵류수납부(11A) 상면의 좌측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꽂이부(12B)로 이루어진 꽂이부재(12)와;
    상기 컵안착공(h)의 좌·우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컵수납부(11B)의 전·후방 두 측면에 개방측 좌측단부의 대향하는 두 내면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형 지지부재(13)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물품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낵류수납부(11A)와 컵수납부(11B)의 경계부 전·후방 양 측면에는 단턱(j)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물품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부재의 꽂이부(12B)는 돌출부(12A)와의 경계부에서 일측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물품 거치대.
KR20-2004-0011582U 2004-04-26 2004-04-26 해변용 물품 거치대 KR200357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82U KR200357217Y1 (ko) 2004-04-26 2004-04-26 해변용 물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82U KR200357217Y1 (ko) 2004-04-26 2004-04-26 해변용 물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217Y1 true KR200357217Y1 (ko) 2004-07-27

Family

ID=4934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82U KR200357217Y1 (ko) 2004-04-26 2004-04-26 해변용 물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2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793B2 (en) Container with one or more tray retention portions and support stand
US6126256A (en) Portable stemmed glass/container retention rack and serving tray
US5523131A (en) Self-propelled table novelty device
US6283566B1 (en) Portable stemmed glass/container retention rack and serving tray
US7134714B1 (en) Highchair helper improvements
US7284737B2 (en) Drink holder
US20150008231A1 (en) Combination food and beverage serving plate
US7300103B1 (en) Child booster with spillproof tray
US5480078A (en) Golf bag cart detachable accessory carrier
US6076876A (en) Two-cup beverage carrier
US20170318974A1 (en) Portable customizable swiveling concession tray
US8997995B2 (en) Beverage transport organizer
US8840078B2 (en) Portable beverage holder
US20080173600A1 (en) Holder for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4991713A (en) Serving tray apparatus
US20160309910A1 (en) Child support device
US6276162B1 (en) Portable cooler with accessory tray
US20190357688A1 (en) Cup-holder for ABS plastic Adirondack chair
JPH08308684A (ja) 一体型側部収納室付きステップストゥール
US20210137294A1 (en)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US9901218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dry bar and beverage preparation station for boats
US8733594B1 (en) Bag in box beverage dispenser
KR200357217Y1 (ko) 해변용 물품 거치대
US6651456B1 (en) Shelf surrounding ice chest with cart
CA2530091A1 (en) Automotive beverage tray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