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00Y1 -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00Y1
KR200356600Y1 KR20-2004-0011333U KR20040011333U KR200356600Y1 KR 200356600 Y1 KR200356600 Y1 KR 200356600Y1 KR 20040011333 U KR20040011333 U KR 20040011333U KR 200356600 Y1 KR200356600 Y1 KR 200356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s turbine
power generation
steam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구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1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4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 F02C7/141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 화력 발전에 있어서 가스 터빈에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력 발전의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의 일부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14); 상기 증기 공급관(214)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흡수기(302), 재생기(212), 응축기(310), 팽창 밸브(312) 및 증발기(210)을 포함하는 흡수식 냉각 장치(208); 상기 흡수식 냉각 장치(208)에서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과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를 포함하는 공기 냉각수 공급 장치; 및 상기 공기 냉각수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202)를 포함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Gas Turbine Inlet Air Cooling System in Combined Cycle Power Plant}
본 고안은 복합 화력 발전에 있어서 가스 터빈에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화력 발전 설비의 배열 회수 보일러에서 가열된 증기를 일부 추출하여 흡수식 냉동 장치의 열원으로 활용하고 이 흡수식 냉동 장치에서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역학에너지나 열에너지, 화학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發電) 방법은, 이용하는 발전 자원에 따라 수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조력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태양열 발전 등으로 구별된다. 이 중에서 화력 발전은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시켜서 얻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어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의 발전을 말한다.
화력 발전 방식으로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든 후 이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기와 연결된 증기 터빈을 구동시키는 기력(汽力) 발전 방식과, 디젤기관 등의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내연력 발전 방식 및 가스 터빈을 원동기로 사용하여 발전하는 가스 터빈 발전 방식이 있다.
가스 터빈 발전은 공기 및 연료 가스를 작동 유체로 하는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을 기본으로 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열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부하 변동에 빨리 응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규모의 발전 설비에 적합하다. 그러나, 가스 터빈은 배기 온도가 약 500 ℃ 정도로 높아 열효율은 약 30 % 정도로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증기 터빈 발전은 물과 수증기를 작동 유체로 하는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을 기본으로 한다. 랭킨 사이클은 비교적 낮은 온도까지 열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재열(Reheat), 재생(Regeneration)이나 과열(Superheat) 방식을 이용하여 40 % 이상의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열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증기 터빈 입구의 증기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가스 터빈 발전과 증기 터빈 발전을 조합하여 높은 온도에서 이점을 가지는 가스 터빈과 낮은 온도에서 열 이용도가 높은 증기 터빈을 결합한 복합 화력 발전 방식이 증가 추세에 있다. 즉, 브레이튼 사이클과 랭킨 사이클을 결합함으로써 증기 터빈의 고온화에 대한 제약은 경감되고 가스 터빈의 배기 가스에 의한 에너지 손실도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은 가스 터빈 발전 시스템과 증기 터빈 발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스 터빈(100)은 먼저 공기를 압축기(102)로 압출한 후 연소기(104)로 보내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만든 후 터빈(106)을 동작시키기 배기 가스를 방출하는 것으로서, 압축, 가열, 팽창, 방열의 4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가스 터빈(100)이 회전함에 따라 가스 터빈(100)의 회전축과 연결된 가스 터빈측 발전기(108)를 회전시켜 1차 발전을 수행한다.
터빈(106)을 회전시키고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열 회수 보일러(HRSG :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110)로 전달된다.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는 복수기(112)에서 응축된 복수가 복수 펌프(114)를 통해 공급되는데, 복수 펌프(114)에서 공급된 복수는 배열 회수 보일러(110)를 통과하며 1차 가열된 후 급수 펌프(116)로 공급된다. 급수 펌프(116)는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필요한 급수를 공급한다.
급수 펌프(116)에서 공급된 급수는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된 후 증기 터빈(118)으로 전달되어 증기 터빈(118)을 회전시킨다. 증기 터빈(118)을 회전시킨 증기는 복수기(112)에서 냉각된 후 다시 보일러 작동을 위해 공급된다. 증기 터빈(118)에는 증기 터빈측 발전기(120)가 연결되어 증기 터빈(118)의 회전에 따라 증기 터빈측 발전기(120)도 회전하여 2 차 발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열 회수 보일러(110)를 통과한 배기 가스는 최종적으로 연돌(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급수 펌프(116)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110)로 급수를 공급하는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복합 화력 발전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가스 터빈(100)의 효율은 흡입되는 공기의 대기 온도, 대기압, 습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100)의 정격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규정하는 조건에서 결정되며, 그 조건은 대기 온도가 섭씨 15 ℃, 대기압은 1.013 Bar, 상대 습도는 60 % 이다.
대기 온도와 관련하여, 가스 터빈(100)이 정격 부하에서 운전 중일 때는 가스 터빈은 모든 대기 온도 범위에 걸쳐 일정한 체적의 공기를 흡입하나 대기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밀도가 상승하여 질량 유량이 증가하고 압축 후 공기 온도 또한 낮아진다. 이러한 경우 연소기에서의 가열 과정에서 가스 온도의 상승을 위해 소모되는 연료량이 증가하나, 가스 터빈(100) 출력은 질량 유량의 상승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연료량의 증가율보다 출력 증가율이 더 크기 때문에 가스 터빈(100)의 효율은 향상된다. 따라서,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가스 터빈(100)의 효율이 좋다.
한편, 대기 중 습분은 공기 질량뿐만 아니라 공기의 엔탈피(Enthalpy)에도 영향을 준다. 습도에 의한 영향은 아주 작은 편이지만 터빈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습도의 증가는 질소 산화물(NOx)을 억제하는 데 요구되는 증기나 물 주입량에 영향을 준다.
대기압은 대기 온도와 같은 방법으로 대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 밀도도 증가하여 가스 터빈(100)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도 증가하게 되나, 대기 온도와는 달리 연료 소비율의 증가는 출력 증가율과 같으므로 가스 터빈(100)의 효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가스 터빈(100)에 있어서는 압축기(102)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전력 수요가 제일 큰 하절기에는 대기 온도의 상승에 의해 출력이 감소되어 하절기에 폭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원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압축기(102)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 터빈(100)의 압축기(102) 입구에 증발식 냉동기 또는 빙축열 시스템을 설치하여 가스 터빈(100) 흡입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열 회수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일부를 추출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각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에너지 사용없이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하여 발전 설비의 효율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터빈 효율을 증대시키고공해 물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분리기를 구비한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대기 온도에 따라 작동 조절이 가능한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력 발전 설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력 발전 설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흡수식 냉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스 터빈 102 : 압축기
104 : 연소기 106 : 터빈
108 : 가스 터빈측 발전기 110 : 배열 회수 보일러
118 : 증기 터빈 120 : 증기 터빈측 발전기
202 : 공기 냉각기 204 : 공기 냉각수 순환관
206 :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 208 : 흡수식 냉각 장치
210 : 증발기 212 : 재생기
214 : 증기 공급관 216 : 증기 조절 밸브
218 : 수분 분리기 220 : 온도 감지 수단
302 : 흡수기 306 : 열교환기
310 : 응축기 312 : 팽창밸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력 발전의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의 일부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14); 상기 증기 공급관(214)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흡수기(302), 재생기(212), 응축기(310), 팽창 밸브(312) 및 증발기(210)을 포함하는 흡수식 냉각 장치(208); 상기 흡수식 냉각 장치(208)에서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과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를 포함하는 공기 냉각수 공급 장치; 및 상기 공기 냉각수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202)를 포함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력 발전 설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은,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Steam)의 일부를 추출하여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열원으로 사용하며, 흡수식 냉각 장치(208)에 의해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공기 냉각기(202)에 공급함으로써 가스 터빈(100)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냉각기(202)는 흡수식 냉각 장치(208)에서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100)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공기 냉각기(202) 내부에는 다수의 공기 냉각수가 흐르는 튜브(Tube)가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 때, 튜브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핀(Fin)이 부착되어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냉각수는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을 따라 순환하는데,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에는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가 구비되어 공기 냉각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공기 냉각수는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증발기(Evaporator, 210)에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고, 공기 냉각기(202)에서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게 된다.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재생기(Desorber, 212)에는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로부터 추출된 증기가 증기 공급관(214)을 통해 전달된다.재생기(212)는 발생기(Generator)라고도 하는 것으로 냉매를 흡수액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증기 공급관(214)에는 증기 조절 밸브(2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기(102)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 수단(220)이 압축기(102) 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감지 수단(220)은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을 흐르는 공기 냉각수의 유량이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값이 된다. 즉, 측정된 온도에 따라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의 작동,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작동 및 증기 조절 밸브(216)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온도 감지 수단(220)으로는 열전대(Thermocoulpe)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온도 감지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측정된 공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나 흡수식 냉각 장치(208)의 작동 또는 증기 조절 밸브(216)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열전대와 같이 측정된 온도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할 수 있는 온도 감지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온도 감지 수단(220)은 압축기(102)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 외에 대기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냉각기(202)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경우, 가스 터빈(100)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 외에 추가적으로 공기 중의 습분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중 습분은 공기 질량뿐만 아니라 공기의 엔탈피에 영향을 주어 가스 터빈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질소 산화물의 제거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공기 냉각기(202)에 의해 가스 터빈(100)에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공기 온도의 하락으로 포화 수증기압이 낮아져 공기 중의 습분이 응축함으로써 공기 중 습분이 제거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도 공기 중 습분을 충분히 제거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공기 냉각기(202)의 후면에 수분 분리기(21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분리기(218)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존재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 통형으로 형성된 공기의 통로의 내부에 배플(Baffle)이 구비되어 공기 중 습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식 냉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화력 발전 설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흡수식 냉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흡수식 냉각 방식은 용해도가 높은 용액에 냉매 증기를 1차 흡수시킨 다음, 흡수액 펌프(304)에 의해 압력을 상승시킨 후 열을 가하여 냉매 증기를 분리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이때 재생기(212)에서 발생된 냉매 증기는 응축기(Condenser, 310)로 가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되고, 이 액상의 냉매는 다시 팽창밸브(Expansion Valve, 312)를 거쳐 증발 압력까지 떨어진 채로 증발기(210)로 들어가 외부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을 하여 흡수기(302, Absorber)로 들어간다. 이 과정이 냉매 루프(Loop)가 된다. 한편 재생기(214)에서 냉매가 분리된 후 남은 용액은 감압변(308)을 거쳐 다시 흡수기(302)로 들어가 증발기(210)로부터 오는 증기를 흡수한 후 다시 재생기(212)로 순환하여 용액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흡수기(302)에는 별도의 냉각 장치가 구비되어 냉매 증기의 응축 잠열과 용해열을 제거한다.
흡수식 냉각 방식으로는 물이 리튬브로마이드 용액에 잘 흡수되는 성질을 이용한 물/리튬브로마이드(H2O/Libr) 방식과, 암모니아 증기가 물에 잘 용해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 암모니아/물(NH3/H2O) 방식이 있다. 이러한 흡수식 냉각 방식은 본 고안의 실시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기(212)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은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로부터 추출되어 증기 공급관(214)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이다. 또한, 증발기(210)에서는 공기 냉각기(202)에 공급되는 공기 냉각수로부터 냉매로 열이 전달됨으로써 공기 냉각수가 냉각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터빈(100)에 흡입되는 공기를 증발기(210)에서 직접 냉각시키지 않고 공기 냉각수를 증발기(210)에서 냉각시킨 후 이 공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스 터빈(100)에 흡입되는 공기를 증발기(210)에서 직접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증발기(210)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증발기(210)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설비 운영상 바람직하지 못하며 냉매와 가스 터빈(100) 흡입 공기와의 열전달에 있어서도 효율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공기 냉각수가 냉매와 가스 터빈 흡입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전달의 매체로 사용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의 증대 및 다량의 흡입 공기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열원이나 증기 압축 냉각 시스템에서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동력없이도 배열 회수 보일러에서 추출된 증기를 활용한 흡수식 냉각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스 터빈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복합 발전 설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하절기와 같이 외부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일정 온도 이하의 공기를 가스 터빈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력 발전의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증기의 일부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214);
    상기 증기 공급관(214)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냉각 작용을 수행하는, 흡수기(302), 재생기(212), 응축기(310), 팽창 밸브(312) 및 증발기(210)을 포함하는 흡수식 냉각 장치(208);
    상기 흡수식 냉각 장치(208)에서 냉각된 공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기 냉각수 순환관(204)과 공기 냉각수 순환 펌프(206)를 포함하는 공기 냉각수 공급 장치; 및
    상기 공기 냉각수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 흡입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 냉각기(202)
    를 포함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관(214)에는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110)에서 추출된 상기 증기의 공급을 개폐 및 조절하는 증기 조절 밸브(2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터빈(100)의 압축기(102) 전단에는 상기 압축기(102)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수단(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냉각기(202)에는 상기 공기 냉각수가 흐르는 튜브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는 핀(Fin)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냉각기(202) 후면에는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습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 분리기(2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분리기(218)는 공기가 통과하는 원형 내지 다각형 통로 내부에 배플(Baffle)이 구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력 발전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KR20-2004-0011333U 2004-04-23 2004-04-23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KR200356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33U KR200356600Y1 (ko) 2004-04-23 2004-04-23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333U KR200356600Y1 (ko) 2004-04-23 2004-04-23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00Y1 true KR200356600Y1 (ko) 2004-07-19

Family

ID=4934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333U KR200356600Y1 (ko) 2004-04-23 2004-04-23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6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19B1 (ko) * 2011-05-18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랭킨 사이클 시스템
KR101358309B1 (ko) * 2011-05-17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랭킨 사이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60067262A (ko) 2014-12-03 2016-06-14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소가스 냉각장치가 구비된 가스터빈 발전 시스템
CN108757471A (zh) * 2018-05-02 2018-11-06 中国华电科工集团有限公司 水环真空泵工作液冷却水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09B1 (ko) * 2011-05-17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랭킨 사이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80519B1 (ko) * 2011-05-18 2013-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랭킨 사이클 시스템
KR20160067262A (ko) 2014-12-03 2016-06-14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소가스 냉각장치가 구비된 가스터빈 발전 시스템
CN108757471A (zh) * 2018-05-02 2018-11-06 中国华电科工集团有限公司 水环真空泵工作液冷却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9040C (en) Ammonia absorption refrigeration cycle for combined cycle power plant
KR101295806B1 (ko) 흡수식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발전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복합화력 발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4221B1 (ko) 통합형 냉각, 가열 및 전력공급 시스템
CN107905897B (zh) 燃气轮机循环烟气余热回收与进气冷却联合系统及方法
KR101320593B1 (ko)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열병합 발전시스템
CN103397943B (zh) 燃气-蒸汽联合循环的进气除湿冷却系统及方法
CN105485906B (zh) 一种光伏太阳能热泵发电热水系统
CN103352761A (zh) 基于余热利用的燃机进气冷却装置
KR101397621B1 (ko) 가스 화력 발전소의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
KR100756240B1 (ko) 냉난방 시스템
JP2005315127A (ja) ガスタービン
CN110005489A (zh) 一种具备发电机冷却功能的有机朗肯循环发电系统
KR101386179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 출력 증대가 가능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
CN108800651B (zh) 一种基于昼夜电力调峰的火电空冷凝汽器安全度夏装置
KR101208459B1 (ko) 냉방 및 난방용수를 생산하는 orc 터보발전 시스템
KR200356600Y1 (ko) 복합 화력 발전의 가스 터빈 흡입 공기 냉각 시스템
KR101038249B1 (ko) 가스터빈의 흡기 냉각장치
CN105042939B (zh) 一种利用低温介质获取冷气、电能的方法及其装置
JP2002266656A (ja) ガスタービ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RU2643878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воздушно-аккумулирующей газотурбин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с абсорбционной бромисто-литиевой холодильной машиной (АБХМ)
CN102809144A (zh) 采用两级喷射吸收热泵提高热力循环效率的装置及方法
JP2003269114A (ja) 電力・冷熱供給コンバインド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2012151502A2 (en) Use of adsorption or absorption technologies for thermal-electric power plant cooling
CN206016979U (zh) 海水冷却、混合冷源的高效燃机进气冷却装置
CN201705402U (zh) 一种利用工质相变循环的火电厂余热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